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206A -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206A
KR20120055206A KR1020100116810A KR20100116810A KR20120055206A KR 20120055206 A KR20120055206 A KR 20120055206A KR 1020100116810 A KR1020100116810 A KR 1020100116810A KR 20100116810 A KR20100116810 A KR 20100116810A KR 20120055206 A KR20120055206 A KR 2012005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ial network
search
network search
user
b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240B1 (ko
Inventor
원만호
김수현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10011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2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유지하는 사이트 저장부; 및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검색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실행하는 소셜 검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SOCIAL NETWORK SEARCHING SYSTEM AND SOCIAL NETWORK SEARCH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들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웹을 통해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수단도 점차로 진화되고 있다. 특히, 웹의 쌍방향성과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초로 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가 주목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자신의 주변 사람이 사용하는 물건, 정보, 구매 등에 매우 영향을 받으며, 사용자가 어떤 정보를 찾는 경우 자신과 가까운 지인의 경험을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과 동질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과 더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검색 시스템은 검색 요소에 검색자의 인맥이 배제되어 있는 실정이다.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관련성(relevance)이 높은 양질의 정보를 검색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와 관련 있는 출처로부터 정보를 검색하여 신뢰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검색 서비스 요청시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검색하는 사이트 검색부;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검색 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실행하는 소셜 검색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사이트 검색부는 사용자와 이웃인 이웃 블로그, 이웃 블로그와 이웃인 타 이웃 블로그, 사용자가 가입한 카페,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 카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이트 검색부는 자사에 가입된 내부 블로그와 타사에 가입된 외부 블로그의 이웃 관계를 설정하는 이웃 연결 서버와 연계되어 내부 블로그 및/또는 외부 블로그에서 이웃 블로그 및/또는 타 이웃 블로그를 검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섹션(section)의 표시 영역에 노출하는 결과 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tab)의 페이지에 노출하는 결과 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결과 노출부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컨텐츠 목록과, 컨텐츠 별로 컨텐츠의 출처에 해당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사이트 정보,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결과 노출부는 검색 결과를 커뮤니티 사이트의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한 후, 분류된 검색 결과를 탭에서 제공되는 서브 탭(sub tab)을 통해 구별하여 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결과 노출부는 검색 결과를 출처를 단위로 그룹핑 하여 검색 결과 내의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온/오프하는 메뉴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메뉴 버튼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소셜 네트워크 검색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움말 화면, 또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유도하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 이외의 탭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으로 이동하기 위한 탭 간의 이동 링크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검색 서비스 요청시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검색하는 사이트 검색단계;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검색 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실행하는 소셜 검색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대상으로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사용자 입장에서 관련성과 신뢰성이 높은 양질의 검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로그인 상황에서는 물론, 로그아웃 상황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검색의 접근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대한 다양한 유입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서비스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노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커뮤니티 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검색 서비스와 차별화 된,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서비스 하는데 있어 검색 결과 내 클러스터링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클러스터링 된 검색 결과에 대한 더 보기 실행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온/오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대한 검색 결과를 노출하는 탭으로의 이동을 지원하는 탭 간 이동 링크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서비스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키워드 기반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검색 요소에 '사람'이라는 요소를 더해 검색 정보에 대한 사용자와의 관련성을 높이고 사용자와 관련 있는 출처로부터 정보를 검색하여 개인화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서비스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사이트 검색부(110), 소셜 검색부(120), 결과 노출부(130),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블로그, 카페 등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 설정이 가능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블로그는 한두 문장 정도의 짧은 메시지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과 소통하는 마이크로블로그를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사이트 검색부(110)는 사용자가 검색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검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사이트 검색부(110)는 블로그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사이트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사이트 검색부(110)는 사용자와 이웃(서로 이웃 포함)인 이웃 블로그, 이웃 블로그와 이웃(서로 이웃 포함)인 타 이웃 블로그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사이트 검색부(110)는 자사에 가입된 내부 블로그와 타사에 가입된 외부 블로그 간의 이웃 관계를 설정하는 이웃 연결 서버(미도시)와 연계되어 내부 블로그 및 외부 블로그에서 이웃 블로그와 타 이웃 블로그를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이트 검색부(110)는 카페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사이트를 검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이트 검색부(110)는 사용자가 가입한 카페, 사용자가 관심 카페로 등록한 카페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미리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서비스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의 검색 대상이 되는 블로그나 카페에서는, 게시자가 글을 등록시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안내 문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블로그에서 블로거가 글을 등록할 때, 등록한 글에 대해 블로그 내에서의 이웃 공개는 허용하되 검색 엔진에서의 검색은 허용하지 않는 경우, '검색 허용을 하지 않은 이웃공개 글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이웃만 볼 수 있습니다.'의 안내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페에서 멤버가 글을 등록할 때, 등록한 글에 대해 카페 내에서의 전체 공개나 멤버 공개는 허용하되 검색 엔진에서의 검색은 허용하지 않는 경우, '검색 허용을 하지 않은 공개 글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멤버만 볼 수 있습니다.'의 안내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소셜 검색부(120)는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검색 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은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대상으로 키워드와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소셜 검색부(120)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 중 사용자에게 공개가 허용된 컨텐츠를 대상으로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결과 노출부(130)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소정의 표시 영역에 노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결과 노출부(130)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섹션의 표시 영역에 검색 결과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통합 검색' 모델에 의해 노출하는 경우,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할당된 섹션의 표시 영역에 검색 결과를 노출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검색은 입력된 키워드에 대해 지식iN, 카페/블로그, 사전, 이미지, 동영상, 음악, 최신 뉴스, 지역, 책, 쇼핑 등 관련된 모든 자료를 한 화면에서 섹션 별로 분류하여 보여주는 검색 방식을 의미한다. 다른 일례로, 결과 노출부(130)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의 페이지 상에 노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색 서비스에서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탭을 통해 카테고리 별 컬렉션을 노출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셜 검색' 탭(210)을 추가 구성하여 '소셜 검색' 탭(210)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211)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결과 노출부(130)는 검색 결과(211)를 커뮤니티 사이트의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한 후, 각각의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소셜 검색' 탭(210)에서 제공되는 서브 탭(213)을 통해 구별하여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검색' 탭(210)에는 검색 결과(211)를 정보의 구분 없이 보여주는 '전체' 탭(212) 이외에, 검색 결과(211)를 서비스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노출하는 서브 탭(213)인 '이웃 블로그' 탭, '가입 카페' 탭, '미투데이 친구' 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결과 노출부(130)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컨텐츠 목록과 함께, 컨텐츠 별로 컨텐츠의 출처에 해당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사이트 정보 및 커뮤니티 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과 노출부(130)는 '소셜 검색' 탭(310)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의 출처인 커뮤니티 사이트의 서비스 종류(311)와, 커뮤니티 사이트의 프로필 이미지(312)와, 사용자와 커뮤니티 사이트 간의 관계 정보(313)와, 커뮤니티 사이트의 닉네임(314) 등을 노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소셜 검색' 탭(310)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인맥 중심의 검색 정보임을 강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와는 무관하게 블로그 내에서 키워드와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단순 제공하는 '블로그' 탭(320)과 차별될 수 있다.
더욱이, 결과 노출부(130)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출처를 단위로 그룹핑 하여 검색 결과 내 클러스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과 노출부(130)는 동일한 출처의 검색 결과를 하나의 묶음(410)으로 그룹핑 하여 한눈에 볼 수 있는 클러스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초기 서비스 화면에서는 동일한 출처에서 검색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선별하여 노출할 수 있으며, 키워드 발생 빈도, 컨텐츠 등록 일시 등의 순으로 최상위 컨텐츠(411)와 이하 관련 컨텐츠(412)를 정렬할 수 있다. 초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클러스터링 된 검색 결과에 대하여 '더 보기'를 실행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스터링 대상인 동일 출처의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대한 유입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부(140)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온/오프하는 메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40)는 검색 서비스 화면 상에 상기 메뉴 기능과 대응되는 메뉴 버튼(610)을 제공한다. 이때, 메뉴 버튼(610)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온/오프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클릭에 따라 토글 방식으로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온/오프할 수 있다. 즉,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메뉴 버튼(610)을 통해 서비스를 온 시키고,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배제시키고자 할 경우 메뉴 버튼(610)을 통해 서비스를 오프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메뉴 버튼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뉴 버튼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로그인 상황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이 가능하도록 메뉴 버튼이 활성화 상태로 표시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로그아웃 상황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메뉴 버튼(620)이 비활성 상태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의 메뉴 버튼(620)을 클릭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40)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움말 화면, 또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유도하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40)는 비활성 상태의 메뉴 버튼(620)에 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검색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는 레이어(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검색은 로그인하면, 내 블로그 이웃과 가입한 카페의 글을 모아 보여주는 검색 서비스입니다.")를 표시하고 레이어 상에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로그인 하기' 메뉴(621)와, 도움말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움말 보기' 메뉴(622)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인터페이스부(140)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소셜 검색' 탭 이외의 다른 탭 위치에서, '소셜 검색' 탭으로 이동하기 위한 탭 간의 이동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40)는 '블로그' 탭, '카페' 탭 등의 페이지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소셜 검색' 탭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링크인 '소셜검색 보러가기' 링크(711)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40)는 '블로그' 탭 또는 '카페' 탭과 '소셜 검색' 탭 간의 이동을 위한 이동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서비스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검색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검색한다.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블로그, 카페 등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와 이웃인 이웃 블로그, 이웃 블로그와 이웃인 타 이웃 블로그, 사용자가 가입한 카페, 사용자가 관심 카페로 등록한 카페 등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로그인 상태에서는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의 검색이 가능하나, 로그아웃 상태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이 불가하므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서비스와 관련된 배너(예를 들어, 메뉴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를 노출시켜 사용자의 로그인을 유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배너를 클릭하는 경우 소셜 네트워크 검색의 기능을 설명하는 레이어를 보여주고, 사용자가 로그인 요청시 로그인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검색 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실행한다. 즉,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 중 사용자에게 공개가 허용된 컨텐츠를 대상으로 키워드와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소정의 표시 영역에 노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섹션의 표시 영역에 검색 결과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통합 검색' 모델에 의해 노출하는 경우,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할당된 섹션의 표시 영역에 검색 결과를 노출할 수 있다. '통합 검색' 모델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가 일정 건수 이상인 경우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할당된 섹션에 해당 컬렉션을 노출할 수 있으며, 한편 검색 결과가 일정 건수 미만이면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컬렉션을 노출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의 페이지 상에 노출할 수 있다. 검색 서비스에서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탭을 통해 카테고리 별 컬렉션을 노출시키게 되는데, 그 중 '소셜 검색' 탭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가 일정 건수 미만인 경우 '통합 검색'에서는 섹션을 통한 노출이 제외될 수 있으나, 검색 결과가 1건 이상이면 '소셜 검색' 탭의 페이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노출시 검색 결과에 포함된 각 컨텐츠 별로 컨텐츠의 출처인 커뮤니티 사이트의 서비스 종류와, 커뮤니티 사이트의 프로필 이미지와, 사용자와 커뮤니티 사이트 간의 관계 정보와, 커뮤니티 사이트의 닉네임 등을 노출하여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가 있는 검색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출처를 단위로 그룹핑 하여 검색 결과 내 클러스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100)은 동일한 출처의 검색 결과를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핑 하여 한눈에 볼 수 있는 클러스터링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클러스터링 된 검색 결과에 대한 더 보기 요청시 동일 출처의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대상으로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가 있는 검색 정보를 제공하여 관련성과 신뢰성이 높은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대한 유입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로그인/로그아웃 상황에서 소셜 네트워크 검색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110: 사이트 검색부
120: 소셜 검색부
130: 결과 노출부
140: 인터페이스부

Claims (24)

  1. 사용자의 검색 서비스 요청시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검색하는 사이트 검색부; 및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검색 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실행하는 소셜 검색부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와 이웃인 이웃 블로그, 상기 이웃 블로그와 이웃인 타 이웃 블로그,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카페,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 카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검색부는,
    자사에 가입된 내부 블로그와 타사에 가입된 외부 블로그의 이웃 관계를 설정하는 이웃 연결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내부 블로그 및/또는 상기 외부 블로그에서 상기 이웃 블로그 및/또는 상기 타 이웃 블로그를 검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섹션(section)의 표시 영역에 노출하는 결과 노출부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tab)의 페이지에 노출하는 결과 노출부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노출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컨텐츠 목록과, 상기 컨텐츠 별로 상기 컨텐츠의 출처에 해당되는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사이트 정보 또는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와 상기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노출부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한 후, 상기 분류된 검색 결과를 상기 탭에서 제공되는 서브 탭(sub tab)을 통해 구별하여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노출부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출처를 단위로 그룹핑 하여 상기 검색 결과 내의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온/오프하는 메뉴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에 따라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메뉴 버튼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의 상기 메뉴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움말 화면, 또는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을 유도하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 이외의 탭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으로 이동하기 위한 탭 간의 이동 링크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13.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의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검색 서비스 요청시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검색하는 사이트 검색단계; 및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출처로 하여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검색 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실행하는 소셜 검색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검색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이웃인 이웃 블로그, 상기 이웃 블로그와 이웃인 타 이웃 블로그,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카페,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 카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검색단계는,
    자사에 가입된 내부 블로그와 타사에 가입된 외부 블로그의 이웃 관계를 설정하는 이웃 연결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내부 블로그 및/또는 상기 외부 블로그에서 상기 이웃 블로그 및/또는 상기 타 이웃 블로그를 검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섹션의 표시 영역에 노출하는 결과 노출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의 페이지에 노출하는 결과 노출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노출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컨텐츠 목록과, 상기 컨텐츠 별로 상기 컨텐츠의 출처에 해당되는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사이트 정보 또는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와 상기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노출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한 후, 상기 분류된 검색 결과를 상기 탭에서 제공되는 서브 탭을 통해 구별하여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노출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출처를 단위로 그룹핑 하여 상기 검색 결과 내의 클러스터링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을 온/오프하는 메뉴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실행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에 따라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메뉴 버튼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실행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실행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의 상기 메뉴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움말 화면, 또는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을 유도하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 이외의 탭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검색과 관련된 탭으로 이동하기 위한 탭 간의 이동 링크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실행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검색 방법.
KR1020100116810A 2010-11-23 2010-11-23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10A KR101555240B1 (ko) 2010-11-23 2010-11-23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10A KR101555240B1 (ko) 2010-11-23 2010-11-23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06A true KR20120055206A (ko) 2012-05-31
KR101555240B1 KR101555240B1 (ko) 2015-09-24

Family

ID=4627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10A KR101555240B1 (ko) 2010-11-23 2010-11-23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952A1 (ko) * 2012-07-11 2014-01-16 Park Jin Won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비자그룹 형성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9386A (ko) * 2014-01-27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노드들의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8728B2 (ja) 2008-11-06 2012-11-07 ヤフー株式会社 関連ブログ提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952A1 (ko) * 2012-07-11 2014-01-16 Park Jin Won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비자그룹 형성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9386A (ko) * 2014-01-27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노드들의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240B1 (ko)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2701A1 (en)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user content sharing with location-based external content integration
US87192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ment of request processing
US8788476B2 (en) Method and system of triggering a search request
KR101687927B1 (ko) 이벤트 리뷰들을 획득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97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knowledge representation
CA2908095A1 (en) Entity bidding
US20090119263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moting human-assisted search
IL227139A (en) A system and method for using knowledge representation to provide information based on environmental inputs
CN111480159A (zh) 用于增强的企业列表的知识搜索引擎平台
JP6053775B2 (ja) 凝縮空間コンテキスト情報のオーディオ・プレゼンテーション
Staveteig et al. Barriers to family planning use in Eastern Nepal: Results from a mixed methods study.
Muchekeza et al. Adverse events following immunisation (AEFI) surveillance in Kwekwe district, Midlands province, Zimbabwe, 2009-2010.
KR101556020B1 (ko) 연령과 성별에 따른 관심사를 기반으로 블로그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55240B1 (ko) 사용자의 인맥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4810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hakurnia et al.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eczema in 6-7 and 13-14 years old Ahvazian school children.
US20160034958A1 (en) Generating Advertisements For Search Results That Are Associated With Entities
Karaoglu et al. Is medical education really stressful? A prospective study in Selcuk University, Turkey.
Eiband et al. A method and analysis to elicit user-reported problems in intelligent everyday applications
JP2008052634A (ja) サービス連携サーバ、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in et al. The analysis of AIDS sentinel surveillance among students in Nanning from 2011 to 2015.
Zeng et al. Analysis of reported HIV/AIDS cases in Hainan Province from 2011 to 2015.
Gregory et al. Male involvement in birth preparedness and complication readiness: perspectives from rural and urban postpartum women of Navrongo.
Jiang et al. Investigation of casual sex behaviors in men who have sex with men in Taizhou, Zhejiang, 2013-2016.
Azimatun et al. Factors affecting child psychosocial score of Thalassemic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