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195A -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195A
KR20120050195A KR1020100111583A KR20100111583A KR20120050195A KR 20120050195 A KR20120050195 A KR 20120050195A KR 1020100111583 A KR1020100111583 A KR 1020100111583A KR 20100111583 A KR20100111583 A KR 20100111583A KR 20120050195 A KR20120050195 A KR 2012005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film
hybrid
hybrid graphene
film
ped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095B1 (ko
Inventor
김병수
이태민
조기영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0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파이트 옥사이드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현탁액을 고주파 처리하고,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 존재 하에 상기 현탁액의 환원을 수행하여, 상기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의 관능기를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에 의하여 관능화됨과 아울러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시트의 안정적인 분산 수용액이 제공된다. 상기 분산 수용액을 이용하면, 80% 투과율 (550㎚ 기준)에서 2.3㏀/sq의 시트 저항을 가짐으로써,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시트가 형성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은 높은 전기전도도 및 높은 광투과율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 전극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Hybrid graphene film, method for producing it, and display panel comprising it }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투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단일층의 2차원 탄소 격자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은 최근에 전기적, 열적 및 기계적인 특성에 의하여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적용에 이용되도록 고품질의 그래핀 시트를 적당한 크기로 제조하는데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특히, 안정적인 그래핀 시트를 제조하는 화학적 박리(exfoliaiton) 방법이 용매내에 안정적인 현탁액의 형태로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박리 방법은 효과적이며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최종 그래핀 시트의 표면 결함을 불가피하게 유발하여, 그래핀 시트의 전기전도성을 나쁘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그래핀 시트의 구조 및 전기 전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고온의 열분해 또는 하이드라진과 같은 물질을 환원제로 하는 화학 반응을 포함한 그래핀 옥사이드를 환원시키는 예가 있다. 그러나,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도 전기 전도성을 악화시키는 표면 결함을 여전히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학 반응시 적절한 첨가제가 없을 경우 비가역적인 응집 또는 침전 문제를 야기한다. 예를 들면, 폴리머와 작은 분자들이 화학 반응시 첨가제로 이용되었지만, 광전기적 적용에 필요한 화학적 안정성 및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기기 위한 전기적 분산제(dispersant)를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의 안정적인 현탁액을 제조하는 것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광투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로 코팅된 복층의 그래핀 시트들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은 SOCl2가 도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층의 그래핀 시트들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는,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치오펜(polythiophene)과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혼합물은 폴리 (3,4-에틸렌 다이옥시치오펜(dioxythiophene)) :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 (PEDOT:P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그래파이트 옥사이드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현탁액을 고주파 처리하고,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 존재 하에 상기 현탁액의 환원을 수행하여, 상기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의 관능기를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현탁액을 침투하여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현탁액을 상기 멤브레인에 침투시켜서, 상기 멤브레인에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멤브레인에 붙은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기판 상에 접촉시킨 후, 상기 멤브레인을 녹여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침투 전에 물을 상기 기판 상에 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SOCl2 용액에 담가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SOCl2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는,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치오펜(polythiophene)과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혼합물은 폴리 (3,4-에틸렌 다이옥시치오펜(dioxythiophene)) :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 (PEDOT:P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인 셀룰로스 에스테르 멤브레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하이브리드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이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전계 발광 패널(FE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에 의하여 관능화됨과 아울러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시트의 안정적인 분산 수용액이 제공된다. 상기 분산 수용액을 이용하면, 80% 투과율 (550㎚ 기준)에서 2.3㏀/sq의 시트 저항을 가짐으로써,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시트가 형성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은 높은 전기전도도 및 높은 광투과율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 전극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a는 PEDOT:PSS를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RGO) 나노시트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1b는 PEDOT:PSS가 없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의 수용액 상태의 분산액의 사진(왼쪽) 및 PEDOT:PSS 현탁액을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의 수용액 상태의 분산액의 사진(오른쪽)을 보여준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RGO/PEDOT를 고 분해율로 디컨벌루터한 Cls 및 S2p XPS 스펙트럼이다.
도 3a는 90%의 광투과율을 가지는 플렉서블 PET 기판 상에 부착된 얇은 필름 상태의 RGO/PEDOT를 보여주고, 도 3b는 3.8㎛ 두께의 RGO/PEDOT 필름의 SEM 단면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SOCl2 처리 전후의 RGO/PEDOT 필름의 광투과율 및 시트 저항 그래프로서, 광투과율의 손실 없이 RGO/PEDOT 필름을 SOCl2에 1시간 정도 노출시킨 상태이며, 모든 데이터들은 5개의 실험들의 평균값이다.
도전성 폴리머 폴리치오펜(polythiophene) (폴리 (3,4-에틸렌 다이옥시치오펜(dioxythiophene))) :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 ((PEDOT:PSS))의 유도체는 고 전기 전도성, 안정성 및 수성 용해도를 가지므로, 유기 광전기적 장치 내의 계면 보정층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PEDOT의 강성 백본(rigid backbone)은 PSS에 의하여 처리되고, PSS 내의 잔존하는 비결합 술폰산기는 PEDOT:PSS의 최적 수성 용해도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폴리머 PEDOT:PSS에 의하여 관능화됨과 아울러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시트(이하, "RGO/PEDOT" 라고 함)의 안정적인 분산 수용액이 제공된다. 상기 분산 수용액을 이용하면, 80% 투과율 (550㎚ 기준)에서 2.3㏀/sq의 시트 저항을 가짐으로써,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시트가 형성된 하이브리드 필름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RGO/PEDOT는 높은 전기전도도가 요구되는 투명 전극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RGO/PEDOT의 박막 나노 복합제 필름의 제조
수정된 허멀스법(Mummers method)에 따르면, 먼저 그래파이트 옥사이드 현탁액이 상용 그래파이트 파우더로부터 제조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그래파이프 옥사이드(GO)는 수정된 허멀스법에 의하여 합성되고, 고주파 처리(ultrasonication) 하에서 갈색의 그래핀 옥사이드 분산액으로 박리된다.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 현탁액(20.0㎖, 0.50㎎/㎖)은 7.70㎖의 PEDOT/PSS 용액에 혼합되었다(1:10 w/w ratio vs GO, 천체적으로 물에 1.3 wt% 분산액, PEDOT의 0.50wt%+PSS의 0.80wt%). 이러한 용액에 60.0㎕의 하이드라진 용액 (35wt% 수용액)이 천천히 가해지고, 이러한 전체 용액이 3시간 동안 95℃로 가열 반응되어, PEDOT:PSS로 관능화된 안정적인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시트들의 현탁액이 제조된다.
상기 반응 후, 이러한 상기 현탁액은 폴리(에테르 설폰)(PES) 멤브레인(0.22 ㎛의 구멍(pore) 크기를 가짐)을 통하여 침투되었고, 잔존하는 하이드라진 및 비결합된 PEDOT:PSS 폴리머를 제거하도록 밀리포어(Millipore) 물에 세정되었다. 대기 조건하에서 건조 후, RGO/PEDOT의 박막 나노 복합제 필름이 제조되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필름은 물에 1.0㎎/㎖의 농도로 쉽게 분산될 수 있다. 이 분산액은 6개월 이상 특별한 응집없이 안정적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RGO/PEDOT의 분산 현탁액의 특성 분석
도 1a를 참조하면, AFM (atomic force microscopy)을 이용한 관찰을 통하여, RGO/PEDOT의 균질 현탁액은 대개 PEDOT:PSS 콜로이드의 박막 그래뉼 구조를 가지는 단일 시트들을 포함하였으며, 측면 시트 사이즈는 1 내지 2㎛였다. 그래핀 시트를 덮는 PEDOT/PSS의 평균 높이는 1.28ㅁ0.11㎚ 였는데, 이는 코팅되지 않은 원래의 GO의 평균 두께인 0.70㎚ 보다 컸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RGO 나노시트들의 표면 상에 폴리머 코팅이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관찰 결과, RGO 나노시트들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PEDOT/PSS의 최소 농도(GO에 대한 1:5 w/w 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도전성 분산제에 의한 RGO 시트의 충분한 표면 코팅이 안정적인 RGO/PEDOT 현탁액을 제조하는데 매우 중요함을 파악하였다.
PEDOT/PSS는 2개의 독립적인 메커니즘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RGO 시스들에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메커니즘은, 그래핀 시트와 도전성 폴리머 PEDOT의 강성 평면 백본 사이의 π-π 상호작용이다. RGO 시트에 결합되어 음으로 대전된 PSS는 RGO/PEDOT 복합제에 콜로이드 안정성(ξ 포텐셜은 -57㎷임)을 제공한다. PEDOT/PSS 존재 하에 하이드라진을 이용하여 그래핀 옥사이드를 환원시키는 실험 시, 도 1b를 참조하면, 화학적 환원에서 표면 관능기들의 손실로 인하여 비가역적 응집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래핀 시트들이 응집된 구조로 생산된다.
열중량적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이 수행되어, 하이브리드 RGO/PEDOT 내의 폴리머의 상대적인 조성을 파악하였다. TGA 곡선을 참조하면, 약 100℃에서 5% 초기 질량 손실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복합제 필름에 포함된 물 성분에 기인한다. 1차 열 이동 이후에, RGO/PEDOT 복합제는 약 300-400℃에서 부가적인 질량 손실 (최초 물질의 35%)을 보여주는데, 이는 PEDOT/PSS의 분해에서 기인한다. 하락 온도의 시작은 순수 PEDET:PSS 보다 크기 때문에, 하리브리드 RGO/PEDOT의 열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만, RGO에 존재하는 불안정한 표면 관능기들이 이러한 온도 범위에서 PEDOT:PSS와 함께 손실되기 때문에, 상기 복합제 내의 RGO의 상대적인 성분을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RGO/PEDOT의 원자단위의 질량비에 있어서, C, H, N, O S는 평균적으로 각각 44.0%, 4.5%, 5.4%, 18.3% 및 14.9%이다. 황 성분을 기초로 하여, RGO의 약 30%는 하이브리드 RGO/PEDOT 복합제 내에 존재한다고 추정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측정 결과, RGO/PEDOT 내에는 6개의 서로 다른 카본 결합이 존재하고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러한 탄소 결합은, sp2 하이브리다이즈된 흑연 카본들 (284.5 eV), sp3 하이브리다이즈된 포화 카본들(285.0 eV), C-O (285.8 eV), C-S (286.6 eV), C=O (287.3 eV) 및 카르복실기들 (288.6 eV)이다.
카르복실기는 화학적 환원 시 상당량이 감소되어, GO 나노시트들의 안정적인 환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도 2b를 참조하면, RGO/PEDOT 현탁액이, PSS의 설포네이트 및 PEDOT의 치오펜에 대하여 각각 169.1 eV, 168.0 eV, 및 164.9 eV, 163.8 eV에서 스핀 스플릿 더블릿 S2P(spin split doublet S2P)의 피크를 가진다.
<실시예 3> RGO/PEDOT 필름의 제조
RGO/PEDOT의 희석된 현탁액을 셀룰로스 에스테르 멤브레인(25㎚의 구멍 크기를 가짐)에 진공 침투시키고, 밀리포어 물로 세정하여, 플렉서블한 프리-스탠딩 필름 (free-standing film)을 생산하였다. 다른 진공 필터링 방법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의 두께는 부피 및 RGO/PEDOT 현탁액의 농도에 따라 쉽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에 붙은 RGO/PEDOT 필름은 석영 슬라이드 기판(2.5ㅧ2.5㎠)에 이송되는데, 이러한 이송 전에 상기 기판의 O2플라즈마 처리된 표면을 소량의 물로 적신다. 상기 이송 후, 1 ㎏의 무게로 상기 기판을 12시간 동안 누른다. 이 정도의 압력만으로도 상기 RGO/PEDOT 필름과 상기 기판 사이의 등각 접촉에 충분하다. 그 후, 상기 멤브레인이 아세톤 용액으로 제거되어, RGO/PEDOT 필름이 상기 기판 상에 남는다(도 3a 참조).
상기 기판 상에 있는 RGO/PEDOT 필름은 SOCl2 용액에 1시간 동안 처리된 후, 대기 상태에서 수 시간 동안 놓여서, 잔존하는 SOCl2가 제거된다.
상기 기판으로는 석영 슬라이드 대신에 PET 필름 등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물 처리 프로세스에 의하여, RGO/PEDOT 필름의 플렉서블 특성이 더욱 향상되고, 상기 필름과 상기 기판 사이의 접촉 특성도 더욱 향상된다.
상기 RGO/PEDOT 필름의 상기 기판 접촉 시, 불충분한 시간 및 압력은 RGO/PEDOT 필름의 부분적 형성 문제를 발생시킨다. 많은 양의 침투액이 사용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하이브리드 RGO/PEDOT 필름이 생산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필름의 SEM 사진은 두꺼운 폴리머 매트릭스로 덮인 복층의 그래핀 시트들이 잘 적층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3> RGO/PEDOT 필름의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 분석
PEDOT:PSS의 존재 하에서, GO의 성공적인 환원은 상기 필름의 시트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의 투과도뿐만 아니라 상기 시트 저항이 침투액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석영 기판 상에 적층된 RGO/PEDOT 필름은 81%의 투과율에서 27.3㏀/sq시트 저항을 가진다. 반대로, PEDOT 없이 순수 PSS로 코팅된 RGO 필름은 40㏁/sq를 가진다. 이는 RGO/PEDOT 하이브리드 필름의 전기 전도성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또한, 적절한 불순물의 선택은 카본 나노물질들의 전기 전도성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RGO/PEDOT에 SOCl2를 첨가할 경우, 전기 전도성을이 더욱 향상되는데, 이는 상기 형성된 필름을 SOCl2 용액에 1시간 정도 담금으로 수행된다. 이럴 경우, 상기 복합제 RGO/PEDOT 필름의 투과도 손실없이 SOCl2의 처리만으로도 전체 시트 저항을 수 ㏀/sq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75㎕ 용액으로부터 준비된 RGO/PEDOT 필름의 시트 저항은 27.3㏀/sq에서 2.3㏀/sq로 감소한 반면, 투과율은 1% 수준만 변화되었다. 본 실험에서 최소 시트 저항은 68%의 투과율에서 0.71㏀/sq이었다. 하지만, RGO/PEDOT 용액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저항을 더욱 낮출 수 있기는 하지만, 투과율도 낮아지게 된다. SOCl2를 상기 필름에 도핑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전기 전도율은 낮추는 것은, 다른 카본 베이스의 나노물질들에서와 유사하게 Cl-를 p 타입 불순물로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최적화 할 경우, 대형의 투명 도전성 박막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로 코팅된 복층의 그래핀 시트들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은 SOCl2가 도핑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층의 그래핀 시트들은 서로 적층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치오펜(polythiophene)과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폴리 (3,4-에틸렌 다이옥시치오펜(dioxythiophene)) :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 (PEDOT:PSS)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6. 그래파이트 옥사이드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현탁액을 고주파 처리하고,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 존재 하에 상기 현탁액의 환원을 수행하여, 상기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의 관능기를 가지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현탁액을 멤브레인에 침투(filtration)시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현탁액을 상기 멤브레인에 침투시켜서, 상기 멤브레인에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멤브레인에 붙은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기판 상에 접촉시킨 후, 상기 멤브레인을 녹여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침투 전에 물을 상기 기판 상에 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SOCl2 용액에 담가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을 SOCl2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치오펜(polythiophene)과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폴리 (3,4-에틸렌 다이옥시치오펜(dioxythiophene)) : 폴리 (스틸렌 설포네이트) (PEDOT:PSS)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인 셀룰로스 에스테르 멤브레인인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두께가 제어되는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이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100111583A 2010-11-10 2010-11-10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118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83A KR101187095B1 (ko) 2010-11-10 2010-11-10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83A KR101187095B1 (ko) 2010-11-10 2010-11-10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95A true KR20120050195A (ko) 2012-05-18
KR101187095B1 KR101187095B1 (ko) 2012-09-28

Family

ID=4626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583A KR101187095B1 (ko) 2010-11-10 2010-11-10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0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0308A (zh) * 2013-01-17 2013-05-15 浙江大学 一种明胶薄膜和明胶单壁碳纳米管复合薄膜的制备方法
KR20130135189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 필름의 제조방법
WO2015102402A1 (ko) * 2013-12-30 2015-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기능 배리어층을 갖는 플렉서블 전자 디바이스
KR20190048919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소자용 전도성 복합구조체 ,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용 전극 및 전자소자
KR20200111681A (ko) * 2017-12-06 2020-09-29 타타 스틸 리미티드 하이브리드 투명 전도성 전극
WO2022158961A1 (en) * 2021-01-19 2022-07-28 Nanoskunkworkx Sdn. Bhd. A method for nanocomposite de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5497B2 (en) * 2005-06-02 2010-01-12 Eastman Kodak Company Multi-layer conductor with carbon nanotub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5189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 필름의 제조방법
CN103100308A (zh) * 2013-01-17 2013-05-15 浙江大学 一种明胶薄膜和明胶单壁碳纳米管复合薄膜的制备方法
WO2015102402A1 (ko) * 2013-12-30 2015-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기능 배리어층을 갖는 플렉서블 전자 디바이스
KR20190048919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소자용 전도성 복합구조체 ,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용 전극 및 전자소자
KR20200111681A (ko) * 2017-12-06 2020-09-29 타타 스틸 리미티드 하이브리드 투명 전도성 전극
WO2022158961A1 (en) * 2021-01-19 2022-07-28 Nanoskunkworkx Sdn. Bhd. A method for nanocomposite de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095B1 (ko) 201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095B1 (ko)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Valentini et al. A novel method to prepare conductive nanocrystalline cellulose/graphene oxide composite films
Tan et al. Graphene as a flexible electrode: review of fabrication approaches
US20150024122A1 (en) Graphene 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phene pattern using the same
KR101244058B1 (ko) 층상 자기조립법을 이용한 그래핀 투명 박막의 제조방법
Han et al. Scalable, printable, surfactant-free graphene ink directly from graphite
Tung et al. Poly (ionic liquid)-stabilized graphene sheets and their hybrid with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Zhang et al. Aqueous stabilization of graphene sheets using exfoliated montmorillonite nanoplatelets for multifunctional free-standing hybrid films via vacuum-assisted self-assembly
Pei et al. Direct reduction of graphene oxide films into highly conductive and flexible graphene films by hydrohalic acids
Cheng et al. High-performance stretchable transparent electrodes based on silver nanowires synthesized via an eco-friendly halogen-free method
Kuila et al. Preparation of water-dispersible graphene by facile surface modification of graphite oxide
Seol et al. Nanocomposites of reduced graphene oxide nanosheets and conducting polymer for stretchable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Kang et al. Direct exfoliation of graphite using a non-ionic polymer surfactant for fabrication of transparent and conductive graphene films
US20110079748A1 (en) Exfoliation of Graphite Oxide in Propylene Carbonate and Thermal Reduction of Resulting Graphene Oxide Platelets
De Castro et al. New transfer method of CVD-grown graphene using a flexible, transparent and conductive polyaniline-rubber thin film for organic electronic applications
Park et al. Graphene oxide/PEDOT: PSS and reduced graphene oxide/PEDOT: PSS hole extraction layers in organic photovoltaic cells
US20100092809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optically transparent films of exfoliated graphite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ang et al. A facile method for preparing transparent, conductive, and paper-like silver nanowire films
Zhou et al. 4D printing of stretchable supercapacitors via hybrid composite materials
Park et al. Comb-type polymer-hybridized MXene nanosheets dispersible in arbitrary polar, nonpolar, and ionic solvents
US20140283970A1 (en) Large-area films using interfacial self-assembly of microp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27745B2 (en) Method for producing few-layer graphene
WO2019182356A1 (ko) 고강도 그래핀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Zuo et al. Preparation of polyaniline–polypyrrole binary composite nanotube using halloysite as hard-template and its characterization
Hu et al. Tuning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robust bio-bond graphene papers by spontaneous electrochemical reduction: from insulators to flexible semi-me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