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556A -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556A
KR20120055556A KR1020127003610A KR20127003610A KR20120055556A KR 20120055556 A KR20120055556 A KR 20120055556A KR 1020127003610 A KR1020127003610 A KR 1020127003610A KR 20127003610 A KR20127003610 A KR 20127003610A KR 20120055556 A KR20120055556 A KR 2012005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mover
load controller
generator
over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075B1 (ko
Inventor
베싸 리히메끼
Original Assignee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filed Critical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ublication of KR2012005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0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 H02P9/107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for limiting effects of over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voltage or no-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4Control effected upon non-electric prime mover and dependent upon electric output value of the gener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0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 H02P9/105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원의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는 전기 그리드 (15) 의 전류, 전압 또는 이 둘 다를 측정하는 릴레이 장치 (12) 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장치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릴레이 장치 (12) 와 연결되는 속도/부하 제어기 (16) 를 포함한다. 상기 속도/부하 제어기는 상기 검출에 따라서 발전기 (10) 세트의 제 1 이동자 (11) 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상기 속도/부하 제어기 (16) 는 상기 제 1 이동자 (11) 와 연결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속도/부하 제어기 (16) 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둘 다가 검출되면 제 1 이동자 (11) 의 전력 출력을 낮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A PROTECTION ARRANGEMENT OF AN ELECTRIC POWER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전기(들)를 설치하도록 의도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시스템 (전기 전력 시스템) 에서의 결함시, 이 결함을 제거한 후에 작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발전기의 동기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중요한 결함으로는, 예를 들어, 결함 위치에서의 시스템 전압 붕괴를 유도하여, 발전 유닛과 그리드 사이의 동기 토크를 상당히 저감시키는 3 단계 단락 회로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결함시, 발전기와 그리드 사이의 부하각 (load angle) 이 개방되기 시작하는데, 그 이유는 그리드의 큰 관성으로 그리드의 속도 (단계) 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함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개별 발전기는 부하의 손실 (심지어 전압이 없어질 때에는 거의 제로 부하) 로 인해 가속화되는 반면, 제 1 이동자 (mover) 로부터의 구동 전력 (토크) 은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부하각은, 발전기의 지점 기계 전력 입력 및 전기 전력 출력이 균형을 이루는 발전기 단자에서의 사인파형 전력 곡선의 각이다. 즉, 발전기는 어떠한 전력 레벨 및 부하각에서 작동하고, 이 부하각에 의해서 발전기의 로터각이 그리드각을 유도한다. 제 1 이동자는 발전기에 기계 전력을 공급하는 엔진이다. 발전기와 엔진의 조합을 발전기 세트라고 종종 한다.
결함 분리 (fault clearacne) 가 충분히 신속하게 발생하여, 결함 동안의 발전기의 회전 속도에 주입된 에너지가 결함 분리 이후의 그리드에 주입될 수 있는 에너지보다 적거나 동일하면, 발전기의 재동기화가 가능하다. 도 1 에서는 소위 등면적법 (equal area criterion) 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이를 도시한다.
그리드의 정상 조건에서, 발전기는 이 그리드가 소모할 수 있는 만큼의 전력 (Pm) 을 발생시킨다. 도 1 에서 이러한 상태는 지점 0 으로 도시한다. 발전기 단자에서의 전기 전력 출력은 사인파형 곡선 (5) 을 따른다. 지점 0 에서, 사인파형 곡선의 각은 부하각인 δ0 이다. 그리드의 큰 교란, 예를 들어 3 단계 결함으로 인해, 발전기 단자의 전압은 저감한다. 그리하여, 부하각 (δ0) 에서 그리드에 전달될 수 있는 발전기의 전력 출력은 갑자기 하강한다. 사인파형 곡선 (6) 은 이러한 결함 상황을 나타내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전력 출력은 지점 1 까지 하강한다. 지점 2 에서 결함을 없애기 전에 발전기는 가속된다. 영역 A1 는 발전기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에너지를 나타낸다. 지점 2 에서, 부하각은 지점 1 에서의 부하각과 상이하다.
지점 2 에서의 결함 분리는 그리드에 전달될 수 있는 전력 변화를 다시 유발한다. 그리하여, 작동 지점은 지점 2 에서부터 지점 3 으로 곡선 (5) 으로 다시 변경된다. 이 때, 그리드로의 전기 전력 출력은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기계 전력보다 크고, 그리하여 발전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로터 속도는 지점 3 에서의 동기 속도보다 크기 때문에, 가속시 흡수한 운동 에너지 (면적 A1) 가 지점 4 에서 그리드로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소모될 때까지, 부하각 (δ) 은 계속 증가한다. 면적 A2 는 예상 에너지를 도시한다.
발전기는 면적 A2 가 면적 A1 이상이면 과도 안정적인 작동 지점으로 복귀한다. 도 1 의 예에서는 또한 시스템을 과도 안정 상태에 유지하기 위해, 지점 4 에서의 최대 부하각 (δmax) 을 나타낸다. 지점 2 에서의 임계 분리각 (δcr) 은, 결함 분리가 여전히 가능할 때 부하각의 한계이다. 임계 결함 분리 시간은 제 1 이동자의 토크, 발전기의 토크 곡선 (및 여기 레벨), 개시 부하각, 및 발전기의 관성 계수 (H) 를 따른다. 임계 분리각이 커지면, 임계 분리 시간도 커짐을 알 수 있다. 도 1 에서 최대 부하각은 지점 4 에 있고, 임계 분리 시간은 지점 2 에 있지만, 결함 분리는 임계 분리각 (δcr) 또는 임계 분리 시간 이전에 발생할 수 있고 또한 가속 에너지가 소모되는 부하각은 최대 부하각 (δmax) 보다 작을 수 있다.
발전기는 그리드의 작은 교란 이후에 정상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교란이 단시간, 통상적으로 250 ms 내에 중지하지 않으면, 그리드로부터 발전기를 분리함으로써, 더 큰 교란을 처리한다. 보호 릴레이 및 스위치는 분리에 사용된다. 결함 분리 이후에, 발전기는 그리드에 다시 연결되고, 그럼으로써 발전기는 동기 속도로 다시 작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리 및 재연결간의 시간 간격은 비교적 길고, 이는 전력 전달 및 분배에 위험하거나 심각한 중단이 있다는 것이다.
본원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는 독립항에 기재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에서는 본원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원의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는 전기 그리드의 전류, 전압 또는 이 둘 다를 측정하는 릴레이 장치 (relay arrangement) 를 포함한다. 이러한 릴레이 장치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를 검출하도록 채택된다. 보호 장치는 또한 릴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속도/부하 제어기를 포함한다. 속도/부하 제어기는 상기 검출에 따라서 발전기 세트의 제 1 이동자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속도/부하 제어기는 상기 제 1 이동자와 연결가능하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기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가 검출되면 제 1 이동자의 전력 출력을 더 낮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이하, 본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등면적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등면적법을 사용하여 본원의 효과를 나타내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원의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4 는 본원의 방법의 순서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결함 지점 근방의 발전기의 동기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결함 분리는 비교적 단시간, 통상적으로 250 ms 이내에 실시되어야 한다. 실제로, 그리드의 결함 지점은 결함 영향을 제한하도록 그리드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고 즉시 그리드에 다시 결합된다. 결함 분리에 대한 기간이 길어지면, 발전기의 기능 및 그리드의 신뢰성도 더 커지게 된다. 결함 분리 시간이 더 길어지면 이 결함을 없애는데 더 긴 시간을 줄 수 있다.
결함시 발전기의 구동 토크 (Pm) 를 저감시킴으로써, 결함 분리 시간을 더 길게 할 수 있다. 도 2 에서는 등면적법에 영향을 주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다. 결함 및 결함의 제거가 도 1 에서와 같이 동일하다면, 지점 0, 1, 2, 3 및 4 또한 동일하다. 결함 (및 가능하게는 분리) 이후에 (0 → 1), 구동 토크는 라인 7 을 따라서 저감한다. 이 때, 가속 에너지 (A1) 는 도 1 에서보다 더 적다. 이 때, 시스템으로의 소모가능한 에너지 양 (A2) 은 도 1 에서보다 더 크다. 그리하여, 임계 분리각 (δcr) 은 더 큰 각 (8) 으로 이동되고, 이는 또한 더 큰 임계 분리 시간을 의미한다. 최대 부하각 (δmax) 은 또한 더 큰 각 (9) 으로 이동한다.
구동 토크를 충분히 신속하게 저감시킬 수 있으면, 발전기 세트의 제 1 이동자는 결함 검출 후에 신속하게 구동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속도 제어는 결함시 토크를 저감시킬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는, 이러한 경우가 짧은 주기를 갖기 때문이다. 이는, 속도 제어가 비교적 장기간의 지연 이후에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또한 추가로 부하가 없어짐에 따라 처짐 제어 (droop control) 속도 기준값이 증가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처짐 제어는 그리드에 연결된 병렬식 발전기간의 그리드 부하를 분할하는데 사용된다.
본원은 구동 토크를 매우 신속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 이동자의 속도/부하 제어기가 특별한 결함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검출 신호에 따라서 구동 토크를 제어하도록 배열된다면, 필요한 제어 속도가 얻어질 수 있다. 도 3 에서는 본원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다.
본 장치는 전기 그리드 (15) 의 전류, 전압 또는 둘 다를 측정하는 릴레이 장치 (12) 를 포함한다. 릴레이 장치, 예를 들어 보호 릴레이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둘 다를 검출하도록 채택된다. 릴레이 장치의 통상적인 실시형태는 그리드로부터 전기양을 측정하는 기구 변환기 (13) 를 포함한다. 기구 변환기는 실제 릴레이 (14) 와 연결된다. 릴레이 장치는 많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러한 보호 릴레이는 모니터링된 신호에 기초하는 소위 검출 기능을 포함한다. 신호가 어떠한 미리 정해진 한계를 초과할 때 검출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발전기 (10) 의 출력 전류는 과전류 한계를 초과한다. 본원에 사용될 검출 신호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과전류 및 저전압의 조합 등의 단일 또는 다수의 공급원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릴레이 장치 (12) 는 속도/부하 제어기 (16) 에 연결된다. 검출 신호 (17) 는 엔진의 속도/부하 제어기에 전달된다. 속도/부하 제어기 (16) 는 검출에 따라서 발전기 세트의 제 1 이동자 (11) 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속도/부하 제어기는 상기 제 1 이동자에 연결가능하다. 제어기 (16) 는 제 1 이동자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 (18) 를 형성한다. 구동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서, 속도/부하 제어기 (16) 는 속도/부하 제어기 및 릴레이 장치 (12) 사이의 통신 라인, 및 제 1 이동자 (11) 및 속도/부하 제어기 (16) 사이의 통신 라인과 연결되는 결함 검출 유닛 (19) 을 포함한다. 결함 검출 유닛 (19) 은 검출 신호에 따라서 구동 신호를 직접으로 또한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함 검출 유닛 (19) 은 많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 3 에서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결함 검출 유닛 (19) 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유닛일 수 있다. 속도/부하 제어기 (16) 는 또한 종래 기술에 속하면서 본원을 나타내는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통상적인 속도/부하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는 것은 알만한 가치가 있다.
릴레이 장치 (12) 와 속도/부하 제어기 (16) 사이의 통신은 신속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장치의 디지털 출력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초고속 라인을 사용할 수 있다. 과전류, 저전압 또는 둘 다의 검출 및 검출 신호 (17) 의 출력간의 시간은 10 ms 미만이다. 또한, 구동 신호 (18) 를 형성하는 시간은 속도/부하 제어기 (16) 에서 10 ms 미만이다. 그리하여, 결함 검출에서부터 구동 신호까지 20 ms 미만의 기간이 걸릴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속도/부하 제어기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가 검출될 때 제 1 이동자의 전력 출력을 낮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의 검출이 중단되면, 속도/부하 제어기는 제 1 이동자의 전력 출력을 더 높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그리하여, 제 1 이동자 (11) 의 출력은 제로 또는 어떠한 다른 미리 결정된 전력 레벨 쪽으로 제어된다. 전력의 제한은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로 제 1 이동자의 출력을 매우 신속하게 저감시키고, 10 밀리초 이후가 되어서야 이러한 전력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제 1 이동자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전력 출력을 제어하는 어떠한 기술의 일종일 수 있다. 전류, 전압 또는 이 둘 다를 측정하고 또한 검출 신호를 속도/부하 제어기에 바로 전달하는 릴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필요한 속도가 얻어지고, 이 속도/부하 제어기는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서 이 검출 신호에 따라서 제 1 이동자에 대한 구동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도 4 에서는 전기 전력 시스템을 보호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전류, 전압 또는 이 둘 다는 그리드로부터 측정된다 (41). 이 측정된 양은 결함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가 존재하면, 측정에 따라서 검출 신호가 형성된다 (41). 존재하는 검출 신호에 따라서, 발전기의 제 1 이동자의 속도/부하 제어가 조절된다 (43). 이러한 조절은,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속도/부하 제어기에 의해 구동 신호를 변경하도록 채택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구동 신호는 제 1 이동자를 구동시킨다. 보다 자세하게는, 조절 단계는 검출 신호에 따라서 제 1 이동자의 전력 출력을 더 낮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결함이 없어진 이후에, 조절 단계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의 검출 신호가 중단되면, 제 1 이동자의 전력 출력을 원하는 어떠한 높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설명한 제어는 발전기 보호 릴레이 장치 (12) 또는 유사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결함 검출 신호 (17) 에 근본적으로 기초하여 제 1 이동자 (11) 의 토크에 영향을 준다. 속도/부하 제어기로부터 제 1 이동자까지의 구동 신호는, 전기양의 한계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및 형성될 구동 신호간의 지연이 소망하는 대로 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처침 제어의 영향은 고려되지 않는다. 제 1 이동자의 토크를 저감시킴으로써, 발전기 (10) 의 가속도는 저감된다. 또한, 임계 분리 시간 및 최대 부하각은 결함시 증가하고, 뿐만 아니라 본원의 제어에서는 후속의 결함 동기화시 토크를 저감시킨다. 결함 (검출 신호) 이 없어지면, 검출 신호의 유효성은 즉시 또는 지연 이후에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어떠한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견지에서, 본원의 실시형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본원은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어떠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8)

  1. 전기 그리드의 전류, 전압 또는 이 둘 다를 측정하는 릴레이 장치 (12) 를 포함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로서,
    상기 릴레이 장치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릴레이 장치 (12) 와 연결되는 속도/부하 제어기 (16) 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부하 제어기는 상기 검출에 따라서 발전기 세트의 제 1 이동자 (11) 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되며,
    상기 속도/부하 제어기는 상기 제 1 이동자와 연결되고,
    상기 속도/부하 제어기 (16) 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둘 다가 검출되면 제 1 이동자 (11) 의 전력 출력을 낮은 레벨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에 따라서, 낮은 레벨로의 전력 출력의 구동은, 전력 시스템의 결함 동안 또한 발전기 세트의 발전기의 임계 분리 시간 이전에 개시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부하 제어기 (16) 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의 검출이 중단될 때, 제 1 이동자 (11) 의 전력 출력을 높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부하 제어기 (16) 는 결함 검출 유닛 (1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장치 (12) 는 기구 변환기 (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6. 전기 전력 시스템을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전기 그리드의 전류, 전압 또는 이 둘 다를 측정하는 단계 (41) 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를 측정하는 경우에 검출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42), 및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서 발전기 세트의 제 1 이동자의 속도/부하 제어를 조절하는 단계 (4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 (43) 는 검출 신호에 따라서 제 1 이동자의 전력 출력을 낮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 (43) 는 과전류, 저전압 또는 이 둘 다의 검출 신호가 중단될 때 제 1 이동자의 전력 출력을 높은 레벨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방법.
KR1020127003610A 2009-08-12 2010-08-06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KR101740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95838A FI126257B (fi) 2009-08-12 2009-08-12 Sähkövoimajärjestelmän suojausjärjestely
FI20095838 2009-08-12
PCT/FI2010/050618 WO2011018549A2 (en) 2009-08-12 2010-08-06 A protection arrangement of an electric pow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556A true KR20120055556A (ko) 2012-05-31
KR101740075B1 KR101740075B1 (ko) 2017-05-25

Family

ID=4105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610A KR101740075B1 (ko) 2009-08-12 2010-08-06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36090B2 (ko)
EP (1) EP2465193B8 (ko)
KR (1) KR101740075B1 (ko)
CN (1) CN102484445B (ko)
FI (1) FI126257B (ko)
WO (1) WO20110185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9558B1 (de) 2010-01-19 2012-09-15 Ge Jenbacher Gmbh & Co Ohg Stationäre kraftanlage
US20130158726A1 (en) 2011-12-20 2013-06-20 Kohler Co.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network to control multiple power management systems
US9281716B2 (en) * 2011-12-20 2016-03-08 Kohler Co. Generator controller configured for preventing automatic transfer switch from supplying power to the selected load
US8963508B2 (en) * 2012-04-19 2015-02-24 Kohler Co. Method of controlling speed of a variable speed generator
US20140152009A1 (en) * 2012-11-30 2014-06-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mplementary power and frequency control for power generating equipment
US8841787B1 (en) * 2013-03-15 2014-09-23 Caterpillar Inc. Generator set adaptive droop control method
FI125034B (fi) 2013-04-09 2015-04-30 Wärtsilä Finland Oy Menetelmä sähkögeneraattorilaitteen käyttämiseksi ja sähkögeneraattorilaite
CN103758584B (zh) * 2013-10-16 2015-11-25 安徽三星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无接触无触点节能透平汽轮机跳车判断方法
US20150115902A1 (en) * 2013-10-29 2015-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fault ride through capability
US9979337B2 (en) * 2014-04-24 2018-05-22 Generac Power Systems, Inc. Method of loadshedding for a variable speed, constant frequency generator
US9577558B2 (en) * 2014-07-03 2017-02-21 Caterpillar Inc. Power management system having automatic calibration
CN104158453B (zh) * 2014-08-27 2016-09-28 国家电网公司 一种通过发电机负荷突变开始时刻屏蔽干扰信号抑制功率反调的方法
US9906176B2 (en) * 2015-06-04 2018-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ic calculation and control of synchronous machines
AT518130A1 (de) * 2015-12-29 2017-07-15 Ge Jenbacher Gmbh & Co Og Genset
CN113489395B (zh) * 2021-07-05 2023-05-16 重庆华世丹动力科技有限公司 直流发电机电压大范围自适应调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6822A (en) * 1972-03-22 1974-09-17 Kraftwerk Union Ag Control apparatus for temporarily reducing turbine torque
CH589785A5 (ko) * 1974-05-31 1977-07-15 Bbc Brown Boveri & Cie
US4344027A (en) 1980-02-07 1982-08-10 Karlicek Robert F Frequency regulator for synchronous generators
US5168208A (en) 1988-05-09 1992-12-01 Onan Corporation Microprocessor based integrated generator set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JP2587806B2 (ja) 1990-12-27 1997-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携帯用エンジン発電機
US5701070A (en) 1995-08-04 1997-12-23 Onan Corporation Electrical generator damag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circuit breaker trip initiation
US6815932B2 (en) * 2000-10-12 2004-11-09 Capstone Turbine Corporation Detection of islanded behavior and anti-islanding protection of a generator in grid-connected mode
WO2004073135A2 (en) 2003-02-10 2004-08-26 Briggs & Stratton Power Products Group, Llc Monitoring system for a generator
US7663849B2 (en) 2006-08-17 2010-02-16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Permanent magnet generator protection sch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95838A0 (fi) 2009-08-12
KR101740075B1 (ko) 2017-05-25
FI126257B (fi) 2016-08-31
CN102484445B (zh) 2014-08-27
FI20095838A (fi) 2011-02-13
EP2465193A2 (en) 2012-06-20
WO2011018549A2 (en) 2011-02-17
CN102484445A (zh) 2012-05-30
WO2011018549A3 (en) 2011-08-11
US20120139264A1 (en) 2012-06-07
US8736090B2 (en) 2014-05-27
EP2465193B8 (en) 2018-11-07
EP2465193B1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5556A (ko) 전기 전력 시스템의 보호 장치
US9520757B2 (en) Dual-shaft gas turbin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gas turbine system
CN101936258B (zh) 风力发电厂预测保护电路
KR20160071338A (ko) 저항 제동 능력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및 발전 방법
CN104599901B (zh) 用于接触器的检测电路
CA3068231C (en) Communication-based permissive protection scheme for power distribution networks
KR20150057989A (ko) 폴트 라이드 스루 성능을 갖는 발전 시스템 및 방법
WO2003058789A1 (en) Power grid connec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JP2005245190A (ja) 雷発生検知手段を備えた電源システム
US200902135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an electrical arc fault
CN103615322A (zh) Trt机组超速控制系统及其超速控制方法
US7518838B1 (en) Protection of variable frequency power systems from excessive peak electrical potentials
EP2651026B1 (en) Automatic fault isolation methodology
CN110112771B (zh) 核电厂发电机励磁装置检测发电机运行状态的方法及装置
JP5473699B2 (ja) 変圧器制御装置
CN111181249A (zh) 多电源并联的同步方法、控制电源、电控装置及净化器
JPS6117222B2 (ko)
JP2010259169A (ja) 保護継電装置
AU2012327353B2 (en) Improvement of the motor protection of a DC drive
CN107834690B (zh) 上、下级快速切换装置联动方法和联动系统
SU974489A1 (ru) Способ отключени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20121466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方法
JP5517865B2 (ja) 発電プラントの発電機電圧制御システム
JP2000217260A (ja) 発電設備の系統連系保護装置
JPH05268798A (ja) 発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