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007A -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007A
KR20120050007A KR1020100111297A KR20100111297A KR20120050007A KR 20120050007 A KR20120050007 A KR 20120050007A KR 1020100111297 A KR1020100111297 A KR 1020100111297A KR 20100111297 A KR20100111297 A KR 20100111297A KR 20120050007 A KR20120050007 A KR 2012005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imultaneous
agent
extrac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868B1 (ko
Inventor
김선곤
김도익
고숙주
강범용
김홍재
최덕수
이윤희
김진섭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0011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8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구슬 열매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를 제공하며,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벼물바구미와 벼줄기굴파리, 벼잎굴파리, 벼애잎굴파리를 동시에 방제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Simultaneous Controlling Agent for Rice Pests Comprising Botanical Extract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벼물바구미, 벼잎굴파리, 벼줄기굴파리, 벼애잎굴파리에 대한 동시 방제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낮고 인축에 안전하여 친환경 벼를 재배하는 농가에서 고품질 벼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해충 방제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벼를 재배하는 경우 초기 해충으로는 벼물바구미와 굴파리류가 있다. 벼물바구미는 년 1회 발생하는데, 월동한 후 4월 중하순경에 지상부로 나와 활동을 시작하며 화본과 잡초를 먹고 비상근을 발달시킨 후 5월 중하순 경부터 보행 혹은 비상에 의하여 논으로 이동한다. 대부분의 월동성충은 5월 하순에 논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무렵에 성충 밀도가 가장 높고 6월 중순 부터는 급격히 감소한다. 성충의 식흔(食痕)은 엽맥을 따라서 폭 1 ㎜가량 길쭉한 직사각형 모양으로 나타내고, 유충은 뿌리를 갉아먹기 때문에 분열이 억제되고 줄기수가 감소하며, 피해가 심할 때에는 생육이 정지되고 쉽게 뽑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담수직파에서는 이앙재배에 비하여 피해가 크게 나타난다.
벼줄기굴파리는 1년에 3회 발생하며 본논 초기에 알에서 나온 애벌레가 잎속으로 들어가 새로운 잎을 가해하면 잎이 나왔을 때 잎에 세로로 가늘고 긴 구멍들이 생긴다.
이러한 초기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서 기존의 합성 농약의 입제를 사용하였으나 2006년부터 친환경농업육성법이 발효됨에 따라 무농약과 유기농산물 인증 논에서는 유기농자재만을 사용하여 해충을 방제하여야 한다.
농약은 농업생산성 증가와 해충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해왔고 사용량도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현재 살충제와 제초제 등의 농약은 유기염소계. 유기인산계, 카바메이트계 등이 주종을 이루며, 이들 모두 심각한 독성과 낮은 분해성으로 인하여 생태계에서 먹이 사슬에 의하여 축적되게 된다. 이러한 화학합성농약이 지니고 있는 단점은 약제를 살포하는 회수의 증가와 살포농도의 증가로 인한 저항성 해충의 출현으로 해충방제 효과는 점점 감소하는 반면에 천적들은 치명적인 타격을 받아 잠재적 곤충의 해충화에 따른 새로운 해충의 출현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농산물의 잔류 농약량의 증가로 농산물의 독성이 증가되어 식품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합성 농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농약의 개발 일환으로 생물학적 방제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생물학적 방제는 미생물, 천적 또는 천연추출물을 이용하는데 미생물과 천연물 제제는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상업화의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과 동식물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취급이 용이하고 생산 가격이 낮은 천연물 농약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의 천연 바이오메스 중에서는 살충효과가 있는 물질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농약으로서의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생리활성 물질이 있는 유용한 식물자원을 이용하여 생태 친화적인 새로운 살충제의 개발이 매우 긴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 목적은 벼물바구미, 벼잎굴파리, 벼줄기굴파리, 벼애잎굴파리에 대한 동시 방제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낮고 인축에 안전하여 친환경 벼를 재배하는 농가에서 고품질 벼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해충 방제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동시방제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벼물바구미, 벼잎굴파리, 벼줄기굴파리, 벼애잎굴파리에 대한 동시 방제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낮고 인축에 안전하여 친환경 벼를 재배하는 농가에서 고품질 벼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해충 방제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동시방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멀구슬 열매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벼물바구미와 벼줄기굴파리, 벼잎굴파리, 벼애잎굴파리에 대한 동시방제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3) 제 1항에 있어서, 멀구슬 열매 추출물을 제올라이트에 분사하여 입제화하고, 고령토로 코팅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형이 입제 또는 미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벼 해충 동시방제제를 본답 정식 전에 묘판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방법.
본 발명에 의한 벼 해충 동시 방제제는 벼물바구미, 벼잎굴파리, 벼줄기굴파리, 벼애잎굴파리에 대한 동시 방제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낮고 인축에 안전하여 친환경 벼를 재배하는 농가에서 고품질 벼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해충 방제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구슬 열매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구슬 열매 추출물은 멀구슬 나무 열매를 건조하여 마쇄하고 식물체 건조중량의 3~5 배에 달하는 70%~100% 에탄올을 가해 2~5일간 암실에 보관하고, 이후 여과과정을 통해 추출한 추출물을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시방제제는 목단피 추출물 또는/및 천궁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각 추출물 혹은 혼합추출물은 멀구슬 열매 추출물이 발휘하는 동시방제활성을 보다 지속화하면서 방제활성이 종료된 이후에도 추가적인 방제활성을 보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들 추출물의 수득과정은 상기 멀구슬 열매 추출물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 첨가되어질 수 있다. 만일 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살충효과의 지속성 및 보조적 활성이 원하는 만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벼의 생육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멀구슬 열매 추출물을 제올라이트에 분사처리하여 입제화한다. 이때 사용가능한 제올라이트는 크기가 1.5~2ml 정도로 것으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제올라이트의 함량은 70~90 중량%로서, 70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입제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9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멀구슬 열매 추출물에 의한 살충활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멀구슬 살충 성분이 서서히 분출되어 나올 수 있으며, 장기보관시에도 코팅에 의해 멀구슬 살충 성분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올라이트로 입제화된 혼합물에 고령토를 코팅처리한다. 코팅에 사용되는 고령토의 함량은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7 중량%의 비율로 첨가한다.
상기와 같은 제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멀구슬 열매 추출물은 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첨가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어지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는 모내기 직전 육묘상자에 멀구슬 입제를 일정량 살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벼 해충 방제제는 벼물바구미와 벼줄기굴파리, 벼잎굴파리, 벼애잎굴파리에 대한 동시방제활성이 매우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예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벼물바구미 방제제로서 멀구슬나무 열매 500g을 마쇄하여 가루로 만들고 식물건조 중량의 3배에 달하는 에탄올을 가해 3일간 암실에 보관하였다. 여과 과정을 통해 추출물을 얻고,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액을 농도별로 제올라이트에 분사처리하여 입제화시켰다. 코팅을 위해 고령토를 5 중량% 비율로 첨가하였다. 이와 같이 고령토를 코팅함으로써 제올라이트에 묻어 있는 멀구슬 살충 성분이 서서히 분출되어 나올 수 있으며, 장기보관시에도 코팅에 의해 멀구슬 살충 성분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실험에 사용된 제올라이트의 크기는 1.5~2ml 정도로 분쇄된 것으로서 전체 용량은 85 중량%, 고령토는 5 중량%, 멀구슬추출액은 10 중량%를 기본으로 하여, 멀구슬 농도가 낮아진 만큼 제오라이트의 용량을 늘려 총 100%로 맞추었다.
벼물바구미 방제를 위한 멀구슬 입제 방제효과
입제 농도 살포약량 및 피해엽율
20g 40g 80g
멀구슬 10% 9.3 4.7 2.2
멀구슬 7% 17.7 8.3 4.6
무 처 리 45.8 40.5 40.9
벼의 생육 초기 주요 해충인 벼물바구미와 굴파리류를 방제하기 위해 입제로 제형화하여 정식하루 전에 유묘상자 당 20g, 40g, 80g씩 살포하고 10일째에 피해엽율을 30주씩 3반복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멀구슬 10% 농도 80g을 벼 육묘상자에 살포한 경우 피해엽율이 2.2%로 가장 낮았으며 10% 40g과 7% 80g 처리에서도 피해엽율이 4.6~4.7%로 낮게 나타났다.
굴파리류에 대한 멀구슬 입제의 살충효과
입제 농도 살포약량 및 피해엽율
20g 40g 80g
멀구슬 10% 7.2 2.7 1.3
멀구슬 7% 10.0 7.8 4.3
무처리 23.9 20.7 23.8
벼굴파리인 벼줄기굴파리, 벼잎굴파리, 벼애잎굴파리등에 대한 피해엽율은 멀구슬 10% 80g에서 1.3%였으며 40g에서도 2.7%로 낮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벼 해충 동시방제제를 벼 모판에 적용한 결과 벼물바구미 뿐만 아니라 벼굴파리류에 대한 방제활성도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방제제는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독성이 낮고 인축에 안전하여 친환경 벼를 재배하는 농가에서 고품질 벼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해충 방제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멀구슬 열매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벼물바구미와 벼줄기굴파리, 벼잎굴파리, 벼애잎굴파리에 대한 동시방제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3. 제 1항에 있어서, 멀구슬 열매 추출물을 제올라이트에 분사하여 입제화하고, 고령토로 코팅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형이 입제 또는 미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벼 해충 동시방제제를 본답 정식 전에 묘판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해충 동시방제방법.
KR1020100111297A 2010-11-10 2010-11-10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 KR10126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97A KR101265868B1 (ko) 2010-11-10 2010-11-10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97A KR101265868B1 (ko) 2010-11-10 2010-11-10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007A true KR20120050007A (ko) 2012-05-18
KR101265868B1 KR101265868B1 (ko) 2013-05-20

Family

ID=4626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97A KR101265868B1 (ko) 2010-11-10 2010-11-10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8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868B1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US20110229589A1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007948A (zh) 高效无毒农药广普型杀虫杀菌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1132712B1 (ko) 토양 병해충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KR20090027515A (ko) 해충 기피 활성을 갖는 한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2979A (ko)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CN106508991A (zh) 一种生物农药及其制备方法
KR101225103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CN109362740A (zh) 含有氯虫苯甲酰胺和氟吡菌酰胺、高效氯氟氰菊酯的种衣剂及用途
KR101882678B1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101158364B1 (ko) 죽자초에서 분리한 해충살충조성물, 상기 해충살충조성물을 함유한 해충 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KR20110006400A (ko) 족도리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KR20190052978A (ko) 3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WO2014040572A1 (zh) 苯并噻二唑衍生物的诱导抗虫作用及其应用
WO2011151766A2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70059033A (ko) 머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874809B (zh) 一种园林绿化树干驱虫用药包
KR101265868B1 (ko) 벼 해충 동시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벼 해충 방제방법
KR100644750B1 (ko) 살충, 살균 및 해충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제조방법.
KR20220099794A (ko) 제충국, 배초향, 및 윈터그린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1782842B1 (ko) 병충해에 강한 허브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천연허브복합비료 및 그 이용방법
CN114097791A (zh) 一种对松材线虫病及其媒介昆虫具有引诱和防控效果的耐冲刷粉剂
KR101740560B1 (ko)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CN203207018U (zh) 灭蚜驱蚜片及其构成的灭蚜驱蚜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