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522A - 자성입자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자성입자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522A
KR20120056522A KR1020100118100A KR20100118100A KR20120056522A KR 20120056522 A KR20120056522 A KR 20120056522A KR 1020100118100 A KR1020100118100 A KR 1020100118100A KR 20100118100 A KR20100118100 A KR 20100118100A KR 20120056522 A KR20120056522 A KR 20120056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ap
magnetic particles
induction part
reac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577B1 (ko
Inventor
옥지태
김성국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5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05Pre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separation
    • B03C1/01Pre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separation by addition of magnetic adjuv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2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4Magnetic plugs and dipsticks with associated cleaning means, e.g. retractable non-magnetic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6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e.g. magnetic drain bo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8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are suspended i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2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al field, special shape or 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6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 입자가 포함된 시료에서 자성입자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자성입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측정 분석물을 포함하는 샘플 용액이 수용되는 반응 용기; 외부 표면에 상기 피측정 분석물이 결합되고, 자성을 띠는 자성 입자; 상기 반응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캡; 및 자력을 갖는 자성체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캡의 하단 중심부에 상기 자성 입자가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부의 자력이 상기 하단 중심부에 집중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성입자 분리장치{Magnetic beads separator}
본 발명은 자성입자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성입자가 첨가되어 있는 시료로부터 자성입자를 분리할 수 있는 자성입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핵산이 포함된 액체 상태의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핵산이 포함된 시료에 자성입자(Magnetic beads)를 첨가하고 그 시료를 교반하여 자성입자와 핵산을 결합시킨 후, 자석으로 그 자성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핵산 추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성입자 분리장치가 사용되기도 하며, 자성입자 분리장치는 자석 및 자석의 외부를 감싸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입자 분리장치는 캡이 시료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하며, 시료를 교반시킨다. 시료가 교반됨에 따라 시료에 포함된 세포 등이 파괴되고 그 내부의 핵산은 확산되어 자성입자와 결합된다. 핵산이 자성입자와 결합되면 자석을 캡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자성입자가 캡에 달라붙도록 한 후, 캡과 자석을 함께 시료에서 빼내어 자성입자를 시료에서 분리함으로써, 시료에 포함된 핵산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성 입자가 포함된 시료에서 자성입자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측정 분석물을 포함하는 샘플 용액이 수용되는 반응 용기; 외부 표면에 상기 피측정 분석물이 결합되고, 자성을 띠는 자성 입자; 상기 반응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캡; 및 자력을 갖는 자성체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캡의 하단 중심부에 상기 자성 입자가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부의 자력이 상기 하단 중심부에 집중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유도부 및 상기 캡의 상기 반응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하단 중앙부가 상기 유도부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가 측면에 자력 차폐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가 복수의 자성체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가 상기 끝단부로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및 상기 부착 유도 수단의 상기 끝단부가 실질적으로 뾰족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캡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응 용기의 끝단부 형상이 상기 캡 및 상기 부착 유도 수단의 상기 끝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에 의하면, 자성 입자가 포함된 시료에서 자성입자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에서, 유도부가 캡 내부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에서, 캡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에서, 유도부가 캡 내부에 삽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유도부를 단면 V-V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에서, 캡의 외면에 자성 입자들이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비교 실시예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에 의하여 자성 입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반응용기 거치대에 반응 용기가 수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반응용기 거치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유도부(110); 캡(120); 반응 용기(130); 및 자성 입자(도 6의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샘플 용액(130a), 예를 들어 혈액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 예를 들어 핵산을 분리할 수 있다.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샘플 용액에 자성 입자(150)를 첨가하여 자성 입자(150)와 샘플 용액에 포함된 피측정 분석물을 결합시킬 수 있다.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피측정 분석물이 결합된 자성 입자(150)를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자성 입자(150)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분리함으로써,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자성 입자(150)가 포함된 샘플 용액(130a)에서 자성 입자(150)를 분리함으로써,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반응 용기(130)는 내부에 피측정 분석물을 포함하는 샘플 용액(130a)이 수용될 수 있다. 자성 입자(150)는 외부 표면에 피측정 분석물이 결합될 수 있다. 캡(120)은 반응 용기(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유도부(110)는 캡(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캡(120)의 외면 예를 들어 하단 중심부에 자성 입자(150)가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도부(110)는 자력을 갖는 자성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도부(110)의 자력이 하단 중심부에 집중될 수 있다.
여기서, 캡(120) 및 유도부(110)의 반응 용기(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부(111, 121)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유도부(110)에 의하여 유도되는 자성 입자(150)에 대한 인력이 캡(120) 끝단부(121)에 실질적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캡(120)의 끝부분이 뾰족한 형상이 되는 경우에도 캡(120)의 끝부분까지 자성 입자(150)에 대한 인력이 고르게 미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도부(110)에 의하여 자성 입자(150)에 가해지는 인력을 크게 함으로써, 자성 입자(150)가 포함된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캡(120)은 하단 중앙부가 유도부(110)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10)는 측면에 자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자력 차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10)는 복수의 자성체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응 용기(130)의 끝단부 형상이 캡(120) 및 유도부(110)의 끝단부(111, 1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부(110)에 의하여 자성 입자(150)에 가해지는 인력을 크게 함으로써, 자성 입자(150)가 포함된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반응 용기(130)는 반응용기 거치대(도 9 및 10의 50)에 수납되어 고정되거나 작업 단계에 따라 이동되면서,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의 추출 작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반응 용기(130)는 통상의 시험관과 같은 용기가 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용기 거치대(50)에는 복수의 반응용기 수납부(51)가 마련되고, 각각의 반응용기 수납부(51)에는 반응 용기(130)가 수납될 수 있다.
반응용기 수납부(51)의 하면의 형상은 반응 용기(130)가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응용기 수납부(51)의 하면의 형상은 반응 용기(130)의 외측 형상에 따라 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반응 용기(130)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작업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반응 용기(130)를 반응용기 거치대(50)에 지지하여 일괄적으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피측정 분석물에 대한 추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샘플 용액(130a)은 혈액이 될 수 있으며, 피측정 분석물은 혈액에 포함된 핵산이 될 수 있다.
자성입자 분리장치(10)는 자력을 이용하여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분리할 수 있다. 자성 입자(150)는 자성을 띠는 자성 입자가 되고, 유도부(110)는 자석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부(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력에 의하여, 유도부(110)를 둘러싸는 캡(120)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캡(120)의 표면에 피측정 분석물이 결합된 자성 입자(15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자성 입자(150)가 부착된 캡(120)이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분리되어 반응 용기(130)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성 입자(150)에 결합된 피측정 분석물이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입자(150)는 자성을 띠는 입자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자성 입자(15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자체가 자성을 띠지 아니하나, 자성을 가질 수 있는 또는 자력에 끌리는 금속 입자가 될 수 있다. 유도부(110)는 자석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도부(110)는 영구 자석 및/또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10)는 일부는 자석이 되고, 다른 일부는 자석과 연결되는 금속성 물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부(110)의 다른 일부에 해당하는 금속성 물체는 자석과 연결되어 자성을 띨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성 입자(150)가 자성을 띠는 자성 입자인 경우에 유도부(110)는 자석이 아닌, 자성을 띠는 자성 입자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금속성 물체가 될 수 있다.
자성 입자(150)가 자성을 띠는 자성 입자이고, 유도부(110)가 자석으로 이루어질 때, 자성 입자(150)와 유도부(110) 사이에 더 큰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110)는 자력에 의하여 부착력을 유도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부착력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샘플 용액(130a)이 별도의 주입 장치에 의하여 반응 용기(1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샘플 용액(130a)이 수용된 반응 용기(130) 내부에 자성 입자(15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반응 용기(130) 내부에 샘플 용액(130a)과 자성 입자(150)가 수용된 상태에서, 캡(120)이 반응 용기(13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왕복 운동 및/또는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샘플 용액을 교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샘플 용액(130a)이 교반됨에 따라 샘플 용액(130a)에 포함된 세포 등이 파괴되면서 그 내부의 핵산 등이 확산되어 자성 입자(150)와 결합될 수 있다.
핵산 등이 자성 입자(150)와 결합되면, 유도부(110)가 캡(120) 내부로 삽입되어, 자성 입자(150)가 자력에 의하여 캡(120)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유도부(110)와 캡(120)을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샘플 용액(130a)에 포함된 피측정 분석물이 추출될 수 있다.
유도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도부(110)는 반응 용기(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는 지지부(140)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유도부(110)를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캡(120)은 그 내부에 유도부(110)가 삽입되도록 하고, 샘플 용액(130a)이 수용된 반응 용기(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캡(120)의 외측면이 샘플 용액(130a)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캡(120)은 자성을 띠지 않고, 유도부(110)에 의한 자기력이 잘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캡(120)은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의 자성입자 분리장치(10)에서 캡(120)의 형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캡(120)은 유도부(110)가 삽입되는 입구가 되고,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삽입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캡(120)의 삽입구(122)가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유도부(110)가 캡(12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캡(120)의 다른 부분은 내면이 유도부(110)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면서 가능한 유도부(110)와 밀착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유도부(110)의 자력이 캡(120)의 표면에 가능한 잘 미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유도부(110)의 끝단부(111)가 둥글게 또는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유도부(110)가 캡(120)의 내부에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캡(120)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부(123)에 의하여 캡(120) 내부에 유도부(110)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분리될 수 있다. 안내부(123)는 캡(120)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groove)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의 자성입자 분리장치(10)에서 유도부(110)가 캡(120) 내부에 삽입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유도부(110)를 단면 V-V에서 바라본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도부(110)의 끝단부(111)가 실질적으로 뾰족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부(110)가 삽입되는 캡(120)의 끝단부(121)가 실질적으로 뾰족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부(110), 캡(120), 및/또는 반응 용기(130)의 끝단부(111, 121, 131)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도부(110)의 끝단부(111)와 캡(120)의 끝단부(121)가 서로 정합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부(110)의 끝단부(111)와 캡(120)의 끝단부(121)가 서로 면접촉할 수 있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부(110)에 의하여 유도되는 자성 입자(150)에 대한 인력이 캡(120) 끝단부(121)에 실질적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캡(120)의 끝부분까지 자성 입자(150)에 대한 인력이 고르게 미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유도부(110)에 의하여 자성 입자(150)에 가해지는 인력을 크게 함으로써, 자성 입자(150)가 포함된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응 용기(130)의 끝단부(131) 형상이 캡(120) 및 유도부(110)의 끝단부(111, 121)와 마찬가지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캡(120)의 외측면과 반응 용기(130)의 내부에 자성 입자(150)에 가해지는 인력이 고르게 미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성 입자(150)가 포함된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도부(110)가 끝단부(111)로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부(11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큰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성 입자(150)가 포함된 샘플 용액(1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도부(110)가 복수의 부재가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고 결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도부(110)가 끝부분이 뾰족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부(110)가 제1 부재(110c), 제2 부재(110b), 및 제3 부재(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재(110b)가 제1 부재(110c)보다 끝단부로 더 돌출되고, 제3 부재(110a)가 제2 부재(110b)보다 끝단부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110)는 제2 부재(110b)가 제3 부재(110a)를 중심으로 제3 부재(110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10c)는 제3 부재(110a)를 중심으로 제2 부재(110b)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재3 부재(110a) 및 제2 부재(110b) 만을 포함하거나, 제1 부재(110c) 외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형성하는 부재들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는 다양한 길이의 부재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캡(120)의 끝단부(121)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도부(110), 캡(120), 및 반응 용기(130)의 끝단부(111, 121, 131)가 뾰족한 형상 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자성 입자 분리 장치(10)의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입자 분리장치(20)는, 유도부(210), 캡(220), 및/또는 반응 용기(230)의 끝단부(211, 221, 231)가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도부(210), 캡(220), 및/또는 반응 용기(230) 사이에 면하는 표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성 입자(250)가 포함된 샘플 용액(2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자성입자 분리장치(20)는 도 1의 자성입자 분리장치(10)에 대하여 유도부(210), 캡(220), 및/또는 반응 용기(230)의 끝단부(211, 221, 231) 형상을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10, 20)에 대한 비교 실시예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3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성입자 분리장치(30)는 유도부(310)의 끝단부(311) 형상은 편평한 형상이고, 캡(320)의 끝단부(321) 형상은 뾰족한 형상이고, 반응 용기(330)의 끝단부(331) 형상은 둥근 형상이다.
이 경우, 캡(320)의 끝단부(321)가 샘플 용액(331a)과 접촉되는 경우에, 유도부(310)의 끝단부(311)와 캡(320)의 끝단부(321) 내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유도부(310)에 의한 자기장이 캡(320) 외측면에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꼭지점 부근에서는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30)는 도 6 및/또는 8의 자성입자 분리장치(10, 20)에 비하여 샘플 용액(330a)에서 피분석 대상물이 결합된 자성 입자(350)를 안정적으로 추출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10, 20)는 유도부(110, 210)에 의하여 유도되는 자성 입자(150, 250)에 대한 인력이 캡(120, 220) 끝단부(121)에 실질적으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자성 입자(150, 250)가 포함된 샘플 용액(130a, 230a)으로부터 피측정 분석물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성 입자가 포함된 시료에서 자성입자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자성입자 분리장치, 110: 유도부,
120: 캡, 130: 반응 용기,
140: 지지부, 150: 자성 입자.

Claims (9)

  1. 피측정 분석물을 포함하는 샘플 용액이 수용되는 반응 용기;
    외부 표면에 상기 피측정 분석물이 결합되고, 자성을 띠는 자성 입자;
    상기 반응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캡; 및
    자력을 갖는 자성체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캡의 하단 중심부에 상기 자성 입자가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부의 자력이 상기 하단 중심부에 집중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 및 상기 캡의 상기 반응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하단 중앙부가 상기 유도부 방향으로 함몰된 자성입자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가 측면에 자력 차폐제를 구비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가 복수의 자성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가 상기 끝단부로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유도부의 상기 끝단부가 실질적으로 뾰족한 형상인 자성입자 분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가 형성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용기의 끝단부 형상이 상기 캡 및 상기 유도부의 상기 끝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자성입자 분리장치.
KR1020100118100A 2010-11-25 2010-11-25 자성입자 분리장치 KR10127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00A KR101279577B1 (ko) 2010-11-25 2010-11-25 자성입자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00A KR101279577B1 (ko) 2010-11-25 2010-11-25 자성입자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522A true KR20120056522A (ko) 2012-06-04
KR101279577B1 KR101279577B1 (ko) 2013-06-27

Family

ID=4660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00A KR101279577B1 (ko) 2010-11-25 2010-11-25 자성입자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5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8424A1 (en) * 2019-01-18 2020-07-23 Giamag Technologies As Magnet device
WO2021111283A1 (en) * 2019-12-02 2021-06-10 Life Technologies Holdings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terial
KR20230013212A (ko) * 2021-07-16 2023-01-26 (주)마이크로디지탈 복잡 시료 추출용 카트리지 시스템 및 복잡 시료 추출 방법
WO2024101773A1 (ko) * 2022-11-11 2024-05-16 (주)마이크로디지탈 복잡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복잡 시료 전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1700B1 (en) * 1993-02-01 2001-11-21 Thermo Labsystems Oy Method for magnetic particle specific binding assa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8424A1 (en) * 2019-01-18 2020-07-23 Giamag Technologies As Magnet device
WO2021111283A1 (en) * 2019-12-02 2021-06-10 Life Technologies Holdings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terial
KR20230013212A (ko) * 2021-07-16 2023-01-26 (주)마이크로디지탈 복잡 시료 추출용 카트리지 시스템 및 복잡 시료 추출 방법
WO2024101773A1 (ko) * 2022-11-11 2024-05-16 (주)마이크로디지탈 복잡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복잡 시료 전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577B1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0248B1 (en) Magnetic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US20170131310A1 (en) Sample container carrier, laboratory sample distribution system and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US7799281B2 (en) Flux concentrator for biomagnetic particle transfer device
KR101279577B1 (ko) 자성입자 분리장치
US7326350B2 (en) System for separating magnetically attractable particles
CA2694785C (en) Method for suspending or re-suspending particles in a solution and apparatus adapted thereto
JP5519511B2 (ja) 試料採取用具
US20020117451A1 (en) Magnetic separation device
ES2625118T3 (es) Un sistema con una matriz magnética para manipular partículas magnéticas en una muestra, y métodos que usan la matriz magnética
US2010030097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washing and isolating magnetic particles in a continous fluid flow
KR20100120128A (ko)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US20120058027A1 (en) Separable Test Tube for Use in a Centrifugal Separator
US8153060B2 (en) Automatic analyzer
Zhao et al. Artificial micro-cinderella based on self-propelled micromagnets for the active separation of paramagnetic particles
JP2020535393A (ja) 磁性粒子を使って生体分子を固定化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US8747677B2 (en) Magnetic separation device
JP2010081915A (ja) 細胞回収用磁気スタンドおよび細胞回収用キット
US20140024136A1 (en) Magnetic particle separator
CN219470021U (zh) 一种96孔磁棒套
CN105973682A (zh) 样本分离装置及分离方法、生物芯片及其应用方法
US20230096792A1 (en) Electromagnetic sampling device protected in a septum piercing needle
CN212856165U (zh) 用于磁性颗粒的收集结构
JP2005205367A (ja) 磁気分離装置
US202204129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terial
JP3206760U (ja) 湿式又は液体の流動体の微小磁性異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