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328A -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 - Google Patents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328A
KR20120061328A KR1020100122605A KR20100122605A KR20120061328A KR 20120061328 A KR20120061328 A KR 20120061328A KR 1020100122605 A KR1020100122605 A KR 1020100122605A KR 20100122605 A KR20100122605 A KR 20100122605A KR 20120061328 A KR20120061328 A KR 2012006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segment
elastic
elastic portion
elast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길
Original Assignee
대룡공업주식회사
주식회사 태명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룡공업주식회사, 주식회사 태명실업 filed Critical 대룡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1328A/ko
Publication of KR2012006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5Sealing mean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li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시공이 용이한 세그먼트로서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및 상기 마감홈 상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고, 토목 또는 건설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단위 구조를 이루는 연결용 세그먼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SUPPORTING MEMBER HAVING EXCELLENT SUPPORTING PROPERTY AND SEGMENT COMPRISING THE SAME}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가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세그먼트 접촉부위의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건축 또는 토목 공사시 작업의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규격화를 이룰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세그먼트 및 이러한 세그먼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철도 터널 이나 도로 터널과 같은 토목 구조물의 형성에 사용되는 개착식 터널 시공법은 지반을 굴착하여 거푸집 등의 형틀을 만들어 그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현장 타설 공법은 장기간의 터널 시공 기간이 요구되고, 작업자의 노동강도가 높아서 작업에 대한 기피현상 및 인건비 상승의 결과를 초래하며, 공사 현장 주변의 미관 및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장 타설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시공법이 제안되었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시공법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일정한 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미리 만든 다음, 공사 현장으로 옮겨와 연속적으로 조립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시공법은 터널의 안정성, 시공성 및 규격화 등을 이룰 수 있고, 공사 현장의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복잡한 도심지 등에서 이루어지는 공사에 적합하며,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지하 공간에 형성되는 터널은 통신구, 전력구 등으로도 사용되므로 그 내부에는 다수의 동축 케이블 및 광 케이블 등과 함께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부대장치 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지반에 함유된 수분의 터널내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 방습 기능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프리캐스트 세그멘트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방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들의 연결방법은 연결부에 개스킷 형태의 수팽창 지수재를 1겹 또는 그 이상 설치하고 세그먼트 볼트 등을 사용하여 서로 압착 결합시킨 뒤, 이음부 사이에 몰탈(Mortar)을 주입하여 코킹(Caulking) 또는 마감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세그먼트의 무게가 매우 큰 관계로 연결부위를 정밀하게 압착시키기 곤란하고, 제품의 오차나 기초 지반의 고저차로 인하여 연결부위가 이격되거나 변형될 가능성이 높아 재시공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무게가 매우 큰 세그먼트를 서로 압착시킬 경우, 세그먼트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의 조임을 과도하게 하게되어 볼트홀 주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괴될 수 있고, 볼트가 세그먼트들을 압착시키기 위해 매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연결부위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외부로부터 작은 힘이 인가되어도 볼트에 응력이 집중되어 세그먼트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르면, 세그먼트 접촉부위의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건축 또는 토목 공사시 작업의 안정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규격화를 이룰 수 있는 세그먼트로서,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및 상기 마감홈 상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고, 토목 또는 건설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단위 구조를 이루는 연결용 세그먼트 및 이러한 세그먼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는 토목 구조물의 연결시 사용되는 마감부재(Supporting Member)로서, 탄성체로 이루어진 연결 세그먼트용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는 마감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세그먼트는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및 상기 마감홈 상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고, 토목 또는 건설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단위 구조를 이루는 연결용 세그먼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세그먼트는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및 탄성체의 안정적인 부착을 위하여 상기 마감홈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홈을 포함하고, 토목 또는 건설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단위 구조를 이루는 연결용 세그먼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이 형성된 1차 세그먼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1차 세그먼트의 마감홈 상에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형성하여 2차 세그먼트를 준비하는 단계; 현장에서, 상기 2차 세그먼트들을 결합하여 건설 또는 토목 구조물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 방법이다.
세그먼트 접촉부위의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건축 또는 토목 공사시 작업의 안정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규격화를 이룰 수 있는 세그먼트 및 이러한 세크먼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구조물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그먼트 마감부를 I-I' 단면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마감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들의 마감영역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세그먼트 구조물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에 있어서 마감홈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재는 토목 구조물 또는 건설 구조물의 연결시 사용되는 마감부재(Supporting Member)로서, 탄성체로 이루어진 연결 세그먼트용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세그먼트용 마감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토목 구조물 또는 건설 구조물의 연결시 구조물들 사이의 마감부재로 사용될 경우 우수한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물들 사이에 별도의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토목 구조물 또는 건설 구조물 설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세그먼트용 마감부재는 예를 들어, 길게 연장된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의 부재에 양각 구조 또는 돌출된 구조의 마감 탄성부를 형성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층 및 부분을 가진 필름 또는 시트 등을 단일 압출공정에 의해 압출하는 공압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및 상기 마감홈 상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고, 토목 또는 건설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단위 구조를 이루는 연결용 세그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세그먼트는 내부면의 단부와 인접하는 측면 즉, 세그먼트들의 상호 연결시 결합면이 되는 측면에 형성된 단차를 갖는 마감홈에 결합된 마감 탄성부가 세그먼트들의 연결부에서 코킹(Caulking)부 또는 마감부의 역할을 함으로써, 단순히 세그먼트들의 연결부위를 서로 밀착하는 방법만으로도, 세그먼트들의 연결부위에서 충분한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세그먼트 접촉부위의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공정을 생략하여 세그먼트 구조물 설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세그먼트는 상기 마감 탄성부에 의해 무게가 큰 세그먼트들의 연결부위의 정밀한 압착이 용이하므로, 세그먼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규격화가 용이하다.
상기 마감 탄성부는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탄성부 및 내부로 노출된 제2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마감 탄성부는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극대화하고, 세그먼트 구조물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 각각의 구조, 소재, 물성 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세그먼트들의 결합시 세그먼트의 내부로 노출되며, 세그먼트들 사이의 연결부위의 최종 코킹 또는 마감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제1 탄성 재료에 비해 밀도가 작은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에 비해 밀도가 작은 탄성 재료로써, 제1 탄성부의 재료에 비해 부피가 크고, 더 큰 탄성(Elasticity)을 갖는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상기 마감홈에 의해 생기는 세그먼트들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2 탄성부 재료의 큰 부피와 높은 탄성에 의해 충진 효율을 증가시켜 세그먼트들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코킹 또는 마감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를 이루는 소재는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코킹 또는 마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테플론(Teflon),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DP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ylene PTF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NBR)으로 이루어진 1종 이상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DPM)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는 우수한 내구성 및 내열성을 가지며,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파형 또는 무늬를 가진 요철을 가진 제1 탄성부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극의 배열에 의해 복합적인 반발탄성력 및 압축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조됨으로써, 세그먼트들의 조립 이후의 마감홈 부위의 변형에도 지속적인 코킹 또는 마감재로서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외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표면이 반 실린더 형의 곡면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면이 반 실린더 형의 곡면을 갖는 제1 탄성부는 세그먼트들의 연결 조립 과정에서 다른 세그먼트의 마감홈 또는 탄성부와의 접촉면을 감소시킴으로써,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을 줄이고, 슬라이딩(Sliding) 효과를 유발하여 세그먼트들의 연결 조립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2 탄성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들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코킹 또는 마감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1 탄성부에 비해 밀도가 작으면서 부피 및 형상이 가변적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발포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 및 제1 탄성부가 마감홈에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외면 형상 및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탄성부의 높이가 제2 탄성부의 높이보다 큰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의 높이가 제2 탄성부의 높이보다 클 경우,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제1 탄성부는 예를 들어, 밀도가 낮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세그먼트들의 마감홈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공간)에 최대한 순응하면서 마감홈 내부를 충진하게 됨으로써, 내부로 노출되는 마감홈 부위의 충진 효과를 더욱 크게하여 제1 탄성부에 의한 코킹 및 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극대화하고, 세그먼트 구조물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구조, 소재, 물성 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적 측면에서 상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는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압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상기 세그먼트의 마감홈에 단일 공정을 통해 형성되게 함으로써, 세그먼트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감 탄성부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지수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수재는 주로 토목, 건축 분야의 구조물의 연결 및 조립시 사용되는 재료로서, 구조물 사이의 연결부 또는 결합부위에서의 누수, 침수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수재는 상기 마감 탄성부의 일부위에만 포함될 수도 있으며, 마감 탄성부의 내부 및 외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구조로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감 탄성부가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지수재가 제1 탄성부의 일부위에만 포함되고, 제2 탄성부에는 포함되지 않는 구성, 상기 지수재가 제1 탄성부의 내부 및 외부에 균일하게 포함되어 있고, 제2 탄성부에는 포함되지 않는 구성, 상기 지수재가 제1 탄성부에는 포함되지 않고, 제2 탄성부의 일부위에만 포함되는 구성 및 상기 지수재가 제1 탄성부에는 포함되지 않고, 제2 탄성부의 내부 및 외부에 균일하게 포함되는 구성 등의 구성으로 상기 지수재는 마감 탄성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수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수팽창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크릴산 탄산나트륨, 및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팽창성 지수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수재에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산칼슘과 같은 무기 충전재, 폴리 부텐(Poly butene) 등의 점착제, 저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연화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세그먼트는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및 탄성체의 안정적인 부착을 위하여 상기 마감홈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홈을 포함하고, 토목 또는 건설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단위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감홈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홈을 포함하는 연결용 세그먼트는 마감홈 부분의 표면적을 넓게하여 세그먼트들의 연결을 위한 탄성체의 안정적인 부착이 용이하고, 상기 탄성체의 이탈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용 세그먼트들에 의해 조립된 세그먼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외관의 심미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미세홈은 예를 들어, 연속된 스트라이프 형상,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세홈의 구체적인 형상들은 세그먼트의 제조의 효율성 및 탄성체의 형성에 있어서의 견고한 결합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속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이 형성된 1차 세그먼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1차 세그먼트의 마감홈 상에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형성하여 2차 세그먼트를 준비하는 단계; 현장에서, 상기 2차 세그먼트들을 결합하여 건설 또는 토목 구조물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그먼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상에 마감 탄성부가 형성된 세그먼트들의 연결부를 접촉시켜 밀착하는 단순한 방법에 의해 세그먼트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별도의 마감 또는 코킹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및 정밀도가 우수한 건설 또는 토목용 구조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마감 탄성부는 세그먼트들 사이의 연결부를 마감 또는 코킹할 수 있는 소재 및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탄성부 및 내부로 노출된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공압출에 의한 단일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는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극대화하고, 세그먼트 구조물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구조, 소재, 물성 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는 공압출에 의한 단일 공정으로 세그먼트의 마감홈에 형성됨으로써, 세그먼트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공압출은 압출기에서 필름 또는 시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층 및 부분을 가진 필름 또는 시트 등을 단일 압출공정에 의해 압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압출에 의해 상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단일 공정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각각 따로 세그먼트의 마감홈에 형성할 때보다 세그먼트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구조물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세그먼트 연결 구조물(1000)은 다수개의 콘크리트 세그먼트(100)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원통형 형상의 세그먼트 연결 구조물(1000)은 지하터널 건설과 같은 다양한 토목, 건설 공사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세그먼트 연결 구조물(1000)은 사다리꼴 형상의 콘크리트 세그먼트(100)들의 연결 부위에서의 누수 및 침수 등의 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를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세그먼트 마감부를 I-I' 단면에서 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세그먼트(100)는 토목, 건설 공사 시, 시공면에 대향하는 면인 외부면(102), 단부의 인접하는 측면에 단차를 갖는 마감홈이 형성되는 내부면(104) 및 외부면(102)과 내부면(104)의 단부에서 이들을 사면으로 연결하는 세그먼트 마감부(110)로 이루어져 있다.
세그먼트 마감부(110)는 단차를 갖는 마감홈(112) 및 마감홈(112) 상에 결합되고 탄성체들(115a, 115b)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마감 탄성부(115)의 탄성체들(115a, 115b)은 일체로 이루어진 제1 탄성부(115a) 및 제2 탄성부(115b)로 형성됨으로써,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극대화하고, 세그먼트 구조물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구조, 소재, 물성 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마감부를 나타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마감 탄성부(415)는 제1 탄성부(415a) 및 제2 탄성부(415b)로 이루어져 있고 마감홈(412)이 형성된 부분과 마감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413) 사이의 높이 차이(H3) 보다 높은 높이(H1, H2)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400)와 연결되는 다른 세그먼트의 연결부(도시하지 않음)의 마감홈에 제1 탄성부(도시하지 않음) 및 제2 탄성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세그먼트들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코킹 또는 마감 기능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415A)의 높이가 제2 탄성부(415B)의 높이보다 클 경우,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제1 탄성부(415A)는 제2 탄성부(415B)에 비해 높은 반발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마감홈(412) 내부를 충진하게 됨으로써, 세그먼트(400)의 내부로 노출되는 마감홈 부위의 충진 효과를 크게하여 제2 탄성부(415A)에 코팅 및 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들의 마감영역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세그먼트들(500, 600)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들(500, 600)의 마감홈에 의해 형성된 공간 부분에는 제1 탄성부(515a) 및 제2 탄성부(515b)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515)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마감 탄성부(515)에 의해 세그먼트 연결부위의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되므로, 세그먼트 구조물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세그먼트 구조물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6을 참조하면, 세그먼트 구조물(2000)은 직육면체 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직육면체 형상의 세그먼트 구조물(2000)은 다양한 토목, 건설 공사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세그먼트 연결 구조물(2000)은 직사각형 형상의 콘크리트 세그먼트(700)들의 연결 부위(710)에서의 누수 및 침수 등의 방지를 위해 세그먼트 마감부(720)에 마감 탄성부를 형성하여 세그먼트들의 연결시 용이하게 코킹(Caulking) 또는 마감 기능을 담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세그먼트 마감부(720)의 마감홈부에는 제1 탄성부(725a) 및 제2 탄성부(725b)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부(725a) 및 제2 탄성부(725b)는 공압출에 의한 단일 공정으로 세그먼트 마감부(720)의 마감홈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세그먼트(700)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에 있어서 마감홈의 단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세그먼트(800)의 마감홈(810)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미세홈(8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홈은 마감홈(810) 부분의 표면적을 넓게하여 세그먼트들(800)의 연결을 위한 탄성체(도시하지 않음)의 안정적인 부착이 용이하고, 상기 탄성체의 이탈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2000 : 세그먼트 구조물
115, 415, 515, 725 : 마감 탄성부
412, 512, 612: 마감홈

Claims (14)

  1. 토목 구조물 또는 건설 구조물의 연결시 사용되는 마감부재(Supporting Member)로서, 탄성체로 이루어진 연결 세그먼트용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는 마감부재.
  2.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및
    상기 마감홈 상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포함하고, 토목 또는 건설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단위 구조를 이루는 연결용 세그먼트.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탄성부는 제1 탄성부 및 내부로 노출된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의 밀도는 상기 제1 탄성부의 밀도보다 작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EDPM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의 표면은 반 실린더형의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발포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부의 높이는 제2 탄성부의 높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1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탄성부는 지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11.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 및
    탄성체의 안정적인 부착을 위하여 상기 마감홈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홈을 포함하고, 토목 또는 건설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단위 구조를 이루는 연결용 세그먼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홈은 연속된 스트라이프 형상,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세그먼트.
  13. 내부면의 단부(端部)와 인접하는 측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단차를 갖는 마감홈이 형성된 1차 세그먼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1차 세그먼트의 마감홈 상에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감 탄성부를 형성하여 2차 세그먼트를 준비하는 단계;
    현장에서, 상기 2차 세그먼트들을 결합하여 건설 또는 토목 구조물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탄성부는 제1 탄성부 및 내부로 노출된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공압출에 의한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1020100122605A 2010-12-03 2010-12-03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 KR20120061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605A KR20120061328A (ko) 2010-12-03 2010-12-03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605A KR20120061328A (ko) 2010-12-03 2010-12-03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328A true KR20120061328A (ko) 2012-06-13

Family

ID=4661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605A KR20120061328A (ko) 2010-12-03 2010-12-03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13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047B1 (ko) * 2015-04-02 2015-07-01 주식회사 성은특수콘크리트 콘크리트 맨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847057A (zh) * 2021-10-09 2021-12-28 河海大学 一种盾构隧道管片接头智能化抗渗结构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047B1 (ko) * 2015-04-02 2015-07-01 주식회사 성은특수콘크리트 콘크리트 맨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847057A (zh) * 2021-10-09 2021-12-28 河海大学 一种盾构隧道管片接头智能化抗渗结构及其使用方法
CN113847057B (zh) * 2021-10-09 2023-12-22 河海大学 一种盾构隧道管片接头智能化抗渗结构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69282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填充墙体系
CN104141361B (zh) 一种蜂窝墙板及其安装方法
CN203684458U (zh) 柔性连接的混凝土预制墙板结构
CN209854880U (zh) 预制装配式排水沟
KR20120061328A (ko) 우수한 마감 성능을 갖는 마감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세그먼트
KR20110002514A (ko) 전단키 소켓 합성 암거 블록의 구조
KR101604726B1 (ko)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CN107965324B (zh) 一种装配式下穿隧道
KR101547085B1 (ko) 방수시트 접합용 조이너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N203603299U (zh) 一种墙体的密封结构及其密封条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CN109989516B (zh) 一种建筑砌块及其施工工艺
KR101005581B1 (ko) 터널, 지하건축물용 신축이음 구조물
CN105604219A (zh) 一种隔墙与屋面连接处的防火封堵施工方法及装置
CN211816030U (zh) 用于水工建筑物伸缩缝表层的止水结构
CN213625283U (zh) 用于公路工程的预制箱涵构造
CN210887130U (zh) 一种新型节能农田灌溉预制槽
CN211973946U (zh) 一种预制防水叠合构件及具有其的叠合墙
KR100851330B1 (ko) 복합 구조재 박스암거 제작 및 조립 시공공법
KR1009950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1004688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시공이음부의 지수판과 신축 이음부의 익스펜숀죠인트부재와의 접속 부위에 사용하는 지수판 접속부재
CN104631649A (zh) 一种l形密封条及其拐角密封、插接和组合密封结构
CN217734439U (zh) 一种建筑墙体保温结构
CN111074848A (zh) 用于水工建筑物伸缩缝表层的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203787919U (zh) 复合电缆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