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744A -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 - Google Patents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744A
KR20120056744A KR1020100120122A KR20100120122A KR20120056744A KR 20120056744 A KR20120056744 A KR 20120056744A KR 1020100120122 A KR1020100120122 A KR 1020100120122A KR 20100120122 A KR20100120122 A KR 20100120122A KR 20120056744 A KR20120056744 A KR 2012005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protective cover
cutter
lawn mower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재
Original Assignee
이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재 filed Critical 이양재
Priority to KR1020100120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744A/ko
Publication of KR2012005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0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 A01D75/206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for mowers carried by op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 Y10S56/17Cutt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예초기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원판형태의 칼날이 회전되도록 하여 경작지에 심어진 콩대의 밑부분이 안정적으로 잘려질 수 있도록 하는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는 예초기의 회동축에 장착되는 커터와, 커터의 상부를 감싸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홈을 가지는 보호커버와, 보호커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기울어진 콩대를 바로 세우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Bean harvester using plant cutter apparatus}
본 발명은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기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원판형태의 칼날이 회전되도록 하여 경작지에 심어진 콩대의 밑부분이 안정적으로 잘려질 수 있도록 하는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을 수확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람이 허리를 굽히거나 앉은 자세에서 두둑을 이동하면서 낫을 이용하여 콩대를 자르고, 잘라진 콩대를 두둑의 옆에 가지런히 놓아야 하는 작업이 반복되기 때문에 콩의 수확작업이 매우 힘든 것은 물론, 작업능률 또한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콩의 수확 과정에서 콩대가 기울어져 이를 수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콩의 경작지가 넓고, 제때에 수확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건비 및 부대 경비가 얻어지는 소득에 비하여 과다하게 소요되어 경제적으로 커다란 부담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예초기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원판형태의 칼날이 회전되도록 하여 경작지에 심어진 콩대의 밑부분이 안정적으로 잘려질 수 있도록 하는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는 예초기의 회동축에 장착되는 커터와, 커터의 상부를 감싸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홈을 가지는 보호커버와, 보호커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기울어진 콩대를 바로 세우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호커버는 원판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하며, 절개홈은 몸체부를 V자 형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는 상면이 하면보다 큰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몸체부의 가운데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는 보호커버의 절개홈을 통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안전하게 콩 수확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지지부재를 통하여 기울어진 콩대를 바로 세우면서 콩 수확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인건비 및 부대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1)는 예초기(2)의 회동축(4)에 장착되는 커터(10)와, 커터(10)의 상부를 감싸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홈(22)을 가지는 보호커버(20)와, 보호커버(20)의 상부에 배치되어 기울어진 콩대를 바로 세우는 지지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초기(2)는 엔진부(미도시)와, 엔진부에 배치된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단부에 형성된 제1웜기어(3A)를 가지는 구동축(3)과, 제1웜기어(3A)의 단부에 대응 형성되는 제2웜기어(4A)를 가지는 회동축(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터(10)는 회동축(4)에 연결되기 위한 체결홀(11)이 형성되어 회동축(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체결너트(40)는 커터(10)를 회동축(4)에 가압 고정시킨다.
봉커버(5)는 엔진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구동축(3)의 외부를 감싸 구동축(3)의 오염이나 손상을 방지한다.
보호커버(20)는 봉커버(5)의 종단에 연결되고, 커터(10)의 상부를 감싸서, 콩 수확 작업에서 이물질이 커터(10)와 충돌하여 사용자에게 날아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보호커버(20)는 원판형태의 몸체부(21)와, 몸체부(21)를 V자 형으로 절개한 절개홈(22)을 포함한다.
한편, 엔진부에 내장된 엔진의 출력은 구동축(3)에 의해 동력 손실 없이 커터(10)로 전달되어, 동력 효율을 높이고 큰 토크를 필요로 하는 작업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보호커버(20)의 상부에는 콩 수확 작업에서 기울어진 콩의 콩대를 바로 세워 지지함으로써 콩 수확작업이 보다 수월하도록 하는 지지부재(3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1)가 콩 수확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기울어진 콩대를 지지함으로써 콩의 수확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함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지지부재(30)는 상면이 하면보다 큰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보호커버(20)의 몸체부(21)의 가운데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1)는 지지부재(30)를 통하여 기울어진 콩(50)의 콩대를 지지함과 동시에 예초기(2)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원판형태의 커터(10)가 회전되도록 하여 경작지에 심어진 콩대의 밑부분이 잘려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콩(50)의 수확작업은 절개홈(22)을 가지는 보호커버(20)를 통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 2...예초기
10... 커터 20...보호커버
22... 절개홈 30...지지부재

Claims (3)

  1. 예초기의 회동축에 장착되는 커터와,
    상기 커터의 상부를 감싸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홈을 가지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기울어진 콩대를 바로 세우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원판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홈은 상기 몸체부를 V자 형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면이 하면보다 큰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가운데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장치.
KR1020100120122A 2010-11-25 2010-11-25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 KR20120056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22A KR20120056744A (ko) 2010-11-25 2010-11-25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22A KR20120056744A (ko) 2010-11-25 2010-11-25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44A true KR20120056744A (ko) 2012-06-04

Family

ID=4660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22A KR20120056744A (ko) 2010-11-25 2010-11-25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7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7961A (zh) * 2014-01-23 2014-05-21 刘禧 可调护挡割草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7961A (zh) * 2014-01-23 2014-05-21 刘禧 可调护挡割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8084A (en) Rotary gardening tool
CN206713419U (zh) 一种小型可调切割角度割草机
US7644564B2 (en) Electric modular pruning and/or topping machine
US2625867A (en) Portable weeder
KR100809175B1 (ko) 구근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KR20120056744A (ko) 예초기를 이용한 콩 수확 장치
CN107251705A (zh) 一种具有杂草收集功能的割草机
CN105123109A (zh) 兼具锄草和切断功能的除草机
KR20070049025A (ko) 농작물 수확장치
CN205005491U (zh) 兼具割草功能的锄草机
KR20200029947A (ko) 중경 예초기
KR20150054639A (ko) 예초기용 김매기 호미
KR200404883Y1 (ko) 예초기
KR200408715Y1 (ko) 농작물 수확장치
CN205040253U (zh) 兼具锄草和切断功能的除草机
KR20120049098A (ko) 이중 회전날이 한 쌍으로 구비된 제초기 작업봉 헤드
KR20200045130A (ko) 예초기
KR20190090237A (ko) 밭 골 사이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제초기
RU2415547C1 (ru) Электрокосилка
CN205357118U (zh) 一种农田转刀割草装置
KR200384579Y1 (ko) 휴대용 논매기 기계장치
WO2022215148A1 (ja) 刈払機に取り付け可能な根刈り用カッター及びそれを備える刈払機
KR20130019476A (ko)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JP3851622B2 (ja) 馬鈴薯茎葉刈り取り装置
RU116311U1 (ru) Ро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ашивания и измельчения травя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