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691A -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691A
KR20120050691A KR1020100112076A KR20100112076A KR20120050691A KR 20120050691 A KR20120050691 A KR 20120050691A KR 1020100112076 A KR1020100112076 A KR 1020100112076A KR 20100112076 A KR20100112076 A KR 20100112076A KR 20120050691 A KR20120050691 A KR 2012005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pyranosyl
rhamnopyranose
cancer
rhamnopyranosy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875B1 (ko
Inventor
임순호
김현정
김병운
Original Assignee
(주)제노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노필 filed Critical (주)제노필
Priority to KR102010011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8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08Antigens related to auto-immune diseases; Preparations to induce self-tole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 extra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로부터 분리/동정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예컨대, 대식세포의 증식능, 확산능, 식세포능 및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증식억제능의 증가)시켜 NO 생산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예컨대, TNF-α, IL(interleukin)-1β 및 IL-6]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은 다량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스피래오시드(spiraeoside)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종양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Tumors Comprising Hamamelis japonica extract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로부터 분리/동정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능을 가진 숙주에서, 면역 시스템의 선천성 및 적응성 팔(arms)이 미생물 병원체를 포함하고 죽이는 데 상대적으로 효과적이다. 산화질소(NO)는 NO 합성효소(NOS)에 의해 생산되는 라디칼 메신저 분자이다[1, 2]. 세 개의 NOS 이소형이 규명되었다: 항상 발현되는 신경원성 NOS(nNOS), 혈관내피세포성 NOS(eNOS) 및 NOS의 유도성 이소형(iNOS)[3]. iNOS 발현은 대식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또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현저하게 유도된다[4]. 더욱이, NO는 면역시스템의 비-특이적 호스트 방어기작 동안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미생물 및 종양세포의 파괴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이펙터 분자로서 동정되었다[5, 6]. 상술한 호스트 방어 기작과는 대조적으로, NO는 조직 손상의 매개자로서도 포함되어 있다. 호스트 방어 분자로서 NO는 엑트로멜리아 바이러스(ectromelia virus), 콕삭키 바이러스 B3(coxsackie virus B) 및 헤파티티스 B 바이러스 같은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한다[7]. 대식세포에서, 다른 전사인자들과 함께 핵 인자 κB(NF-κB)는 iNOS를 인코딩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공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NF-κB는 면역 반응에서 필수적인 많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상향-조절함으로써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8, 9].
대식세포에 의한 유도성 NO 생산은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및 기생생물을 포함하는 많은 병원체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CEH-유래된 NO 생산이 CHE의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 활성을 매개할 수 있다. 이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NO 생산 상의 CHE 효과 및 이의 분자 기작을 조사하였다.
한편, 바이오어세이-기반된(guided) 천연산물 분리는 제한된 식물화학물질 또는 약리학적 물질의 잘-알려진 화합물로 종종 이어진다. 따라서, 식물 구성성분의 알려진 물질 또는 유사체와 신규 물질들을 초기 단계에서 구별하는 분광학적 방법들은 주목할만한 적용성을 가진다[16]. HPLC 및 1H NMR 분광학의 직접적인 커플링은 분리시간의 소비를 피하면서 천연 산물들의 구조를 분석하기에 보다 더 유용한 분석 기법이다[17-20]. 그러므로, 고-성능(high-performance) 분리 기법들과 구조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분광학적 방법들과의 조합은 추출물로부터 생물학적 활성 뿐 아니라 구조적인 클래스를 동시에 스크리닝할 수 있도록 한다. LC-MS-커플된 구조 설명은 이미 천연산물 분리에 유의한 기능을 한다[21]. 한편, HPLC와 NMR의 직접적인 조합은 민감도(sensitivity)의 부족, 다-영역(high-field) NMR 기계의 용이한 접근의 어려움 및 고가의 중수소 치환 용매(deuterated solvents)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제한된 성과를 얻었다. 약물 대사, 식물 조추출물에서 천연산물의 동정 및 화학반응에 의해 제조된 이성체 혼합물의 규명에 대한 LC-MS와 조합된 LC-NMR의 적용성이 보도되었다[22-24].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신규한 천연화합물을 찾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이 대식세포를 활성화(예컨대, 대식세포의 증식능, 확산능, 식세포능 및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증식억제능의 증가)시켜 NO 생산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예컨대, TNF-α, IL(interleukin)-1β 및 IL-6]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 extra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 extra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신규한 천연화합물을 찾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이 대식세포를 활성화(예컨대, 대식세포의 증식능, 확산능, 식세포능 및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증식억제능의 증가)시켜 NO 생산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예컨대, TNF-α, IL(interleukin)-1β 및 IL-6]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원산이 일본인 풍년화(Hamamelis japonica)는 낙엽관목으로 중부 이남에서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사각상 원형 또는 도란형이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황색이다. 꽃잎은 4개이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2㎝ 정도로 다소 쭈글쭈글하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삭과는 난상 구형이고 짧은 면모가 밀생하며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검고 탄력으로 튀어나온다. 만발한 꽃 모양이 풍성하게 보여 풍년화라고 부른다. 풍년화는 플라보노이드를 의미있는 양으로 함유하고, 수렴, 지혈작용, 혈행촉진, 여드름 예방 및 치료 작용에 대해서 중약대사전, 한약집성방 등 종래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풍년화의 건조된 꽃으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많은 양의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을 포함한다. 플라보놀은 3-하이드록시플라본 백본(IUPAC 명칭: 3-hydroxy-2-phenylchromen-4-one)을 가지는 플라보노이드의 한 클래스이다. 이들의 폭넓은 다양성은 하이드록시 페놀의 위치에 기인한다. 플라보놀은 매우 광범위한 꽃, 열매 및 채소에 존재하며, 서양에서는 20-50 mg의 하루 섭취량이 권장되고 있다. 특히, 허브가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을 함유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허브는 풍년화(Hamamelis japonica), 아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산사나무 꽃(Hawthorne flower; Crataegus pinnatifida), 관동꽃(colts foot flowers; Farfarae flos), 앵초(Primulae flos), 가시꽃(Pruni spinosae flos), 딱총나무 꽃(Sanbuci flos), 라임꽃(Tiliae flos), 박달나무잎(Petulae flioum), 뱀딸기류(Anserinae), 속새(Equisetum arvense), 골든 로드(Vigaureae) 및 야생 팬지(Violae tricoloris)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풍년화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은 꽃으로부터 유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증식능(proliferative activity) 및 확산능(spreading ability)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대식세포의 식세포능(phagocytosis) 및 대식세포의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증식 억제능(cytostatic activity)을 증가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은 세포에서 NO 생산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활성들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NO 및 NO-유래된 종들[예컨대, NO2, NO2 -, N2O3, N2O4, S-니트로소티올 및 퍼록시니트리트(ONOO-)]의 생산을 증가시키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NO 생산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1, IL-1β, TNF-α, TGF-β, IL-6, IL-8 및 IL-12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TNF-α, IL-1β 및 IL-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종양은 뇌암, 신경 내분비 암, 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부신암, 대장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골암, 피부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및 요관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풍년화 추출물에서 활성 화합물을 분리/동정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래피, 바람직하게는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크래피 및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 분리/동정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은 퀘르세틴(quercetin)이 기본 골격인 화합물이다. 퀘르세틴은 열매, 채소, 잎 및 곡물에서 발견되는 식물-유래된 플라보노이드로, 보충물, 음료 또는 음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퀘르세틴은 조골세포의 세포증식 촉진효과 및 파골세포의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적고, 체내 호르몬의 변화를 크게 유발하지 않으며 조혈기능이나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약물로서, 골다공증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분리/동정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은 다음과 같은 화학식(Ⅰ)을 가진다:
Figure pat00001
(Ⅰ)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O-α-L-아라비노퓨라노오즈(-O-α-L-Arabinofuranose), -O-아라비노피라노오즈(-O-arabinopyranose), -O-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alactopyranose), -O-글루코피라노오즈(-O-glucopyranose), -O-[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6-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6-O-acetyl)-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O-α-L-람노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e), -O-β-D-루티노오즈(-O-β-D-rutinose), -O-β-D-글루코피라노오즈 (-O-β-D-glucopyranose), 글루코피라노오즈(glucopyranose), -O-(2"-O-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6"-O-갈로일)-글루코피라노오즈[-O-(6"-O-galloyl)-glucopyranose], -O-(6'"-O-p-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1-2)-α-L-람노피라노오즈[-O-(6'"-O-p-coumaroyl-β-D-glucopyranosyl-(1-2)-α-L-rhamnopyranose], -O-D-글루코피라노실-(1-6)-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O-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O-[2"-O-6'"-O-{p-(7""-O-β-D-글루코피라노실)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6'"-O-{p-(7""-O-β-D-glucopyranosyl)coumaroyl}-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2"-O-6'"-O-{p-(7""-O-β-D-글루코피라노실)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6'"-O-{p-(7""-O-β-D-glucopyranosyl)coumaroyl}-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6'"-p-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β-(1-4)-람노피라노오즈]{-O-[6'"-p-coumaroyl-β-D-glucopyranosyl-β-(1-4)-rhamnopyranose]}, -O-[α-L-람노피러노실(1-2)-α-L-람노피라노실-(1-6)-β-D-글루코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yl(1-2)-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rhamnopyranosyl(1-4)α-L-rhamn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2)]-[β-글루코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 rhamnopyranosyl-(1-2)]-[β-gluc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4)-α-람노피라노실-(1-6)-β-갈락토피라노오즈]{-O-[α-rhamnopyranosyl-(1-4)-α-rhamnopyranosyl-(1-6)-β-galactopyranose]}, -O-α-L-아라비노피라노실(-O-α-L-arabinopyranosyl), -O-α-L-람노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yl-(1-2)-β-D-galactopyranose], -O-β-D-다이글루코피라노오즈(-O-β-D-diglucopyranose), -O-β-D-갈락코사이드-2"-갈레이트(-O-β-D-galactoside-2"-gallate), -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ide-(1-6)-β-D-galactopyranose], -O-β-D-글루코피라노실-(1-3)-α-L-람노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yl-(1-3)-α-L-rhamn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β-D-글루큐로니드(-O-β-D-glucuronide), -O-β-D-자일로피라노오즈(-O-β-D-xylopyranose), -O-다이글루코피라노오즈(-O-diglucospyranose), -O-갈락토피라노오즈(-O-galactopyranose), -O-젠티오지오스(-O-gentiobiose), -O-글루코피라노실갈락토피라오노즈(-O-glucopyranosylgalactopyranose), -O-네오헤스페리도즈(-O-neohesperidose), -O-루티노오즈(-O-rutinose), -O-소포로오즈(-O-sophorose), -젠티오비오즈(-gentiobiose), -젠티오트리오즈(-gentiotriose), -람노젠티오비오즈(-rhamnogentiobiose), -람노글루코오즈(-rhamnoglucose), -설페이트(-sulfate) 또는 -O-소포로오즈(-O-sophorose)이고; R2, R3,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또는 메톡시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는 하기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pat00002
(Ⅱ)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에서 분리/동정된 활성 화합물, 즉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바람직하게는, 스피래오시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식물성 페놀 화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5-70 mg/kg(체중)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mg/kg(체중)이고, 하루에 1-3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용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투여 경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화학식 Ⅰ으로 표시되는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질환(예: 천식, 습진, 건선,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여드름, 아토피성 비염(건초열), 알레르기성 피부염(습진), 만성 부비동염 또는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골질환, 위염, 통풍, 통풍 관절염, 궤양, 만성 기관지염, 급성 폐손상, 폐염증, 기도 과민반응, 염증성 장질환(예: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폐혈증, 폐혈성 쇼크, 맥관염 및 활액낭염 같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 질환; 루프스, 류마티스 다발성 근육통, 공피증, 베게너육아종증, 측두 동맥염, 저온형글로불린혈증(cryoglobulinemia) 및 다발성 경화증 같은 자가면역 질환; 이식 거부; 고형암(예: 폐, CNS, 장, 신장 및 췌장)을 포함하는 암; 알쯔하이머병; 동맥경화증; 바이러스 감염(예: HIV or 인플루엔자); 만성 바이러스 감염(예,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또는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실조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항-종양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 및 이의 유효성분인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b)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예컨대, 대식세포의 증식능, 확산능, 식세포능 및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증식억제능의 증가)시켜 NO 생산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예컨대, TNF-α, IL(interleukin)-1β 및 IL-6]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c) 본 발명의 풍년화 추출물은 다량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스피래오시드(spiraeoside)를 포함한다.
(d) 따라서, 상술한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암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HJC08에 의한 대식세포의 식세포능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대식세포를 배지 단독 또는 HJC08과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포를 두 번 세척한 후 FITC-라텍스 마이크로비드와 90분 동안 추가적으로 반응시켰다.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phagocytic capability)은 형광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발현 정도는 FITC-라텍스 마이크로비드와 결합한 대식세포의 형광 강도의 평균값(mean fluorescence intensity, MFI)으로 나타냈다. 각 막대는 세 쌍으로 실시된 네 개의 독립적인 실험에 대한 평균값±표준편차이다. *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P < 0.01.
도 2는 HJC08에 의한 대식세포의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증식억제능(cytostatic activity)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대식세포를 배지 단독 또는 HJC08과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포를 두 번 세척한 후 sarcoma 180 세포(S-180; 아산병원, 이경진 교수로부터 제공받음)와 추가적으로 공동-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대식세포의 세포증식억제능을 MTT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세포증식억제능(%) = [1-(570 nm에서 실험군의 흡광도/570 nm에서 대조군의 흡광도)] x 100. 각 막대는 세 쌍으로 실시된 네 개의 독립적인 실험에 대한 평균값±표준편차이다. *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P < 0.01.
도 3은 대식세포의 NO 생산 상에 HJC08의 효과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대식세포는 배지 단독, HJC08 또는 LPS(5 ㎍/ml)과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NO 생산은 세포배양액에서 니트리트의 축적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각 막대는 세 쌍으로 실시된 네 개의 독립적인 실험에 대한 평균값±표준편차이다. *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P < 0.01.
도 4는 풍년화속 식물 하마멜리스 자포니카(Hamamelis japonica)의 꽃으로부터 분리된 스피래오시드의 화학적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식물
풍년화속 식물 하마멜리스 자포니카(Hamamelis japonica)의 꽃이 2009년 3월에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한국도로공사(Korea Expressway Corporation)의 식물원에서 얻어졌다. 증거표본(voucher specimen)이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의 식물표본실에 기탁되었다.
화학물질
화학물질 및 세포 배양 물질들은 다음과 같이 얻었다: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및 폴리믹신 B 설페이트는 Sigma로부터 구입하였다; MTT-기반된 발색 어세이 키트는 Roche로부터 구입하였다; 리포펙타민 플러스, RPMI 1640, 우태아혈청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은 Life Technology로부터 구입하였다; 및 AmpliTaqR DNA 폴리머라제는 Perkin Elmer로부터 구입하였으며 다른 화학물질은 가장 높은 등급의 상업적으로 유용한 화학물질을 이용하였다.
동물
BALB/C 마우스(수컷, 7-주령)를 Orient(한국)로부터 구매하였다. 동물들은 정상 실험실 조건, 즉 동물들이 표준 설치류 사료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으며 12시간 빛/암 사이클 하의 40-60% 상대습도 및 21-24℃ 챔버에서 사육되었다.
복강 대식세포의 제조 및 세포배양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강 대식세포를 마우스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하였다[16].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Bethesda, MD)로부터 구입하여 10% 우태아혈청, 2 mM L-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37℃로 5% CO2 습도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HJC08은 다이메틸설폭사이드에서 녹여 배양배지에서 바로 첨가하였다. 대조군 세포는 용매만 처리하였다: 최종 농도는 0.1%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상기 농도는 어세이 시스템에서 어떠한 효과도 보이지 않았다.
세포 생존율
세포 생존율은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MTT-기반된 발색 어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니트리트(Nitrite) 어세이
복강 대식세포(2×105 세포/ml) 또는 RAW 264.7 세포(5×105 세포/ml)를 48-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NO 합성량을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Griess 시약을 이용한 NO 및 산소의 안정적인 반응 산물인 니트리트에 대해 배양 상층액을 어세이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엔도톡신 어세이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그람-음성 박테리아 엔도톡신(LPS)의 존재에 대한 CR 어세이에 E-톡세이트 테스트(Limulus Amebocyte Lysate; Sigma Chemical Co.)를 이용하였다.
공통적인 실험내용
1D 및 2D NMR 실험(in MeOH-d4)에서 1H 및 13C 스펙트라는 Varian Unity INOVA 500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기록하였고, 화학적 쉬프트는 δ(ppm)로 표현되며 결합상수(coupling constants)는 Hz로 표시된다. 질량 스펙트라(ESI-MS)는 Varian 320-MS TQ 질량 스펙트로미터(Varia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 젤(Merck, 70-230 mesh) 및 Sephadex LH-20(Pharmacia)에서 실시하였다. HPLC 분리는 탈기장치(degasser), 이중혼합 펌프(binary mixing pump), 컬럼 오븐 및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로 구성된 Agilent model 1100 HPLC 시스템에서 실시하였다. SunFire™ C18(3.5 ㎛, 3.0×150 mm) 및 SunFire™ Prep C18(5 ㎛, 10×150 mm) 또는 SunFire™ Prep C18 OBD(5 ㎛, 19×150 mm)가 분석 및 반-제조성 HPLC 분석에 이용되었다.
추출 및 분리
H. 자포니카의 건조된 꽃(338.5 g)이 분쇄되어 상온에서 MeOH(1.5 L×3)로 추출하였다. 여과 후, MeOH 추출물이 감압 하에서 증발되어 진갈색의 잔류물(77.1 g)을 얻었다. 농축된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n-헥세인, EtOAc 및 BuOH로 연속적으로 분할하였다. EtOAc 추출물(14.3)로 MeOH로 용출하는 Sephadex LH-20 크로마토그래피 및 CHCl3/MeOH 단계-구배 시스템(91:9 → 25:75)을 구비한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12개의 분획을 얻었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추적하기 위해, 각 분획물은 분석 HPLC 모드로 스크리닝되었다. 그 결과, 분획 7이 선택되고 아세토니트릴의 구배 용출 시스템(예컨대, 30분 동안 12% 아세토니트릴 → 35% 아세토니트릴) 및 0.1% 포름산을 포함하는 물을 이용한 HPLC에 의해 분리되어 스피래오시드(Quercetin 4′-O--D-glucoside)를 얻었다(화합물 1, 103.3 mg).
통계 분석
모든 실험들은 최소 세 번씩 반복하였다.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Student's t-검정을 이용하였다. 0.05 이하(< 0.05)의 신뢰 레벨을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결과 및 추가논의사항
본 발명자들은 H. 자포니카의 꽃으로부터 추출된 HJC08의 대식세포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우선, 대식세포의 증식능(proliferative activity) 및 확산능(spreading ability) 상에 HJC08을 측정하였다(표 1).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HJC08는 투여량-의존적으로 대식세포의 증식능 및 확산능을 증가시켰다.
대식세포 기능 상에 HJC08의 효과.
처리a 증식능b 확산능c
대조군
HJC08(10 ㎍/ml)
HJC08(50 ㎍/ml)
HJC08(100 ㎍/ml)
LPS(0.5 ㎍/ml)
1.00±0.12d
1.87±0.19*
2.57±0.26*
3.71±0.39*
3.83±0.40*
1.00±0.12
2.25±0.24*
3.02±0.31*
5.22±0.54*
5.71±0.59*
a 대식세포에 HJC08을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의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b 증식능은 570 nm에서의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테스트군의 흡광도의 비로서 표현되었다.
c 확산능은 300개의 대식세포에서 확산하는 대식세포의 백분율로서 표현되었다.
d 결과들은 세 쌍으로 실시된 네 개의 독립적인 실험에 대한 평균값±표준편차이다.
*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P < 0.01.
또한, HJC08는 대식세포의 식세포능(phagocytosis) 및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증식억제능(cytostatic activity)을 투여량-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도 1 및 도 2).
한편, 대식세포에 의한 NO의 유도성 생산은 바이러스 및 종양의 제거에 중요한 것처럼 보인다. 본 발명자들의 결과들은 HJC08(Hamamelis japonica C08)가 NO 생산을 자극하고 사이토카인 생산(예컨대, TNF-α, IL-1β, IL-6)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HJC08와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HJC08-유도된 NO 생산을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비처리된 복강 대식세포에서 NO의 기본 레벨은 2 μM 이하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도 3). 하지만, HJC08 자극 하에서 복강 대식세포에 의한 NO 방출은 1-100 μM의 범위에서 투여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표 2).
HJC08 및 LPS에 의한 NO 생산 상에 폴리믹신 B의 효과.
처리a 니트리트(μM)b
대조군
폴리믹신 B(10 ㎍/ml)
HJC08(100 ㎍/ml)
HJC08 + 폴리믹신 B
LPS(0.5 ㎍/ml)
LPS + 폴리믹신 B
2.47±0.43*,**
2.27±0.41*,**
48.47±4.79
42.17±4.32
62.21±6.38
8.39±0.85**
a 폴리믹신 B의 존재 또는 부존재 하에서 HJC08 또는 LPS와 함께 배양된 RAW 264.7세포. b24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얻어 NO에 대해서 어세이함. 값은 세 쌍으로 실시된 세 개의 독립적인 실험에 대한 평균값±표준편차이다. *HJC08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P < 0.01. **LPS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P < 0.01.
또한, 강력한 대식세포 활성인자인 LPS(0.5 ㎍/ml)가 면역자극제로서 이용되는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NO 생산이 증가하였다. 상술한 발견들과 일치하게, HJC08도 대식세포에서 투여량-의존적으로 NO 생산을 유도하였다(도 3). NO는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바이러스 및 종양의 사멸(killing) 및 증식 억제(proliferative inhibition)에 포함되고 비-특이적 호스트 방어기작의 구성성분이다. 휴지 상태(resting state) 및 자극 상태(stimulated state)에서 NO 생산 상에 HJC08의 다른 효과의 생물학적 유의성은 결정될 필요가 있다. 대식세포는 엔도톡신인 LPS 또는 사이토카인에 의한 NO를 생산하기 위해 유도될 수 있다. NO를 유도하는 HJC08의 능력이 LPS 오염에 의해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HJC08은 LAL(Limulus amoebocyte lysate) 테스트를 이용하여 오염성 LPS의 존재에 대해서 테스트하였다. HJC08 내에 LPS의 레벨은 검출한계(전형적으로, 12.5 pg/ml)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결과를 보이지 않음). 폴리믹신 B 설페이트는 대식세포 배양에서 LPS 억제인자로 이전에 이용되었다. 비록 HJC08이 LAL 어세이에서 검출할 만한 활성을 포함하지 않았을 지라도, 본 발명자들은 HJC08(100 ㎍/ml)이 처리된 세포 배양물에 폴리믹신 B(10 ㎍/ml)를 첨가함으로써, HJC08에서 가능한 LPS 오염을 다시 체크하였다.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폴리믹신 B는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지만 HJC08 처리군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는데, 이는 HJC08에 의한 NO 생산이 HJC08 내 LPS에 의해 발생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HJC08은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NO 생산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대식세포-관련된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켰다(표 3). LPS는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NO 어세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들과 일치하게, 사이토카인의 레벨이 HJC08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대식세포-연관된 사이토카인 생산 상에 HJC08의 효과.
처리a TNF-α(ng/ml) IL-1β(ng/ml) IL-6(ng/ml)
대조군
HJC08(10 ㎍/ml)
HJC08(50 ㎍/ml)
HJC08(100 ㎍/ml)
LPS(0.5 ㎍/ml)
0.66±0.07b
3.03±0.29*
6.52±0.63*
8.73±0.81*
14.23±1.51*
0.36±0.04
1.81±0.19*
2.44±0.25*
3.52±0.34*
4.25±0.43*
0.22±0.03
0.81±0.08*
1.27±0.12*
2.15±0.19*
3.93±0.41*
a 배지 단독, HJC08 또는 LPS의 존재 하에서 대식세포가 6시간(TNF-α 및 IL-6) 또는 12시간(IL-1β) 동안 배양되었다. 배양 배지로 배출된 TNF-α, IL-1β 및 IL-6의 양은 면역어세이에 의해 측정하였다.
b 값은 세 쌍으로 실시된 네 개의 독립적인 실험에 대한 평균값±표준편차이다.
*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P < 0.01.
활성 화합물을 분리/동정하기 위해, 암-건조되고 분쇄된 H. 자포니카 꽃을 MeOH로 상온에서 추출한 후, 물에 녹이고 n-헥세인, EtOAc, BuOH 및 물로 연속적으로 분할하였다. EtOAC 추출물이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에 의해 분획되어 플라본 글라이코시드인 스피래오시드(quercetin 4′-O-β-D-glucopyranoside)를 얻었다(도 4).
스피래오시드 화합물은 노란색 무정형 파우더로 얻어졌으며, HPLC 용매에서 UV 스펙트럼은 플라본에 상응하는 253, 270(sh) 및 368 nm에서 특징적인 최대 흡수밴드를 나타냈다. 화합물의 분자식은 ESI-MS m/z:463(M-H)-및 m/z:487(M+H)+ 피크에 의해 C21H20O12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플라본 글라이코시드를 의미한다. 상기 화합물의 명백한 구조는 1D 및 2D NMR 스펙트라 분석을 통해 동정되었다. 스피래오시드의 분광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MeOH-d4, 500 MHz) δ 7.74(1H, brs, H-2′), 7.69(1H, brd, 8.5, H-6′), 7.28(1H, d, 8.5, H-5′), 6.37(1H, s, H-6), 6.17(1H, s, H-8), 4.91(1H, d, 7.5, H-1″), 3.94(1H, dd, 12.0, 1.5, H-6″a), 3.74(1H, dd, 12.0, 5.5, H-6″b), 3.55(1H, t, 9.0, H-2″), 3.52(1H, t, 10.0, H-3″), 3.49(1H, m, H-5″), 3.44(1H, t, 9.5, H-4″); 13C NMR(MeOH-d4, 125 MHz) δ 177.6(C-4), 165.9(C-7), 162.6(C-8a), 158.4(C-5), 148.2(C-4′), 148.0(C-3′), 147.0(C-2), 138.1(C-3), 127.7(C-1′), 121.4(C-6′), 117.7(C-5′), 116.6(C-2′), 104.7(C-4a), 103.5(C-1″), 99.5(C-8), 94.6(C-6), 78.5(C-5″), 77.7(C-3″), 75.0(C-2″), 71.4(C-4″), 62.6(C-6″); ESI-MS m/z 463 [M-H]-, 487 [M+Na]+(C21H20O12). 또한, 1H 및 13C 스펙트라는 퀘르세틴[quercetin; 2-(3,4-dihydroxyphenyl)-3,5,7-trihydroxy-4H- chromen-4-one]에 상응하는 NMR 시그널 이외에 슈가 모이어티에서 7개의 양자(δ 4.91, 3.94, 3.74, 3.55, 3.52, 3.49, 3.44) 및 6개의 탄소 시그널(δ 103.5, 78.5, 77.7, 75.0, 71.4, 62.6)을 나타냈다. 상기 슈가는 β-D-글루코피라노오스로 간주되었는데, 이는 H-2″, 3″, 4″에서 큰 인접결합상수(vicinal coupling constant; 9.0-10.0 Hz) 및 아노머 양자(H-1″)의 JH,H 값(7.5 Hz)에 기반하였다. H-1″과 C-4′ 간의 HMBC 상관관계를 통해 상기 슈가는 O-글루코시달 형태로 C-4′에 위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화합물 1의 구조는 스피래오시드(quercetin 4′-O-β-D-glucopyranoside)로 정하였다.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HJC08은 대식세포의 증식능 및 확산능 뿐 아니라, 대식세포의 식세포능 및 세포증식억제능(cytostatic activity)을 투여량-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HJC08은 대식세포에 의한 NO 생산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대식세포-관련된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켰다. 이후, HJC08의 면역화학치료적 유용성 및 정확한 기작을 증명하기 위해, HJC08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HJC08의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적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기작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 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 extra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년화 추출물은 꽃으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증식능(proliferative activity) 및 확산능(spreading ability)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식세포능(phagocytosis)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증식 억제능(cytostatic activity)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O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은 뇌암, 신경 내분비 암, 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부신암, 대장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골암, 피부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및 요관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년화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Ⅰ로 표시된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at00003
    (Ⅰ)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O-α-L-아라비노퓨라노오즈 (-O-α-L-Arabinofuranose), -O-아라비노피라노오즈 (-O-arabinopyranose), -O-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alactopyranose), -O-글루코피라노오즈(-O-glucopyranose), -O-[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6-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6-O-acetyl)-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O-α-L-람노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e), -O-β-D-루티노오즈(-O-β-D-rutinose), -O-β-D-글루코피라노오즈 (-O-β-D-glucopyranose), 글루코피라노오즈(glucopyranose), -O-(2"-O-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6"-O-갈로일)-글루코피라노오즈[-O-(6"-O-galloyl)-glucopyranose], -O-(6'"-O-p-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1-2)-α-L-람노피라노오즈[-O-(6'"-O-p-coumaroyl-β-D-glucopyranosyl-(1-2)-α-L-rhamnopyranose], -O-D-글루코피라노실-(1-6)-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O-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O-[2"-O-6'"-O-{p-(7""-O-β-D-글루코피라노실)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6'"-O-{p-(7""-O-β-D-glucopyranosyl)coumaroyl}-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2"-O-6'"-O-{p-(7""-O-β-D-글루코피라노실)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6'"-O-{p-(7""-O-β-D-glucopyranosyl)coumaroyl}-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6'"-p-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β-(1-4)-람노피라노오즈]{-O-[6'"-p-coumaroyl-β-D-glucopyranosyl-β-(1-4)-rhamnopyranose]}, -O-[α-L-람노피러노실(1-2)-α-L-람노피라노실-(1-6)-β-D-글루코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yl(1-2)-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rhamnopyranosyl(1-4)α-L-rhamn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2)]-[β-글루코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 rhamnopyranosyl-(1-2)]-[β-gluc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4)-α-람노피라노실-(1-6)-β-갈락토피라노오즈]{-O-[α-rhamnopyranosyl-(1-4)-α-rhamnopyranosyl-(1-6)-β-galactopyranose]}, -O-α-L-아라비노피라노실(-O-α-L-arabinopyranosyl), -O-α-L-람노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yl-(1-2)-β-D-galactopyranose], -O-β-D-다이글루코피라노오즈(-O-β-D-diglucopyranose), -O-β-D-갈락코사이드-2"-갈레이트(-O-β-D-galactoside-2"-gallate), -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ide-(1-6)-β-D-galactopyranose], -O-β-D-글루코피라노실-(1-3)-α-L-람노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yl-(1-3)-α-L-rhamn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β-D-글루큐로니드(-O-β-D-glucuronide), -O-β-D-자일로피라노오즈(-O-β-D-xylopyranose), -O-다이글루코피라노오즈(-O-diglucospyranose), -O-갈락토피라노오즈(-O-galactopyranose), -O-젠티오지오스(-O-gentiobiose), -O-글루코피라노실갈락토피라오노즈(-O-glucopyranosylgalactopyranose), -O-네오헤스페리도즈(-O-neohesperidose), -O-루티노오즈(-O-rutinose), -O-소포로오즈(-O-sophorose), -젠티오비오즈(-gentiobiose), -젠티오트리오즈(-gentiotriose), -람노젠티오비오즈(-rhamnogentiobiose), -람노글루코오즈(-rhamnoglucose), -설페이트(-sulfate) 또는 -O-소포로오즈(-O-sophorose)이고; R2, R3,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또는 메톡시이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는 하기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at00004
    (Ⅱ)
  11. 풍년화 추출물(Hamamelis japonica extra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년화 추출물은 꽃으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증식능(proliferative activity) 및 확산능(spreading ability)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식세포능(phagocytosis)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종양세포에 대한 대식세포의 세포증식 억제능(cytostatic activity)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에서 NO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질환(예: 천식, 습진, 건선,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여드름, 아토피성 비염(건초열), 알레르기성 피부염(습진), 만성 부비동염 또는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골질환, 위염, 통풍, 통풍 관절염, 궤양, 만성 기관지염, 급성 폐손상, 폐염증, 기도 과민반응, 염증성 장질환(예: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폐혈증, 폐혈성 쇼크, 맥관염 및 활액낭염 같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 질환; 루프스, 류마티스 다발성 근육통, 공피증, 베게너육아종증, 측두 동맥염, 저온형글로불린혈증(cryoglobulinemia) 및 다발성 경화증 같은 자가면역 질환; 이식 거부; 알쯔하이머병; 동맥경화증; 바이러스 감염(예: HIV or 인플루엔자); 만성 바이러스 감염(예,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또는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실조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년화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Ⅰ로 표시된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at00005
    (Ⅰ)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O-α-L-아라비노퓨라노오즈 (-O-α-L-Arabinofuranose), -O-아라비노피라노오즈 (-O-arabinopyranose), -O-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alactopyranose), -O-글루코피라노오즈(-O-glucopyranose), -O-[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6-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6-O-acetyl)-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O-α-L-람노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e), -O-β-D-루티노오즈(-O-β-D-rutinose), -O-β-D-글루코피라노오즈 (-O-β-D-glucopyranose), 글루코피라노오즈(glucopyranose), -O-(2"-O-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6"-O-갈로일)-글루코피라노오즈[-O-(6"-O-galloyl)-glucopyranose], -O-(6'"-O-p-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1-2)-α-L-람노피라노오즈[-O-(6'"-O-p-coumaroyl-β-D-glucopyranosyl-(1-2)-α-L-rhamnopyranose], -O-D-글루코피라노실-(1-6)-β-D-글루코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오즈[-O-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yl-(1-4)-α-L-rhamnopyranose], -O-[2"-O-6'"-O-{p-(7""-O-β-D-글루코피라노실)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6'"-O-{p-(7""-O-β-D-glucopyranosyl)coumaroyl}-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2"-O-6'"-O-{p-(7""-O-β-D-글루코피라노실)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α-L-람노피라노오즈[-O-[2"-O-6'"-O-{p-(7""-O-β-D-glucopyranosyl)coumaroyl}-β-D-glucopyranosyl]-α-L-rhamnopyranose], -O-[6'"-p-코우마로일-β-D-글루코피라노실-β-(1-4)-람노피라노오즈]{-O-[6'"-p-coumaroyl-β-D-glucopyranosyl-β-(1-4)-rhamnopyranose]}, -O-[α-L-람노피러노실(1-2)-α-L-람노피라노실-(1-6)-β-D-글루코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yl(1-2)-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4)α-L-람노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rhamnopyranosyl(1-4)α-L-rhamn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2)]-[β-글루코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 rhamnopyranosyl-(1-2)]-[β-gluc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α-람노피라노실-(1-4)-α-람노피라노실-(1-6)-β-갈락토피라노오즈]{-O-[α-rhamnopyranosyl-(1-4)-α-rhamnopyranosyl-(1-6)-β-galactopyranose]}, -O-α-L-아라비노피라노실(-O-α-L-arabinopyranosyl), -O-α-L-람노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오즈[-O-α-L-rhamnopyranosyl-(1-2)-β-D-galactopyranose], -O-β-D-다이글루코피라노오즈(-O-β-D-diglucopyranose), -O-β-D-갈락코사이드-2"-갈레이트(-O-β-D-galactoside-2"-gallate), -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ide-(1-6)-β-D-galactopyranose], -O-β-D-글루코피라노실-(1-3)-α-L-람노피라노실-(1-6)-β-D-갈락토피라노오즈[-O-β-D-glucopyranosyl-(1-3)-α-L-rhamnopyranosyl-(1-6)-β-D-galactopyranose], -O-β-D-글루큐로니드(-O-β-D-glucuronide), -O-β-D-자일로피라노오즈(-O-β-D-xylopyranose), -O-다이글루코피라노오즈(-O-diglucospyranose), -O-갈락토피라노오즈(-O-galactopyranose), -O-젠티오지오스(-O-gentiobiose), -O-글루코피라노실갈락토피라오노즈(-O-glucopyranosylgalactopyranose), -O-네오헤스페리도즈(-O-neohesperidose), -O-루티노오즈(-O-rutinose), -O-소포로오즈(-O-sophorose), -젠티오비오즈(-gentiobiose), -젠티오트리오즈(-gentiotriose), -람노젠티오비오즈(-rhamnogentiobiose), -람노글루코오즈(-rhamnoglucose), -설페이트(-sulfate) 또는 -O-소포로오즈(-O-sophorose)이고; R2, R3,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또는 메톡시이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l)는 하기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at00006
    (Ⅱ)
KR1020100112076A 2010-11-11 2010-11-11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30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076A KR101306875B1 (ko) 2010-11-11 2010-11-11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076A KR101306875B1 (ko) 2010-11-11 2010-11-11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91A true KR20120050691A (ko) 2012-05-21
KR101306875B1 KR101306875B1 (ko) 2013-09-10

Family

ID=4626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076A KR101306875B1 (ko) 2010-11-11 2010-11-11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0490A (zh) * 2019-10-28 2021-12-03 深圳市远光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解皮肤湿疹症状的组合物的制备方法
WO2023191531A1 (ko) * 2022-03-31 2023-10-05 ㈜카보엑스퍼트 글루코피라노사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9042A1 (de) * 2007-06-21 2008-12-24 Analyticon Discovery Gmbh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mit einem Trihydroxychromenone-Deriv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0490A (zh) * 2019-10-28 2021-12-03 深圳市远光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解皮肤湿疹症状的组合物的制备方法
CN113730490B (zh) * 2019-10-28 2022-03-04 深圳市远光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解皮肤湿疹症状的组合物的制备方法
WO2023191531A1 (ko) * 2022-03-31 2023-10-05 ㈜카보엑스퍼트 글루코피라노사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875B1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compounds from fruit juice of Nitraria tangutorum
Van de Velde et al. Quantitative comparison of phytochemical profil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blackberry fruits adapted to Argentina
Chen et al. Identification, qua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cylated flavonol glycosides from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ssp. sinensis)
Aderogba et al. Isolation of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Combretum apiculatum subsp. apiculatum
Bai et al.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a polysaccharide from Sophora flavescens Ait.
Deng et al. Anneslea fragrans Wall. ameliorates ulcerative colitis via inhibiting NF-κB and MAPK activation and mediating intestinal barrier integrity
US20220000962A1 (en) Plant-based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having a polypharmacological effect
Na et al. Antioxidant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Sorbus commixta
Si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ellodendronoside A, a new isoquinoline alkaloid glycoside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from Phellodendron chinense Schneid
Sepehr et al. The Cuscuta kotschyana effects on breast cancer cells line MCF7
Atta et al. New flavonoid glycoside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teranthus dichotomus Forssk.
Qin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isobutylamides from Zanthoxylum nitidum var. tomentosum
Yakubu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s and compound from Ricinodendron heudelotii (Baill.)
Kim et al. Radish sprout alleviates DSS-induced colitis via regulation of NF-kB signaling pathway and modifying gut microbiota
KR101306875B1 (ko) 풍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Lim et al. Anti-oxidative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Actinidia arguta
Saxena et al. Natural predominance of abscisic acid in Pongammia pinnata (“Karanj”) honey contributed to its strong antimutagenicity
CN110724121B (zh) 铁皮石斛叶中的一种联苄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5521245A (zh) 马齿苋中一种生物碱类化合物及其提取分离方法与应用
CN100471851C (zh) 蒲公英中的木质素及其抗菌活性和医药用途
CN114213375A (zh) 一种倍半萜内酯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789737B1 (ko) 케나프 차 및 그의 제조방법
JP5461872B2 (ja) アラビノシルビテキシンを含有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CN100509832C (zh) 蒲公英中的两个黄酮苷及其抗格兰氏阳性菌的医药用途
Wang et al. Two previously undescribed benzofuran derivatives from the flowers of Callistephus chinen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