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162A -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162A
KR20120050162A KR1020100111536A KR20100111536A KR20120050162A KR 20120050162 A KR20120050162 A KR 20120050162A KR 1020100111536 A KR1020100111536 A KR 1020100111536A KR 20100111536 A KR20100111536 A KR 20100111536A KR 20120050162 A KR20120050162 A KR 2012005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amethyst
powder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남
김금태
Original Assignee
최일남
김금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남, 김금태 filed Critical 최일남
Priority to KR102010011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0162A/ko
Publication of KR2012005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61G17/034Foldable, pliable or separabl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습기나 박테리아 등에 의해 변질되거나 냄새가 나고 해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기는 자기재질의 외부용기(11,21)와 황토 도기재질의 내부용기(12,22)로 구성되며, 내부용기(12,22)에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포함되어,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나 박테리아가 발생되지 않도록 살균작용을 하고 냄새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관용기의 내부를 해충이 살기 어려운 환경으로 만들어 해충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유골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소중한 것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관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습기나 박테리아 등에 의해 변질되거나 냄새가 나고 해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한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함은 대체적으로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유골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납골함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며, 그 중에 자기재질의 것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납골함을 제작하는 자기는 공기나 잘 통하지 않게 되므로, 내부에 습기나 곰팡이가 생기고, 이에따라, 내부에 보관된 유골이 변질되거나 냄새가 나게 되고, 심할 경우 내부에 해충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유골함 이외에도, 쌀을 담는 뒤주를 포함하여 소중한 물건을 보관하는 다양한 종류의 보관용기에 공통적으로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습기나 박테리아 등에 의해 변질되거나 냄새가 나고 해충이 생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보관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개구부(10a)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0a)에 결합되는 뚜껑(20)을 포함하는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뚜껑(20)은 자기재질의 외부용기(11,21)와, 황토 도기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용기(11,21)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용기(12,22)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12,22)에는 자수정 또는 각선석의 분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수정 또는 각선석의 분말은 내부용기(12,22)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수정 또는 각선석의 분말은 상기 내부용기(12,22)에 일체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뚜껑(20)의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의 사이에는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22)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기공(22b)이 형성되어 상기 통기공(22b)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간부(23)로 순환될 수 있으며, 상기 자수정 또는 각선석의 분말은 상기 내부용기(22)의 상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용기(12,22)의 외측둘레면과 외부용기(11,21)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돌기(21a)와 오목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용기(11,21)를 가열하여 열팽창시킨 상태에서 외부용기(11,21)의 내부에 내부용기(12,22)를 결합한 후 외부용기(11,21)를 냉각시키면, 외부용기(11,21)가 수축되면서 상기 돌기(21a)와 오목홈(22a)이 상호 맞물려 내부용기(12,22)와 외부용기(11,21)가 상호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기는 자기재질의 외부용기(11,21)와 황토 도기재질의 내부용기(12,22)로 구성되며, 내부용기(12,22)에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포함되어,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나 박테리아가 발생되지 않도록 살균작용을 하고 냄새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관용기의 내부를 해충이 살기 어려운 환경으로 만들어 해충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유골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소중한 것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함으로 활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관함은 상면에 개구부(10a)가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0a)에 결합되는 원형의 뚜껑(20)으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와 뚜껑(20)은 자기재질의 외부용기(11,21)와, 황토 도기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용기(11,21)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용기(12,22)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용기(12,22)에는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포함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부용기(11,21)는 본체(10)와 뚜껑(20)의 외부 장식을 담당하는 것으로, 고령토를 성형하여 표면에 유약을 바른 후 1300℃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진 자기재질로 제작된다. 이때, 외부용기(11,12)는 표면에 발라지는 유약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나타내게 되며, 완전한 방수성을 갖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12,22)는 상기 외부용기(11,21)의 내부에 결합되어 보관함에 담겨지는 유골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황토를 성형한 후 외부용기(11,21)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구워지는 도기재질로 제작된다. 이와같이 황토를 낮은 온도에서 구우면, 높은 온도에서 구워져 완전한 방수성을 갖는 외부용기(11,21)와 달리, 미세한 통기공이 무수히 형성되어 적절한 수준의 통기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12,22)를 상기 외부용기(11,21)와 별도로 제작한 후, 내부용기(12,22)를 외부용기(11,21)의 내측에 결합하여, 보관함의 뚜껑(20)과 본체(10)가 적절한 방수성과 통기성을 동시에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은 자수정과 각선석을 작은 가루형태로 분쇄하여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상기 내부용기(12,22)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일체로 혼합되어, 본체(10)에 담겨진 유골에 곰팡이가 발생되거나 냄새가 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여 유골이 장기간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자수정은 23,789Khz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살균 및 항균 기능을 할 뿐 아니라, 공기를 음이온화시켜 냄새성분을 분해하고, 습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각선석은 연옥의 주성분으로서, 다량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항균 및 탈취 중금석 흡착 등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자수정과 각선석을 분쇄하여 상호 혼합하면, 함께 상승작용을 일으켜 뛰어난 살균 및 항균 및 탈취효과를 내게 될 뿐 아니라, 본체(10)의 내부공간을 해충이 살기 어려운 환경으로 만들어 해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의 사이에는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22)에는 내부용기(22)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기공(22b)이 여러개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22b)을 통해 상기 공간부(23)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은 도 2에 도면번호 3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2)의 상면에 도포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부용기(22)를 제조할 때, 내부용기(22)의 재료가 되는 황토를 내부용기(22)의 형태로 성형하고 성형물의 표면에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을 도포한 후 가마에서 구워 상면에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도포된 내부용기(22)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의 내부용기(22)의 외측둘레면과 외부용기(21)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돌기(21a) 및 오목홈(22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의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를 각기 별도로 제작한 후, 외부용기(21)를 가열하여 열팽창시킨 상태에서 외부용기(21)의 내부에 내부용기(22)를 결합하고 외부용기(21)를 냉각시키면, 외부용기(21)가 수축되면서 상기 돌기(21a)와 오목홈(22a)이 상호 맞물려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가 상호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용기(12)의 경우, 상기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은 본체(10)의 내부용기(12)에 일체로 혼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용기(12)를 제조할 때, 내부용기(12)의 원료가 되는 황토에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을 혼합한 후, 자수정과 각선석이 혼합된 황토를 내부용기(12)의 형태대로 성형한 후 가마에서 구워,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일체로 혼합된 내부용기(12)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제작된 본체(10)의 내부용기(12)는 외부용기(11)에 억지끼움고정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보관함은 본체(10)의 내부에 유골을 담은 후 뚜껑(20)을 닫으면, 내부용기(12,22)에 포함된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파동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된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나 박테리아가 효과적으로 살균될 뿐 아니라, 외부에서 미생물이나 박테리아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공기중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수정과 각선석의 효과에 이해 보관함의 내부가 해충이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만들어, 해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이나 박테리아, 또는 해충에 의해 유골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냄새가 나게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골을 오랜 시간 동안 소중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의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의 사이에는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22)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기공(22b)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용기(22)의 상면에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도포된다. 따라서, 도 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22b)을 통해 공간부(23)로 유입되어 자수정과 각선석에 직접 접촉한 후 본체(10)의 내부로 순환되므로, 자수정과 각선석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수정과 각선석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내부용기(22)의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내부용기(22)의 외측둘레면과 외부용기(21)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돌기(21a) 및 오목홈(22a)이 형성되어, 열팽창을 이용하여 뚜껑(20)의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를 상호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된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10)의 내부용기(12)는 외부용기(11)에 단순히 억지끼움결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뚜껑(20)의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의 결합방법과 같이 돌기 및 오목홈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0)의 내부용기(12)의 표면, 특히, 내측면에 상기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부착되도록 하거나, 뚜껑(20)의 내부용기(22)에 자수정과 각선석의 분말이 일체로 혼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남골함으로 활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보관함은 납골함 이외에, 쌀을 보관하는 뒤주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소중한 것을 장기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 본체 20. 뚜껑
11,21. 외부용기 12,22. 내부용기

Claims (5)

  1. 상면에 개구부(10a)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0a)에 결합되는 뚜껑(20)을 포함하는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뚜껑(20)은 자기재질의 외부용기(11,21)와, 황토 도기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용기(11,21)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용기(12,22)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12,22)에는 자수정 또는 각선석의 분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정 또는 각선석의 분말은 내부용기(12,22)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정 또는 각선석의 분말은 상기 내부용기(12,22)에 일체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의 사이에는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22)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기공(22b)이 형성되어 상기 통기공(22b)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간부(23)로 순환될 수 있으며, 상기 자수정 또는 각선석의 분말은 상기 내부용기(22)의 상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12,22)의 외측둘레면과 외부용기(11,21)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돌기(21a)와 오목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용기(11,21)를 가열하여 열팽창시킨 상태에서 외부용기(11,21)의 내부에 내부용기(12,22)를 결합한 후 외부용기(11,21)를 냉각시키면, 외부용기(11,21)가 수축되면서 상기 돌기(21a)와 오목홈(22a)이 상호 맞물려 내부용기(12,22)와 외부용기(11,21)가 상호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KR1020100111536A 2010-11-10 2010-11-10 보관용기 KR20120050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36A KR20120050162A (ko) 2010-11-10 2010-11-10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36A KR20120050162A (ko) 2010-11-10 2010-11-10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62A true KR20120050162A (ko) 2012-05-18

Family

ID=4626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536A KR20120050162A (ko) 2010-11-10 2010-11-10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01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876B1 (en) Two in one candle
KR20120050162A (ko) 보관용기
KR101417625B1 (ko)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KR20090074534A (ko) 세라믹 밀폐 용기
KR200390104Y1 (ko) 3중 구조 황토 납골단지
KR200255381Y1 (ko) 음식보관용 용기뚜껑
KR200289837Y1 (ko) 식품저장용기
JP3208911U (ja) 消臭剤
JP3208912U (ja) 消臭剤
KR100344348B1 (ko) 냉장고용 김치통 및 그 제조 방법
KR200167928Y1 (ko) 냉장고용 김치통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221691Y1 (ko) 결로방지용 이중 구조 납골단지
KR200406233Y1 (ko) 납골단지
KR200421479Y1 (ko) 분골함
KR100946254B1 (ko) 항균, 항습 봉안함
JP3213335U (ja) 芳香発生機能付き骨壺
KR200378913Y1 (ko) 유골함
ES1061961Y (es) Tapa para envases perfeccionada
KR200408634Y1 (ko) 이중 도자기유골함의 용기 및 뚜껑
KR200325788Y1 (ko) 이중구조의 납골단지
KR101420316B1 (ko)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
KR200295683Y1 (ko) 납골용기
KR200413154Y1 (ko) 납골단지
KR200366619Y1 (ko) 기능성물질을 함유한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