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692A -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692A
KR20120057692A KR1020100077784A KR20100077784A KR20120057692A KR 20120057692 A KR20120057692 A KR 20120057692A KR 1020100077784 A KR1020100077784 A KR 1020100077784A KR 20100077784 A KR20100077784 A KR 20100077784A KR 20120057692 A KR20120057692 A KR 2012005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xture
pattern
sad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란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692A/ko
Priority to US13/176,261 priority patent/US20120039533A1/en
Publication of KR2012005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부와;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영상의 질감을 변경시키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의 질감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에 다양한 효과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이 확대되어 촬상된 정지영상을 보정하거나 수정하는 알고리즘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영상이 마치 캔버스, 종이 또는 벽 등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질감의 변화를 주는 텍스처 효과 역시 영상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효과 중의 하나이다.
한편, 최근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전자 액자와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저장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제약이 따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 공간을 감소시키면서 영상의 질감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정도 및 질감 분포를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부와;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영상의 질감을 변경시키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m*n 영상(1≤ m ≤ M, 1≤ n ≤ N)을 상기 M*N 영상에 스캔하면서,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 값이 최저인 m*n 영상을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m*n 영상(1≤M≤m, 1≤n≤N)을 상기 M*N 영상에 스캔하면서,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 값이 최저인 m*n 영상을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m*n 영상(1≤ m ≤ M, 1≤ n ≤ N)을 상기 M*N 영상에 스캔하면서,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H 와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V 을 연산하고, 다음의 수학식에 따른 값이 최저인 m*n 영상(1≤M≤m, 1≤n≤N)을 추출할 수도 있다.
[수학식 1]
SAD=α* SADH + β* SADV (0≤α, β)
상기 패턴 추출부는 상기 M*N 영상으로부터 m*n 영상(1≤ m ≤ M, 1≤ n ≤ N)을 추출하고, m*n 영상의 가장자리 픽셀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패턴 추출부는 상기 M*N 영상으로부터 a*b 영상(1≤ a ≤ M, 1≤ b ≤ N)을 추출하고, 상기 a*b 영상을 인터폴레이션하여 m*n (a ≤ m ≤ M, b≤ n ≤ N)의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이 컬러 영상이면,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하는 그레이 영상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상기 그레이 영상으로부터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그레이 영상 변환부는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의 R, G, B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그레이 영상을 생성하거나,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의 휘도값을 추출하여 그레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정도를 조절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필터부는 로우 패스 필터, 미디언(median) 필터, 하이 패스 필터, 샤프니스(sharpness)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분포를 조절하는 히스토그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히스토그램부는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픽셀수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히스토그램의 폭과 중심축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은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영상의 질감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을 감소시키면서 영상의 질감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정도 및 질감 분포를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패턴 영상을 선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스토그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 패턴 추출부(20), 영상처리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든 AV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액자,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는 영상처리부(30)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액정을 포함하는 LCD 패널,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PDD(plasma display pan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는 USB 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 또는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카메라 등이 연결될 수 있는 접속부,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또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수신부는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및 유선/무선 USB 통신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패턴 추출부(20)는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한다. 텍스처는 캔버스, 종이, 나무, 벽 등과 같이 재료에서 느껴지는 질감을 의미하며, 텍스처 소스 영상이란 입력되는 영상에 텍스처 효과를 주기 위하여 참조되는 되는 영상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영상에 텍스처 효과를 주기 위하여 텍스처 소스 영상과 입력 영상을 합성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처리한다. 텍스처 소스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0)의 해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크기와 무관하게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패턴 추출부(20)는 이러한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한다. 텍스처 패턴 영상은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텍스처 효과를 위하여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의 저장 공간이 줄어든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다양한 텍스처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저장 공간에 제약 받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자 액자 또는 모바일 장치로 구현되어 저장 공간의 제약이 있는 경우,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면 영상의 크기와 무관하게 텍스처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텍스처 효과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도 있다. 텍스처 패턴 영상의 추출 방법에 대하여는 이하 자세히 설명된다.
영상처리부(30)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될 영상의 질감을 변경시키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한다.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의 질감을 변경하는 알고리즘은 공지되거나 공지되지 않은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0)는 디지털 신호를 영상 및 음성 포맷에 각기 대응하여 디코딩(decoding)하고, 그 이외에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처 소스 영상(S)은 해상도가 M*N (1≤M, 1≤N)인, M*N 영상이다. 패턴 추출부(20)는 M*N 보다 작은 m*n (1≤ m ≤ M, 1≤ n ≤ N)의 해상도를 갖는 임의의 m*n 영상, 즉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을 M*N 영상에 스캔한다.
또한, 패턴 추출부(20)는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을 텍스처 소스 영상(S)에 스캔하면서,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의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H 또는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V 을 연산한다.
연산된 SADV 와 SADH는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 중에서 영상과 함께 처리될 텍스처 패턴 영상을 선별하는데 사용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패턴 영상을 선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패턴 추출부(20)는 도 3과 같이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H이 최저인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을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패턴 추출부(20)는 도 4와 같이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V 이 최저인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을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또는, 패턴 추출부(20)는 하기와 같은 다음의 수학식에 따른 값이 최저인m*n 영상을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α, β는 0을 포함하는 양의 실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SADV 와 SADH의 비율을 상이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계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1]
SAD=α* SADH + β* SADV (0≤α, β)
만약, α가 0이면 도 4와 같이 수직 라인의 SAD값 만을 고려하여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이 되고, β이 0이면, 도 3과 같이 수평 라인의 SAD값 만을 고려하여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이 된다.
텍스처 패턴 영상은 입력되는 영상과 합성되는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그 경계가 뚜렷할 경우 영상이 분할되거나 줄무늬 노이즈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패턴 추출부(20) 는 텍스처 소스 영상(S) 중 그 경계가 가장 명확하지 않은 부분을 선별하고, 이를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추출부(20)는 가장 작은 SADH를 갖는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과 가장 작은 SADV를 갖는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을 보간하거나 이들의 평균값으로 구성된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패턴 추출부(20)는 m*n 영상(P)을 텍스처 소스 영상(S)인 M*N 영상에 스캔한다(S10).
스캔하면서, 패턴 추출부(20)는 임시 텍스처 패턴 영상(P)의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H 와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V 을 연산한다(S20).
그런 다음, 패턴 추출부(20)는 텍스처 소스 영상(S)으로부터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한다(S30).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H이 최저인 영상 또는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V 이 최저인 영상이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될 수도 있고, 이들을 조합한 수학식을 만족하는 영상이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될 수도 있다. 추출된 텍스처 패턴 영상은 저장되고, 영상처리부(30)에 제공된다.
영상처리부(30)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될 영상의 질감을 변경시킨다(S40). 영상처리부(30)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복수의 텍스처 패턴 영상을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영상의 전체가 아닌 특정 영역에만 텍스처 패턴 영상을 적용하여 질감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턴 추출부(20)는 M*N 영상으로부터 m*n 영상을 추출하고, m*n 영상의 가장자리 픽셀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한다. 즉, (A)와 같이 가장 상단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 수평 라인을 로우 패스 필터링하고, (B)와 같이 가장 좌측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 수직 라인을 로우 패스 필터링함으로써 영상의 경계를 부드럽게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m*n 영상을 텍스처 소스 영상(S)에 스캔하지 않고 임의의 부분을 추출하여 경계부분만 변형함으로써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가 간단하다.
또는, 패턴 추출부(20)는 로우 패스 필터링을 통한 고주파 제거 이외에 가장 상단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 수평 라인의 평균값으로 상하단 라인의 픽셀값을 변경하고, 가장 좌측 및 우측 라인의 평균값으로 좌우 라인의 픽셀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텍스처 패턴 영상의 경계 영역의 픽셀값이 동일하게 조절되어 텍스처 패턴 영상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질감을 변경시키더라도 경계가 구분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추출부(20)는 m*n 영상 보다 작은 해상도를 갖는 a*b 영상(1≤ a ≤ M, 1≤ b ≤ N)을 추출하고, a*b 영상을 인터폴레이션하여 m*n 해상도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주어진 영상, 즉 텍스처 소스 영상(S)을 이용하여 저장될 텍스처 패턴 영상보다 작은 영상(a*b 영상)을 추출하여 인터폴레이션과 로우 패스 필터링을 거쳐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패턴 추출부(20)는 M*N 영상으로부터 m*n 영상을 추출하고(S50), 추출한 m*n 영상의 가장자리 픽셀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한다(S60).
m*n 영상을 추출하기 위하여 이전 실시예에서 같이 m*n 영상을 M*N 영상에 스캔하고, SAD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되는 영상은 텍스처 패턴 영상에 의하여 질감이 변경되고, 질감이 변경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다(S40).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그레이 변환부(40), 필터부(50), 히스토그램부(60)를 더 포함한다.
그레이 변환부(40)는 텍스처 소스 영상이 컬러 영상이면, 텍스처 소스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한다. 그레이 영상이란, 영상에 대한 하나의 색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그레이 변환부(40)는 텍스처 소스 영상의 R, G, B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그레이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고, 텍스처 소스 영상의 휘도값을 추출하여 그레이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만약, 텍스처 소스 영상이 흑백의 그레이 영상이라면, 그레이 변환부(40)를 바이패스할 것이다.
그레이 영상은 패턴 추출부(20)로 출력되고, 그레이 영상으로부터 실시예에 따라 텍스처 패턴 영상이 추출된다.
필터부(50)는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정도를 조절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50)는 질감의 효과를 강조하거나 질감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텍스처 패턴 영상(Ⅰ)을 로우 패스 필터 또는 미디언(median)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 한 저주파 영상(Ⅱ)이고, 도 9b는 하이 패스 필터, 샤프니스(sharpness)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 한 고주파 영상(Ⅲ)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영상(Ⅱ)의 텍스처는 원래의 텍스처 패턴 영상(Ⅰ)보다 노이즈가 제거되고 정도가 옅어져 텍스처가 부드러워진다. 반면 고주파 영상(Ⅲ)의 텍스처는 더욱 진해져 거칠어졌다.
사용자는 필터부(50)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으며, 필터링 되는 횟수 등을 조절하여 질감 정도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히스토그램부(60)는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분포를 조절한다. 즉, 히스토그램부(60)는 질감의 분포를 넓히거나 좁힐 수도 있고, 특정 부분을 이동시켜 텍스처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패턴 영상의 계조값(x)에 대응하는 픽셀수(f(x))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히스토그램부(60)로 입력되는 텍스처 패턴 영상의 히스토그램이 (A)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히스토그램부(60)는 히스토그램(A)를 (B)와 같이 정규화한다(f(x)? y(ck-d), 0≤k≤1, c,d= 실수). 정규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스토그램부(60)은 정규화된 히스토그램(B)의 폭과 중심축을 조절하여 질감의 분포를 변경한다. (C)는 정규화된 히스토그램 (B)의 c가 100, d가 50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c는 히스토그램의 폭을 조절하는 스케일 계수이고, d는 히스토그램의 중심축을 이동시킬 수 있는 값에 해당한다. c와 d 모두 픽셀에 대한 최대 계조값(예컨대, 8bit 영상신호의 경우, 최대 계조값은 28=255)을 최고값으로 가질 수 있다.
히스토그램부(60) 역시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패턴 영상의 생성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텍스처 소스 영상이 컬러 영상이면, 그레이 변환부(40)는 텍스처 소스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한다(S70).
패턴 추출부(20)는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S31).
텍스처 패턴 영상(Ⅰ)는 필터부(50)에서 질감 정도가 조절된다(S80). 필터부(50)는 저주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필터와, 고주파를 강조할 수 있는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질감 정도가 조절된 텍스처 패턴 영상은 히스토그램부(60)에 의하여 질감 분포가 조절될 수 있다(S90).
질감의 정도 및 분포가 조절된 텍스처 패턴 영상은 영상처리부(30)에서 영상의 질감을 변경시키는 데 사용되고(S40), 디스플레이부(10)에는 다양한 질감을 갖는 영상이 표시된다.
본 발명은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텍스처 효과를 영상에 구현할 수 있는 발명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부 20 : 패턴 변환부
30 : 영상처리부 40 : 그레이 변환부
50 : 필터부 60 : 히스토그램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부와;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영상의 질감을 변경시키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m*n 영상(1≤ m ≤ M, 1≤ n ≤ N)을 상기 M*N 영상에 스캔하면서,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 값이 최저인 m*n 영상을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m*n 영상(1≤M≤m, 1≤n≤N)을 상기 M*N 영상에 스캔하면서,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 값이 최저인 m*n 영상을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m*n 영상(1≤ m ≤ M, 1≤ n ≤ N)을 상기 M*N 영상에 스캔하면서,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H 와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V 을 연산하고, 다음의 수학식에 따른 값이 최저인m*n 영상(1≤M≤m, 1≤n≤N)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수학식 1]
    SAD=α* SADH + β* SADV (0≤α, β)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상기 M*N 영상으로부터 m*n 영상(1≤ m ≤ M, 1≤ n ≤ N)을 추출하고, m*n 영상의 가장자리 픽셀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상기 M*N 영상으로부터 a*b 영상(1≤ a ≤ M, 1≤ b ≤ N)을 추출하고, 상기 a*b 영상을 인터폴레이션하여 m*n (a ≤ m ≤ M, b≤ n ≤ N)의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이 컬러 영상이면,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하는 그레이 영상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 추출부는 상기 그레이 영상으로부터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 영상 변환부는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의 R, G, B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그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 영상 변환부는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의 휘도값을 추출하여 그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정도를 조절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로우 패스 필터, 미디언(median) 필터, 하이 패스 필터, 샤프니스(sharpness)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분포를 조절하는 히스토그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부는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픽셀수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히스토그램의 폭과 중심축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방법에 있어서,
    텍스처 소스 영상으로부터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영상의 질감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m*n 영상(1≤ m ≤ M, 1≤ n ≤ N)을 상기 M*N 영상에 스캔하면서, 가장 상단의 수평 라인과 가장 하단의 수평 라인의 SADH 와 가장 좌측의 수직 라인과 가장 우측의 수직 라인의 SADV 을 연산하는 단계와,
    다음의 수학식에 따른 값이 최저인m*n 영상(1≤M≤m, 1≤n≤N)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수학식 1]
    SAD=α* SADH + β* SADV (0≤α, β)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M*N 영상으로부터 m*n 영상(1≤ m ≤ M, 1≤ n ≤ N)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m*n 영상의 가장자리 픽셀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은 M*N 영상(1≤M, 1≤N)이고,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M*N 영상으로부터 a*b 영상(1≤ a ≤ M, 1≤ b ≤ N)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a*b 영상을 인터폴레이션하여 m*n (a ≤ m ≤ M, b≤ n ≤ N)의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이 컬러 영상이면, 상기 텍스처 소스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패턴 영상의 질감 분포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KR1020100077784A 2010-08-12 2010-08-12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KR20120057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784A KR20120057692A (ko) 2010-08-12 2010-08-12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US13/176,261 US20120039533A1 (en) 2010-08-12 2011-07-05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784A KR20120057692A (ko) 2010-08-12 2010-08-12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692A true KR20120057692A (ko) 2012-06-07

Family

ID=4556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784A KR20120057692A (ko) 2010-08-12 2010-08-12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39533A1 (ko)
KR (1) KR20120057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620B2 (en) 2017-05-12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77377B1 (en) * 2014-08-13 2019-10-02 King.com Limited Composing an imag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594B1 (en) * 1999-09-30 2008-05-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551018B2 (ja) * 2001-04-05 2010-09-22 富士通株式会社 画像結合装置
JP2006350577A (ja) * 2005-06-14 2006-12-28 Fuji Xerox Co Ltd 動作分析装置
US8121409B2 (en) * 2008-02-26 2012-02-21 Cyberlink Corp. Method for handling static text and logos in stabilized images
JP4513898B2 (ja) * 2008-06-09 2010-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識別装置
TWI334393B (en) * 2008-10-07 2010-12-11 Ind Tech Res Inst Image-based vehicle maneuvering assistant method and system
US8380005B1 (en) * 2009-02-02 2013-02-19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omposition using non-destructive editing model and fast gradient sol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620B2 (en) 2017-05-12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867585B2 (en) 2017-05-12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9533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8806B2 (ja) 視覚処理装置、視覚処理方法、プログラム、表示装置および集積回路
JP638121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91139B2 (en) Adaptive contrast in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US201002784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ast enhancement
US7881550B2 (en) Visual processing apparatus, visual processing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display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JP4858609B2 (ja) ノイズ低減装置、ノイズ低減方法、及びノイズ低減プログラム
US83744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ature-based dynamic contrast enhancement
US201701621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6719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ayer-pattern digital color video signal
CN105850114A (zh) 用于图像的逆色调映射的方法
JP2006228184A (ja) 動的画像コントラスト処理装置
JP2007249436A (ja)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信号処理方法
KR2012005769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KR100899750B1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JPH07193766A (ja) 画像情報処理装置
CN116504190A (zh) 一种用于电子墨水屏的图像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JP4992379B2 (ja) 画像の階調変換装置、プログラム、電子カメラ、およびその方法
JP200330440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TWI517097B (zh) 增強影像對比之方法及裝置以及非暫時性計算機可讀媒體
JP200304680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7005933A (ja) 画像調整方法、画像処理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264465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101397045B1 (ko) 영상 상태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 및 방법
JP2005012285A (ja)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496036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