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273A -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273A
KR20120050273A KR1020100111697A KR20100111697A KR20120050273A KR 20120050273 A KR20120050273 A KR 20120050273A KR 1020100111697 A KR1020100111697 A KR 1020100111697A KR 20100111697 A KR20100111697 A KR 20100111697A KR 20120050273 A KR20120050273 A KR 2012005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period
slot
control channel
beac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634B1 (ko
Inventor
김영한
박용태
김효곤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엠엠씨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엠엠씨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6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어 채널 기간과 서비스 채널 기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차량 간 통신의 응용 계층에 적용된다. 데이터 수집부는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제어 채널 기간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비콘 슬롯 각각의 슬롯 번호 및 각각의 슬롯 번호에 해당하는 시간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슬롯 선택부는 제1주기에 연속하는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을 구성하는 비콘 슬롯들 중에서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1 이상인 경우에 비콘 슬롯들 중에서 제2주기에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한다. 전송부는 제2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수신되는 시간을 기초로 다른 차량이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시간을 선택하여 비콘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비콘 프레임의 충돌 및 전송 지연을 방지하고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eacon frame dissemination in Vehicular Ad-hoc Network}
본 발명은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차량 간의 비콘 프레임 전송이 이루어질 때 응용 계층에서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p WAVE 는 차량 간 통신(VANET)에서 사용되는 물리, 데이터링크 하위 계층의 표준인 IEEE 802.11p 및 데이터링크 상위 계층과 그 위 계층의 표준인 IEEE 1609로 이루어져 있다. WAVE는 5.9Ghz 대역에 총 7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한 개의 채널이 제어 채널이다. 모든 차량은 일정 주기를 가지고 절반의 시간은 제어 채널에 접속하여 채널 사용에 관한 정보나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 받고, 나머지 절반은 서비스 채널에 접속하여 통신을 한다.
VANET는 WAVE를 이용한 차량 간 통신을 의미하며, 차량들은 RSU(Road Side Unit) 또는 다른 차량들과 제어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VANET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주로 주행 중 다른 차량으로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하여 주행을 원활하게 하는데 사용되며, 부가적으로는 데이터 전송이나 인터넷에도 사용된다.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IEEE 1609에서 정의된 WSMP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정보를 전송하며, 이를 비콘(Beacon) 프레임이라 한다. 비콘 프레임에는 현재 차량의 위치, 속도, 네트워크 식별번호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VANET의 데이터 전송은 제어 채널 기간과 서비스 채널 기간으로 나누어지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전송은 제어 채널 기간에 이루어진다. 그런데 응용 계층에서는 이에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전송을 시도하므로, 서비스 채널 기간에 전송을 시도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제어 채널 기간의 시작 부분에 전송 시도가 몰리게 된다. 차량이 많아질수록 이러한 현상이 심해지므로 프레임의 손실 또는 전송 지연이 커지며, 이러한 전송 지연은 특히 안전 관련 정보들의 전송시에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간 통신에서 비콘 프레임의 충돌 또는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 간 통신에서 비콘 프레임의 충돌 또는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는, 제어 채널 기간과 서비스 채널 기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차량 간 통신의 응용 계층에 적용되며,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상기 제어 채널 기간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비콘 슬롯 각각의 슬롯 번호 및 각각의 슬롯 번호에 해당하는 시간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제1주기에 연속하는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을 구성하는 비콘 슬롯들 중에서 상기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1 이상인 경우에 상기 비콘 슬롯들 중에서 상기 제2주기에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하는 슬롯 선택부; 및 상기 제2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은, 제어 채널 기간과 서비스 채널 기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차량 간 통신의 응용 계층에 적용되며,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상기 제어 채널 기간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비콘 슬롯 각각의 슬롯 번호 및 각각의 슬롯 번호에 해당하는 시간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제1주기에 연속하는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을 구성하는 비콘 슬롯들 중에서 상기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1 이상인 경우에 상기 비콘 슬롯들 중에서 상기 제2주기에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하는 슬롯 선택단계; 및 상기 제2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수신되는 시간을 기초로 다른 차량이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시간을 선택하여 비콘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비콘 프레임의 충돌 및 전송 지연을 방지하고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차량 간 통신이 수행되는 주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에서 제1주기 동안 데이터 수집부가 수신 비콘 프레임의 테이블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에서 제2주기 동안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는 제어 채널 기간과 서비스 채널 기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차량 간 통신의 응용 계층에 적용되며, 데이터 수집부(110), 슬롯 선택부(120) 및 전송부(130)를 구비한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제어 채널 기간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비콘 슬롯 각각의 슬롯 번호 및 각각의 슬롯 번호에 해당하는 시간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간 통신을 수행하는 각각의 차량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각 차량 간의 동기된 주기를 따라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또한 각각의 주기는 제어 채널 기간 및 서비스 채널 기간으로 나누어진다. 도 2는 차량 간 통신이 수행되는 주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어 채널 기간(CCH)과 서비스 채널 기간(SCH)으로 이루어진 각 주기가 제1주기 및 제2주기 등으로 반복된다. 이하에서는 제1주기 및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본 발명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 간 통신의 응용 계층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집부(110)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레임 전송 주기에 접근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제어 채널 기간을 관리하며, 나아가 제어 채널 기간을 일정한 시간 간격의 복수의 비콘 슬롯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 수신되는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제1주기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데이터 수집부(110)는 먼저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가상의 비콘 슬롯을 복수 개 설정하고, 각각의 비콘 슬롯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슬롯 번호를 부여한다. 따라서 제1주기에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시간 역시 특정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였던 시간에 해당하는 비콘 슬롯을 제1 비콘 슬롯이라 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10)는 제1주기 동안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수신될 때마다 각각의 비콘 프레임이 수신된 시간을 각각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각각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는 시간마다 해당 시간에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얻어질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이와 같이 가상으로 설정된 각각의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각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매핑하여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나아가 비콘 프레임의 송수신은 제어 채널 기간에만 이루어지므로, 데이터 수집부(110)에서는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를 제어 채널 기간의 종료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채널 기간의 종료시간은 매 주기마다 업데이트되며, 예를 들면, 제1주기에서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시간의 슬롯 번호보다 제2주기에서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시간의 슬롯 번호가 더 큰 경우에 데이터 수집부(110)는 제어 채널 기간의 종료시점을 제2주기에서 얻어진 슬롯 번호로 갱신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집부(110)에 의해 슬롯 번호와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매핑된 테이블은 각 주기마다 별개로 생성되며, 이전 주기에 생성된 테이블은 다음 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이 종료하면 초기화된다. 즉, 제1주기에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테이블은 제2주기에서 슬롯 선택부(120)에 의해 사용되며,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이 종료하면 모든 값이 0으로 초기화된다.
다음으로 슬롯 선택부(120)는 제1주기에 연속하는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을 구성하는 비콘 슬롯들 중에서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1 이상인 경우에 비콘 슬롯들 중에서 제2주기에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한다.
이러한 슬롯 선택부(120)의 동작은 동일한 비콘 슬롯에서 비콘 프레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한 주기 내에서 복수의 차량 간의 비콘 프레임 전송 시간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슬롯 선택부(12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고하여 각각의 비콘 슬롯에서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 여부, 즉 다른 차량이 해당 비콘 슬롯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주기에서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였던 시간, 즉 제1 비콘 슬롯이 이미 다른 차량에 의해 사용중이라면 비콘 프레임의 충돌 및 전송 지연을 회피하기 위해 다른 비콘 슬롯, 즉 제1 비콘 슬롯과 상이한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하여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제2 비콘 슬롯의 선택 여부는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다른 비콘 슬롯의 선택은 저장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기초로 산출된 확률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140)에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n개인 경우, 슬롯 선택부(120)는 1/n의 확률로 제1 비콘 슬롯을 그대로 유지하고, 1-(1/n)의 확률로 새로운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저장된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많을수록 슬롯 선택부(120)가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슬롯 선택부(120)가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표에서 현재 다른 차량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비콘 슬롯, 즉 매핑된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0인 비콘 슬롯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만약 모든 비콘 슬롯이 다른 차량에 의해 사용중인 경우에는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최소인 슬롯 번호의 비콘 슬롯을 제2 비콘 슬롯으로 선택한다. 따라서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는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최소인 경우에는 제1 비콘 슬롯이 다시 제2 비콘 슬롯으로 선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송부(130)는 슬롯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제2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이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응용 계층에서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시간을 결정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채널 기간 동안 큐에서 대기하는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비콘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하고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에서 제1주기 동안 데이터 수집부(110)가 수신 비콘 프레임의 테이블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부(110)는 제어 채널 기간을 일정한 시간 간격의 복수의 비콘 슬롯으로 분할하고(S310),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카운트한다(S320). 먼저 비콘 프레임이 수신된 시간을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로 변환하고(S330),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테이블에서 해당 슬롯 번호에 대응하는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1 만큼 증가시킨다(S340). 이러한 과정은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된다(S350). 또한 제어 채널 기간이 종료하면 이전 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에 생성된 테이블을 초기화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에서 제2주기 동안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롯 선택부(120)는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 비콘 프레임이 전송된 시간인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탐색하고(S410),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는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0인지 여부, 즉 제1 비콘 슬롯이 다른 차량에 의해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20).
제1 비콘 슬롯에 대응하여 저장된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0인 경우에는 제1 비콘 슬롯이 사용중인 것이 아님을 의미하므로, 슬롯 선택부(120)는 제1 비콘 슬롯을 비콘 프레임의 전송 시점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제1 비콘 슬롯에 대응하여 저장된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0이 아닌 경우에는 제1 비콘 슬롯이 다른 차량에 의해 사용중이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슬롯 선택부(12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슬롯 번호들 중에서 제1 비콘 슬롯과 상이한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한다. 다만, 제2 비콘 슬롯의 선택은 제1 비콘 슬롯에 대응하는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다른 확률로 이루어진다.
이때 다른 슬롯 번호들 중에서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0인 비콘 슬롯이 존재하면(S430) 해당 비콘 슬롯을 제2 비콘 슬롯으로 선택하고(S440),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0인 비콘 슬롯이 존재하지 않으면 슬롯 번호들 중에서 수신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최소인 비콘 슬롯을 제2 비콘 슬롯으로 선택한다(S450). 전송부(130)는 제2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여(S460), 해당 시간에 외부로의 비콘 프레임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 데이터 수집부
120 - 슬롯 선택부
130 - 전송부
1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제어 채널 기간과 서비스 채널 기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차량 간 통신의 응용 계층에 적용되는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에 있어서,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상기 제어 채널 기간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비콘 슬롯 각각의 슬롯 번호 및 각각의 슬롯 번호에 해당하는 시간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제1주기에 연속하는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을 구성하는 비콘 슬롯들 중에서 상기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1 이상인 경우에 상기 비콘 슬롯들 중에서 상기 제2주기에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하는 슬롯 선택부; 및
    상기 제2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슬롯 번호들 중에서 대응하는 상기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최소인 슬롯 번호의 비콘 슬롯을 상기 제2 비콘 슬롯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을 상기 제어 채널 기간의 종료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제2주기에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가 상기 제1주기에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보다 크면 상기 제어 채널 기간의 종료시점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이 종료하면 상기 제1주기 동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6. 제어 채널 기간과 서비스 채널 기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차량 간 통신의 응용 계층에 적용되는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에 있어서,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상기 제어 채널 기간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비콘 슬롯 각각의 슬롯 번호 및 각각의 슬롯 번호에 해당하는 시간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제1주기에 연속하는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을 구성하는 비콘 슬롯들 중에서 상기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제1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1 이상인 경우에 상기 비콘 슬롯들 중에서 상기 제2주기에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제2 비콘 슬롯을 선택하는 슬롯 선택단계; 및
    상기 제2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선택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슬롯 번호들 중에서 대응하는 상기 비콘 프레임의 개수가 최소인 슬롯 번호의 비콘 슬롯을 상기 제2 비콘 슬롯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상기 제1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 동안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비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을 상기 제어 채널 기간의 종료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상기 제2주기에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가 상기 제1주기에 외부로부터 비콘 프레임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비콘 슬롯의 슬롯 번호보다 크면 상기 제어 채널 기간의 종료시점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상기 제2주기의 제어 채널 기간이 종료하면 상기 제1주기 동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비콘 프레임의 개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
  11. 제 6항 또는 제 7항에 기재된 비콘 프레임 전송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111697A 2010-11-10 2010-11-10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17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697A KR101179634B1 (ko) 2010-11-10 2010-11-10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697A KR101179634B1 (ko) 2010-11-10 2010-11-10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273A true KR20120050273A (ko) 2012-05-18
KR101179634B1 KR101179634B1 (ko) 2012-09-04

Family

ID=4626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697A KR101179634B1 (ko) 2010-11-10 2010-11-10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6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35B1 (ko) * 2012-11-13 2014-08-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콘 메시지 전송 주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01359A (ko) 2015-06-26 2017-01-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차량사고 중계용 교통안전표지판
KR20170075351A (ko) 2015-12-23 2017-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자 및 자전거 교통안전 시스템 및 방법
US10681756B2 (en) 2015-06-10 2020-06-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eacon system to improv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between headset communication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962B1 (ko) 2015-05-08 2016-10-1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간 통신을 통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35B1 (ko) * 2012-11-13 2014-08-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콘 메시지 전송 주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10681756B2 (en) 2015-06-10 2020-06-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eacon system to improv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between headset communication devices
US10939487B2 (en) 2015-06-10 2021-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eacon system to improv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between headset communication devices
US11438946B2 (en) 2015-06-10 2022-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eacon system to improv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between headset communication devices
KR20170001359A (ko) 2015-06-26 2017-01-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차량사고 중계용 교통안전표지판
KR20170075351A (ko) 2015-12-23 2017-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자 및 자전거 교통안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634B1 (ko)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634B1 (ko) 차량 간 통신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RU2010122730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ообщения о статусе буфера
CN101946552B (zh) 无线通信方法、基站装置及无线通信系统
CN103326913A (zh) 用于对等通信的确定性退避方法和装置
CN102291836A (zh) 一种随机接入控制方法及系统
RU2019135687A (ru) Процедура приоритезации логического канала для логических каналов одноуровневой линии связи
US2012002031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node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25215B2 (en) Distributing an advertisement of channel assignments in a wireless mesh network over a sequence of multiple advertisement elements
CN102802227B (zh) 基于基站直通架构的数据处理方法、设备和系统
CN107181628B (zh) 双向无线通信方法、装置和终端
CN109076570A (zh) 一种业务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CN104584473A (zh) 信道资源指示方法及装置
US7230922B1 (en) Real-time rate control mechanism for multi-rate data transmissions in wireless networks
JP2019500802A (ja) アップリンク・トラフィック・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JP2022520466A (ja) 伝送リソース検出方法、伝送リソース決定方法と通信機器
CN102197699B (zh) 介质访问控制中松弛确定性回退方法的传输时隙选择
WO2015165355A1 (zh) 一种时隙状态维护方法和装置
EP2256993A1 (en) Method for 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 communication networks
EP309650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CN104581819A (zh) 一种时隙资源碰撞的确定方法及装置
US20220038919A1 (en) Down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Huh et al. Improvement of multichannel LoRa networks based on distributed joint queueing
JP2009225336A (ja) 管理装置、通信経路制御方法、通信経路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6110241A1 (zh) 隐藏站点的检测方法、系统、站点及计算机存储介质
CN106161318A (zh) 一种信号处理方法、发送机、接收机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