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936A -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 Google Patents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936A
KR20120059936A KR1020100121447A KR20100121447A KR20120059936A KR 20120059936 A KR20120059936 A KR 20120059936A KR 1020100121447 A KR1020100121447 A KR 1020100121447A KR 20100121447 A KR20100121447 A KR 20100121447A KR 20120059936 A KR20120059936 A KR 2012005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closure
crime
ro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493B1 (ko
Inventor
김창균
Original Assignee
김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균 filed Critical 김창균
Priority to KR102010012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49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0Revolving doors; Cages or housing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대피함 장치는 범죄피해자가 들어가 범죄자의 범죄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도어를 구비한 함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범죄피해자가 함체 내부로 들어가는 행위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어 록킹됨으로서, 범죄피해자와 범죄자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physical crime-refuge device}
본 발명은 범죄피해자가 범죄자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괴, 폭력, 강도, 살인 등의 각종 범죄가 공공장소 여부를 불문하고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종래에는 관할 지역에 방범요원을 증원시키거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방안이나 또는, 연계된 방범 카메라를 곳곳에 설치하여 범죄를 예방 및 감시하고 있다. 이 중,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 차원의 방범 카메라를 이용한 종래의 범죄 예방 및 감시 시스템은 방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감시하고, 촬영된 영상을 시간별로 저장한다. 따라서 범죄 발생시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여 범죄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었으며, 나아가 응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여러 기술들(휴대폰, 비상벨 등)도 존재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범죄신고 및 대응체계의 하나로 경찰서에서는 112 전화를 이용한 C3시스템(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을 적용하여 범인 검거에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즉, 상기 C3 시스템은 범죄 발생시 피해자 또는 목격자가 112 전화로 신고하면 경찰서 수사과 또는 상황실에 동시 또는 상호 전달되어 상황실의 무선망을 이용하여 인근 파출소, 순찰차, 또는 싸이카 등에 연락함으로써, 범죄현장에 신속히 도착하여 조기에 범인을 검거하고 범죄예방 효과를 증진하며 범인 검거율을 높이는 매우 탁월한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에 상술한 내용들은 적극적인 범죄차단 역할에는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C3 시스템의 경우, 범죄 발생에 따른 피해자가 또는 목격자가 112를 통해서만 이루어짐에 따라 신고수단의 한계성이 있으며, 아울러 범죄발생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나 신고가 가능하여 지연신고로 인한 범인검거가 어렵게 되고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긴급한 범죄발생상황 발생은 모든 것들이 실시간으로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 가장 문제점이다. 이는 곧, 범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확률이 높다는 것이며, 범죄 발생 후의 검거를 위한 수단일 뿐 범죄피해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범죄를 예방하는 등의 원천적인 차단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범죄자의 물리적인 범죄(가해)행위, 생명이나 생활에 중대한 위해 행위 시, 실시간으로 범죄피해자가 대피할 수 있는 방안은 도주, 제압, 주변 도움, 관련기관의 신속한 출동 및 검거 등이 있다.
범죄피해자 측에서 보면 범죄자의 물리적인 가해에 대한 위급상황 발생시, 도주, 제압, 주변도움, 관련기관의 출동에 의한 검거 등으로 위급상황을 면하기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밤늦은 시간, 주변에 도움을 줄 사람이 없을 수도 있고, 설사 사람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일반인이라면 도움을 못 받을 수도 있으며, 도움을 준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2차적 피해자가 발생할 수도 있고, 신고하더라도 시간상 원천적으로 범죄를 봉쇄하기란 어렵다.
현상적으로 보면 범죄피해자는 사회적 약자(어린이, 보인, 여성)가 대부분이므로 범죄자에 대해 도주한다거나 맞서 싸우지도 못하며, 설령, 맞서 싸울 수 있다고 하더라도 위험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법에 따라 실제적 피해자가 가해자가 될 수 있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많은 방법들은 단지 범죄자(가해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주어 예방하려 하거나 단속의 수단일 뿐, 무작정으로 가해지는 물리적 범죄 행위시 범죄자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응급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지 못함으로써, 범죄로부터의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이러한 범죄예방을 위해 경찰관 및 관련기관을 우후죽순 늘릴 수 있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인체에 피해를 가하는 물리적 범죄나 이에 속하는 다양한 범죄 상황에 대해 범죄피해자가 범죄자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대피함 장치를 설치해 범죄피해자(피해자)가 신속하게 대피함으로써 범죄자로부터의 폭행(물리적 범죄)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대피함 장치는 범죄피해자가 들어가 범죄자의 범죄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도어를 구비한 함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범죄피해자가 함체 내부로 들어가는 행위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어 록킹됨으로서, 범죄피해자와 범죄자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문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방향제한유닛; 및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자세변화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일정각도 회전을 허용한 후 상기 도어의 회전을 록킹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향제한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감싸도록 상기 함체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접선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톱니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고 경사지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톱니부재의 일면과 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돌출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은, 함체 전면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접촉되어 회전하여 일정각도 회전 후, 상기 함체의 일측에 상기 걸림편이 걸려 상기 도어의 회전을 방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함체의 상면에는 상기 함체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경찰서와 같은 외부인과 영상통화가능하도록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 상기 함체 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함체 외부에 설치되어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외부카메라;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내부카메라; 상기 함체 외부에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부에 범죄피해자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부; 및 상기 영상통화유닛, 상기 온도조절유닛, 상기 외부카메라, 상기 내부카메라, 상기 스피커, 상기 진입감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범죄자로부터 신변에 위험을 느낄 시, 대피소 장치로 대피할 수 있기 때문에, 물리적 범죄로부터 범죄피해자를 신속하게 보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경찰관이 도착하기 전까지 범죄자를 범죄피해자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폭행(물리적 범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범죄피해자가 대피함으로 대피한 후의 함체 주변영상 및 함체 내의 영상을 경찰서와 같은 관련기관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관련기관에서 현재 상황을 파악하여 범죄자의 신속한 검거, 범죄자의 신속한 신원파악, 범죄에 대한 증거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범죄자에게 경고방송을 행함으로써, 범죄자의 범죄행위에 대한 의지를 억제시킬 수 있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범죄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범죄피해자가 대피함 장치로 대피한 후, 상황실과 영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심적인 안정감을 되찾을 수 있으며, 현재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외부인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록킹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어와 록킹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함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콘트롤 박스의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10)를 설명한다.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10)는 범죄피해자가 들어가 범죄피해자와 범죄자를 물리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범죄자의 폭행에 대해 범죄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10)는 공원, 녹지, 학교 주변 및 통학로와 같은 범죄 취약지구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정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원에 위치한 범죄피해자가 갑작스레 나타난 범죄자 또는 범죄자로 의심되는 사람에게서 신변의 위험을 느낄 경우, 신속하게 범죄 대피함 장치(10)에 대피하여 범죄자 또는 범죄자로 의심되는 사람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10)는 도어(108)를 구비한 함체(102), 회전방향제한유닛(110), 록킹유닛(130)을 포함한다.
함체(102)는 인체가 수용될만한 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에 도어(108)가 설치되어 범죄피해자가 도어(108)를 통해 함체(102)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함체(102)의 상면에는 함체(102)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공(105)이 형성된다. 이때, 함체(102)의 상부에는 통기공(105) 및 함체(102) 상면 전체를 덮도록 덮개(106)가 설치된다. 따라서, 통기공(105)을 통해 빗물이 들어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범죄자가 통기공(105)을 통해 범죄피해자에게 위협이 될만한 물질을 함체(102) 내부로 집어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108)는 함체(102)의 전방에 형성된 한 쌍의 전면부(102a) 사이에 설치되며,"S"자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도어(108)는 회전문 타입으로 "S" 형상의 플레이트 중심에 회전축(109)이 형성되어 함체(10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범죄피해자는 도어(108)의 일측을 밀어 도어(108)를 회전시키면서 함체(102)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회전방향제한유닛(110)은 도어(108)를 일방향(도 1의 화살표 A 참조)으로만 회전시키도록 도어(108)의 회전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108)의 회전축(109)의 양단에 각각 한 쌍이 설치된다.
한 쌍의 회전방향제한유닛(110)은 각각 하우징(111), 톱니부재(113), 돌출편(117)을 포함한다.
각각의 하우징(111)은 함체(102)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도의 회전축(109)의 끝단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톱니부재(113)는 회전축(109)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109)의 접선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톱니부재(113)의 단면이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나 삼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돌출편(115)은 하우징(111)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고 경사지게 설치된다. 하우징(111)과 연결되는 돌출편(115)의 끝단에는 회동축(115a)이 형성되고 돌출편(115)의 자유단은 톱니부재(113)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돌출편(115)의 회동축(115a)에는 돌출편(115)의 자유단이 톱니부재(113)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코일스프링(117)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회전축(113)은 시계방향(도 1의 A방향 참조)으로는 회전할 수 있지만, 시계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다. 즉, 회전축(113)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려할 때, 회전축(109)에 대해 기울어진 톱니부재(113)가 하우징(111)에 기울어진 돌출편(115)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록킹유닛(130)은 함체(102)의 전면부(102a)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131)내에 설치되며, 도어(108)의 회전에 따른 도어(108)의 자세변화와 연동하여, 도어(108)가 일정각도 회전한 후, 도어(108)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도어(108)를 록킹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록킹유닛(130)은 회전부재(132) 및 걸림편(136)을 포함한다.
회전부재(132)는 3개의 판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중앙판(133), 제1판(134), 제2판(135)으로 구성된다. 중앙판(133)의 중앙에는 회전축(135)이 형성되어 전면부(102a)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판(134)은 중앙판(133)의 일측단에 서로 직각이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제2판(135)은 중앙판(133)의 타측단에 서로 직각이 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제1판(134)과 제2판(135)은 중앙판(133)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걸림편(136)은 제2판(135)의 하측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부재(132)의 회전을 방해한다.
이 경우, 록킹유닛(130)이 설치된 함체(102)의 전면부(102a) 일측에는 도 3과 같이, 걸림편(136)이 이동할 수 있는 홈(103)이 형성되고, 홈(103)의 측단에는 걸림벽부(102aa)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범죄피해자가 F 방향(도 3참조)으로 도어(108)를 밀어 도어(108)가 회전하면, 도어(108)의 끝단이 제2판(135)을 밀어 회전부재(132)가 대략 180도 정도 회전하게 된다. 즉, 제2판(135)은 회전하기 전의 제1판(134) 위치를 향해 회전하다가 제2판(135)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136)이 전면부(102a)의 걸림벽부(102aa)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어(108)는 역방향 즉, 시계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므로 도어(108)가 180도 회전한 후, 회전하기 전의 제2판(135)위치와 근접하게 회전된 제1판(134)을 도어(108)가 밀어도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어, 도어(108)가 록킹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먼저 함체(102)로 들어간 범죄피해자는 외부에 있는 범죄자와 물리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108)는 "S"자 형상의 회전문 타입이며, 따라서, 평면 형상의 회전문에 비해, 외부에서 볼 때 도어(108)가 보다 빨리 닫히는 것처럼 보인다. 즉, 범죄피해자가 범죄자를 피해 도어(108)의 오목형상을 F 방향(도3참조)으로 밀고 함체(102) 내부로 들어가는 상황에서, 뒤에 쫓아오는 범죄자는 "S"자 형의 도어(108)를 외부에 보게 되므로, 설령 도어(108)가 180도 회전되지 않았더라도 도어(108)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뒤쫓는 행동을 포기할 수가 있게 된다.
록킹 상태에 이른 도어(108)는 함체(102) 내부에서 외력을 작용하여도 회전되지 않는다. 이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10)의 유지관리를 수월하게 한다. 즉 도어(108)가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열릴 수 있는 구조가 되면, 범죄피해자가 아닌 노숙자나, 호기심이 강한 어린이가 함체(102) 내부로 들어가 노숙을 하거나 놀이를 하다가 함체로부터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상습적인 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108)는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열리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범죄피해자가 아닌 사람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10)를 사용하면 함체(102) 내부로부터 스스로 나오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시키게 하여, 대피함 장치(10)가 필요한 범죄피해자들만이 긴급 상황 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범죄피해자와 범죄자가 동시에 함체 내부로 들어갔을 경우, 함체(102) 내부에서 도어(108)가 열리지 않게 함으로써, 범죄자의 도주를 방지하여, 범죄자의 검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의 록킹유닛(130)은 기구적인 록킹구조를 가지나, 도어(108)의 회전상태를 전자식으로 센싱하여 록킹부재가 도어(108)의 회전을 방해하도록 튀어나오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108)의 도어(108)는 하나의 "S"자형 도어(일명 2단 회전문 방식)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두 개의 "S"자형 도어가 교차 형성된 일명 4단 회전문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록킹유닛(130)은 도어가 90도 회전 후에 록킹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태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10)는 함체(102) 내부에 영상통화유닛(150), 온도조절유닛(155), 내부카메라(163), 진입감지센서부(170), 콘트롤 박스(180)가 설치되고, 함체(102) 외부에 외부카메라(161), 스피커(165)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영상통화유닛(150)은 통상적인 영상통화기의 원리와 동일하도록 상대방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영상통화유닛(150)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패드 방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별도의 조작버튼 없이 상대방 전화번호나 볼륨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영상통화유닛(150)을 이용해 함체(102) 내부로 진입한 범죄피해자는 경찰서,병원,보건소와 같은 관련기관과 통화하여 현재의 긴급상황을 알리고, 경찰서,병원,보건소 측에서 요청하는 대처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현재의 긴급상황이 처리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55)은 함체(102) 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적인 냉,난방기가 사용된다.
내부카메라(163)는 함체(102)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설치된다.
진입감지센서부(170)는 범죄피해자가 함체(102) 내부로 진입했음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외선(R)을 이용한 적외선 센서로 구성하여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적외선 센서 외에, 도어(108)의 회전축에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엔코더를 설치하여 도어(108)의 회전에 따라 범죄피해자의 함체(102) 내부 진입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도어(108)의 회전에 따라 스위칭 되도록 함체(102)에 근접스위치를 설치하여 진입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외부카메라(161)는 함체(102) 외부의 주변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같이 4대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카메라의 성능 및 기능에 따라 그 수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스피커(165)는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을 출력한다.
콘트롤 박스(180)는 영상통화유닛(150), 온도조절유닛(155), 내부카메라(163), 진입감지 센서부(170), 콘트롤 박스(180), 외부카메라(161), 스피커(16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콘트롤 박스(180)는 유/무선 통신부(181), 감지신호 수신부(183), 메모리(185), 온도측정부(187), 제어부(189)를 포함한다.
유/무선 통신부(181)는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등에 의해 상황실, 경찰서, 병원, 보건소와 같은 관련기관에 비치된 통신장비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기 위한 것이다.
감지신호수신부(183)는 진입감지센서부(170)에서 인체의 감지에 의해 발생된 진입신호를 수신한다.
메모리(185)는 내/외부카메라(161,163)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저장되고,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1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온도측정부(187)는 콘트롤 박스(180)에 내장된 온도센서에 의해 함체(10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89)는 감지신호수신부(183)에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185)에 저장된 위치정보와 함께 비상신호를 유/무선 통신부(181)를 통해 관련기관(중앙 상황실, 경찰서, 병원, 보건소)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경찰서, 병원, 보건소 등에서는 현재의 긴급한 상태를 인지하고, 수신된 위치정보로 긴급출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89)는 내/외부 카메라(161,163)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85)에 저장하고, 유/무선 통신부(181)를 통해 관련기관(중앙 상황실, 경찰서, 병원, 보건소)에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영상데이터는 추후에 범인검거 및 범죄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189)는 메모리(185)에 기 설정된 온도 값과 온도측정부(187)에서 측정된 온도 값을 비교판단하여 함체(102)의 내부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유닛(155)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적정온도가 유지됨에 따라, 함체(102) 내 범죄피해자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189)는 감지신호수신부(183)에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185)에 저장된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을 스피커(165)를 통해 출력하여 범죄자의 계속적인 범죄의지를 억제시 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2...함체 102a...전면부
102aa...걸림벽부 103...홈
108...도어 109...회전축
110...회전방향제한유닛 111...하우징
113...톱니부재 115...돌출편
117...스프링 130...록킹유닛
132...회전부재 133...중앙판
134...제1판 135...제2판
136...걸림편 150...영상통화유닛
155...온도조절유닛 161...외부카메라
163...내부카메라 165...스피커
170...진입감지센서부 180...콘트롤 박스
181...유/무선 통신부 183...감지신호수신부
185...메모리 187...온도측정부
189...제어부

Claims (7)

  1. 범죄피해자가 들어가 범죄자의 범죄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도어를 구비한 함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범죄피해자가 함체 내부로 들어가는 행위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어 록킹됨으로서, 범죄피해자와 범죄자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방향제한유닛; 및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자세변화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일정각도 회전을 허용한 후 상기 도어의 회전을 록킹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제한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감싸도록 상기 함체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접선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톱니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고 경사지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톱니부재의 일면과 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함체 전면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접촉되어 회전하여 일정각도 회전 후, 상기 함체의 일측에 상기 걸림편이 걸려 상기 도어의 회전을 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면에는 상기 함체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경찰서와 같은 외부인과 영상통화가능하도록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
    상기 함체 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함체 외부에 설치되어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외부카메라;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내부카메라;
    상기 함체 외부에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부에 범죄피해자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부; 및
    상기 영상통화유닛, 상기 온도조절유닛, 상기 외부카메라, 상기 내부카메라, 상기 스피커, 상기 진입감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KR1020100121447A 2010-12-01 2010-12-01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KR10134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447A KR101340493B1 (ko) 2010-12-01 2010-12-01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447A KR101340493B1 (ko) 2010-12-01 2010-12-01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936A true KR20120059936A (ko) 2012-06-11
KR101340493B1 KR101340493B1 (ko) 2013-12-11

Family

ID=4661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447A KR101340493B1 (ko) 2010-12-01 2010-12-01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4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80Y1 (ko) * 2013-10-24 2014-03-07 허현 신변 안전부스
KR101384640B1 (ko) * 2012-06-26 2014-04-14 김성석 범죄예방과 주변안전을 위한 안전 구조물
KR101535149B1 (ko) * 2013-09-02 2015-07-07 김형숙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KR20160085150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로보티어 방범 저출력심장충격기(aed)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감시카메라 에스에스(ss)-타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185B1 (ko) 2010-12-01 2014-05-30 주식회사 새누 대피함 장치를 구비한 범죄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방법
KR102169335B1 (ko) * 2020-03-03 2020-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안전 스테이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176U (ko) * 1990-04-10 1991-12-26
KR920008918Y1 (ko) * 1990-06-12 1992-12-24 김학수 범죄예방용 도어
JP4250499B2 (ja) 2003-10-16 2009-04-08 株式会社レニアス 避難用ボックス
JP3874757B2 (ja) 2004-02-26 2007-01-31 株式会社レニアス 屋外避難装置および防犯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640B1 (ko) * 2012-06-26 2014-04-14 김성석 범죄예방과 주변안전을 위한 안전 구조물
KR101535149B1 (ko) * 2013-09-02 2015-07-07 김형숙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KR200471680Y1 (ko) * 2013-10-24 2014-03-07 허현 신변 안전부스
KR20160085150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로보티어 방범 저출력심장충격기(aed)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감시카메라 에스에스(ss)-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493B1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493B1 (ko) 물리적 범죄 대피함 장치
US9711037B2 (en) Lockdown apparatus for initiation of lockdown procedures at a facility during an emergency having an image sensor for capturing still or video images
CA2931767C (en) Security system for identifying disturbances in a building
US20160358393A1 (en) Security system for identifying disturbances in a building
EP3834184B1 (en) Public places surveillance system
US20090191839A1 (en) Personal alarm and serveillance system
US10629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n active shooter
KR101841882B1 (ko)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US115016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n active shooter
US20210280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n active shooter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RU2554549C2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домофон
EP2779119A2 (en) Access control systems with variable threat level
KR101840661B1 (ko)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
KR200188880Y1 (ko) 영상 전송용 보안 시스템
KR101399185B1 (ko) 대피함 장치를 구비한 범죄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방법
JP4170115B2 (ja) 緊急避難用セキュリティボックス
JP2006344191A (ja) 防犯用室内監視通報装置
JP2005151436A (ja) 警備システム
JP3214724U (ja) ネットワーク型警備システムおよび防犯装置
JP200407056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TWM643480U (zh) 保全防災系統
KR200360634Y1 (ko) 무선 카메라 도어록
TW200813904A (en) Interactive multi-functional security monitoring center system
CA2639417A1 (en) Security system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