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964A -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964A
KR20120056964A KR1020100118468A KR20100118468A KR20120056964A KR 20120056964 A KR20120056964 A KR 20120056964A KR 1020100118468 A KR1020100118468 A KR 1020100118468A KR 20100118468 A KR20100118468 A KR 20100118468A KR 20120056964 A KR20120056964 A KR 20120056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serial bus
master
master mod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839B1 (ko
Inventor
최민아
노가연
최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8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 컴퓨팅 장치가 없는 환경에서도 두 개의 USB 플래시 드라이브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서 마스터 및 슬레이브 모드를 동시에 지원하여 다른 USB 플래시 드라이브가 접속된 경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를 선택한 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팅 장치가 없는 환경에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단한 디스플레이부 및 발광부를 통해 접속여부 확인, 데이터 송수신 및 송수신 완료, 실패 여부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APPARATUS FOR UNIVERSAL SERIAL BUS OF MASTER MODE AND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한다)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컴퓨터 없이 USB 플래시 드라이브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적합한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 장치는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규격으로서, 구동중인 컴퓨터의 USB 포트에 USB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방식을 통해 즉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USB 장치는 최대 12Mbps 속도의 USB 1.1, 480Mbps의 USB 2.0이 사용되고 있으며, 5Gbps의 속도로 연구 중인 USB 3.0 규격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또한, USB 장치는 기존 컴퓨터에 설치된 USB 포트 수 이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USB 허브를 통해 추가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최대 127개의 USB 기기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USB 장치 중 USB 플래시 드라이브(USB flash drive)는 USB 포트에 꽂아 쓸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USB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USB 저장 장치는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개념을 도입하여 예컨대, USB 저장 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컴퓨터는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고, USB 저장 장치는 슬레이브 모드로 구동되어 컴퓨터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에 USB 저장 장치는 항상 컴퓨터에 접속하거나, 마스터 기능이 포함된 노트북,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기기 등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 받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 즉, USB 저장 장치에 있어서는, USB 저장 장치가 슬레이브 모드로 구동하기 때문에 마스터 모드로 수행되는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노트북, PMP, 네비게이션 기기)에 접속을 수행해야 하며, 컴퓨팅 장치가 없는 환경에서는 USB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었다.
즉, 컴퓨팅 장치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고서는 두 개의 USB 저장 장치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컴퓨팅 장치가 없는 환경에서도 두 개의 USB 저장 장치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USB 저장 장치에서 마스터 및 슬레이브 모드를 동시에 지원하여 다른 USB 저장 장치가 접속된 경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를 선택한 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는, 컴퓨터 또는 다른 범용 직렬 버스(USB) 장치와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장치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컴퓨터 또는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슬레이브 모드로 구동되는 USB 잭과, 상기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되는 USB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USB 장치가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용 직렬 버스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된 키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토대로 발광 또는 점멸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마스터 구동 명령을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다른 USB 장치에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USB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은, USB 인터페이스에서 컴퓨터 또는 다른 범용 직렬 버스(USB) 장치와 접속하는 과정과, 충전부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배터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제어부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장치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과정과, 메모리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 중 USB 잭에 상기 컴퓨터 또는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슬레이브 모드로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중 USB 소켓에 상기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은, 상기 제어부에서 키 입력부로부터 마스터 구동 명령을 전달받는 과정과, 상기 다른 USB 장치에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발광부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토대로 발광 또는 점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또는 점멸하는 과정은,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접속 발광 신호를 토대로 발광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발광 신호를 토대로 기설정된 색으로 발광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송수신 신호를 토대로 발광 및 점멸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송수신 완료 신호를 토대로 점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컴퓨팅 장치가 없는 환경에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단한 디스플레이부 및 발광부를 통해 접속여부 확인, 데이터 송수신 및 송수신 완료, 실패 여부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 간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의 동작절차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가 없는 환경에서도 두 개의 USB 저장 장치 즉, USB 플래시 드라이브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서 마스터 및 슬레이브 모드를 동시에 지원하여 다른 USB 플래시 드라이브가 접속된 경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를 선택한 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 간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SB1(100)과 USB2(11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 USB1(100)에는 슬레이브(SLAVE1)(102)와 마스터(MASTER)(104) 모듈을 각각 포함하고 있으며, USB2(110)가 USB1(100)의 마스터(MASTER)(104) 영역에 연결을 수행한 상태이다.
이에 USB1(100)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여 USB2(110)를 인식하고, 인식한 USB2(110)로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USB2(110)는 USB1(100)과 연결하여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USB1(100)의 제어에 의해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USB 저장 장치(200)는 USB 잭(202), 충전부(204), 배터리(206), 디스플레이부(208), 메모리부(210), 발광부(212), USB 소켓(214), 키 입력부(216), 제어부(2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SB 잭(202)은 컴퓨터 또는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로서, USB 잭(202)에 슬레이브 모듈이 연동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USB 장치와 접속하는 경우, USB 저장 장치(200)가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충전부(204)는 USB 잭(202) 또는 USB 소켓(214)에 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충전부(204)에 공급된 전원은 배터리(206)로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206)는 충전부(204)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18)의 제어하에 USB 저장 장치(200)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배터리(206)는 USB 장치가 USB 인터페이스로 접속한 경우, 전원을 공급하며, USB 장치가 USB 인터페이스로부터 접속을 해제한 경우, 전원을 차단하거나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8)는 제어부(218)로부터 전달된 연결상태, 데이터 송수신 상태, 파일 전송 요청, 파일 수신 요청 정보 등의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리부(210)는 플래시 메모리로서, 제어부(218)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접속된 다른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발광부(212)는 제어부(218)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토대로 기 설정된 색을 발광 또는 점멸하는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컴퓨터 또는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빨간 색을 발광하고, 데이터 전송시에는 파란 색을 깜빡일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드로 연결된 경우, 녹색을 발광하고, 슬레이브 모드로 연결된 경우, 녹색을 깜빡일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종료 및 데이터 전송이 종료 된 경우에는 점멸할 수 있다.
USB 소켓(214)은 다른 USB 장치와 접속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로서, USB 소켓(214)에는 마스터 모듈이 연동되어 다른 USB 장치와 접속하는 경우, USB 저장 장치(200)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키 입력부(216)는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8)는 각 기능블록들을 제어하며, USB 인터페이스트를 통해 연결된 USB 장치들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방식은 마스터 모드로 접속된 경우, 다른 USB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 입력부(216)를 누른 상태 즉,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다른 USB 저장 장치에 업로드하라는 명령을 입력한 경우는 다른 USB 저장 장치가 접속된 경우,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드에서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렉토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접속된 다른 USB 장치로부터 메모리 저장 정보의 전달을 요청하여 수신한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키 입력부(216)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고,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해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201)에 저장된 데이터를 접속된 다른 USB 장치로 업로드하거나, 접속된 다른 USB 장치로부터 메모리부(210)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8)는 배터리(206)의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충전된 배터리(206)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적은 경우, 예컨대, 발광부(212)를 통한 빨간 색 깜빡임을 수회 반복하거나,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해 충전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USB 잭(202)이 다른 USB 저장 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부(218)의 제어를 통해 마스터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USB 소켓(214)에 다른 다른 USB 저장 장치가 접속한 상태에서 제어부(218)의 제어를 통해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는 마스터 모드 및 슬레이브 모드가 모듈이 아닌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218)에서 마스터 모드 및 슬레이브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잭(202)이 다른 USB 저장 장치에 접속된 경우 또는 USB 소켓(214)에 다른 다른 USB 저장 장치가 접속한 경우에 제어부(218)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의 선택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키 입력부(216)를 통해 마스터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218)에서는 마스터 모드로 구동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슬레이브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SB 장치(200)를 통해, 컴퓨터 없이 두 개의 USB 저장 장치만 존재하는 경우, 두 개의 USB 저장 장치를 연결하는 것 만으로 한쪽 USB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USB 데이터로 모두 옮길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08) 및 키 입력부(216)가 구비된 USB 저장 장치에서는 마스터 모드에서 저장된 데이터 중 원하는 파일 또는 폴더를 선택하여 다른 USB 장치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의 동작절차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USB 장치는 300단계에서 USB 잭(202)에 접속된 컴퓨터 또는 전원 공급이 가능한 USB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게 되며, 공급된 전원으로 USB 장치를 구동하거나, 충전부(204)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충전부(204)에서는 전원을 배터리(206)로 전달되어 배터리(206)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접속이 종료된 경우, 배터리(206)는 전원 차단 또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접속을 대기하게 된다. 이에 302단계에서 다른 USB 장치와 접속이 수행된 경우, 배터리(206)는 제어부(218)의 제어하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218)에서는 발광부(212)를 통해 기 설정된 색을 발광시키고, 304단계에서 마스터 수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USB 잭(202)이 슬레이브 모듈과 연동되고, USB 소켓(214)이 마스터 모듈에 연동된 상태에서 USB 소켓(214)에 다른 USB 장치가 접속된 경우, 306단계로 진행하여 마스터 모드를 구동하게 되며, 마스터 모드에서 접속된 다른 USB 장치로부터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기 설정된 경우, 해당 데이터들을 모두 다운로드 받게 된다. 그리고 312단계에서 파일 다운로드가 완료된 경우, 314단계에서 발광부(212)는 발광을 정지하여 점멸하게 된다.
그러나 USB 소켓(214)을 통해 다른 USB 장치가 접속된 경우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슬레이브 모드로 구동하게 되며, 슬레이브 모드에서 접속된 다른 USB 장치로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기 설정된 경우는 310단계에서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다른 USB 장치로 업로드하게 된다.
그리고 312단계에서 파일 업로드가 완료된 경우, 발광부(212)에서는 314단계에서 발광을 정지하여 점멸하게 된다.
한편, 마스터 모드 및 슬레이브 모드가 제어부(218)의 제어를 통해 전환이 가능한 경우는 304단계에서 USB 잭(202) 또는 USB 소켓(214)을 통해 접속된 USB 장치가 접속된 경우, 제어부(218)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의 선택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키 입력부(216)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이에 마스터 모드가 선택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다른 USB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슬레이브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슬레이브 모드로 다른 USB 장치가 제어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컴퓨팅 장치가 없는 환경에서도 두 개의 usb 플래시 드라이브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서 마스터 및 슬레이브 모드를 동시에 지원하여 다른 USB 플래시 드라이브가 접속된 경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를 선택한 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USB1 102 : SLAVE1
104 : MASTER 110 : USB2
200 : USB 저장 장치 202 : USB 잭
204 : 충전부 206 : 배터리
208 : 디스플레이부 210 : 메모리부
212 : 발광부 214 : USB 소켓
216 : 키 입력부 218 : 제어부

Claims (10)

  1. 컴퓨터 또는 다른 범용 직렬 버스(USB) 장치와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장치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컴퓨터 또는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슬레이브 모드로 구동되는 USB 잭과,
    상기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되는 USB 소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USB 장치가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직렬 버스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된 키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토대로 발광 또는 점멸하는 발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마스터 구동 명령을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다른 USB 장치에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USB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6. USB 인터페이스에서 컴퓨터 또는 다른 범용 직렬 버스(USB) 장치와 접속하는 과정과,
    충전부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배터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제어부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장치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과정과,
    메모리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 중 USB 잭에 상기 컴퓨터 또는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슬레이브 모드로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중 USB 소켓에 상기 다른 USB 장치와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은,
    상기 제어부에서 키 입력부로부터 마스터 구동 명령을 전달받는 과정과,
    상기 다른 USB 장치에 접속된 경우, 마스터 모드로 구동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발광부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토대로 발광 또는 점멸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또는 점멸하는 과정은,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접속 발광 신호를 토대로 발광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발광 신호를 토대로 기설정된 색으로 발광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송수신 신호를 토대로 발광 및 점멸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송수신 완료 신호를 토대로 점멸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구동 방법.
KR1020100118468A 2010-11-26 2010-11-26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2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68A KR101220839B1 (ko) 2010-11-26 2010-11-26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68A KR101220839B1 (ko) 2010-11-26 2010-11-26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64A true KR20120056964A (ko) 2012-06-05
KR101220839B1 KR101220839B1 (ko) 2013-01-10

Family

ID=4660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468A KR101220839B1 (ko) 2010-11-26 2010-11-26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95B1 (ko) 2013-12-02 2014-07-18 최형호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9895A1 (en) * 2005-01-04 2006-07-06 Pocrass Alan L Flash memory with integrated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wireless capability
TW200632735A (en) * 2005-03-01 2006-09-16 Chesen 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pansion of flash memory
KR100641058B1 (ko) * 2005-11-28 2006-11-01 양유석 유에스비 커넥터를 이용한 자동 게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839B1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6907B (zh) 多主机无线输入设备
CN107206280A (zh) 用于移动设备的游戏控制器以及操作游戏控制器的方法
CN104571991A (zh) 控制板、点亮设备以及点亮方法
CN106104504A (zh) 用于usb集线器的双模式端口上的断开连接检测的系统及方法
TWI509410B (zh) 電腦主機及其網路通訊設定方法
KR101220839B1 (ko) 마스터 모드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0968329A (zh) 一种烧录器及其操作方法、烧录系统
CN112827163B (zh) 一种游戏手柄的模拟方法及移动设备
CN209928235U (zh) 一种用于冰箱的外接设备及系统
CN204168541U (zh) 带有多种无线技术与控制协议可视界面操控灯具
CN109697035A (zh) 级联设备的地址数据的写入方法、写入设备及存储介质
CN202802546U (zh) 可扩展的激光治疗仪
CN105323516B (zh) 投影系统及投影控制方法
US10996276B2 (en) Host illumination of indicators of an AC adapter
CN207557927U (zh) 一种仪表及手持软件更新工具
CN206193708U (zh) 无线鼠标及应用其的计算机
TWI479360B (zh) 可切換操作模式的光學感測裝置及其控制方法
CN102737000B (zh) 数据传送装置和方法
CN212624028U (zh) 一种基于多模式通信的单片机升级装置
WO2011140790A1 (zh) 移动终端和单板调控方法
CN204288201U (zh) 控制板以及点亮设备
CN212572151U (zh) 充电装置及充电系统
CN202728137U (zh) 汽车用带can收发器的无线遥控led显示装置
CN220305658U (zh) 一种半导体激光治疗仪无线脚踏控制电路
CN220483590U (zh) 一种无人机电池充电器、充电系统及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