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860A -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860A
KR20120051860A KR1020100113180A KR20100113180A KR20120051860A KR 20120051860 A KR20120051860 A KR 20120051860A KR 1020100113180 A KR1020100113180 A KR 1020100113180A KR 20100113180 A KR20100113180 A KR 20100113180A KR 20120051860 A KR20120051860 A KR 2012005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equipped terminal
call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674B1 (ko
Inventor
문병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674B1/ko
Priority to US13/296,650 priority patent/US9226096B2/en
Publication of KR2012005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Abstract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타 모뎀 장착 단말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고 통화 기능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화 중계하는 모뎀 장착 단말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Communication Rela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뎀 장착 단말기의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사용하여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하여 특정 기능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음악 파일 재생을 위하여 MP3 플레이어 모듈, 영상 수집 기능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는 서비스 특화를 위하여 이동통신 모뎀이 장착되지 않은 단말기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비모뎀 장착 단말기는 컴퓨터 단말기, 타블렛 단말기, TV 단말기, 자동차 통신 단말기 등 다양하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모뎀이 장착되어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와, 모뎀이 장착되지 않고 특정 사용자 기능에 특화된 단말기들이 혼재해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사용자들은 모뎀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해당 휴대 단말기를 특정 장소에 거치한 상태를 다른 업무나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모뎀 장착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모뎀 장착 휴대 단말기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뎀 장착 단말기를 통화 기능의 중계 역할로 설정하고 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타 모뎀 장착 단말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고 통화 기능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화 중계하는 모뎀 장착 단말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 송신 지원 방법은 모뎀 장착 단말기가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통화 중계 기능으로 등록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통하여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에 통화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화 중계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은 통화 중계 기능으로 등록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가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경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에 송수신하는 통화 중계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뎀 장착 단말기를 항상 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다양한 생활공간에 배치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모뎀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뎀 장착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모뎀 장착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모뎀 장착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10)은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 이동통신망(300) 및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10)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사용자 설정이나 제어에 따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를 통화 중계 기능으로 동작하도록 지원하여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과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은 모뎀이 장착되지 않은 단말기들로서 이동통신망(300)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단말기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은 장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들을 이용하여 다른 비모뎀 장착 단말기 또는 모뎀 장착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를 통화 중계 단말기로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을 통한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은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TV 단말기, 휴대용 대형 스크린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은 자동차에 구축된 전자 통신 시스템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이 될 수 도 있다.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상기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 제어에 따라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 중 적어도 하나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통화 기능 수행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즉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100, 101)의 통화 기능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 사이에서 통화 기능에 필요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즉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통화를 요청하면, 이동통신망(300)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면,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 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통화를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망(300)은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망은 CDMA, TDMA, WCDMA, FDMA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는 근거리 통신 모듈의 포함여부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동일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송신측 단말기로 동작하는 경우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는 수신측 단말기로서 동작하며, 반대의 경우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는 송신측 단말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유사하게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같이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10)은 이동통신망(300)에 접속이 가능한 모뎀 장착 단말기를 중계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여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모뎀 장착 단말기를 통하여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은 모뎀 장착 단말기를 직접적으로 운용할 수 없는 환경이거나, 모뎀 장착 단말기 운용이 번거로운 경우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 중 도면번호 100으로 명시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말기로서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하 설명에서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를 기준으로 비모뎀 장착 단말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 제1 입력부(120), 제1 오디오 처리부(130), 제1 표시부(140), 제1 저장부(150) 및 제1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기반으로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를 기반으로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통화 걸기 또는 통화 수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다이얼러, 화상 전화 프로그램 및 통화 API(TAPI) 등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 및 루틴들과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기반으로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를 기준으로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마련된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모듈, 지그비 모듈, UWB 모듈, NFC 모듈 등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 간에 형성된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통화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를 수신 및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로부터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을 위한 데이터, 메시지 수신에 대한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통화 연결을 위한 데이터, 연결된 통화 채널을 기반으로 전송할 음성 신호 또는 화상 신호, 메시지 서비스의 메시지나 메일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 등을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부(12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입력부(12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랩 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 탑 컴퓨터인 경우 제1 입력부(120)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될 수 있으며, TV 단말기 등인 경우 버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입력부(120)는 다수의 버튼 키, 사이드 키, 핫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시 그에 대응하는 응답을 위한 입력 신호, 통화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부(120)는 특정 모뎀 장착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위해 특정 번호를 입력하거나 폰북 정보에 포함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폰북 정보는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폰북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폰북 정보는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싱크되어 해당 폰북 정보의 갱신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서 폰북 정보 중 특정 항목이 삭제되는 경우,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폰북 항목 삭제 정보를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폰북 항목 삭제 정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폰북 항목을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폰북 정보의 갱신 기능은 폰북 항목의 생성, 수정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폰북 정보의 특정 항목을 삭제, 생성, 수정하는 경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모뎀 장착 단말기(200)로부터 해당 폰북 정보 갱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폰북을 갱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 및 비모뎀 장착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폰북 정보의 특정 항목이 삭제, 수정, 갱신되는 경우,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여 동일한 폰북 정보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디오 처리부(13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구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와,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하여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오디오 처리부(130)의 스피커(SPK)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전달하는 통화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SPK)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해당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SPK)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 연결 요청을 전달하는 경우, 그에 대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통화 연결 요청 수신에 대한 알람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 OLED표시장치 등 박막트랜지스터를 채용한 평판표시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 수단 역할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제1 표시부(14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부(14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기본 특성에 따른 화면 예를 들면 방송 수신 화면, 자동차 현재 상태 체크 화면, 컴퓨터 부팅 완료 후 스케줄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대기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표시부(140)는 통화 기능 지원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140)는 통화 걸기를 위한 번호 입력이나 폰복 항목 선택 화면,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화면, 타 모뎀 장착 단말기에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화면,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연결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4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전달하는 메시지 출력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과정에서 통화 연결을 수행하지 못한 경우 부재중 메시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부(15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운영에 따라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저장부(150)는 특히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을 위하여 다이얼러 프로그램, 화상 통화 지원 프로그램, TAPI(Telephone API) 등을 포함하며, 해당 프로그램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송수신하기 위하여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 운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50)는 메시지 관련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시지 관련 처리 프로그램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전달하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일정 시간동안 응답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기 저장된 부재중 메시지를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관련 처리 프로그램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전달하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루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확인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메시지 확인 신호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서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확인을 수행한 후 메시지 확인에 대한 메시지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메시지를 확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메시지 확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메시지 미확인에 따른 정보 출력을 제2 표시부(2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부(15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들 예를 들면 컨텐츠 파일이나 녹화 또는 녹음 파일, 길 안내를 위한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저장부(15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전송하는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폰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6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제어부(16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하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제1 표시부(140) 또는 제1 오디오 처리부(130)를 기반으로 일정한 메시지나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을 알람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입력 신호가 일정 시간 이내에 발생하지 않는 경우 해당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재중 메시지를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제어부(160)는 통화 미수신에 대한 메시지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60)는 제1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통화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제1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에 따라 숫자 키맵을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거나, 폰북을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60)는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특정 폰북 항목에 대한 정보와 타 모뎀 장착 단말기에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6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중계하는 음성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제1 표시부(140) 및 제1 오디오 처리부(130)를 기반으로 수신된 데이터의 출력 또는 송신할 데이터의 수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제어부(160)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작성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출력을 지원하며, 작성된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할 타 모뎀 장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6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된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제1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확인을 위한 확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1 제어부(160)는 메시지 확인 신호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를 중계기로 하여 통화 및 메시지 서비스 이용 기능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의 생성과 전달 및 수신과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 제2 입력부(220), 제2 오디오 처리부(230), 제2 표시부(240), 제2 저장부(250), 이동통신모듈(270) 및 제2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제어에 따라 통화 기능 수행 중 또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중 통화 중계 기능 모드로 전환하고, 타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계하여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통화 중계 기능 수행 중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신호를 타 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복수개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에 타 모뎀 장착 단말기가 전송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 중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시도한 비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미수신 처리 및 수신된 메시지 처리를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연계하여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포함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의 통신 호환을 고려하여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구성하는 통신 모듈과 동일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을 위하여 다양한 신호 예를 들면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통화 걸기 데이터, 메시지 전송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2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전송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무응답에 따른 부재중 신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확인에 따른 메시지 확인 신호 등을 수신하여 제2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면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 간의 신호를 중계하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 부재중 신호, 메시지 확인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부(2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22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제어부(26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2 입력부(220)는 통화 중계 모드 전환을 위한 입력 신호, 통화 중계 모드 중지를 위한 입력 신호, 복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 검색된 복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 중 통화 중계 모드로 운용할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입력 신호들은 제2 제어부(26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통화 중계 중지 모드 상태에서 제2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이동통신모듈(27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또는 제2 저장부(2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으로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이동통신모듈(270)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통화 중계 모드 상태에서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거나, 어느 하나의 구성만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통화 중계 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화 중계 모드를 알리는 안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24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서의 제1 표시부(140)와 유사하게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표시부(2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박막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형성된 평판 표시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표시부(240)는 상기 터치 패널을 기반으로 특정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입력수단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표시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표시부(240)는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 수신을 나타낸 화면,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화면,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면,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통화 채널을 형성함을 지시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240)는 통화 중계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아이콘이나 메시지 또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부(25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제2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타 휴대 단말기가 전송한 데이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저장부(2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 지원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중계 기능 지원 프로그램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를 통화 중계 기능으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통화 중계 모드 루틴과 통화 중계 중지 모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중계 모드 루틴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연결을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데이터를 중계하도록 지원하는 루틴이다. 이러한 통화 중계 모드 루틴은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연결 시 통화 중계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모드 확인 서브루틴, 통화 중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면서 통화를 중계할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통신 지원 서브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중계 중지 모드 루틴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현재 통화 중계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중지하고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직접적으로 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루틴이다. 각 루틴 및 서브루틴은 제2 제어부(260)에 로드되어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중계 중지 모드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이격 거리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없는 거리까지 이격되는 경우 자동으로 설정될 수 도 있다. 그러면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통화 중계 중지 모드를 기반으로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통화 기능 이외의 해당 사용자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이격 거리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유효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자동으로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간의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오디오 데이터, 해당 컨텐츠 및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영역은 통화 중계할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정보,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가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작성하여 전달하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모듈(270)은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이동통신모듈(270)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가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26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어부(260)는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을 위한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제어부(260)는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60)는 해당 시간 동안 통화 연결과 관련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통화 중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통화 중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2 제어부(260)는 통화 중계 모드 지원을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게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연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제어부(260)는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간의 통화 연결에 따른 신호 중계를 지원한다. 여기서 제2 제어부(260)는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지 않고, 통화 중계 모드 설정 여부를 먼저 확인한 후, 별도의 알람 출력 없이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 형성에 실패한 경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알람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하고, 해당 시간 경과 후에는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260)는 일정 시간 내에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연결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부재중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표시부(2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26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통화 중계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부(260)는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가 통화 연결을 수락하는 경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 간의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신호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가 통화 연결에 대하여 거절하거나 또는 통화 연결에 실패한 경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게 통화 연결 실패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제2 제어부(260)는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연결 요청하는 통화 걸기 상태, 통화 중 상태, 응답 미수신 상태, 응답 거절 상태, 콜 드롭 등과 관련된 이미지나 메시지를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해당 이미지나 메시지 수신에 따라 특정 알람을 출력하거나,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제어부(260)는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로부터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저장부(2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해당 메시지를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표시부(240)에도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6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서 해당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확인에 대한 메시지 수신 확인 신호를 전달하면, 제2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메시지 수신 관련 정보를 확인 처리하여 해당 정보를 제2 표시부(2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의 연계를 통하여 제2 모뎀 장착 단말기(201)와의 통화 기능을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 확장하면서, 통화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부재중 처리 기능, 메시지 확인 처리 기능 등을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과 해당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기들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의 각 구성들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는 모뎀이 장착된 단말기를 제1 모뎀 장착 단말기(200)를 기준으로 하며, 모뎀 장착 단말기(100)로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 제어부(160)가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160)는 초기화 과정 완료 후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401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화면을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제어부(160)는 303 단계에서 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60)는 별도의 모뎀 장착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과정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4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단말기가 제공하는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방송 수신 기능, 파일 재생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403 단계에서 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제1 제어부(160)는 407 단계로 분기하여 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기능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제1 제어부(160)는 폰북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60)는 409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160)는 411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통화 요청 메시지를 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요청 메시지에는 통화할 타 모뎀 장착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60)는 413 단계에서 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통화 중계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415 단계에서 통화 기능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통화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41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한 뒤, 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확인 신호는 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에 따라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한 뒤, 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정보를 제1 표시부(140) 또는 제1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1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 확인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메시지 확인 신호를 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통화 중계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501 단계에서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503 단계에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별도의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이 없는 경우 5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대기 화면 출력을 유지하거나, 사용자 제어에 따라 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사용자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503 단계에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하는 경우,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505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기능에 필요한 데이터를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507 단계에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509 단계로 분기하여 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507 단계에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511 단계에서 통화 요청에 따른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513 단계에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515 단계에서 통화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통화 종료 시 501 단계로 리턴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통화 기능이 지속되는 경우 51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등록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해당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간의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수신이 없으면,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100)는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를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해당 메시지 수신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 확인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모뎀 장착 단말기(100)를 기반으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나 환경 등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모뎀 장착 단말기(200)들 사이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없는 거리까지 이격되면,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 및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해제하고, 각각의 단말기들이 지원하는 사용자 기능만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모뎀 장착 단말기(200)들이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이 가능한 이격 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일정 주기 또는 수시로 주변을 검색하여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를 검색하고, 검색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모뎀장착 단말기에 등록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가 검색되는 경우, 우선순위 또는 일정 기준에 따라 특정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를 우선 연결하여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들 중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입력부 또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의 입력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가 높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 우선적으로 통화 중계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비모뎀 장착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이 불가능한 경우, 차 순위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200)는 오디오 파일 재생 기능 운용 중 카메라 운용을 통한 영상 수집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101 : 비모뎀 장착 단말기 110 :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120 : 제1 입력부 130 : 제1 오디오 처리부
140 : 제1 표시부 150 : 제1 저장부
160 : 제1 제어부 200, 201 : 모뎀 장착 단말기
210 :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220 : 제2 입력부
230 : 제2 오디오 처리부 240 : 제2 표시부
250 : 제2 저장부 260 : 제2 제어부
300 : 이동통신망

Claims (28)

  1. 통화 중계 기능으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가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경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에 송수신하는 통화 중계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송신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통화 중계 중지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송신 지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과정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로부터 통화를 연결 요청하는 상태, 통화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거절 상태, 응답 미수신 상태, 통화중 상태, 콜 드롭 발생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발생 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에 상기 통화를 연결 요청하는 상태, 응답 거절 상태, 응답 미수신 상태, 통화중 상태, 콜 드롭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이미지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이미지나 메시지에 따른 알람 또는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송신 지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폰북 정보중 특정 항목을 지정하여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폰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에 저장된 폰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폰북 정보의 특정 항목이 삭제, 수정, 생성되는 경우,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 및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폰북 정보가 동일한 폰북 정보가 되도록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송신 지원 방법.
  5. 모뎀 장착 단말기가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통화 중계 기능으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통하여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에 통화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화 중계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과정은
    상기 통화 중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 시,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과정은
    상기 통화 중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 시, 상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과정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 또는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통화 기능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과정은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 메시지 미수신 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 및 비모뎀 장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과정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면,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또는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작성하여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를 거쳐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과정은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경우, 확인 메시지를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수신된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메시지 수신 확인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통화 중계 중지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없는 거리로 이격되는 경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는 자동으로 통화 중계 중지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통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는 상기 통화 기능 이외의 해당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가 통화 중계 기능으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에 설정된 우선 순위 목록에 따라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수신 지원 방법.
  15.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타 모뎀 장착 단말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고 통화 기능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화 중계하는 모뎀 장착 단말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위한 전화번호 또는 폰북 정보 선택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거나, 통화 연결 요청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입력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통화 중계 기능 지원을 위한 신호 제어를 수행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는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및 통화 연결 요청 수신 따른 화면 출력을 위한 제1 표시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통화 연결 실패 메시지를 상기 제1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입력 신호 발생 시, 메시지 확인 신호를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는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의 통화 중계 기능을 위한 이동통신모듈;
    통화 중계 기능으로 등록된 비모뎀 장착 단말기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상기 통화 중계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제2 표시부;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통화 중계 기능 지원을 위한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통화 중계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통화 중계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통화 중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통화 중계 과정에서 통화 중계 중지 모드 전환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와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 간의 통화 연결을 위한 신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연결 요청 수신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에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전달하도록 제어하거나,
    별도의 알람 출력 없이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메시지 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는 상기모뎀 장착 단말기로부터 폰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 및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폰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폰북 정보의 특정 항목이 삭제, 수정, 생성되는 경우,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 및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의 폰북 정보가 동일한 폰북 정보가 되도록 상호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는
    상기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없는 거리로 이격되는 경우, 자동으로 통화 중계 모드를 해지하고 상기 타 모뎀 장착 단말기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는
    복수 개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모뎀 장착 단말기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며, 우선 순위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가능 거리 내에 없는 경우, 차 우선 순위의 비모뎀 장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KR1020100113180A 2010-11-15 2010-11-15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KR10175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180A KR101752674B1 (ko) 2010-11-15 2010-11-15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US13/296,650 US9226096B2 (en) 2010-11-15 2011-11-15 Call relay func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180A KR101752674B1 (ko) 2010-11-15 2010-11-15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860A true KR20120051860A (ko) 2012-05-23
KR101752674B1 KR101752674B1 (ko) 2017-06-30

Family

ID=4604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180A KR101752674B1 (ko) 2010-11-15 2010-11-15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26096B2 (ko)
KR (1) KR101752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9943A1 (en) * 2013-01-15 2014-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670808B1 (ko) * 2013-09-03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098667A1 (ja) * 2013-12-26 2015-07-02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の中継転送参加方法および端末装置の中継転送招待方法
EP3089518B1 (en) * 2013-12-27 2022-04-27 Sony Group Corporation Terminal de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fer method
US9467835B2 (en) * 2014-05-29 2016-10-11 Motorola Solutions, Inc. Public safety network relay service management
US10796500B2 (en) * 2017-08-01 2020-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communication modules provisioning for smart connectivity
US11363500B1 (en) * 2021-02-17 2022-06-14 Facebook Technologies Ultra-wideband control of smart streaming devices
US11496790B2 (en) 2021-02-17 2022-11-0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Ultra-wideband control of smart streaming devices
CN115623508A (zh) * 2021-07-16 2023-01-1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中继状态管理方法、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32732T2 (de) * 1993-03-04 2004-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dulare funkübertragungsanordnung
FI111309B (fi) * 1996-01-03 2003-06-30 Nokia Corp Tietoliikenneverkkoon radioteitse liitettävä päätelaite
JP2001103568A (ja) * 1999-09-30 2001-04-13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この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移動体通信装置、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4299176B2 (ja) * 2004-03-31 2009-07-22 富士通株式会社 有料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無線端末、およびキャリア
GB0422472D0 (en) * 2004-10-09 2004-11-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 radio communications gateway and radio communications terminal
US8019279B2 (en) * 2005-10-25 2011-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obile phones as handsets for IP softphones
KR100869854B1 (ko) * 2007-02-09 2008-11-21 이승엽 음성통화 호출벨 시스템
KR20080082194A (ko) 2007-03-07 2008-09-11 (주) 마젠타시스템 카네비게이션 시스템, 그의 업그레이드 단말기, 시스템 및방법
KR101072717B1 (ko) 2007-07-12 2011-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공유 방법 및시스템
US8260348B2 (en) 2008-03-19 2012-09-04 Google Inc. Wireless communicator for laptop computers
US8340721B2 (en) * 2008-03-19 2012-12-25 Google Inc. Notebook computer and cell phone assembly
US20100234051A1 (en) * 2009-03-16 2010-09-16 Apple Inc. Accessory transceiver for mobile devices
US8208891B2 (en) * 2009-05-01 2012-06-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systems for relaying out of range emergency information
KR101629312B1 (ko) * 2009-06-09 201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교환 방법 및 싱크 디바이스
US20110158212A1 (en) * 2009-12-28 2011-06-30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22431A1 (en) 2012-05-17
US9226096B2 (en) 2015-12-29
KR101752674B1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674B1 (ko) 통화 중계 기능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AU2016206374B2 (en) Interface for mobile device and computing device
KR101701151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129655A1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
CN103828407B (zh) 基于车辆转发通信服务的方法、系统及支持该方法的终端
KR20150042486A (ko)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48018A (ko)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450040A (zh) 通话中联系人信息显示
EP2698974A1 (en) Method for handling call receiv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800406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043641B1 (ko) 통신 기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50039421A (ko) 알림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3813000A (zh) 移动终端及其寻找方法
CN105208089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系统
KR20110053749A (ko)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080123624A1 (en) Controlling mobile voice calls remotely via a web interface
KR20110011025A (ko)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132187A (ko)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통화 제어 시스템
WO2014086292A1 (zh) 一种由被叫终端决定主叫终端回铃音的方法及终端
KR101437572B1 (ko) 휴대단말기의 보이스 토크 제어방법
KR101288058B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방법 및 상기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26721A (ko) 통화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711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55738A (ko)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