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177A -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177A
KR20120050177A KR1020100111562A KR20100111562A KR20120050177A KR 20120050177 A KR20120050177 A KR 20120050177A KR 1020100111562 A KR1020100111562 A KR 1020100111562A KR 20100111562 A KR20100111562 A KR 20100111562A KR 20120050177 A KR20120050177 A KR 2012005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mote
power
control signal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448B1 (ko
Inventor
김재국
윤창일
Original Assignee
(주)유비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쿼스 filed Critical (주)유비쿼스
Priority to KR102010011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4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25Watchdog, check at timed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위단의 원격지 장비가 비정상 상태로 빠져버리는 경우에, 해당 장비를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 원격 전원제어 장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측의 원격지 장비의 전원을 초기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상위단 장비;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원격지 장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power control based on ethernet or PON(passive optical network)}
본 발명은 이더넷 또는 PON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위단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적이고 환경적인 차원에서 저전력 설계, 친환경적인 성격을 갖는 IT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이더넷 스위치 및 이더넷으로 연결된 단말 장치들의 활용도를 꾸준히 증가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이더넷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또한 관리상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려고 노력 중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위단의 원격지 장비가 비정상 상태로 빠져버리는 경우에, 해당 장비를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더넷 또는 PON 기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측의 원격지 장비의 전원을 초기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상위단 장비;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원격지 장비;를 포함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위단 장비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 상위단 MAC(Medium Access Control) 기능부; 상위단 광송수신기; 워치-독 클리어 신호 발생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지 장비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 PSU);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모듈(Uplink Module); 및 메인 보드(Main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링크 모듈은, 상기 상위단 장비와 광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위단 광송수신기; 상기 하위단 광송수신기에 연결되고, LOS(Loss of Signal) 채널을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하여 확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 상기 하위단 광송수신기에 연결되고, 이더넷 또는 PON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하위단 MAC 기능부; 상기 하위단 MAC 기능부에 연결되고, 상기 워치-독 클리어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워치-독 신호를 발생시키는 워치-독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 및 상기 워치-독 신호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워치-독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링크 모듈은, 상기 상위단 장비와 광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위단 광송수신기; 상기 하위단 광송수신기에 연결되고, 이더넷 또는 PON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하위단 MAC 기능부; 상기 하위단 MAC 기능부에 연결되고, 상기 워치-독 클리어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워치-독 신호를 발생시키는 워치-독 신호 발생부; 상기 하위단 MAC 기능부에 연결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하여 확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 및 상기 워치-독 신호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워치-독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는 수신되는 모든 신호에 대하여, 상기 원격 제어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더넷 또는 PON 기반 통신 시스템에 의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위단 장비에서, 가입자 측의 원격지 장비의 전원을 초기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하여 상기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위단 장비에서, 상기 원격지 장비에 구비된 워치-독 신호 발생부의 카운터를 클리어하는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지 장비에서 상기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 상기 워치-독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워치-독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는 LOS 채널을 통해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되거나,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원격지 장비에서는 수신되는 모든 신호에 대하여, 상기 원격 제어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장비는 상기 상위단 장비와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모듈이 상기 상위단 장비와 통신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하고, 상기 업링크 모듈이 상기 상위단 장비와 통신 불능인 경우에, 상기 워치-독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은 원격지 장비가 기능 정지(행업)된 경우에, 현장 출동없이 원격으로 원격지 시스템을 신속히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 장비의 업링크 모듈이 기능 정지된 경우에도, 워치-독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지 시스템의 전원을 초기화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유지보수 요원이 현장에 출동하여 전원 ON/OFF를 수행함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그 시간 동안에 가입자에 대한 통신 서비스가 중단되는 불편을 해결함으로써,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이더넷 또는 PON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조도들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의 L3 스위치 또는 OLT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의 L3 스위치 또는 OLT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의 L2 스위치 또는 ONU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4a는 도 3의 L2 스위치 또는 ONU에 채용되는 업링크 모듈을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4b는 도 3의 L2 스위치 또는 ONU에 채용되는 다른 구조의 업링크 모듈을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2a 또는 도 2b의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의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에서 생성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신호의 패턴을 보여주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3의 L2 스위치 또는 ONU의 전원공급장치를 좀더 상세히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4a 또는 도 4b의 업링크 모듈의 워치-독 신호 발생부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바로 연결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과장되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a 및 1b는 이더넷 또는 PON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조도들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이더넷 통신 시스템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계층 3 스위치, 즉 L3 스위치(200)에 다수의 계층 2, 즉 L2 스위치(100)가 광케이블이나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동선 등을 통해 연결되고, 각 L2 스위치(100)에 각 가입자들의 통신 장치들이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더넷 통신 시스템은 FTTH(Fiber To The Home)로 불리는 광케이블 방식, 즉 PON(Passive Optical Network)의 경우, 다른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OLT(Optical Line Terminal, 200a)에 다수의 ONU/ONT(Optical Network Unit/Optical Network Terminal, 100a)가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각 ONU/ONT(100a)에 각 가입자들의 통신 장치들이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ONU는 다세대 공동 주택들에 적용된다는 의미에서 MDU(Multi-Dwelling Unit) ONU로 불리기도 한다.
한편, 이더넷 통신 시스템의 하위단으로서 가입자 측에 위치하는 L2 스위치(100)나 ONU/ONT(100a)는 내부적인 S/W의 결함이나, 외부의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장비의 기능이 정지(행업)되면 가입자 서비스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원격지 장비가 비정상상태로 빠져버리는 경우는 소프트웨어의 비정상 동작 뿐만아니라 일반고장이 아닌 하드웨어의 비정상동작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항이며, 이와 같이 해당 장비가 비정상상태로 동작할 경우 해당 장비를 정상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방법이 기술적으로 없다. 이에 따라, 해당 장비를 정상적으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장비를 리셋하여 초기화하거나 또는 파워를 껐다가 켜서 처음 상태로 복구하는 방법이 있으나 해당 장비가 원격에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처리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해당 장비를 리셋하는 것만으로 완벽한 복원이 안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원격지 장비의 기능 정지는 원격지 장비를 리셋하는 등의 초기화를 통해 쉽게 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하위단 장비의 기능 정지와 관련하여, 문제를 즉시 해결하여, 기술자의 출동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고, 가입자 서비스를 즉각적으로 원상 복구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원격지 장비가 비정상 동작하게 되는 경우, 해당 장비에 연결되어 있는 상위단 장비에서 비정상 동작하는 장비의 파워를 하드웨어적으로 껐다가 다시 키게 함으로써 해당 장비가 정상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원격지 장비 자체적으로 파워를 하드웨어적으로 껐다가 다시 키게 함으로써 해당 장비가 정상 동작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해당 비정상장비를 복구하기 위해서 사람이 직접 해당 장비가 있는 곳을 찾아가 리셋을 하거나 파워를 껐다가 켜야 하는 경우를 없앰으로써 통신시스템에서의 장애에 의한 서비스 불가시간을 줄이고 아울러 복구에 필요한 OPEX(Operating Expenses)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3 스위치 또는 OLT를 구성하는 장비를 '상위단 장비'라고 통칭하고, 또한, L2 스위치 또는 ONU/ONT을 구성하는 장비를 '원격지 장비'라고 통칭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의 상위단 장비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위단 장비(200), 즉 L3 스위치 또는 OLT는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210), 워치-독(Watch-Dog) 클리어 신호 발생기(230), 상위단 MAC(Medium Access Control) 기능부(250), 상위단 광송수신기(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210)는 제어부(290)의 제어 하에, 원격지 장비(미도시)의 전원을 초기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관리용 케이블 채널 등의 물리적 채널을 통해, 상위단 광송수신기(270)로 전달한다. 원격 제어 신호에 대한 내용은 도 5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좀더 상세히 기술한다.
워치-독 클리어 신호 발생기(230)는 제어부(290)의 제어 하에 원격지 장비(미도시) 내에 구비된 워치-독 신호 발생부의 카운터를 클리어하기 위한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위단 MAC 기능부(250)로 전달한다.
상위단 MAC 기능부(250)는 상위단에서 이더넷 또는 PON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상위단 광송수신기(270)는 상위단 MAC 기능부(250) 및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210)에 연결되어, 하위단의 원격지 장비와 광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원격 제어 신호 및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원격지 장비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위단 MAC 기능부(250)는 GEPON or GPON, 10GEPON, XGPON에 이용되는 MAC 기능부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90)는 상위단 장비(2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위단 장비(200)는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러한 원격 제어 신호를 원격지 장비로 전달하여,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함으로써, 기술자가 직접 원격지 장비가 존재하는 곳으로 갈 필요없이 즉시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여 정상 상태로 복구시킴으로써, 출동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출동 시간 동안 가입자에 대한 통신 서비스가 중단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 원격지 제어 신호를 통해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4a 부분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좀더 상세히 기술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의 상위단 장비를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편의상, 도 2a의 상위단 장비(200)와 구별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위단 장비(200a)는 앞서 도 2a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210a)에서 발생한 원격 제어 신호는 물리적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광신호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그에 따라, 도 2b에서,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210a)로부터의 신호 흐름 화살표가 상위단 MAC 기능부(250)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제어 신호를 통해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4b 부분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좀더 상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의 원격지 장비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원격지 장비(100), 즉 L2 스위치나 ONU/ONT는 업링크 모듈(Uplink Module, 110), 메인 보드(Main Board, 130) 및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 PSU,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모듈(110)은 상위단 장비와 통신을 담당하며, 메인 보드(130)는 각 가입자 포트(170)로 통신 기능을 분배하고 각 가입자 포트로(170)부터의 통신 기능을 취합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전원공급장치(150)는 원격지 장비 전체로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업링크 모듈(110)은 이하의 도 4a 및 4b와 같이 두 가지 구조 또는 두 가지 구조를 일체로 합친 구조로 구성되어, 상위단 장비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 또는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전달받아,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켜 전원공급장치(150)로 전달함으로써, 원격지 장비(100)의 전원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도 3의 L2 스위치 또는 ONU에 채용되는 업링크 모듈을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업링크 모듈(110)은 하위단 광송수신기(111), 하위단 MAC 기능부(113),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115), 워치-독 신호 발생부(117) 및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119)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업링크 모듈은 도 2a의 상위단 장비에 대응될 수 있다.
하위단 광송수신기(111)는 상위단 장비와 광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하위단 MAC 기능부(113)는 하위단 광송수신기(111)에 연결되어 하위단의 이더넷 또는 PON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115)는 하위단 광송수신기(111)에 연결되고, 물리적 채널인 LOS(Loss of Signal) 채널을 통해 상위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원격 제어 신호 유무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원격지 장비가 기능 정지되더라도, 업링크 모듈은 동작하여, 광신호 데이터의 송수신은 불가능 하지만, 물리적 채널은 그대로 동작하는 경우가 많다. 그에 따라, LOS 채널을 통해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115)가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115)는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한 경우에, 확인 신호 또는 신호 발생 명령어를 생성하여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119)로 전달한다.
워치-독 신호 발생부(117)는 하위단 MAC 기능부(113)에 연결되어, 상위단 장비로부터 전달된 워치-독 클리어 신호 유무에 따라 워치-독 신호를 발생시켜,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119)로 전달한다. 워치-독 신호 발생부(117)에 대한 내용은 도 7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좀더 상세히 기술한다.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119)는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115) 또는 워치-독 신호 발생부(117)로부터 확인 신호 또는 워치-독 신호를 전달받아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여 메인 보드(130)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150)로 전달한다. 보통 확인 신호 및 워치-독 신호 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119)가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지만, 때에 따라 두 신호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도 전원 초기화 신호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 초기화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150)로 전달되면, 전원 공급 장치(150)에서 전원 리셋이 수행되어 원격지 장비의 초기화가 수행된다.
여기서, 다닝 개스프(Dying Gasp) 기능부(116)는 전원공급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상위단 장비로 알리는 기능을 한다.
도 4b는 도 3의 L2 스위치 또는 ONU에 채용되는 다른 구조의 업링크 모듈을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편의상, 도 4a의 업링크 모듈(110)와 구별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업링크 모듈(110a)는 도 4a의 업링크 모듈(11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115a)가 LOS 채널을 통해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업링크 모듈(110)은 도 2b의 상위단 장비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신호는 다른 일반 광신호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전달하므로,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115a)는 하위단 MAC 기능부(113)에 연결되어, 하위단 MAC 기능부(113)의 데이터에서 원격 제어 신호를 찾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원격지 장비로부터 전송된 모든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해당 원격 제어 신호를 검출해야 하므로, 다른 정상적인 데이터 신호들과 원격 제어 신호가 혼동을 일으키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원격 제어 신호의 신호 패턴을 조금 복잡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특정 패턴을 소정 횟수 연속적으로 입력시킴으로써, 원격 제어 신호 판단을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위단 MAC 기능부(113)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면서, 특정한 패턴이 3회 이상 연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원격 제어 신호로서 판단하여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원격지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라도, 어떤 특별한 사정에 의해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원격 제어 신호를 다른 광신호 데이터들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전달하여 원격지 장비를 강제 초기화시키고자 할 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4b에서,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가 LOS 채널이나 또는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가 둘 다의 채널을 이용하여 원결 제어 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2a 또는 도 2b의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의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에서 생성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신호의 패턴을 보여주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도 2a의 210, 또는 도 2b의 210a)는 도시한 바의 신호 파형을 원격 제어 신호로서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b 및 4b와 같이 정상적인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 다른 데이터 신호들과 혼동될 가능성이 있고, 그에 따라, 정상 데이터를 원격 제어 신호로 인식하여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에 따라, 정상적인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일반 데이터 신호와 혼동되지 않도록 원격 제어 신호를 조금 복잡하거나 특수한 형태로 생성하거나 또는 소정 패턴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식으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신호 파형이 연속적으로 3회 또는 그 이상으로 반복될 때, 원격 제어 신호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한 신호 파형은 단순히 한 예시이고, 다른 다양한 신호 파형으로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그러한 신호들의 연속적인 반복을 원격 제어 신호로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도 3의 L2 스위치 또는 ONU의 전원공급장치를 좀더 상세히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150)는 전원 초기화 실행 신호 발생부(151) 및 전원 리셋 실행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초기화 실행 신호 발생부(151)는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119)로부터 전달된 전원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 초기화 실행 신호를 발생시키며, 전원 리셋 실행부(153)는 전원 초기화 실행 신호에 따라 전원의 리셋을 실행하여 원격지 장비의 전원 초기화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장치(150) 내에 전원 초기화 실행 신호 발생부(151) 및 전원 리셋 실행부(153)를 배치하였지만, 전원 리셋 실행부(153)가 바로 전원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 리셋을 실행하는 식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4a 또는 도 4b의 업링크 모듈의 워치-독 신호 발생부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워치-독 신호 발생부(117)는 카운터(117a) 및 워치-독 신호 발생기(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117a)는 소정 횟수, 예컨대 100회로 카운트를 수행하다가 상위단 장비로부터 워치-독 클리어 신호가 수신되면, 카운터(117a)가 리셋되어 다시 처음부터 카운트를 시작한다.
워치-독 클리어 신호는 주기적으로 카운터(117a)에 입력되게 되는데, 만약 그러한 워치-독 클리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카운트가 해당 횟수에 이르게 되고, 카운터(117a)는 카운터 신호를 발생시켜, 워치-독 신호 발생기(117b)로 전달한다. 워치-독 신호 발생기(117b)는 카운터 신호를 입력받아, 워치-독 신호를 발생시켜,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119)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워치-독 신호 발생부(117)를 이용한 원격지 장비의 전원 초기화 동작은 앞서, 원격 제어 신호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체할 수 있다. 즉, 업링크 모듈 자체의 동작 불능 상태가 되어 상위단 장비와 통신이 전혀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위단 장비에서는 주기적으로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원격지 장비로 전송한다. 예컨대, 카운터(117a)가 3.5초를 주기로 100회 카운트를 진행하고, 워치-독 클리어 신호가 상위단 장비로부터 3초마다 전송되는 경우에, 업링크 모듈(110 또는 110a)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카운터(117a)가 수신하면, 워치-독 신호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통신 불능이 되면, 카운터(117a)가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워치-독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워치-독 신호는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119)에 전달되고,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일련의 동작을 통해 원격지 장비가 초기화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원격지 장비에 대한 전원 초기화 과정을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원격 제어 신호 전달을 통한 원격지 장비의 전원 리셋 실행.
원격지 시스템이 동작 불가능 상태(Hang-Up)로 가입자 서비스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장비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제어부를 통해 원격 리셋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고, 상기 명령어를 입력받은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는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광송수신기를 통해 원격 제어 신호를 원격지 장비로 전송한다.
원격 제어 신호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원하지 않는 원격 제어 신호의 발생으로 인해 원격지 장비가 리셋이 되지 않도록 N(3)회 연속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원격 제어 신호를 광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원격지 장비는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에서 원격 제어 신호인지를 판정, 즉 해당 특정 패턴의 신호가 N(3회) 연속 입력되는지를 판정한다.
원격 제어 신호로 판정되면,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로 전원 초기화를 실시하도록 신호를 전송하고,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는 전원 초기화 신호를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하고,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리셋 실행부가 전원 리셋를 수행하여 원격지 장비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나. Watch-Dog 신호 발생을 통한 원격지 장비의 전원 리셋 실행.
정상적인 경우에 상위단 장비는 주기적으로 하위단 장비에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보내서 워치-독 신호 발생부의 카운터를 클리어한다. 즉, 워치-독 신호 발생부는 자체적인 카운트 기능을 통해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위단 장비로부터 워치-독 클리어 신호 수신을 통해 일정 시간 이내에 카운터가 클리어 되면 처음부터 다시 카운트를 시작한다.
만약 일정 시간 이내에 카운터가 클리어 되지 않으면, 업링크 모듈이 상위단 장비와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하고, 워치-독 신호 발생기가 워치-독 신호를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로 전달하여,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부가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후 과정은 앞서 원격 제어 신호 이용한 동작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이더넷 또는 PON 기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측의 원격지 장비의 전원을 초기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상위단 장비;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원격지 장비;를 포함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단 장비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
    이더넷 또는 PON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상위단 MAC(Medium Access Control) 기능부;
    상기 상위단 MAC 기능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에 연결되고, 상기 원격지 장비와의 광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위단 광송수신기;
    상기 MAC 기능부에 연결되고, 워치-독(Watch-Dog) 클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워치-독 클리어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발생기, 상위단 MAC 기능부, 상위단 광송수신기, 및 워치-독 클리어 신호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지 장비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 PSU);
    상기 상위단 장비와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모듈(Uplink Module); 및
    각 가입자 포트로 통신 기능을 분배하고 각 가입자 포트로부터의 통신 기능을 취합하는 메인 보드(Main Boa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모듈은,
    상기 상위단 장비와 광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위단 광송수신기;
    상기 하위단 광송수신기에 연결되고, LOS(Loss of Signal) 채널을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하여 확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
    상기 하위단 광송수신기에 연결되고, 이더넷 또는 PON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하위단 MAC 기능부;
    상기 하위단 MAC 기능부에 연결되고, 상기 워치-독 클리어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워치-독 신호를 발생시키는 워치-독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 및 상기 워치-독 신호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워치-독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모듈은,
    상기 상위단 장비와 광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위단 광송수신기;
    상기 하위단 광송수신기에 연결되고, 이더넷 또는 PON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하위단 MAC 기능부;
    상기 하위단 MAC 기능부에 연결되고, 상기 워치-독 클리어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워치-독 신호를 발생시키는 워치-독 신호 발생부;
    상기 하위단 MAC 기능부에 연결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확인하여 확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 및 상기 워치-독 신호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워치-독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 확인부는 수신되는 모든 신호에 대하여, 상기 원격 제어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 초기화 실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초기화 실행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전원 초기화 실행 신호에 따라 전원의 리셋을 실행하는 전원 리셋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6. 이더넷 또는 PON 기반 통신 시스템에 의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위단 장비에서, 가입자 측의 원격지 장비의 전원을 초기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하여 상기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위단 장비에서, 상기 원격지 장비에 구비된 워치-독 신호 발생부의 카운터를 클리어하는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지 장비에서 상기 워치-독 클리어 신호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 상기 워치-독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워치-독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는 LOS 채널을 통해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되거나,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상기 원격지 장비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원격지 장비에서는 수신되는 모든 신호에 대하여, 상기 원격 제어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장비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지 장비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워치-독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전원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는 N 회 연속 반복되는 신호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장비는 상기 상위단 장비와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모듈이 상기 상위단 장비와 통신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 신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하고,
    상기 업링크 모듈이 상기 상위단 장비와 통신 불능인 경우에, 상기 워치-독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방법.
KR1020100111562A 2010-11-10 2010-11-10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6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62A KR101160448B1 (ko) 2010-11-10 2010-11-10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62A KR101160448B1 (ko) 2010-11-10 2010-11-10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77A true KR20120050177A (ko) 2012-05-18
KR101160448B1 KR101160448B1 (ko) 2012-06-27

Family

ID=4626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562A KR101160448B1 (ko) 2010-11-10 2010-11-10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334B1 (ko) * 2014-02-28 2015-05-13 (주)유비쿼스 방송통신융합 pon 시스템에 있어서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를 이용하는 snmp 기반 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786694B2 (en) 2015-10-23 2017-10-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6800B2 (en) 2016-01-04 2017-10-31 Dasan Networks, Inc. Optical Ethernet apparatus capable of reset control
KR101783593B1 (ko) * 2017-06-08 2017-10-10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리셋 제어가 가능한 광 이더넷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8958B2 (en) * 2005-05-06 2008-12-23 Tellabs Petaluma, Inc. Optical line terminal that detects and identifies a rogue ONT
CN100536381C (zh) * 2005-12-23 2009-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源光网络维护方法和光线路终端
KR100885809B1 (ko) * 2007-05-25 2009-02-26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 광 이더넷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334B1 (ko) * 2014-02-28 2015-05-13 (주)유비쿼스 방송통신융합 pon 시스템에 있어서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를 이용하는 snmp 기반 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786694B2 (en) 2015-10-23 2017-10-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448B1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81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ilure recovery in passive optical network
US6920287B1 (en) Smart connect
US9209925B2 (en) Passive optical networking redundancy via two or more auto sensing optical line terminals
KR101160448B1 (ko) 이더넷 또는 pon 기반 원격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TW201334438A (zh) 被動光學網路中提供保護的裝置及方法
US20150358076A1 (en) Port-dualized optical line terminal and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capable of measuring rssi of standby line in standby port, and method of determining stability of standby line using the same
JP5170901B2 (ja) 加入者宅側光回線終端装置
EP2819320A1 (en) Monitoring opening of the door of an optical fibre cable cabinet
JP4827651B2 (ja) 光伝送方法及び装置
EP3720016B1 (en) Single board of optical line terminal and optical line terminal
EP1897286A1 (e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20100209116A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ptical end terminal equipment, and optical repeater equipment
KR100887927B1 (ko) 자체 진단 기능을 가지는 광망 종단장치
JP2005286803A (ja) スター型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加入者端局装置及び異常光検出遮断装置
JP4509398B2 (ja) 光バースト送受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088630B1 (ko) 광 망 종단장치 및 광 망 종단장치가 광 송신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
KR100969816B1 (ko) 장애 대처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JP4905076B2 (ja) 局側装置
TW201434280A (zh) 光收發裝置
JP2017038258A (ja) Pon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端末
JP2009088785A (ja) 光アクセス網システム
CN111343520A (zh) Pon上行数据传输方法、系统、装置及pon系统
KR100926863B1 (ko) 광통신 시스템 및 그 리셋 방법
JP5078596B2 (ja) 光通信システム及び子局装置
CN101217496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系统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