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237A -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237A
KR20120053237A KR1020100114402A KR20100114402A KR20120053237A KR 20120053237 A KR20120053237 A KR 20120053237A KR 1020100114402 A KR1020100114402 A KR 1020100114402A KR 20100114402 A KR20100114402 A KR 20100114402A KR 20120053237 A KR20120053237 A KR 2012005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groove
tbp
reinforcing
primary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746B1 (ko
Inventor
채희문
이종규
김현철
배준홍
임병옥
정왕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7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63B2231/06Stainless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는,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1차방벽의 주름부 내부에 삽입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주름보강부; 1차방벽이 결합되는 TBP(top bridge pad) 사이에 형성된 그루브(groove)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주름보강부의 일단부에 연결형성되는 그루브삽입부; 및 상기 그루브삽입부의 외면상에 돌출형성되는 TBP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membrane reinforcement of LNG ship}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1차방벽상에 형성된 주름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NG)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3℃로 냉각해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로, 이러한 액화천연가스가 에너지자원으로 등장함에 따라 이 가스를 생산지로부터 수요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방안이 검토되어 왔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량의 액화천연가스를 해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는 초저온상태로 액화시킨 액화천연가스를 안전하게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화물창(Cargo Containment System)이 구비된다.
LNG 운반선의 화물창(Cargo Containment System)은 구형 탱크(Spherical Type Tank)보다 용량이 크고 제작이 간편한 멤브레인형 탱크(Membrane Type Tank)가 선호되고 있으며,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36% 니켈강 등으로 제작되며, 기타 열응력 및 열수축에 강하고, 열침입을 막을 수 있는 인슐레이션 구조로 설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형 LNG 화물창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너 헐(inner hull)(10)상에 하부패널(bottom insulation panel)(20)이 설치되고, 그 위에 플렉시블 트리플렉스 조인트(flexible triplex joint)라는 2차방벽(secondary barrier)(30)이 설치된다.
2차방벽(30) 위에 다시 상부패널(top insulation panel)과 TBP(top bridge pad)(40)가 설치되고, 마지막으로 멤브레인인 1차방벽(primary barrier(primary stainless steel membrane))(50)이 용접되며, 1차방벽(50)인 금속 멤브레인에는 반복적인 온도변화 및 저장액체의 하중변화에 팽창 및 수축이 용이하도록 중앙부가 융기된 형상의 주름부(Corrugation)(51)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부패널(top insulation panel)과 TBP(top bridge pad)(40)를 ‘TBP(top bridge pad)(40)’라 통칭하기로 하며, 상부패널 사이에 형성된 홈과, TBP 사이에 형성된 홈과, 상부패널과 TBP 사이에 형성된 홈과, 상부패널과 TBP 자체에 형성된 홈을 ‘그루브(groove)(A)’라 통칭하기로 한다.1차방벽(50)은 극저온인 LNG와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고 운항중에는 LNG 슬러싱(sloshing)이 발생하기 때문에, 슬러싱에 대한 저항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주름부(51) 내부에 보강부재(61)를 삽입하며, 이러한 보강부재(61)는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의 내부형상에 대응되는 쐐기 형상을 가지며 플라이우드(plywood)로 제작된다.
종래에 1차방벽(50)상에 보강부재(61)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스테인리스 벨트(SUS(steel use stainless) belt)(62)상에 쐐기형상의 보강부재(61)를 나사못(63)으로 박아 고정시킨 후, 1차방벽의 주름부(51)상에 보강부재(61)가 삽입되도록 스테인리스 벨트(62)를 배열하고, 고무 밴드 등을 이용하여 1차방벽(50)상에 고정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거치고 있다.
또한, 주름부(51)상에 보강부재(61)가 삽입, 고정된 상태로 TBP(40)상에 1차방벽(50)을 설치하게 되므로 중량 추가, 유연성 제한 등으로 인해 작업에 어려움이 부가되고, 보강재가 나사못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한되며, 플라이우드(plywood)로 구성하는 경우 1차방벽의 용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암모니아 검사 등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가스를 흡수하여 건전성 검사를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1차방벽의 주름부를 보강함에 있어서, 1차방벽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TBP상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한 보강재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보강재 및 1차방벽의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극저온 내성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1차방벽의 주름부(51) 내부에 삽입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주름보강부(100); 상기 1차방벽(50)이 결합되는 TBP(top bridge pad)(40)에 형성된 그루브(groove)(A)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일단부에 연결형성되는 그루브삽입부(210); 및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외면상에 돌출형성되는 TBP고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보강부(100)는,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의 내면에 대응되는 쐐기형 외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를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주름보강면(110); 및 상기 주름보강면(110)의 확장된 단부상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일단부가 결합가능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TBP고정면(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는,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BP고정부(220)는, 상기 주름보강부(100)측에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쐐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TBP고정부(220)는,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단부에 형성되며,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대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보강부(100)는,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니켈강과 같은 극저온에 우수성을 가지는 금속재 또는 상기 금속재의 복합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1차방벽의 주름부를 보강함에 있어서, TBP에 형성된 그루브 내부로 그루브삽입부를 삽입하고, 그루브삽입부의 외면상에 돌출형성된 TBP고정부를 TBP상에 고정시키는 간단한 과정에 의해, 1차방벽의 주름부 보강용 보강재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1차방벽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TBP상에 직접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어, 나사못과 같은 부수적인 결합수단을 추가로 사용하여 1차방벽상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1차방벽의 설치 작업 또한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1차방벽의 주름부 내부에 삽입되는 주름보강부를 나사못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한할 필요가 없어, 극저온 내성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를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암모니아 검사 등의 건전성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 일반적인 멤브레인형 LNG 화물창 구조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2 - 일반적인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1차방벽의 주름부상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 - 도 3의 설치과정에서 그루브삽입단계를 적용하는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 - 도 3의 설치과정에서 TBP고정단계를 적용하는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 도 6의 설치과정에서 그루브삽입단계를 적용하는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 - 도 6의 설치과정에서 TBP고정단계를 적용하는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1차방벽의 주름부(51)(도 1, 2 참조)를 보강하도록 TBP(top bridge pad)(40)(도 1 참조)와 1차방벽(50)(도 1 참조)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3의 (a),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는 주름보강부(100), 그루브삽입부(210), TBP고정부(22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주름보강부(100)는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 내부에 삽입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는 상기 TBP(40)에 형성된 그루브(groove)(A)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일단부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TBP고정부(220)는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외면상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보강부(100)는, 주름보강면(110)과 TBP고정면(12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도 1, 2 참조)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외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를 따라 연장형성된다.
상기 주름보강부의 주름보강면(110)은,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가 무리한 하중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굴곡될 시, 상기 주름부(51)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상기 주름보강면(110)은 쐐기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주름보강부의 TBP고정면(120)은, 상기 주름부(51)와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는 단부, 즉, 상기 TBP(4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 상기 주름보강면(110)의 확장된 단부상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일단부가 결합가능한 지지면을 제공한다.
상기 주름보강부(100)는 상기 주름보강면(110)과 TBP고정면(120)을 구비할 수 있다면, 화물창에 적재되는 LNG의 하중, 보강재의 설치위치나 1차방벽(50)의 구조, 운항 조건 등에 따라, 상기 주름보강면(110)과 TBP고정면(120)의 내부가 중공된 상태, 또는 동일한 소재나 이질 소재로 충진시키는 등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가능하다.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는, 바(bar)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A)(도 4 참조)의 좌우 양측면상에 근접 또는 기밀하게 접속가능하도록, 상기 그루브(A)의 폭에 해당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좌우 폭방향으로 한쌍이 이격되게 설치되면서도,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다수가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그루브삽입부(210) 한쌍을 설치하는 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든 것으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구조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며, 상기 그루브(A)의 간격에 해당되는 폭을 가지는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를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TBP고정부(220)는, 상기 그루브(A)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자유단부상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주름보강부(100)측에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삽입부(210)가 상기 그루브(A) 내부로 일단 삽입되면,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를 상기 그루브(A) 외부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는, 그루브삽입단계와 TBP고정단계(이하 설명)를 거쳐 간단하게 그 설치가 가능하다.
도 4, 도 5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의 일실시예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삽입단계의 초기 상태와, 상기 TBP고정단계까지 거쳐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그루브삽입단계에서는, 상기 그루브(A) 내부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를 삽입하고, 상기 TBP고정단계에서는 상기 그루브삽입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그루브(A)상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TBP고정부(220)를 상기 TBP(40)측으로 밀거나 가압하여 상기 TBP(40)상에 고정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그루브삽입단계에서는 상기 그루브(A) 내부 간격만큼 상호 이격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그루브삽입부(210)가 상기 그루브(A) 내부에 전부 삽입가능하도록, 보강재를 상기 그루브(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시킨 상태로 상기 그루브(A)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그루브삽입부(210) 각각에 쐐기형상으로 연결형성된 상기 TBP고정부(220)의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그루브(A)를 형성하는 한쌍의 상기 TBP(4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소씩 걸려 삽입,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TBP고정단계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TBP(40)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41)과, 상기 폴리우레탄 폼(41)의 일측면에 결합된 플라이 우드(plywood)(42)로 이루어져, 상기 그루브삽입부(210)가 상기 TBP의 폴리우레탄 폼(41)에 근접 또는 밀접한 상태에서, 상기 TBP고정부(220)는 상기 TBP의 폴리우레탄 폼(41)의 그루브(A)측 일단부를 깎아내며 상기 TBP(40) 내측으로 파고들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주름보강부의 TBP고정면(120)의 하단면은 상기 그루브(A)를 형성하는 한쌍의 상기 TBP(40)의 일측과 타측 상면에, 일측부와 타측부가 각각 맞닿으며 상기 그루브(A) 내측으로의 삽입한계를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주름보강부(100)는 상기 그루브(A) 외측(도 5의 상기 그루브(A) 상측)에서 상기 TBP(40)의 상면에 맞닿게 되며,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와, TBP고정부(220)는 상기 그루브(A)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그루브(A)가 형성되도록 상기 TBP(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를 상기 그루브(A) 내측으로 밀어넣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주름부(51)가 보강재를 커버링하도록 상기 1차방벽(50)을 설치함으로써 견고한 1차방벽 주름부 보강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와 TBP고정부(220)는, 상기 그루브(A)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TBP의 폴리우레탄 폼(41)의 그루브(A)측 일부를 깎아내며 고정, 유지가능한 정도의 강도를 가진다면,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니켈강과 같은 극저온에 우수성을 가지는 금속재 또는 상기 금속재의 복합재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재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는 상기 주름보강부(100) 중앙의 1개소에 바(bar)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TBP고정부(230)는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를 상기 주름보강부(100) 중앙의 1개소에 설치하고, 상기 TBP고정부(230)를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한 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든 것으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와 TBP고정부(230)의 구조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주름보강부(100)상의 다른 지점에 다수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TBP고정부(230) 또는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대각도를 가지는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7, 도 8의 (a), (b)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의 일실시예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삽입단계의 초기 상태와, 상기 그루브삽입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TBP고정단계를 적용시키는 상태와, 상기 TBP고정단계를 거쳐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그루브삽입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BP고정부(230)를 상기 그루브(A)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까지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를 상기 그루브(A) 내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TBP고정단계에서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그루브(A) 외측에서 작업자가 상기 주름보강부(10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그루브(A)상에 위치하는 상기 TBP고정부(230)를,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BP(40)상에 박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TBP고정단계에서는, 회전에 의해 상기 TBP고정부(220)를 상기 TBP(40)상에 박아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설치각도 또한 조절하게 되며, 상기 TBP고정부(230)가 상기 그루브(A)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각이 아닌 다른 상대각도를 가지는 경우, 해당 상대각도만큼의 회전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주름보강부(100)를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에 대응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상기 TBP(40) 사이에 형성된 그루브(A) 내부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를 삽입하고,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외면상에 돌출형성된 상기 TBP고정부(220, 230)를 상기 TBP(40)상에 고정시키는 간단한 과정에 의해, 1차방벽의 주름부(51) 보강용 보강재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1차방벽(5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상기 TBP(40)상에 직접 보강재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나사못과 같은 부수적인 결합수단을 추가로 사용하여 1차방벽(50)상에 무리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이후 1차방벽(50)의 설치 작업 또한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보강부(100)를 나사못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한할 필요가 없어,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니켈강과 같은 극저온에 우수성을 가지는 금속재 또는 상기 금속재의 복합재를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암모니아 검사 등의 건전성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40 : TBP 41 : 폴리우레탄 폼
42 : 플라이 우드 50 : 1차방벽
51 : 주름부 100 : 주름보강부
110 : 주름보강면 120 : TBP고정면
210 : 그루브삽입부 220, 230 : TBP고정부
A : 그루브

Claims (6)

  1.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1차방벽의 주름부(51) 내부에 삽입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주름보강부(100);
    상기 1차방벽(50)이 결합되는 TBP(top bridge pad)(40)에 형성된 그루브(groove)(A)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일단부에 연결형성되는 그루브삽입부(210); 및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외면상에 돌출형성되는 TBP고정부(220, 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보강부(100)는,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의 내면에 대응되는 쐐기형 외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1차방벽의 주름부(51)를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주름보강면(110); 및
    상기 주름보강면(110)의 확장된 단부상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일단부가 결합가능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TBP고정면(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는,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BP고정부(220, 230)는,
    상기 주름보강부(100)측에서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쐐기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BP고정부(220, 230)는,
    상기 그루브삽입부(21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름보강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대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보강부(100)는,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니켈강과 같은 극저온에 우수성을 가지는 금속재 또는 상기 금속재의 복합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KR1020100114402A 2010-11-17 2010-11-17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KR10123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02A KR101236746B1 (ko) 2010-11-17 2010-11-17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02A KR101236746B1 (ko) 2010-11-17 2010-11-17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237A true KR20120053237A (ko) 2012-05-25
KR101236746B1 KR101236746B1 (ko) 2013-02-25

Family

ID=4626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402A KR101236746B1 (ko) 2010-11-17 2010-11-17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8906A (zh) * 2018-07-27 2020-02-11 气体运输技术公司 带有加强波纹膜的密封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16B1 (ko) 2014-05-22 2015-1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강부재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16B1 (ko) * 2009-01-05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름부를 갖는 멤브레인용 보강재와, 이를 갖는 멤브레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FR2936784B1 (fr) 2008-10-08 2010-10-08 Gaztransp Et Technigaz Cuve a membrane ondulee renforcee
KR101069643B1 (ko) * 2008-12-30 2011-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8906A (zh) * 2018-07-27 2020-02-11 气体运输技术公司 带有加强波纹膜的密封壁
CN110778906B (zh) * 2018-07-27 2023-03-14 气体运输技术公司 带有加强波纹膜的密封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746B1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347B1 (ko) 유체 저장용 탱크를 위한 밀폐 단열 벽
CN107270115B (zh) 一种用于制造罐壁的隔热边缘块
KR101349881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058522B1 (ko)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갖는 극저온 액체저장탱크
KR10137526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의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KR101069643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보강구조
KR10097014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금속 멤브레인
KR101672221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방벽보강부재
KR102048641B1 (ko) 응력 완화 슬롯이 제공된 절연 코너 블록을 포함하는 선박
KR20210110884A (ko) 밀폐 및 단열 탱크
KR101236746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KR10137525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
KR10134987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KR101617026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20200013222A (ko) 주름이 형성된 보강 멤브레인을 구비한 누설 방지 벽
KR10134987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
KR10134986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33762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구조체
KR101672209B1 (ko) 액화가스 화물창
CN112513514B (zh) 自支撑密封罐壁
KR10133763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KR102123185B1 (ko) 보강 곡선부를 구비한 주름을 포함하는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탱크 벽체
KR20180107363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벽
KR101387750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20170113770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코너패널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