KR20120061466A -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 Google Patents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466A
KR20120061466A KR1020100122794A KR20100122794A KR20120061466A KR 20120061466 A KR20120061466 A KR 20120061466A KR 1020100122794 A KR1020100122794 A KR 1020100122794A KR 20100122794 A KR20100122794 A KR 20100122794A KR 20120061466 A KR20120061466 A KR 2012006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wr
parallel
segment
pass filter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335B1 (ko
Inventor
김철수
김준철
송인상
김영일
김덕환
손상욱
신제식
김형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35B1/ko
Priority to US13/307,159 priority patent/US8896396B2/en
Publication of KR2012006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42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including pass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6Monolithic crystal filters
    • H03H9/566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 H03H9/568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consisting of a ladde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8Multiple crystal filters
    • H03H9/60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 H03H9/605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consisting of a ladder configu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한다.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제1 RF 소자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제2 RF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1 BAWR, 제3 BAWR 및 제5 BAWR을 포함하는 병렬 세그먼트, 상기 병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2 BAWR 및 제1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1 직렬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직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 4 BAWR 및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2 직렬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4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고, 상기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를 상기 제2 RF 소자로 출력한다.

Description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USING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기술분야는 BAWR을 이용한 RF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AWR(Bulk Acoustic Wave Resonator)은 필터 또는 듀플렉서에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BAWR을 이용한 필터는 대부분의 경우, 대역 통과 필터로 사용된다. 이때, 대역 통과 특성은 필터를 구성하는 BAWR의 공진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모바일 송수신 장치의 사이즈는 점점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송수신 장치에 탑재되는 부품들의 사이즈도 작아져야 된다. 모바일 송수신 장치에는 여러 종류의 필터가 탑재되므로, 고성능의 필터 및 작은 사이즈의 필터가 필요하다.
일 측면에 있어서,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제1 RF 소자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제2 RF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1 BAWR, 제3 BAWR 및 제5 BAWR을 포함하는 병렬 세그먼트, 상기 병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2 BAWR 및 제1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1 직렬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직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 4 BAWR 및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2 직렬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4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고, 상기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를 상기 제2 RF 소자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직렬 세그먼트에서, 상기 제2 BAWR 및 상기 제1 인덕터는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직렬 세그먼트에서, 상기 제4 BAWR 및 상기 제2 인덕터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병렬 세그먼트는 상기 제1 BAWR과 병렬로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상기 제3 BAWR과 병렬로 연결된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5 BAWR과 병렬로 연결된 제3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렬 세그먼트는 상기 제1 BAWR, 상기 제3 BAWR 및 상기 제5 BAWR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3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고, 상기 제4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5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고, 상기 제3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4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제1 RF 소자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제2 RF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제2 캐패시터 및 제3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병렬 세그먼트, 상기 병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1 BAWR 및 제1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1 직렬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직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 2 BAWR 및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2 직렬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2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고, 상기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를 상기 제2 RF 소자로 출력한다.
상기 병렬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캐패시터, 상기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3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BAW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제1 RF 소자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와 병렬 연결된 제1 BAWR, 상기 제1 BAWR과 직렬 연결된, 제2 BAWR, 제1 인덕터 및 제3 BAWR을 포함하는 제1 래더(Ladder), 상기 제1 래더와 직렬 연결된, 제4 BAWR, 제2 인덕터 및 제5 BAWR을 포함하는 제2 래더(Ladder) 및 상기 제2 래더와 직렬 연결된, 제2 RF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BAWR과 상기 제4 BAWR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3 BAWR과 상기 제5 BAWR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2 BAWR과 상기 제1 인덕터는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4 BAWR과 상기 제2 인덕터는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4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고, 상기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를 상기 제2 RF 소자로 출력한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제2 래더와 직렬 연결된, 제6 BAWR, 제3 인덕터 및 제7 BAWR을 포함하는 제3 래더(Ladd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래더는 상기 출력단자와 직렬연결 되고, 상기 제2 BAWR, 상기 제4 BAWR 및 상기 제6 BAWR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 상기 제 4 BAWR의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6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가 서로 다른 직렬 세그먼트의 BAWR을 이용함으로써, 낮은 인덕턴스로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공진 주파수가 서로 다른 직렬 세그먼트의 BAWR을 이용함으로써, 저역 통과 필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집적화에 용이하다.
또한, 공진 주파수가 서로 다른 직렬 세그먼트의 BAWR을 이용함으로써, 급격한 스커트(skirt) 특성을 가지는 고성능의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A은 관련 기술에 따른 5단 저역 통과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관련 기술에 따른 BAWR의 등가회로 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일측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모바일 기기에 탑재됨으로써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RF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이 모바일 기기에서 신호의 하모닉(Harmonic)을 제거하는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모닉 제거 특성을 갖는 위상천이기에 이용될 수 있다.
BAWR은 압전 물질의 탄성파를 이용한다. 압전 물질(예를 들면, 질화알루미늄, AIN)에 RF 신호가 인가되면, 기계적 진동이 압전막 두께 방향으로 일어나 탄성파가 생성된다. 공진 현상은 인가된 RF 신호 파장의 1/2이 압전막 두께와 일치할 때 발생한다. 공진 현상이 발생할 때, 전기적 임피던스가 급격(sharp)하게 변하므로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는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공진 주파수는 압전막의 두께, 압전막을 감싸고 있는 전극 및 압전막의 고유 탄성파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일 예로 압전막의 두께가 얇으면 얇을수록 공진 주파수는 커진다.
도 1A는 관련 기술에 따른 5단 저역 통과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관련 기술(conventional art)에 따른 5단 저역 통과 필터는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L1, L2)와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 C2, C3)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각 인덕터 및 각 캐패시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기판,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기판에 구현될 수 있다.
차단 대역의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인덕터의 사이즈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성능의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사이즈의 인덕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저역 통과 필터를 필요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이즈가 점점 작아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동일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사이즈가 작은 저역 통과 필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공진 주파수가 서로 다르고, 직렬로 연결된 BAWR을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인덕터의 사이즈가 작은 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한다.
도 1B는 관련 기술에 따른 BAWR의 등가회로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BAWR은 저항,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등가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Rs는 전극 등에 의한 저항 성분(ohmic loss)이고, Ro는 재료의 기본적 저항 값, Co는 정전 캐패시터로 공진기가 물리적으로 가지는 기본적 캐패시터 값을 나타낸다. Lm, Cm Rm은 주변 환경에 의해 변화하는 임피던스 값을 의미한다. 공진 주파수는 Lm 과 Cm의 곱(110)에 의해 변동되는 값으로 전극을 포함한 재료의 물리적 두께, 물성, 질량, 온도 등에 의해 변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입력단자(210), 출력단자(220), 병렬 세그먼트(230), 제1 직렬 세그먼트(240), 제2 직렬 세그먼트(250)를 포함한다.
입력단자(210)는 제1 RF 소자와 연결된다. 입력단자(210)는 제1 RF 소자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출력단자(220)는 제2 RF 소자와 연결된다. 출력단자(220)는 제2 RF 소자에 '병렬 세그먼트(230), 제1 직렬 세그먼트(240) 및 제2 직렬 세그먼트(250)를 통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 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출력단자(220)는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를 제2 RF 소자로 출력한다.
병렬 세그먼트(230)는 입력단자(210)와 출력단자(220)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다. 병렬 세그먼트(230)는 제1 BAWR(231), 제3 BAWR(233), 제 5BAWR(235)를 포함한다. 병렬 세그먼트(230)는 세 개 이상의 BAW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직렬 세그먼트(240)는 입력단자(210)와 출력단자(220)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제1 직렬 세그먼트(240)는 병렬 세그먼트(230)와 직렬로 연결된다. 제1 직렬 세그먼트(240)는 제2 BAWR(241) 및 제1 인덕터(243)를 포함한다. 제2 BAWR(241)과 제1 인덕터(243)는 병렬로 연결된다.
제2 직렬 세그먼트(250)는 입력단자(210)와 출력단자(220)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제2 직렬 세그먼트(250)는 제1 직렬 세그먼트(240)와 직렬로 연결된다. 제2 직렬 세그먼트(250)는 제4 BAWR(251) 및 제2 인덕터(253)를 포함한다. 제4 BAWR(251)과 제2 인덕터(253)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직렬 세그먼트(240)의 제2 BAWR(241)의 공진 주파수와 제2 직렬 세그먼트(250)의 제4 BAWR(251)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다. 또한, 제1 직렬 세그먼트(240)의 제2 BAWR(241)의 반공진 주파수와 제2 직렬 세그먼트(250)의 제4 BAWR(251)의 반공진 주파수도 상이하다.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압전막의 두께, 압전막을 감싸고 있는 전극 및 압전막의 고유 탄성파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 BAWR(241)과 제4BAWR(251)의 압전막의 두께를 다르게 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가 상이한 제2 BAWR(241)과 제4BAWR(251)을 이용함으로써,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가 제2 RF 소자로 출력된다.
또한, 제2 BAWR(241)과 제1 인덕터(243)를 병렬 연결함으로써, 고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인덕턴스가 작은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BAWR의 인덕터 성분과 병렬 연결된 인덕터를 통하여 인덕터스가 작은 인덕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이용한 필터의 경우, 인덕터의 인덕턴스는7.1nH였다. 그런데,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 주파수가 상이한 BAWR을 이용하는 경우, BAWR과 병렬 연결된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3.9nH이다. 즉, BAWR과 병렬 연결된3.9nH의 인덕터를 이용하여 7.1nH의 인덕터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즈가 작은 인덕터를 사용할 수 있고, 저역 통과 필터의 사이즈도 작게 할 수 있다.
제4 BAWR(251)과 병렬 연결된 제2 인덕터(253)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인덕턴스가 작은 인덕터를 구현하게 된다.
저역 통과 필터의 구현을 좀 더 수월하게 하기 위해, 제2 BAWR(241)과 제 3 BAWR(233)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고, 제4 BAWR(251)과 제5 BAWR(235)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여전히 제2 BAWR(241)과 제4 BAWR(251)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다. 공진 주파수가 상이한 BAWR 이 많을수록 필터를 구현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제1 BAWR(231)과 제 2 BAWR(241)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고, 제3BAWR(233)과 제4 BAWR(251)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BAWR(241)과 제 3 BAWR(233)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고, 제1 BAWR(231), 제4 BAWR(251) 및 제5 BAWR(235)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BAWR(231), 제 2 BAWR(241) 및 제5 BAWR(235)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고, 제3BAWR(233)과 제4 BAWR(251)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경우에는 5단 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기 위해 5개의 BAWR을 이용하였지만, 추가적으로 BAWR이 포함된 직렬 세그먼트와, BAWR이 포함된 병렬 세그먼트를 연결함으로써, 더 높은 단의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병렬 세그먼트의 구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제1 병렬 세그먼트(310)는 제1 BAWR(311) 및 제1 캐패시터(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BAWR(311)와 제1 캐패시터(313)는 병렬 연결된다.
제2 병렬 세그먼트(320)는 제3 BAWR(321) 및 제2 캐패시터(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BAWR(321)와 제2 캐패시터(323)는 병렬 연결된다.
제3 병렬 세그먼트(330)는 제5 BAWR(331) 및 제3 캐패시터(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5 BAWR(331)와 제3 캐패시터(333)는 병렬 연결된다.
또한, 제1 병렬 세그먼트(310), 제2 병렬 세그먼트(320) 및 제3 병렬 세그먼트(330) 중 적어도 하나는 BAWR 및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캐패시터와 BAWR을 병렬 연결함으로써, 필터의 캐패시터 성분에 변화를 줄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공진 주파수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병렬 세그먼트의 구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병렬 세그먼트(410)는 제1 캐패시터(411), 제2 캐패시터(413) 및 제3 캐패시터(4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역 통과 필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BAWR을 직렬로 연결하고, 필터의 나머지 구성은 캐패시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병렬 세그먼트(410)는 제1 캐패시터(411), 제2 캐패시터(413) 및 제3 캐패시터(415)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BAWR을 포함할 수 있다. 캐패시터와 BAWR을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입력단자(510), 제1 BAWR(520), 제1 래더(Ladder)(530), 제2 래더(540) 및 출력단자(550)를 포함한다.
입력단자(510)는 제1 RF 소자와 연결된다. 입력단자(510)는 제1 RF 소자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BAWR(520)는 입력단자(510)와 병렬 연결된다.
제1 래더(530)는 제1 BAWR(520)과 직렬 연결된다. 제1 래더(530)는 제1 인덕터(531), 제2 BAWR(533) 및 제3 BAWR(535)을 포함한다. 제1 인덕터(531)와 제2 BAWR(533)은 병렬 연결된다.
제2 래더(540)는 제1 래더(530)와 직렬 연결된다. 제2 래더(540)는 제2 인덕터(541), 제4 BAWR(543) 및 제5 BAWR(545)을 포함한다. 제1 인덕터(531)와 제2 BAWR(533)은 병렬 연결된다.
이때, 제2 BAWR(533)과 제4 BAWR(543)은 직렬 연결되고, 제3 BAWR(535)과 제5 BAWR(545)은 병렬 연결된다. 제2 BAWR(533)의 공진 주파수와 제4 BAWR(543)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다. 또한, 제2 BAWR(533)의 반공진 주파수와 제4 BAWR(543)의 반공진 주파수도 상이하다.
공진 주파수가 상이한 제2 BAWR(533)과 제4 BAWR(543)을 이용함으로써,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가 제2 RF 소자로 출력된다.
출력단자(550)는 제2 RF 소자와 연결된다. 출력단자(550)는 제2 RF 소자에 '제1 BAWR(520), 제1 래더(530) 및 제2 래더(540)를 통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 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비록, 도 5에는, 입력단자(510)와 출력단자(550) 사이에 제1 래더(530) 및 제2 래더(54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제2 래더(540)와 직렬로 연결되는 래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래더를 더 포함함으로써 높은 단의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도 5의 일 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에 제3 래더(610)가 추가된 구조이다.
제3 래더(610)는 제3 인덕터(611), 제6 BAWR(613) 및 제7 BAWR(615)을 포함한다. 제3 인덕터(611)와 제6 BAWR(613)은 병렬 연결된다. 제6 BAWR(613)은 제2 BAWR(533) 및 제4 BAWR(543)과 직렬 연결된다.
이때, 제6 BAWR(613)의 공진 주파수는 제2 BAWR(533)의 공진 주파수 및 제4 BAWR(543)의 공진 주파수와 상이한 값을 가짐으로써, 저역 통과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기존의 인덕터와 캐패시터 만으로 구성된 저역 통과 필터의 특성(710)과 일 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특성(720)을 비교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경우 차단 주파수에서 보다 급격한 스커트(skirt)현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즉, 기존의 저역 통과 필터는 차단 대역에서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고,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차단 대역에서 급격한 기울기를 가진다.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에서 x축은 주파수, y축은 신호의 세기, 즉 데시벨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는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및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포함하는 필터 뱅크(Fiter Bank) 구현시 사용될 수 있다. 필터 뱅크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기기에 탑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제1 RF 소자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제2 RF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1 BAWR, 제3 BAWR 및 제5 BAWR을 포함하는 병렬 세그먼트;
    상기 병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2 BAWR 및 제1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1 직렬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직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 4 BAWR 및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2 직렬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4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고, 상기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를 상기 제2 RF 소자로 출력하는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렬 세그먼트에서, 상기 제2 BAWR 및 상기 제1 인덕터는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직렬 세그먼트에서, 상기 제4 BAWR 및 상기 제2 인덕터는 병렬로 연결되는
    를 포함하는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세그먼트는
    상기 제1 BAWR과 병렬로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상기 제3 BAWR과 병렬로 연결된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5 BAWR과 병렬로 연결된 제3 캐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세그먼트는
    상기 제1 BAWR, 상기 제3 BAWR 및 상기 제5 BAWR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3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고,
    상기 제4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5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고,
    상기 제3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4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7. 제1 RF 소자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제2 RF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제2 캐패시터 및 제3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병렬 세그먼트;
    상기 병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1 BAWR 및 제1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1 직렬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직렬 세그먼트와 직렬로 연결된 제 2 BAWR 및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2 직렬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2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고, 상기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를 상기 제2 RF 소자로 출력하는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캐패시터, 상기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3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BAWR
    을 더 포함하는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9. 제1 RF 소자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와 병렬 연결된 제1 BAWR;
    상기 제1 BAWR과 직렬 연결된, 제2 BAWR, 제1 인덕터 및 제3 BAWR을 포함하는 제1 래더(Ladder);
    상기 제1 래더와 직렬 연결된, 제4 BAWR, 제2 인덕터 및 제5 BAWR을 포함하는 제2 래더(Ladder); 및
    상기 제2 래더와 직렬 연결된, 제2 RF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BAWR과 상기 제4 BAWR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3 BAWR과 상기 제5 BAWR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2 BAWR과 상기 제1 인덕터는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4 BAWR과 상기 제2 인덕터는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4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하고, 상기 제1 RF 소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출력 신호를 상기 제2 RF 소자로 출력하는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더와 직렬 연결된, 제6 BAWR, 제3 인덕터 및 제7 BAWR을 포함하는 제3 래더(Ladd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래더는 상기 출력단자와 직렬연결 되고, 상기 제2 BAWR, 상기 제4 BAWR 및 상기 제6 BAWR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BAWR의 공진 주파수, 상기 제 4 BAWR의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6 BAWR의 공진 주파수는 상이한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KR1020100122794A 2010-12-03 2010-12-03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KR10171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94A KR101716335B1 (ko) 2010-12-03 2010-12-03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US13/307,159 US8896396B2 (en) 2010-12-03 2011-11-30 Low pass filter using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BAW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94A KR101716335B1 (ko) 2010-12-03 2010-12-03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466A true KR20120061466A (ko) 2012-06-13
KR101716335B1 KR101716335B1 (ko) 2017-03-15

Family

ID=4616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794A KR101716335B1 (ko) 2010-12-03 2010-12-03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96396B2 (ko)
KR (1) KR101716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6479B2 (en) 2017-04-10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ilter and filter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253B2 (en) * 2014-05-02 2016-04-1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ybrid planar common-mode choke
US10491193B2 (en) * 2016-05-13 2019-11-26 Qorvo Us, Inc. Circuit for suppressing signals adjacent to a passband
CN111211752B (zh) * 2020-02-26 2021-04-16 诺思(天津)微系统有限责任公司 滤波器及其制造方法、多工器和通信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3966A (ja) * 2001-12-14 200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ィルタ回路
JP2004343168A (ja) * 2003-05-13 2004-12-02 Tdk Corp 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波器
JP2009296167A (ja) * 2008-06-03 2009-12-17 Nippon Dempa Kogyo Co Ltd 弾性波フィルタ及び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5204A (en) * 1927-01-03 1931-03-03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Electrical wave filter
US5760663A (en) * 1996-08-23 1998-06-02 Motorola, Inc. Elliptic baw resonator fil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933062A (en) * 1997-11-04 1999-08-03 Motorola Inc. Acoustic wave ladder filter with effectively increased coupling coefficient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6081171A (en) 1998-04-08 2000-06-2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nolithic filters utilizing thin film bulk acoustic wave devices and minimum passive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shape and width of a passband response
JP3973915B2 (ja) * 2001-03-30 2007-09-12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高周波フィルタ、高周波回路、アンテナ共用器及び無線端末
JP2003298392A (ja) * 2002-03-29 2003-10-17 Fujitsu Media Device Kk フィルタチップ及びフィルタ装置
US6879224B2 (en) * 2002-09-12 2005-04-12 Agil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filter and impedance matching network
JP2004173245A (ja) * 2002-10-30 2004-06-17 Murata Mfg Co Ltd ラダー型フィルタ、分波器、および通信機
JP4144509B2 (ja) * 2003-01-16 2008-09-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ラダー型フィルタ、分波器、通信装置
JP4053504B2 (ja) * 2004-01-30 2008-02-27 株式会社東芝 チューナブルフィルタ
JP4627198B2 (ja) * 2005-02-25 2011-02-09 京セラキンセキ株式会社 ローパスフィルタ
JP5039290B2 (ja) 2005-08-25 2012-10-03 太陽誘電株式会社 フィルタおよびアンテナ分波器
JP4680727B2 (ja) * 2005-09-08 2011-05-11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共振器型フィルタ
JP4758201B2 (ja) * 2005-10-31 2011-08-24 京セラキンセキ株式会社 ローパスフィルタとその調整方法
JP2007158755A (ja) * 2005-12-06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フィルタ
DE102006010752B4 (de) * 2006-03-08 2013-10-31 Epcos Ag DMS-Filter mit verschalteten Resonatoren
JP2009182368A (ja) 2006-05-09 2009-08-13 Ube Ind Ltd 送受切換器
JP4255959B2 (ja) * 2006-05-22 2009-04-22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バランスフィルタおよび分波器
JP4908156B2 (ja) * 2006-11-10 2012-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薄膜圧電振動子及び薄膜圧電バルク波共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高周波フィルタ
DE102007008110A1 (de) * 2007-02-19 2008-08-21 Epcos Ag Mit akustischen Wellen arbeitendes Filter
JP4530181B2 (ja) * 2008-01-29 2010-08-25 Tdk株式会社 積層型ローパスフィルタ
FR2927742A1 (fr) 2008-02-15 2009-08-21 St Microelectronics Sa Filtre a resonateur acoustiques de type baw reconfigurable par voie numerique et procede
JP5237138B2 (ja) 2009-01-27 2013-07-17 太陽誘電株式会社 フィルタ、デュープレクサ、通信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3966A (ja) * 2001-12-14 200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ィルタ回路
JP2004343168A (ja) * 2003-05-13 2004-12-02 Tdk Corp 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波器
JP2009296167A (ja) * 2008-06-03 2009-12-17 Nippon Dempa Kogyo Co Ltd 弾性波フィルタ及び携帯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6479B2 (en) 2017-04-10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ilter and filte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35B1 (ko) 2017-03-15
US20120139664A1 (en) 2012-06-07
US8896396B2 (en)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3465B2 (ja) 電気ドメインにおける音響共振器の温度補償
JP5441095B2 (ja) 弾性波デバイス、デュープレクサ、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US10009010B2 (en) Resonator device and high frequency filter
JP5901101B2 (ja) フィルタ、デュープレクサ、通信モジュール、通信装置
WO2017083792A1 (en) Acoustic wave filter with enhanced rejection
US10715110B2 (en) Acoustic wave filter device, multiplexer, RF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9680444B2 (en) Multiplexer with filters and resonant circuit
US10148297B2 (en) Splitter
CN109286387A (zh) 高频滤波器、多路复用器、高频前置电路以及通信装置
JP2010177770A (ja) フィルタ、デュープレクサ、通信モジュール
CN110635779B (zh) 多工器
JP2018129683A (ja) フィルタ回路、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モジュール
CN109672422B (zh) 滤波电路和多工器
CN109802644B (zh) 一种双工器
US20220149817A1 (en) Micro-acoustic bandstop filter
US7880566B2 (en) Balanced lattice filter device
KR101716335B1 (ko) Bawr을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KR20190065401A (ko) 필터 장치 및 멀티플렉서
JPWO2006040923A1 (ja) 分波器
KR101919115B1 (ko) Bawr 을 이용한 필터
KR20190122493A (ko) 하이 패스 필터
KR101905320B1 (ko) 탄성파 필터 장치
JP5503764B2 (ja) フィルタ、デュープレクサ、通信モジュール
KR102182259B1 (ko) 고주파 필터 및 멀티플렉서
JP2012156881A (ja) フィルタ及び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