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593A -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593A
KR20120052593A KR1020100113827A KR20100113827A KR20120052593A KR 20120052593 A KR20120052593 A KR 20120052593A KR 1020100113827 A KR1020100113827 A KR 1020100113827A KR 20100113827 A KR20100113827 A KR 20100113827A KR 20120052593 A KR20120052593 A KR 20120052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fov
diagonal
lens shading
shading corre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080B1 (ko
Inventor
현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080B1/ko
Priority to PCT/KR2011/008510 priority patent/WO2012067374A2/en
Publication of KR20120052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1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the noise originating only from the lens unit, e.g. flare, shading, vignetting or "cos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이 저장된 대각선 시야각(DFOV) 테이블 및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가 저장된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부, 자동 초점(Auto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측정하며,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촬상부 및 상기 이미지 촬상부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초점거리를 입력받으며, 상기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구하여 상기 구해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선정하며, 이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하여 렌즈 쉐이딩 교정을 수행하는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렌즈 쉐이딩 교정(fixed lens shading correction)값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 쉐이딩 교정(fixed lens shading correction)에 의하여 주변 영역이 과잉 보정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Camera module and method for correcting lens shading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다양한 카메라 기능을 가진 제품에 장착되는데, 최근 일반 디지털 카메라와 비교할 때에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향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촬상 장치 등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대상물의 여러가지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대상물, 촬영 기기의 성능 혹은 촬영 조건등에 의해 그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성분이 편중되거나 왜곡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시 렌즈 쉐이딩 보상(lens shading correction), 노출 보정(auto exposure) 및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등의 보정을 거친 후 이미지의 캡쳐를 진행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의 주변영역은 렌즈의 광학 특성으로 인해 충분한 빛을 받지 못하고 이로 인해 신호의 감쇄가 야기되는데 이를 렌즈 쉐이딩 (lens shading)이라 한다. 렌즈 쉐이딩에 의한 신호의 감쇄는 픽셀의 위치 및 컬러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미지 신호 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는 더 향상된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렌즈 쉐이딩 교정(lens shading correction)이라는 영상처리과정을 통하여 주변의 영역의 신호의 감쇄를 교정한다.
고정 렌즈 쉐이딩 교정(fixed lens shading correction)은 양상되는 카메라 모듈에 동일한 렌즈 쉐이딩 교정을 적용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 는 고정 렌즈 쉐이딩 교정(fixed lens shading correction)이 적용되기 전 이미지와 적용되고 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내는데, 원거리 포커싱에 최적화된 고정 렌즈 쉐이딩 교정(fixed lens shading correction)을 사용할 경우 도 1b 의 이미지와 같이 주변 영역이 과잉 교정(A)되어 오히려 중심보다 주변이 밝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렌즈 쉐이딩 교정 후 이미지의 주변 영역이 과잉 교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렌즈 쉐이딩 교정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이 저장된 대각선 시야각(DFOV) 테이블 및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가 저장된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부, 자동 초점(Auto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측정하며,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촬상부 및 상기 이미지 촬상부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초점거리를 입력받으며, 대각선 시야각(DFOV) 테이블로부터 상기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구하며,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로부터 구해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하여 렌즈 쉐이딩 교정을 수행하는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는 이미지의 중심부 픽셀에 대한 값을 기준값으로 하며, 픽셀의 위치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의 주변 픽셀의 교정 값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초점 거리에 따른 렌즈 위치와 대각선 시야각(DFOV)은 B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기준 대각길이(C)를 촬상부로 촬영하였을 때, 이미지 촬상부의 픽셀단위로 계수된 대각길이를 D, 기준 대각길이가 이미지에 나타나는 픽셀단위로 계수된 길이를 E라 할 때, 1/(2*arctan((C*D)/(2*B*E))) 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은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자동 초점(Auto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측정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하여 교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에서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는 이미지의 중심부 픽셀에 대한 값을 기준값으로 하며, 픽셀의 위치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에서 상기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의 주변 픽셀의 교정 값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초점 거리에 따른 렌즈 위치와 대각선 시야각(DFOV)은 B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기준 대각길이(C)를 촬상부로 촬영하였을 때, 이미지 촬상부의 픽셀단위로 계수된 대각길이를 D, 기준 대각길이가 이미지에 나타나는 픽셀단위로 계수된 길이를 E라 할 때, 1/(2*arctan((C*D)/(2*B*E))) 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렌즈 쉐이딩 교정(fixed lens shading correction)값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 쉐이딩 교정(fixed lens shading correction)에 의하여 주변 영역이 과잉 보정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a 는 원거리 포커싱과 근거리 포커싱에서의 렌즈 쉐이딩 교정 전의 이미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 는 원거리 포커싱에 최적화된 렌즈 쉐이딩 교정 후의 원거리 및 근거리 이미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a 는 대각선 시야각(DFOV)차트이다.
도 3 b 는 대각선 시야각(DFOV)이 큰 경우의 대각선 시야각(DFOV)차트와 실제 카메라 이미지의 외곽을 나타낸 모식도 이다.
도 3 c 는 대각선 시야각(DFOV)이 작은 경우의 대각선 시야각(DFOV)차트와 실제 카메라 이미지의 외곽을 나타낸 모식도 이다.
도 3 d 는 대각선 시야각(DFOV) 챠트와 카메라 모듈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모듈은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 a 는 대각선 시야각(DFOV)차트이고, 도 3 b 는 대각선 시야각(DFOV)이 큰 경우의 차트와 실제 카메라 이미지의 외곽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 c 는 대각선 시야각(DFOV)이 작은 경우의 차트와 실제 카메라 이미지의 외곽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3 d 는 대각선 시야각(DFOV) 챠트와 카메라 모듈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촬상부(100), 메모리부(110),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이미지 촬상부(100)는 자동 초점(Auto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취득한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대각선 시야각(DFOV) 테이블 및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을 구비한다. 대각선 시야각(DFOV) 테이블에는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면서 각 초점거리에서의 대각선 시야각(DFOV)를 계산하고, 각 초점거리에서 계산된 대각선 시야각(DFOV)을 정리하여 테이블로 만든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이 저장된다.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에는 각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대하여 렌즈 쉐이딩 교정이 최적화되도록 이미지의 각 픽셀에 보정되는 교정 값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렌즈 쉐이딩 교정 이득을 픽셀위치의 함수로서 구하고 대각선 시야각(DFOV)을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라 변화되는 함수 값들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한다.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120)는 상기 이미지 촬상부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초점거리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초점거리와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대각선 시야각(DFOV) 테이블을 비교하여 상기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구하고,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로부터 구해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선정한다. 렌즈 세이딩 교정 함수가 선정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120)는 상기 선정된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상기 이미지 촬상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하여 렌즈 쉐이딩 교정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대각선 시야각(DFOV)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a 는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을 구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대각선 시야각(DFOV) 차트(200)이다. 대각선 시야각(DFOV) 챠트(200)에 도시된 네 개의 마크를 연결한 사각형의 대각선 길이가 기준 대각 길이가 된다. 도 3 b 는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이 대각선 시야각(DFOV) 차트의 외곽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로서, 촬영된 이미지의 대각 길이에 대하여 기준 대각 길이는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이다. 도 3 c 는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이 대각선 시야각(DFOV) 차트의 외곽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로서, 촬영된 이미지의 대각 길이에 대하여 기준 대각 길이는 상대적으로 큰 경우이다.
도 3 d 는 대각선 시야각(DFOV) 챠트와 카메라 모듈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각선 시야각(DFOV)은 카메라가 커버하는 대각 길이를 A, 챠트와 카메라 모듈간의 거리를 B라 하면 tan(1/((2*DFOV)) = (A/2)/B로 정의된다. 챠트의 도시된 네 개의 마크에 의하여 결정된 기준 대각길이를 C라하고, B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대각선 시야각(DFOV) 차트를 이미지 촬상부로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면서 촬영하였을 때, 이미지 촬상부의 전체 이미지의 대각선 길이를 픽셀 단위로 계수한 대각 길이를 D, 기준 대각길이(C)가 촬상된 이미지에 나타나는 픽셀 단위로 계수된 길이를 E라 하면, 이미지 촬상부가 촬영한 실제 이미지 대각길이 A는 C*D/E이 되고, 이를 상기 대각선 시야각(DFOV)의 정의식에 대입하면 대각선 시야각(DFOV)은 1/(2*arctan((C*D)/(2*B*E))) 로 표현된다.
도 4 는 모듈은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 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는 상기 위치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을 구하는 수식에서 구한 렌즈의 위치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을 렌즈의 초점 위치에 따라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초점 위치에서 근거리 초점 위치로 움직일 때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이 점차 작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도 5 를 참조하면,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는 이미지의 중심부 픽셀에 대한 값을 기준 값으로 할 때 픽셀의 위치가 이미지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중심대비 주변 이득이 증가된 값을 갖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함수 값을 갖는 것은 렌즈 쉐이딩 효과가 이미지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기 때문이다. 즉, 렌즈 쉐이딩 효과는 이미지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며 이를 교정하기 위한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도 이미지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더 큰 값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기준 값은 1로 정해진다.
또한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에 의한 주변 픽셀의 교정 값이 증가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이 증가할수록 렌즈의 위치는 원거리 초점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검토한 바와 갈이 렌즈가 원거리 초점 위치에서 근거리 초점 위치로 이동할 때, 고정된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사용하면 이미지 주변부가 과잉 교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거리 초점 위치에서 근거리 초점 위치로 렌즈의 위치가 이동할 때, 렌즈 쉐이딩 교정에 적용되는 함수도 원거리 초점 위치에서의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310)에서 근거리 초점 위치에서의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320)로 변경되어 이미지 주변부가 과잉 교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원거리 초점 위치에서의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의 주변 픽셀의 교정 값은 근거리 초점 위치에서의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의 주변 픽셀의 교정 값보다 크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측정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한다(S601).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라 과잉 교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측정하여 저장(S602)한다.
자동 초점(Auto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측정하고, 초점거리에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한다(S603).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120)에서 상기 취득된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구한다(S604).
또한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120)에서는 상기 구해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선택한다(S605).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120)에서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하여 교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606).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이미지 촬상부 110 : 메모리부
120 :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
200 : 대각선 시야각(DFOV) 차트 210 : 실제 카메라 이미지 외곽
220 : 대각선 시야각(DFOV) 230 : 카메라 모듈
310 : 원거리 초점 위치의 렌즈 쉐이딩 교정 이득 함수
320 : 근거리 초점 위치의 렌즈 쉐이딩 교정 이득 함수

Claims (8)

  1.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이 저장된 대각선 시야각(DFOV) 테이블 및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가 저장된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부;
    자동 초점(Auto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측정하며,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촬상부; 및
    상기 이미지 촬상부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초점거리를 입력받으며, 대각선 시야각(DFOV) 테이블로부터 상기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구하며,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테이블로부터 구해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하여 렌즈 쉐이딩 교정을 수행하는 이미지 데이터 교정 처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는 이미지의 중심부 픽셀에 대한 값을 기준값으로 하며, 픽셀의 위치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의 주변 픽셀의 교정 값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초점 거리에 따른 렌즈 위치와 대각선 시야각(DFOV)은 B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기준 대각길이(C)를 이미지 촬상부로 촬영하였을 때, 이미지 촬상부의 픽셀단위로 계수된 대각길이를 D, 기준 대각길이가 이미지에 나타나는 픽셀단위로 계수된 길이를 E라 할 때, 1/(2*arctan((C*D)/(2*B*E))) 로 표현되는 카메라 모듈.
  5. 초점거리에 따른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자동 초점(Auto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측정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대각선 시야각(DFOV) 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대각선 시야각(DFOV) 값에 따른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하여 교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는 이미지의 중심부 픽셀에 대한 값을 기준값으로 하며, 픽셀의 위치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선 시야각(DFOV)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렌즈 쉐이딩 교정 함수의 주변 픽셀의 교정 값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초점 거리에 따른 렌즈 위치와 대각선 시야각(DFOV)은 B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기준 대각길이(C)를 이미지 촬상부로 촬영하였을 때, 이미지 촬상부의 픽셀단위로 계수된 대각길이를 D, 기준 대각길이가 이미지에 나타나는 픽셀단위로 계수된 길이를 E라 할 때, 1/(2*arctan((C*D)/(2*B*E))) 로 표현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KR1020100113827A 2010-11-16 2010-11-16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KR10179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827A KR101797080B1 (ko) 2010-11-16 2010-11-16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PCT/KR2011/008510 WO2012067374A2 (en) 2010-11-16 2011-11-09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correcting lens shad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827A KR101797080B1 (ko) 2010-11-16 2010-11-16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593A true KR20120052593A (ko) 2012-05-24
KR101797080B1 KR101797080B1 (ko) 2017-12-12

Family

ID=4608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827A KR101797080B1 (ko) 2010-11-16 2010-11-16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7080B1 (ko)
WO (1) WO201206737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366B1 (ko) * 2019-10-07 2021-03-26 (주)하이비젼시스템 렌즈모듈 액티브 얼라인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6909B1 (en) 2014-09-26 2015-11-1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lens shading color correction using block matching
CN110175503A (zh) * 2019-04-04 2019-08-27 财付通支付科技有限公司 长度获取方法、装置、保险理赔系统、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7509B2 (ja) * 2004-01-14 2011-06-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747729B1 (ko) * 2005-12-29 2007-08-08 엠텍비젼 주식회사 이미지 프로세서, 렌즈 셰이딩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EP1927877A1 (de) * 2006-08-10 2008-06-04 MEKRA Lang GmbH & Co. KG Weitwinkelobjektiv und Weitwinkelkamera
US8749662B2 (en) * 2009-04-16 2014-06-10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ens shading image corr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366B1 (ko) * 2019-10-07 2021-03-26 (주)하이비젼시스템 렌즈모듈 액티브 얼라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080B1 (ko) 2017-12-12
WO2012067374A2 (en) 2012-05-24
WO2012067374A3 (en)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8207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image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JP6516429B2 (ja) 距離計測装置、撮像装置、および距離計測方法
US9160919B2 (en) Focus adjustment unit and camera system
US98386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correction of a black level in a combined image signal
US81646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moire pattern of digital imaging device
US10652450B2 (en) Focus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913113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01260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1065245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22223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11023482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060063724A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WO2012026502A1 (ja) 立体撮影装置および立体撮影方法
US101168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calculating motion vector between images with different in-focus positions
US20110187903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correcting image distortion and image distortion correcting method thereof
JP2011211329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20052593A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렌즈 쉐이딩 교정 방법
JP2016090568A (ja) 距離計測装置、撮像装置、および距離計測方法
US1049184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program
US10205870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95416A (ja) 焦点調節装置、撮像装置、焦点調節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2223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6464783B (zh) 图像拾取控制设备、图像拾取设备和图像拾取控制方法
JP201917630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45690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撮像装置、および自動焦点調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