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506A - 구강세정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세정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506A
KR20120054506A KR1020110078846A KR20110078846A KR20120054506A KR 20120054506 A KR20120054506 A KR 20120054506A KR 1020110078846 A KR1020110078846 A KR 1020110078846A KR 20110078846 A KR20110078846 A KR 20110078846A KR 20120054506 A KR20120054506 A KR 2012005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acteria
present
lemon oil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마칼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마칼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마칼 인터내셔널
Publication of KR2012005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멘톨, 방부제, pH조정제 등을 함유한 통상의 구강세정액 조성물에 있어서,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녹차추출물 0.05~1.0중량%, 레몬오일 0.10~0.3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천연물질인 녹차추출물 및 레몬오일을 함유함으로써,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충치예방, 구취제거, 유해세균억제, 칼슘 이온을 흡착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강세정액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CAVITY WASHING MATERIAL}
본 발명은 구강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물질인 녹차추출물, 레몬오일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함으로써,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충치예방, 구취제거, 유해세균억제, 칼슘 이온을 흡착 기능을 가지고, pH 4 내지 5.5 범위의 변색범위를 갖는 지시약을 함유함으로써 구강 내 산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구강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 충치 및 구취는 건강과 직결된 문제로써, 전 세계적 관심사이며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크다.
이들 치주질환 및 충치는 치아 상과 잇몸부위에 집단으로 성장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야기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박테리아의 기술적인 용어는 "치태(dental plaque)"이며, 상기 치태 제거는 오랫동안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 수단으로서 중요시 되어 왔다. 종전에는 상기 치태를 주로 이를 닦는 것에 의해 제거하였으나, 치태가 칫솔질만으로는 완전한 제거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취는 구강 내의 효소가 타액 중에 존재하는 상피, 결합조직, 식물잔사, 구강 내 세균 등을 단백질원으로 하여 분해함으로써 휘발성 황화물을 생성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인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디메틸머캅탄 등이 있으며, 이들 휘발성 황화물 이외에 트리에틸아민 등의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있다.
이에 따라,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구취를 억제하기 위해서 구취의 1차 원인인 구강 내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구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종전에는 효과적으로 구취가 억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휘발성 황화물 제거에 탁월한 플라보놀,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 살균 작용을 하는 카테킨을 함유한 녹차추출물과 살균 및 칼슘 이온 흡착으로 치석, 치태 억제 효과가 있는 구연산을 함유한 레몬오일, 항균작용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구강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멘톨, 방부제, pH조정제 등을 함유한 통상의 구강세정액 조성물에 있어서,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녹차추출물 0.05~1.0중량%, 레몬오일 0.10~0.3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상기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프로폴리스 0.05~1.0중량%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pH 4 내지 5.5에서 변색범위를 갖는 지시약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물질인 녹차추출물 및 레몬오일, 프로폴리스를 함유함으로써,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충치예방, 구취제거, 유해세균억제, 칼슘 이온을 흡착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임상실험 실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살균시험 결과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E. Coli. 살균실험 실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S. typhimurium 살균실험 실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S. aureus 살균실험 실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S. gordonii 살균실험 실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S. sobrinus 살균실험 실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세균공정 임상시험 실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멘톨, 방부제, pH조정제 등을 함유한 통상의 구강세정액 조성물에 있어서,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녹차추출물 0.05~1.0중량%, 레몬오일 0.10~0.3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찻잎 중 유효성분을 분리, 정제한 것으로 휘발성 황화물 제거에 탁월한 플라보놀,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 및 살균 작용을 하는 카테킨을 함유함으로써, 구강 내 악취성분에 대하여 강한 구취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1.0중량%가 포함된다. 이는 0.05중량% 미만의 녹차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구취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녹차추출물의 함량증가에 따라 이에 대한 구취효과도 증가하지만 조성물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 레몬오일은 알데히드(aldehydes) 및 모노테르펜 히드로카본(monoterpene hydrocarbons)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며, 방부, 살균 및 면역 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레몬오일은 칼슘 이온 흡착으로 치석, 치태 억제 효과가 있는 구연산이 포함되어 있다.
아직까지 상기 레몬오일과 같은 에센셜 오일이 어떻게 항균 작용을 발휘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에센셜 오일이 세균의 세포막에 손상을 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소수성의 에센셜 오일이 수용액 속에서 쉽게 소수성의 세포막 속으로 침투해 세포막을 팽대시키고 세포막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세포막 투과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세균 세포를 사멸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에센셜 오일은 구강 세균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다른 합성물질들과는 달리 구강 내에 존재하는 유해균(충치 또는 치주염 원인균)들에 대해서는 강력한 억제 능력을 발휘하면서도 구강 내 유익균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
상기와 같이 유해균과 유익균을 선택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이유는 종래에 항균물질로 사용된 항생제가 항균작용을 하는 분자만이 합성되어 만들어졌지만 에센셜 오일과 같은 천연 물질에는 항균작용을 하는 분자 외에도 그 작용을 보완 및 진정시키는 퀀쳐(quencher)분자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녹차추출물 및 레몬오일이 포함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글 후 구강 내의 위해세균 및 잔류 음식물 등이 제거되어 부유된다. 이는 녹차추출물 및 레몬오일이 구강 속에서 구취 및 살균작용을 하여 제거된 휘발성 황화물, 치태 및 기타 잔류 음식물 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프로폴리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이다. 성분으로는 유기물과 미네랄이 가장 많은데, 미네랄?비타민?아미노산?지방?유기산?플라보노이드 등은 세포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테르펜류 등은 항암 작용을 한다. 주요한 효능으로는 항염?항산화?면역증강 등이 있다. 항염 효과를 내는 것은 사람의 몸에 염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그란딘을 만들어내는 효소를 절반까지 줄이기 때문이다. 또 주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활성산소를 없애기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있다. 또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케르세틴 등이 있어 암세포의 유전자가 복제되기 전에 차단하는 일을 한다. 상기 프로폴리스는 상기 녹차추출물 및 레몬오일과 함께 혼합하면 구강 내 항균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프로폴리스는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1.0중량%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05중량% 미만의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구강세정액은 충분한 항균작용을 발휘하지 못하고, 1.0중량%에서 프로폴리스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의 다른 구성성분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 그 항균 능력이 포화되기 때문에 그러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pH 4 내지 5.5에서 변색범위를 갖는 지시약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법랑질의 탈회 임계점인 pH 5.5 이하로 구강 내 산도가 떨어졌을 때 구강세정을 통해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시약으로는 메틸레드와 브롬크레졸그린을 1대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있는데, 이는 pH 5.4에서 회색이 되고, 그보다 산성 쪽에서는 적색, 염기성 쪽에서는 녹색이 되어 구강세정액의 색 변화에 따라 구강 내 산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티몰블루?브롬페놀블루?브롬크레졸그린?브롬크레졸퍼플을 혼합하여 pH 1.0?pH 7.0 사이에서 1pH 단위마다 적색?오렌지색?황색?녹색?남색 등으로 변색하도록 하는 지시약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시약으로 천연물질의 지시약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장미꽃, 수레국화, 다알리아 등의 꽃에서 추출된 안토시아닌을 지시약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안토시아닌은 물에 잘 녹으며 산성에서는 붉은색, 염기성에서는 푸른색 또는 녹색을 띠는바, 구강 내 산도가 높으면 구강 세정 후 붉은색 용액이 배출될 것이다. 한편, 꽃 즙 이외에도 열매나 과일의 즙을 우려낸 용액이 산성과 염기성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것이 있어 이를 지시약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검은콩 껍질에서 우려낸 물이나, 포도의 열매즙, 양파, 가지, 자주색 감자, 당근 등의 즙으로 구강 내 산도를 정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제형화하기 위해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함께 첨가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pH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색소, 용제 등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구강세정액이 구강 내 잘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며,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첨가된다.
상기 감미제로는 멘톤, 사카린나트륨, 자이리톨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며, pH조절제로는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말릭액시드(Malic acid)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첨가된다.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첨가된다.
상기 약효성분으로는 치아 에나멜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치환반응으로 불화아파타이트를 형성함으로써 치아의 경도 증가시켜 충치를 예방하는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아민 및 불화주석 등이 있으며, 프라그 형성억제에 효과적인 성분으로서는 피로인산나트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효소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약효성분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첨가된다.
상기 색소는 식용색소를 사용하되, 카라멜색소가 적합하며, 상기 용제로는 에탄올, 정제수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첨가된다.
상기 습윤제, 감미제, pH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색소, 용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구강세정제 조성물을 이루는 성분들을 살펴보았으나 이는 단지 업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강세정제 성분을 모두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녹차추출물 0.07 중량%, 레몬오일 0.20 중량%, 프로폴리스 0.07 중량% 및 습윤제, 감미제, pH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색소, 용제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E. Coli .균, S. typhimurium균, S. aureus균의 살균실험을 나타낸 실시도이다.
실험방법은 E. Coli .균, S. typhimurium균, S. aureus균을 액체배지에 배양시킨 후 배양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05 ~ 106 CFU/mL이 되도록 하여 본 발명인 구강세정액 20 mL에 첨가하고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초±3초, 1분±5초, 5분±5초간 방치한 후 세균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것이다.
하기 표는 E. Coli .균, S. typhimurium균, S. aureus균의 살균시험 결과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생균수 (N) = 집락수 (C) × 희석배수(D)
살균감소율(%) = [(초기세균수(A)-일정시간 후 세균수(B))/초기세균수(A)] × 100
E. Coli .균 살균실험 결과
초기 30초±3초 1분±5초 5분±5초
생균수(N) 8.3×105 <10 <10 <10
살균감소율(%) - (99.9% 이상) (99.9% 이상) (99.9% 이상)
S. typhimurium균 살균실험 결과
초기 30초±3초 1분±5초 5분±5초
생균수(N) 3.4×105 1.5×104 2.1×103 <10
살균감소율(%) - (95.6%) (99.4%) (99.9% 이상)
S. aureus균 살균실험 결과
초기 30초±3초 1분±5초 5분±5초
생균수(N) 3.8×105 6.0×103 4.7×102 <10
살균감소율(%) - (98.4%) (99.9%) (99.9% 이상)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E. Coli .균, S. typhimurium균, S. aureus균에서 현저한 살균효과를 보인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S. gordonii .균, S. sobrinus균의 살균실험을 나타낸 실시도이다.
실험방법은 상기 E. Coli .균, S. typhimurium균, S. aureus균의 살균실험 방법과 동일하다.
S. gordonii .균 살균실험 결과
초기 30초±3초 1분±5초
생균수(N) 2.9×105 4.3×104 <10
살균감소율(%) - (85.1%) (99.9%)
S. sobrinus균의 살균실험 결과
초기 30초±3초 1분±5초
생균수(N) 9.8×104 1.1×104 <10
살균감소율(%) - (88.8%) (99.9%)
상기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구강 내 혐기성 프라그 형성과 충치유발세균에 대한 강력한 살균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은 치태형성 억제효과 및 치태제거 효과도 탁월한데,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액 조성물로 가글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치태형성 억제효과는 약 12.25%, 치태제거 효과는 약 17.6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세정액 조성물의 세균공정 임상시험 실시도로써, 본 발명인 구강세정액으로 가글한 후 검출된 세균은 혐기성 세균 2종(Bifidobacterium inopinatum , Scardovia wiggsiae), 호기성 세균 7종(Neisseria meningitidis , Rothia mucilaginosa , Rothia dentocariosa , Streptococcus mitis , Septococcus oralis , Streptococcus australis , Parascardovia denticolens)으로 확인되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멘톨, 방부제, pH조정제 등을 함유한 통상의 구강세정액 조성물에 있어서,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녹차추출물 0.05~1.0중량%, 레몬오일 0.10~0.3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세정액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프로폴리스 0.05~1.0중량%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액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pH 4 내지 5.5에서 변색범위를 갖는 지시약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액 조성물.
KR1020110078846A 2010-11-19 2011-08-09 구강세정액 조성물 KR201200545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50 2010-11-19
KR20100115650 2010-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506A true KR20120054506A (ko) 2012-05-30

Family

ID=4627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846A KR20120054506A (ko) 2010-11-19 2011-08-09 구강세정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45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30B1 (ko) * 2020-02-13 2020-07-2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충치의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구강 청결제
KR102173528B1 (ko) * 2020-02-28 2020-11-03 주식회사 바른 섭취가 가능한 타블렛 또는 분말형 구강청결제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30B1 (ko) * 2020-02-13 2020-07-2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충치의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구강 청결제
KR102173528B1 (ko) * 2020-02-28 2020-11-03 주식회사 바른 섭취가 가능한 타블렛 또는 분말형 구강청결제 조성물
AU2020260455B1 (en) * 2020-02-28 2021-04-01 Bareun Co., Ltd. Ingestible tablet or powder type oral cleaning composition
CN113318016A (zh) * 2020-02-28 2021-08-31 正直有限公司 可摄取的片剂或粉末型口腔清洁剂组合物
WO2021172692A1 (ko) * 2020-02-28 2021-09-02 주식회사 바른 섭취가 가능한 타블렛 또는 분말형 구강청결제 조성물
KR20210110163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바른 섭취가 가능한 타블렛 또는 분말형 구강청결제 조성물
US11464715B2 (en) 2020-02-28 2022-10-11 Bareun Co., Ltd. Ingestible tablet or powder type oral cleaning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0282T3 (es) Composiciones de orégano para cuidado oral y sus métodos de uso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41639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2006199661A (ja) 共凝集阻害剤
KR20120093607A (ko) 구강용 액상조성물
CN107811890A (zh) 一种口腔养护牙膏组合物
CN106924162A (zh) 一种植物添加剂、抑菌剂、口腔护理产品以及植物添加剂在制备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KR101743508B1 (ko) 감귤 또는 라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35861B1 (ko) 오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48069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101505924B1 (ko) 생약재를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
KR102207872B1 (ko)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4506A (ko) 구강세정액 조성물
KR101068210B1 (ko) 관중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석류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 억제용 조성물
KR101622230B1 (ko) 충치균인 뮤탄스균과 치주질환원인균인 진지발리스균에 대한 살균효과를 가지는 천연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한 치은염, 치주염 예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12663A (ko) 치약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637653B1 (ko) 구취억제용 구강용 조성물
KR100765907B1 (ko) 해양 심층수의 무기 이온을 활용한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Ghelichli Formulation of new herbal Salvadora toothpaste with antidecay, wound healing and caring tooth and Periodontal diseases
RU2312657C2 (ru) Ополаскиватель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Kim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mouth rinsing solutions and natural herbal extracts on Streptococcus mutans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90124073A (ko)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