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722A -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722A
KR20120058722A KR1020100120138A KR20100120138A KR20120058722A KR 20120058722 A KR20120058722 A KR 20120058722A KR 1020100120138 A KR1020100120138 A KR 1020100120138A KR 20100120138 A KR20100120138 A KR 20100120138A KR 20120058722 A KR20120058722 A KR 2012005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ear
moving
gap
b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8733B1 (ko
Inventor
김종규
이동훈
김호경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7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유압펌프와 같은 부가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단독으로 취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가 개시된다.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는 주판과 부재 간의 취부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주판과 접촉하는 고정 바이트가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경사지게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부재와 접촉하는 이동 바이트와,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져 제1 원동축의 회전력에 비해 제1 종동축이 큰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종동축의 기어가 상기 이동 바이트에 맞물려 상기 이동 바이트를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수평 이동 기어 모듈 및 상기 제1 원동축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압펌프와 같은 부가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단독으로 취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APPARATUS FOR ALIGNING PLATES}
본 발명은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제조 시 사용되는 무용접 부재의 취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제조 과정에서 블록의 조립시 소조립 및 중조립 단위 그룹을 조립하여 대형 블록을 조립하며, 이러한 블록 조립 과정에서 각 내부재의 위치 조정 작업이 수행된다.
특히, 블록 구성을 위해 주판(Main Plate)에 부재(Member)를 취부한 후 용접할 때 주판에 탑재된 부재의 취부 선상에 부재가 정확히 위치되지 않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박 제조 시 사용되는 주판과 부재 간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종래의 취부 작업은 도그피스나 쐐기피스 등의 다양한 종류의 피스를 사용하여 좌굴 변형이나 직선도 불량 등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피스를 이용한 취부 작업은 통상 주판에 피스를 가용접한 상태에서 부재와 피스 사이에 쐐기피스를 넣고 망치질하거나 유압실린더를 삽입하여 작동시키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취부 작업은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 후 불가피하게 피스를 제거해야 하는 작업이 수반되며 주판 손상에 따라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주판과 부재에 각각 접촉되는 톱니가 형성된 두 개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피스톤 및 실린더의 양단에 각각 스토퍼를 장착하며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피스톤 및 실린더를 서로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된 취부 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취부 장치는 작업 시 유압펌프를 반드시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었고 유압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어 누유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취부 장치는 실린더가 주판과 부재 사이에서 약 45°각도로 기울어지게 작동됨에 따라 주판과 부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며, 두 개의 스토퍼로만 지지됨에 따라 작업 시 장치가 회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압펌프와 같은 부가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단독으로 취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재의 수평 이동 및 주판과 부재 간의 갭 제거 작업을 수행하며, 장치의 회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는 주판과 부재 간의 취부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주판과 접촉하는 고정 바이트가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경사지게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부재와 접촉하는 이동 바이트와,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져 제1 원동축의 회전력에 비해 제1 종동축이 큰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종동축의 기어가 상기 이동 바이트에 맞물려 상기 이동 바이트를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수평 이동 기어 모듈 및 상기 제1 원동축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부재에 연결되는 클램프 와이어를 권취하는 갭 제거 풀리 및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져 제2 원동축의 회전력에 비해 제2 종동축이 큰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종동축의 기어가 상기 갭 제거 풀리를 회전시키는 갭 제거 기어 모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 원동축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원동축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 기어 모듈에는 상기 이동 바이트의 작동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수평 이동 제어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갭 제거 기어 모듈에는 상기 갭 제거 풀리의 작동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환시키는 갭 제거 제어 스위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주판에 상기 메인 바디를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 바이트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는 유압펌프와 같은 부가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단독으로 취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장치의 사용,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장치의 회전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 장치의 수평 이동 작업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바이트를 이용한 갭 제거 작업 전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바이트를 이용한 갭 제거 작업 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를 이용한 갭 제거 작업 전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를 이용한 갭 제거 작업 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 장치의 수평 이동 작업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는 주판(98)과 부재(99) 간의 취부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메인 바디(10)와, 이동 바이트(20)와,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 및 손잡이(80)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10)는 위치조정 장치의 주 프레임이 되는 케이스로서, 하부에 고정 바이트(11)가 구비된다. 고정 바이트(11)는 주판(98)과 접촉되어 메인 바디(10)를 주판(98)에 대해 지지한다.
이동 바이트(20)는 상기 메인 바디(10)에 경사지게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부재(99)에 접촉된다. 이동 바이트(20)의 일 측에는 후술할 제1 대기어(32) 대응되는 치형이 형성된다.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은 상기 메인 바디(10)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져 제1 원동축의 회전력에 비해 제1 종동축이 큰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종동축의 기어가 상기 이동 바이트(20)에 맞물려 상기 이동 바이트(20)를 상기 메인 바디(10)에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슬라이딩시킨다.
즉,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은 제1 소기어(31) 및 제1 대기어(32)를 구비한다.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은 상기 이동 바이트(20)를 슬라이딩시켜 부재(99)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으로, 비교적 큰 힘을 얻는 다수의 기어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다.
제1 소기어(31)는 제1 원동축의 기어가 되는 것으로, 메인 바디(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대기어(32)는 제1 종동축의 기어가 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소기어(31)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메인 바디(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대기어(32)는 상기 제1 소기어(31)에 맞물려 회전되며, 상기 이동 바이트(20)에 형성된 치형에 맞물린다. 결국, 제1 소기어(31)가 회전되면 제1 대기어(32)가 회전되어, 이동 바이트(20)는 메인 바디(10)에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슬라이딩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이 두 개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그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80)는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소기어(31)를 회전시킨다. 손잡이(80)는 제1 소기어(31)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작업자의 조작으로 인해 제1 소기어(3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에는 상기 이동 바이트(20)의 작동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수평 이동 제어 스위치(3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는 갭 제거 풀리(40) 및 갭 제거 기어 모듈(50)을 더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바이트를 이용한 갭 제거 작업 전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바이트를 이용한 갭 제거 작업 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갭 제거 풀리(40)는 상기 메인 바디(10)의 외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99)에 연결되는 클램프 와이어(97)를 권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갭 제거 기어 모듈(50)은 상기 메인 바디(10)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져 제2 원동축의 회전력에 비해 제2 종동축이 큰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종동축의 기어가 상기 갭 제거 풀리(40)를 회전시킨다.
즉, 갭 제거 기어 모듈(50)은 제2 대기어(52) 및 제2 소기어(51)를 구비한다. 갭 제거 기어 모듈(50)은 상기 갭 제거 풀리(40)를 회전시켜 부재(99)와 주판(98)의 갭을 제거하는 것으로, 비교적 큰 힘을 얻는 다수의 기어 구조로 구현된다.
제2 대기어(52)는 제2 종동축의 기어가 되는 것으로, 상기 갭 제거 풀리(40)를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 바디(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갭 제거 풀리(40)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제2 소기어(51)는 제2 원동축의 기어가 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바디(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대기어(52)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소기어(51)는 상기 제2 대기어(52)에 맞물려 회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갭 제거 기어 모듈(50)이 두 개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그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갭 제거 기어 모듈(50)에는 상기 갭 제거 풀리(40)의 작동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환시키는 갭 제거 제어 스위치(5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80)는 제1 소기어(31)의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제2 소기어(51)의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손잡이(80)는 제1 소기어(3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을 구동시키거나 제2 소기어(5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갭 제거 기어 모듈(5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80)는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과 갭 제거 기어 모듈(5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소기어(31) 및 제2 소기어(51) 모두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취부 작업의 환경에 알맞게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과 갭 제거 기어 모듈(5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동 바이트(20)를 이용한 갭 제거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도 4와 같이 클램프 와이어(97)가 갭 제거 풀리(40)에 연결되고, 이동 바이트(20)는 부재(99)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후에, 손잡이(80)를 조작하면 제2 소기어(51) 및 제2 대기어(52)가 회전되고 제2 대기어(52)의 회전축에 연결된 갭 제거 풀리(40)가 회전되어 클램프 와이어(97)가 권취됨으로써 부재(99)는 도 5와 같이 주판(98) 측으로 이동되어 갭이 제거된다.
한편,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는 클램프(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램프(60)는 상기 메인 바디(10)에 연결되어, 상기 주판(98)에 상기 메인 바디(1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를 이용한 갭 제거 작업 전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를 이용한 갭 제거 작업 후를 도시한 것이다.
클램프(60)를 이용한 갭 제거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도 6과 같이 클램프 와이어(97)가 갭 제거 풀리(40)에 연결되고, 클램프(60)는 주판(98)에 고정되어 있다. 이후에, 손잡이(80)를 조작하면 제2 소기어(51) 및 제2 대기어(52)가 회전되고 제2 대기어(52)의 회전축에 연결된 갭 제거 풀리(40)가 회전되어 클램프 와이어(97)가 권취됨으로써 부재(99)는 도 5와 같이 주판(98) 측으로 이동되어 갭이 제거된다.
한편, 상기 고정 바이트(11)는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바이트(11)는 도시된 것처럼 두 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동 바이트(20) 및 두 개의 고정 바이트(11)들이 삼각형상의 지지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안정적인 지지를 수행하며, 장치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바이트(11)는 두 개보다 많은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고정 바이트(11)를 단일개로 구비하고 이동 바이트(20)를 두 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 바이트(11) 및 이동 바이트(20)의 단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판(98)과 부재(99) 간의 각도가 90°가 아닌 경우에도 지지면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메인 바디 11 : 고정 바이트
20 : 이동 바이트 30 : 수평 이동 기어 모듈
31 : 제1 소기어 32 : 제1 대기어
39 : 수평 이동 제어 스위치 40 : 갭 제거 풀리
50 : 갭 제거 기어 모듈 51 : 제2 소기어
52 : 제2 대기어 59 : 갭 제거 제어 스위치
60 : 클램프 80 : 손잡이
97 : 클램프 와이어 98 : 주판
99 : 부재

Claims (6)

  1. 주판(98)과 부재(99) 간의 취부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주판(98)과 접촉하는 고정 바이트(11)가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 바디(10);
    상기 메인 바디(10)에 경사지게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부재(99)와 접촉하는 이동 바이트(20);
    상기 메인 바디(10)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져 제1 원동축의 회전력에 비해 제1 종동축이 큰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종동축의 기어가 상기 이동 바이트(20)에 맞물려 상기 이동 바이트(20)를 상기 메인 바디(10)에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 및
    상기 제1 원동축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부재(99)에 연결되는 클램프 와이어(97)를 권취하는 갭 제거 풀리(40); 및
    상기 메인 바디(10)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져 제2 원동축의 회전력에 비해 제2 종동축이 큰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종동축의 기어가 상기 갭 제거 풀리(40)를 회전시키는 갭 제거 기어 모듈(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80)는 상기 제1 원동축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원동축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기어 모듈(30)에는 상기 이동 바이트(20)의 작동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수평 이동 제어 스위치(39)가 구비되고,
    상기 갭 제거 기어 모듈(50)에는 상기 갭 제거 풀리(40)의 작동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환시키는 갭 제거 제어 스위치(5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0)에 연결되어, 상기 주판(98)에 상기 메인 바디(10)를 고정시키는 클램프(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이트(11)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KR1020100120138A 2010-11-30 2010-11-30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KR10117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38A KR101178733B1 (ko) 2010-11-30 2010-11-30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38A KR101178733B1 (ko) 2010-11-30 2010-11-30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22A true KR20120058722A (ko) 2012-06-08
KR101178733B1 KR101178733B1 (ko) 2012-08-31

Family

ID=4661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38A KR101178733B1 (ko) 2010-11-30 2010-11-30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8958A (zh) * 2017-12-04 2018-03-13 陇东学院 数学加法运算器的制作方法
KR20220001755U (ko) * 2021-01-07 2022-07-14 (주)주성하이텍 착탈식 동력전달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886U (ja) 1983-05-17 1984-12-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骨部材などの取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8958A (zh) * 2017-12-04 2018-03-13 陇东学院 数学加法运算器的制作方法
KR20220001755U (ko) * 2021-01-07 2022-07-14 (주)주성하이텍 착탈식 동력전달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733B1 (ko) 201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46624B (zh) 一种石油管道焊接设备
EP2207637B1 (fr) Machine à cintrer un profile selon deux sens de cintrage et outillage de cintrage
CN211438158U (zh) 手动连杆卡盘
CN105000434A (zh) 一种捆带盘机构
CN110774303A (zh) 一种精密机械零件抓取机构
US20110097157A1 (en) Deep Water Pipe Preparation Machine
KR101178733B1 (ko) 부재의 위치조정 장치
CN114589450A (zh) 一种卷筒挡边辅助焊接工装
CN114459520A (zh) 一种机器视觉检测装置
KR101467090B1 (ko) 틸팅테이블
CN202623761U (zh) 一种热刻印自动翻转装置
CN112658555A (zh) 一种焊接机械手
CN216525418U (zh) 一种机器视觉检测装置
CN213544009U (zh) 一种滚轮轴承辅助旋转灵活性检测装置
KR20050069395A (ko) 회전제어수단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JP2010179384A (ja) 配管接続部切断装置
CN212043441U (zh) 一种高压柴油泵加工用锁紧机
KR200385234Y1 (ko) 파이프 회전장치
KR20090012592A (ko) 터빈 로터의 더브테일 홀 가공장치
CN214685243U (zh) 一种建筑结构钢加工的翻转装置
JP2009000706A (ja) 絞り加工装置
CN109384038B (zh) 一种夹持装置
CN215356665U (zh) 双工位牙掌机器人等离子堆焊装置
CN217130087U (zh) 一种销齿轮回转支承
CN218370324U (zh) 防爆电机定子转运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