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228A -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 Google Patents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228A
KR20120055228A KR1020100116841A KR20100116841A KR20120055228A KR 20120055228 A KR20120055228 A KR 20120055228A KR 1020100116841 A KR1020100116841 A KR 1020100116841A KR 20100116841 A KR20100116841 A KR 20100116841A KR 20120055228 A KR20120055228 A KR 20120055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en
unit
barrel
lens
ma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618B1 (ko
Inventor
최도희
Original Assignee
최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도희 filed Critical 최도희
Priority to KR102010011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6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에 결합되는 결합고리를 갖는 고리결합커버와; 상기 고리결합커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를 터치하여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터치펜부와; 상기 터치펜부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에 장착되어 접사기능을 부여하는 접사렌즈부와; 상기 접사렌즈부를 커버하는 렌즈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DIOPTER LENS ASSEMBLY HAVING TOUCH PEN FUNCTION}
본 발명은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휴대폰은 단순히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 외에 업무관리, 인터넷, 멀티미디어, 영상촬영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움직이는 컴퓨터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별도로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고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업무와 관련된 문서 또는 물품등을 촬영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다.
그런데,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의 경우 기술발전에 따라 화소는 높아지고 있으나, 그 크기가 일반 카메라에 비해 작아 상대적으로 접사촬영과 같은 기능은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폰 카메라에 결합시켜 접사촬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사렌즈에 터치펜을 결합시켜 사용자가 휴대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사렌즈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사렌즈조립체는, 휴대폰에 결합되는 결합고리를 갖는 고리결합커버와; 상기 고리결합커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를 터치하여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터치펜부와; 상기 터치펜부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에 장착되어 접사기능을 부여하는 접사렌즈부와; 상기 접사렌즈부를 커버하는 렌즈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사렌즈부는, 일단부에 상기 터치펜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카메라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경통과;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경통의 일단부에 구비된 대물렌즈와; 상기 경통의 타단부에 구비된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접안렌즈 사이에 구비되어 피사체를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경통렌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통은, 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내부경통과 외부경통을 포함하며, 길이 조절을 통해 포커스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는 평상시 터치펜으로 사용하여 휴대폰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업무 중 갑작스럽게 접사촬영이 요구되는 경우 접사렌즈부를 휴대폰 카메라에 결합시켜 접사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 카메라에 의해 접사촬영된 이미지가 일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유사하게 촬영될 수 있어 작업자의 업무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2는 본 발명의 접사렌즈조립체가 휴대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접사렌즈조립체의 접사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접사렌즈조립체의 접사렌즈가 휴대폰 카메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100)가 휴대폰(A)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들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100)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100)는 휴대폰(A)의 악세사리결합공(b)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휴대폰(A)과 일체로 휴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100)는 휴대폰(A)의 액정화면(a)을 터치하여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터치펜부(110)와, 터치펜부(110)의 펜(113)을 커버하며 결합고리(130)가 장착되는 고리결합커버(120)와, 고리결합커버(120)에 연결되며 휴대폰(A)의 악세사리결합공(b)에 삽입되는 결합고리(130)와, 터치펜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휴대폰(A)의 카메라(B)에 장착되어 접사촬영을 보조하는 접사렌즈부(140)와, 접사렌즈부(140)의 접안렌즈(143)를 커버하는 렌즈커버(150)를 포함한다.
터치펜부(110)는 미사용시는 고리결합커버(120)에 결합되고, 사용시는 고리결합커버(120)로부터 분리되어 액정화면(a)을 터치한다. 터치펜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펜본체(111)와, 펜본체(111)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액정화면(a)을 터치하는 펜(113)과, 펜본체(111)의 타단부에 함몰형성되어 접사렌즈부(140)가 결합되는 렌즈삽입공(115)을 포함한다.
펜본체(111)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장시간 사용될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펜(113)은 펜본체(111)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미사용시는 고리결합커버(120)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펜본체(111)는 고리결합커버(120)와 나사결합되거나 걸림결합되거나 가압에 의해 억지끼워맞춤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펜본체(111)를 간편하게 고리결합커버(12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펜본체(111)는 휴대폰(A)의 액정화면(a)의 터치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펜본체(111)는 터치방식인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경우 펜본체(111)는 액정화면(a)을 가압하기 위한 형태로 구비되고,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펜본체(111)는 액정화면(a)으로 정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렌즈삽입공(115)은 펜본체(111)의 타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접사렌즈부(1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렌즈삽입공(115)은 접사렌즈부(140)의 내측판면에는 결합나사산(141a)에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접사렌즈부(140)와 나사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걸림고리 또는 걸림리브 등이 구비되어 접사렌즈부(14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리결합커버(120)는 터치펜부(110)가 휴대폰(A)에 결합된 상태로 휴대될 수 있도록 한다. 고리결합커버(120)는 상부영역에 결합고리(130)가 일체로 고정된다. 고리결합커버(120)의 하부영역은 개구가 형성되어 펜본체(111)가 삽입된다.
결합고리(13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휴대폰(A)의 악세사리결합공(b)에 결합된다.
접사렌즈부(140)는 터치펜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사렌즈부(140)는 터치펜부(110)로부터 분리된 후 단독으로 현미경과 같이 물체를 확대하여 보는데 사용되거나, 휴대폰(A)의 카메라(B)에 결합되어 접사촬영을 보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접사렌즈부(140)는 도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경통(141)과, 경통(141)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접안렌즈(143)와, 경통(14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대물렌즈(142)와, 접안렌즈(143)와 대물렌즈(142)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통렌즈(145)를 포함한다.
경통(141)은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터치펜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경통(141)의 타단부의 외측에는 터치펜부(110)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나사산(141a)이 형성된다. 결합나사산(141a)은 렌즈삽입공(1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경통(141)을 카메라(B)에 고정시킬 때 사용된다.
여기서, 경통(141)의 직경은 일반적인 휴대폰 카메라(B)의 외부창의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휴대폰 카메라(B)의 렌즈 크기가 경통(141)의 크기에 비해 크게 구비되어 경통(141)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위치고정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위치고정수단(미도시)은 경통(141)의 외측에 결합된 밴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대물렌즈(142)는 경통(141)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빛에 의해 사물이 투영된 이미지를 경통(141) 내부로 전달한다. 경통렌즈(145)는 대물렌즈(142)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접안렌즈(143)로 전달한다. 접안렌즈(143)는 사용자의 눈 또는 카메라(B)에 내장된 내장렌즈(미도시)로 이미지가 투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사렌즈부(140)는 대물렌즈(142)와 접안렌즈(143)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포커스가 조절되지 않게 구비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사렌즈부(140a)는 외부경통(146)에 경통(141)이 상호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접안렌즈(143)와 대물렌즈(142) 사이의 거리가 조절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호 나사결합되어 있는 외부경통(146)을 회전시켜 외부경통(146)과 경통(14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접사촬영시 포커스를 조절하거나, 현미경으로 사용시 물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렌즈커버(150)는 접사렌즈부(140)의 대물렌즈(142)가 구비된 타단부에 결합되어 대물렌즈(14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렌즈커버(150)는 경통(1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접사렌즈부(140)를 사용할 때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렌즈커버(15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접사렌즈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100)의 사용과정을 도1 내지 도7을 참고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결합고리(130)를 악세사리연결공(b)에 연결시켜 접사렌즈조립체(100)를 휴대폰(A)에 결합시킨다. 휴대폰(A)의 액정화면을 터치해야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펜부(110)를 고리결합커버(12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한다. 이 때, 터치펜부(110)의 후단부에 결합된 접사렌즈부(140)와 렌즈커버(150)는 결합된 상태로 펜(113)을 액정화면(a)에 터치하여 사용한다. 터치펜부(110)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시 펜본체(111)를 고리결합커버(120)에 결합시킨다.
한편, 휴대폰 카메라(B)를 통해 사물을 접사촬영해야할 경우, 사용자는 경통(141)을 터치펜부(11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렌즈커버(150)를 분리하고, 경통(141)의 결합나사산(141a)을 휴대폰 카메라(B) 외측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휴대폰 카메라(B)를 통해 촬영을 완료한다.
촬영이 완료되면 경통(141)을 휴대폰 카메라(B)로부터 분리하고, 렌즈커버(150)를 씌우고 터치펜부(110)에 다시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는 평상시 터치펜으로 사용하여 휴대폰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업무 중 갑작스럽게 접사촬영이 요구되는 경우 접사렌즈부를 휴대폰 카메라에 결합시켜 접사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 카메라에 의해 접사촬영된 이미지가 일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유사하게 촬영될 수 있어 작업자의 업무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사렌즈조립체는 고리결합커버에 터치펜부가 결합되도록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터치펜부와 접사렌즈부의 위치는 서로 가변될 수 있다. 즉, 고리결합커버에 접사렌즈부가 결합되고, 접사렌즈부에 터치펜부가 결합되도록 서로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접사렌즈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접사렌즈조립체 110 : 터치펜부
111 : 펜본체 113 : 펜
115 : 렌즈삽입공 120 : 고리결합커버
130 : 결합고리 140 : 접사렌즈부
141 : 경통 141a : 결합나사산
142 : 대물렌즈 143 : 접안렌즈
145 : 경통렌즈 146 : 외부경통
150 : 렌즈커버

Claims (3)

  1.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에 있어서,
    휴대폰에 결합되는 결합고리를 갖는 고리결합커버와;
    상기 고리결합커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를 터치하여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터치펜부와;
    상기 터치펜부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에 장착되어 접사기능을 부여하는 접사렌즈부와;
    상기 접사렌즈부를 커버하는 렌즈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사렌즈부는,
    일단부에 상기 터치펜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카메라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경통과;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경통의 일단부에 구비된 대물렌즈와;
    상기 경통의 타단부에 구비된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접안렌즈 사이에 구비되어 피사체를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경통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은,
    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내부경통과 외부경통을 포함하며,
    길이 조절을 통해 포커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겸용 접사렌즈조립체.

KR1020100116841A 2010-11-23 2010-11-23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KR101167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41A KR101167618B1 (ko) 2010-11-23 2010-11-23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41A KR101167618B1 (ko) 2010-11-23 2010-11-23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28A true KR20120055228A (ko) 2012-05-31
KR101167618B1 KR101167618B1 (ko) 2012-07-25

Family

ID=4627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41A KR101167618B1 (ko) 2010-11-23 2010-11-23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732A (ko) 2016-02-29 201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줌 기능을 지닌 전자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618B1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9242A1 (zh) 具有防尘功能的光学镜片调焦组件
US20220163758A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US8385004B2 (en) Accessory for portable imaging device
US2015017252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lose-up imaging with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149925B1 (ko)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CA2917551C (en) Optical system for imaging an object
US10082725B1 (en) Universal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mobile phone devices with backside camera and flash
JP3195419U (ja) 高倍率/低倍率顕微拡大レンズ
KR20120116088A (ko) 망원렌즈 및 광학줌렌즈, 보조전원장치, 적외선 조명장치 와 선택필터 슬라이딩 셔터장치를 갖는 홍채인식용 휴대용 단말기 일체형 케이스의 착탈식 장치
TWI627486B (zh) 可更換鏡頭模組之裝置
EP1251384A3 (en) High performance viewfinder eyepiece with a large diopter focus range
KR101375650B1 (ko)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167618B1 (ko)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US20150189135A1 (en) Tablet computer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camera lens
US9680976B2 (en) Electronic device
US20150189050A1 (en) Mobile phon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camera lens
KR101480249B1 (ko) 확대촬상용 유닛
KR20160118603A (ko) 셀카렌즈가 형성된 기능성 스마트폰
KR200389180Y1 (ko)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안경
US20140132815A1 (en) Digital camera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camera lens
CN212060732U (zh) 取景放大装置
TWM500272U (zh) 用於行動裝置的鏡頭結構
US20180352130A1 (en) Smart Phone Viewfinder
KR200236872Y1 (ko) 뷰파인더 내장 컴퓨터 통신용 화상 카메라
KR101626842B1 (ko) 접사렌즈가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