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534A -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534A
KR20120049534A KR1020100110838A KR20100110838A KR20120049534A KR 20120049534 A KR20120049534 A KR 20120049534A KR 1020100110838 A KR1020100110838 A KR 1020100110838A KR 20100110838 A KR20100110838 A KR 20100110838A KR 20120049534 A KR20120049534 A KR 20120049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ignal
detector
sound
beam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779B1 (ko
Inventor
현경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779B1/ko
Priority to US13/275,801 priority patent/US9113242B2/en
Publication of KR20120049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12D or 3D arrays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3Linear arrays of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제1음원 검출부; 제1음원 검출부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제2음원 검출부; 제1음원 검출부 및 제2음원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빔포밍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추가하고 마이크로폰의 위치정보와 음원정보를 이용하여 음원 신호의 빔포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sound source signal process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거나 외부 음성을 녹음하거나 동영상을 취득하는 것이 일상화되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 휴대 전화 및 디지털 캠코더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 차내 음성인식 장치에서는 음성을 취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사용한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를 통해 음원을 녹음하거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환경은 주변 간섭음이 없이 조용한 환경이기보다는 다양한 소음과 주변 간섭음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환경일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화자의 음성만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지향성(directivity)이 좋은 마이크로폰(Uni-directional Mic.)을 사용하거나 마이크로폰과 화자 간의 거리를 가깝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때 마이크로폰과 화자 사이가 멀어지면 주변의 화자의 목소리 뿐만 아니라 주변 잡음이나 잔향음이 마이크로폰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낮은 잡음 대 신호비(Signal-to-Noise Ratio, SNR)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과 화자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대신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하여 특정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는 빔포머(beamformer) 기술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빔포머는 각 마이크로폰에 도달하는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소리의 방향을 찾아내고 특정 방향에 위치한 음성 신호만을 강화하거나, 역으로 불필요한 간섭 잡음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때 빔포머를 위해서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해야 하고 각 마이크로폰의 배치와 거리도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빔포머 기술을 이용하면 화자 주변의 다른 잡음원을 배제하거나 분리해 내는 음원분리(Sound Sepration)나 화자 위치 인식(Speaker Localization) 등의 성능 향상이 가능하고 후처리(Post-Filtering)를 통해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 잡음이나 잔향을 줄일 수도 있다.
즉,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존재하는 음성 신호들을 취득함으로써 특정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강조하거나 억제할 수 있고 특정 방향 이외의 소리를 제거한다.
이러한 빔포머는 공간상의 특정영역의 신호만 필터링해주는 공간 필터(spatial filter)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빔포머가 향한 방향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빔폭(Beam width)이 형성되는가가 빔포머의 분해성능과 직결된다. 여기서 빔폭은 지향된 방향의 3dB정도 감소되는 지점인 반치전력 빔폭(Half Power Beamwidth)로 나타내어지는데 딜레이 앤 섬(delay-and-sum) 빔포머의 경우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의 개수로, 분해성능은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크기와 주파수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즉,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크기가 크고, 목표 음원의 주파수가 높을 수록 좋은 분해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의 간격(d)은 공간 에일리어싱(Spatial Alias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pat00002
(λ는 신호의 파장, c는 신호의 속도)
이는 이웃하는 마이크로폰 간에 시간 지연으로 생기는 위상차가 2π이내에서만 구분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빔포머의 경우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으면 저주파대역의 신호에서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음성신호의 경우 1,000Hz 이하에서 빔포머 기술이 적절히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폰 어레이 내의 마이크로폰의 수를 늘려야 하나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수를 늘리게 되면 제조 단가가 높아지게 되고, 마이크로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로폰의 크기가 커져 설치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제1음원 검출부; 제1음원 검출부와 이격 설치되고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제2음원 검출부; 제1음원 검출부 및 제2음원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빔포밍부를 포함한다.
빔포밍부는, 제1음원검출부와 제2음원검출부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빔포밍한다.
제1음원 검출부와 제2음원 검출부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는 미리 정해진다.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제1음원 검출부와 제2음원 검출부에 마련되어 제1음원 검출부와 제2음원 검출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는, 알에프 송신부와, 알에프 수신부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는, 초음파 송신부와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는,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대적 위치 정보는, 제1음원 검출부와 제2음원 검출부의 상대적 거리 및 각도이다.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음원 신호의 음압을 음압 검출부; 검출된 음압 신호의 음압레벨과 기준 음압레벨을 비교하여 음원 신호에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음원 신호의 빔포밍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빔포밍 수행 제어 시 위치검출부가 주기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제1음원 검출부와 제2음원 검출부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빔포밍 방향 정보를 입력받는 방향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빔포밍부는 빔포밍 방향 정보를 반영하여 음원 신호를 빔포밍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각각 가지는 제1, 2 음원 검출부를 통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음원 신호를 검출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 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음원 신호를 빔포밍한다.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각 음원 신호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각 주파수 변환하고, 각각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합산하고, 합산된 신호를 역 주파수 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 간의 위치 정보는, 미리 정해진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음원 신호 처리 방법은 음원 신호가 검출되면 제2음원 검출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송신부를 통해 위치 신호를 송신하고, 제1음원 검출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수신부를 통해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 간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음원 신호 처리 방법은 음원 신호가 검출되면 제1음원 검출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송신부를 통해 위치 신호를 송신하고, 제2음원 검출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수신부를 통해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 간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위치 신호는, 초음파 신호 또는 알에프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이다.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어느 한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음원 신호 처리 방법은 음원 신호의 음압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압 레벨과 기준 음압레벨을 비교하고, 검출된 음압 레벨이 기준 음압레벨 이상이면 음성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은, 음원 신호의 주파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추가하고 마이크로폰의 위치정보와 음원정보를 이용하여 음원 신호의 빔포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 알에프(RF)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간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알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의 위치에 따라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크기가 비약적으로 커질 수 있어 저주파 대역에서도 공간필터링의 효과가 최대화 되고, 음성인식이나 저주파대역의 음원 위치를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포밍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패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포밍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도로서,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제1음원 검출부(110), 제2음원검출부(120), 음원 증폭부(130), 빔포밍부(140), 방향 입력부(150), 제어부(160),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제1음원 검출부(110)는 단말기나 회의실과 같은 특정 공간 등 음원을 검출하고자 하는 영역에 고정 설치된다.
제1음원 검출부(110)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로 이루어지고, 이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음원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전기 신호를 음원 신호라 한다.
이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복수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은 일직선 상에 서로 등간격 또는 비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이때 서로 인접한 마이크로폰 간의 간격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2음원검출부(120)는 제1음원검출부(110)와 분리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제2음원 검출부(120)는 제1음원 검출부(110)와 같은 영역에 고정 설치되되, 제1음원 검출부(110)와 이격 설치된다. 이때 제2음원 검출부(120)와 제1음원 검출부(110)의 상대적 위치 정보는 미리 정해져 저장 되어 있다.
여기서 제2음원 검출부(120)와 제1음원 검출부(110)의 상대적 위치 정보는 제2음원 검출부(120)와 제1음원 검출부(110)의 어느 한 점 사이의 상대적 거리 및 각도이다. 제1음원 검출부(110)의 어느 한 점은 제1 음원 검출부(110)의 일직선 상의 중심 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음원 검출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ms)으로 이루어지고, 이 마이크로폰은 음원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전기 신호를 음원 신호라 한다.
음원 증폭부(130)는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원 증폭부(130)는 제1음원 검출부(110)의 복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에 각각 연결된 제1증폭부(131), 제2증폭부(132), 제3증폭부(133), 제4증폭부(134) 및 제2음원 검출부(120)의 마이크로폰(ms)에 연결된 제5증폭부(135)로 이루어진다.
음원 증폭부(130)의 제1증폭부(131), 제2증폭부(132), 제3증폭부(133), 제4증폭부(134)는 제1음원 검출부(110)의 복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음원 신호를 증폭시키고, 제5증폭부(135)는 제2음원 검출부(120)의 마이크로폰(ms)으로부터 전송된 음원 신호를 증폭시킨다.
빔포밍부(140)는 제1음원 검출부(110) 및 제2음원 검출부(120)의 각 마이크로폰의 가중치를 변화시켜 음원 신호를 빔포밍함으로써 목표 방향에 존재하는 음원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방향에 존재하는 음원 신호는 제거한다.
이러한 빔포밍부(140)는 음원 증폭부(130)로부터 전송된 각 음원 신호(Xn(t))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버퍼부와, 복수 개의 버퍼부로부터 음원 신호(Xn(t))를 전송받아 각 마이크로폰별로 주파수 변환(FFT)을 수행하여 주파수별로 신호를 분해하는 복수 개의 주파수 변환부(FFT)와, 복수 개의 주파수 변환부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반영한 후 신호를 합산하는 연산부와, 연산부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역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역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방향, 즉 빔포밍 방향이 입력된 경우, 빔포밍부(140)는 입력된 방향으로부터 검출되는 음원 신호에 시간차를 보상한 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한다.
빔포밍부(140)는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 방향의 음원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음성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방향의 음원 신호는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음성신호는 광대역 신호로, 빔포밍부(140)는 각각의 마이크로폰별로 일정 시간 음원 신호를 저장한 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각각의 주파수 별로 협대역 빔포밍을 수행한 후 역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여 빔포밍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음원의 방향성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가 포함된 음원의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검출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빔포밍부(140)는 제1음원 검출부(110) 및 제2음원검출부(120)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검출된 음원 신호 중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 방향(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방향)의 음원 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방향의 음원 시호는 제거한다.
이러한 빔포밍부(140)를 추후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향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방향을 입력받고, 입력된 방향의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방향은 빔포밍 시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이다.
제어부(160)는 제1음원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음원에 특정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특정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빔포머부(1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특정 신호는 음성 신호인 것이 가능하다. 즉 음성 신호를 판단하는 것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범위 20 내지 20000Hz의 음압레벨 0 내지 130dB인 사운드 신호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160)는 방향 입력부(150)를 통해 어느 하나의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방향 정보를 빔포밍부(140)에 전송한다. 이로써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만 필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빔포밍부(140)에서 빔포밍된 음원 신호가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되도록 출력부(1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출력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역 주파수 변환에 대응하는 음원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음파를 출력한다.
출력부(17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역 주파수 변환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70)는 스피커로 이루어진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포밍 예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을 가지는 선형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가지는 제1음원 검출부(110)와, 선형 마이크로폰 어레이(ma1 내지 ma4)와 이격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ms, 싱글 마이크로폰이라 함)을 가지는 제2음원 검출부(120)가 마련된다.
음원이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크기에 비해 먼 거리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각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에 도달하는 신호는 평면파(planar wave)가 된다.
이 평면파의 음원 신호가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각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 및 싱글 마이크로폰(ms)에 도달하는 신호는 마이크로폰의 위치에 따라 시간 지연만 다른 신호들이 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을 d, 음원 신호의 속도를 c, 음원의 검출 방향이 마이크 어레이에 대해 θ방향이라 하면, 서로 인접한 마이크로폰 사이의 음원 신호는
Figure pat00003
의 시간만큼 지연되어 도달하게 된다.
기준이 되는 마이크로폰(여기서는 첫 번째 마이크로폰(ma1)으로 함)의 음원 신호를 x0, 첫 번째 마이크로폰(ma1)에 음원 신호가 도달한 시간을 t라고 했을 때 마이크로폰 간 도달 시간의 차를 보상해주면 음원 신호(xn(t))의 출력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4
다음,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각 마이크로폰별 음원 신호(xn(t))와 각 마이크로폰별 가중치(w)를 반영하여 빔포밍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5
이는 딜레이 앤 섬 빔포머(Delay-and-Sum Beamformer)를 이용한 것이다.
이에 대한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6
따라서 빔포밍에 대한 주파수 응답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7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음원 검출부(1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중심과 제2음원 검출부(120)의 싱글 마이크로폰 사이의 거리를 l, 각도를 Ω, 음원 신호의 속도를 c, 음원의 검출 방향이 마이크 어레이에 대해 θ방향이라 하면,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중심에 비해 싱글 마이크로폰(ms)은
Figure pat00008
의 시간만큼 음원 신호가 늦게 도달하게 된다.
기준이 되는 마이크로폰(여기서는 첫 번째 마이크로폰(ma1)으로 함)의 음원 신호를 x0, 첫 번째 마이크로폰(ma1)에 음원 신호가 도달한 시간을 t라고 했을 때 마이크로폰 간 도달 시간의 차를 보상해주면 싱글 마이크로폰(ms)의 음원 신호(xs(t))의 출력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9
다음, 싱글 마이크로폰(ms)의 음원 신호(xs(t))와 싱글 마이크로폰(ms)의 가중치(w')를 반영하여 빔포밍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0
이에 대한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1
따라서 빔포밍에 대한 주파수 응답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2
즉, 제1음원 검출부(1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제2음원 검출부(120)의 싱글 마이크로폰의 음원 신호에 대한 주파수 응답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즉, 음원 처리 장치는 빔포밍부(140)의 빔포밍에 의해 H(f)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방향(φ)에서 발생된 음원 신호만을 필터링하게 설계되었다면 각 마이크로폰에 들어오는 음원 신호에 각각
Figure pat00015
만큼의 시간차를 보상해주게 되므로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별 음원 신호(xn(t))의 출력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6
다음,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별 음원 신호(xn(t))와 각 마이크로폰별 가중치(w)를 반영하여 빔포밍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7
이에 대한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8
따라서 빔포밍에 대한 주파수 응답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9
제1음원 검출부(1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제2음원 검출부(120)의 싱글 마이크로폰(ms)의 음원 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주파수 응답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20
,
Figure pat00021
즉, 음원 처리 장치는 빔포밍부(140)의 빔포밍에 의해 H(f)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N개의 마이크로폰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폰 어레이에 이격 설치된 싱글 마이크로폰을 더 추가함으로써, 전체적인 마이크로폰의 크기를 늘릴 수 있어 분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저주파 대역의 신호의 빔포밍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음성 신호의 경우 1,000Hz 이하에서 효과적인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해성능은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크기와 주파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폰 어레이 내의 마이크로폰의 수를 늘리거나 마이크로폰 간 거리를 넓히지 않고도, 마이크로폰의 크기를 늘일 수 있어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설치에 따른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제1음원 검출부(1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 및 제2음원 검출부(120)의 마이크로폰(ms)을 이용하여 음원을 검출(201)하고, 각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 ms)을 통해 검출된 음원 신호를 각각의 음원 증폭부(130: 131 내지 135)에서 증폭하고,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인 음원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202)한다.
다음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미리 정해진 제1음원 검출부(1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 및 제2음원 검출부(120)의 마이크로폰(ms) 사이의 상대적 위치 정보인 거리(l)와 각도(Ω), 제1음원 검출부(1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루는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 간의 미리 정해진 거리(d) 정보를 이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
여기서 빔포밍 수행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각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 ms)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를 일정기간 저장하였다가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 ms)별 음원 신호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합산하고, 합산된 신호를 주파수 변환(FFT)을 수행(203)한다.
다음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주파수별로 분해한 후 역 주파수 변환을 수행(204)한다.
이때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음원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별로 나누어 가중치를 적용한 후 다시 합산하면 음성 신호의 주파수만으로 독립인 빔을 만들 수 있다.
다음,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디지털 신호인 역 주파수 변환에 대응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음원을 출력(205)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패턴 예시도이다.
도 4a의 좌측은 종래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포밍 시 주파수 8000Hz 이내의 빔패턴이고, 우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포밍 시 주파수 8000Hz 이내의 빔패턴이다.
도 4b의 좌측 빔패턴과 우측 빔패턴은 도 4a의 좌측 빔패턴과 우측 빔패턴 중 저주파인 주파수 1000Hz 이내의 빔패턴을 확대한 것이다.
도 4c의 좌측은 종래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포밍 시 주파수 1000Hz 이내의 빔패턴이고, 우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포밍 시 주파수 1000Hz 이내의 빔패턴이다. 도 4c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빔포밍 지향 방향이 각도 60ㅀ인 음원 신호의 빔패턴이다.
도 4a 내지 도 4c의 좌우 빔패턴을 살펴보면, 좌측에 도시된 종래 빔패턴에 비해 우측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패턴의 빔폭(BW: Beam Width)이 훨씬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K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의 빔패턴에서 빔폭(BW: Beam Width)이 더욱 좁아짐이 두드러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 단에서 빔폭(BW: Beam Width)이 종래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더 좁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필터의 분해성능이 뛰어나고 그 만큼 지향성 잡음과 음성 신호를 잘 분리해 낼 수가 있다. 여기서 빔패턴의 빔폭이 좁은 만큼 공간필터의 분해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즉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저주파대역에서 분해성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중요한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특별한 후처리 필요없이 유지시켜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빔포밍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제1음원 검출부(310), 제2음원검출부(320), 음원 증폭부(330), 빔포밍부(340), 방향 입력부(350), 제어부(360), 출력부(370), 위치검출부(3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원 증폭부(330), 빔포밍부(340), 방향 입력부(350), 출력부(370)는 도 1에 도시된 음원 증폭부(130), 빔포밍부(140), 방향 입력부(150), 출력부(170)의 구성과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음원 검출부(310)는 단말기나 회의실과 같은 특정 공간 등 음원을 검출하고자 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제1음원 검출부(310)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로 이루어지고, 이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음원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전기 신호를 음원 신호라 한다.
이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복수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은 일직선 상에 서로 등간격 또는 비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이때 서로 인접한 마이크로폰 간의 간격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2음원검출부(320)는 제1음원검출부(310)와 분리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제2음원 검출부(320)는 제1음원 검출부(310)와 같은 영역에 설치되되, 제1음원 검출부(310)와 이격 설치되고, 또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2음원 검출부(320)와 제1음원 검출부(310)의 상대적 위치 정보는 제2음원 검출부(320)와 제1음원 검출부(310)의 어느 한 점 사이의 상대적 거리 및 각도이다. 제1음원 검출부(310)의 어느 한 점은 제1 음원 검출부(310)의 일직선 상의 중심 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음원 검출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ms)으로 이루어지고, 이 마이크로폰(ms)은 음원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전기 신호를 음원 신호라 한다.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 ms)으로부터 검출된 음원 신호에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음성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위치검출부(380)의 송신부(381)가 구동되도록 송신부(381)를 제어하고, 위치검출부(380)의 수신부(38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한다.
여기서 음성 신호의 존재를 판단하는 것은, 검출된 음원 신호에 가청 주파수 20 내지 20000Hz 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중심과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 사이의 상대적 거리(l) 및 각도(Ω)이다.
여기서 기준 음압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대략 0 내지 130dB의 음압이다.
아울러 음성 신호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신호를 검출하여 빔포밍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60)는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ms) 사이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빔포밍부(340)에 전송하고, 빔포머부(34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 사이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의 빔포밍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360)는 음압검출부(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여 음압이 검출되도록 하고, 음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음압레벨 신호가 전송되면 검출된 음압과 기준 음압레벨을 비교하여 검출된 음압레벨이 기준 음압레벨 이상이면 빔포밍부(3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60)는 방향 입력부(350)를 통해 어느 하나의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방향의 정보를 빔포밍부(140)에 전송한다. 이로써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검출되는 음성 신호만 필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60)는 빔포밍부(340)에서 빔포밍된 음성 신호가 출력부(370)를 통해 출력되도록 출력부(3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위치 검출부(380)는 송신부(381)와 수신부(382)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검출부(380)의 송신부(381)는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ms)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위치 검출부(380)의 수신부(382)는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ma1 내지 ma4)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위치 검출부(380)의 송신부(381)는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위치 검출부(380)의 수신부(382)는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ms)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위치 검출부(380)의 수신부(382)는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일직선 상의 중심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 검출부(380)의 송신부(381)는 제어부(360)의 명령에 대응하여 위치 신호를 송신하고, 위치 검출부(380)의 수신부(382)는 송신부(381)에서 송신된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60)에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검출부(380)의 송신부(381)는 초음파 발진부, 송신부(382)는 초음파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어부(360)는 초음파가 도달된 시간에 기초하여 제1, 2 음원 검출부(310, 320) 간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한다.
또한 위치 검출부(380)의 송신부(381)는 알에프(RF: Radio Frequency) 발진부, 송신부(382)는 알에프(RF)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어부(360)는 알에프(RF) 신호가 도달된 시간에 기초하여 제1, 2 음원 검출부(310, 320) 간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한다.
아울러 위치 검출부(380)의 송신부(381)는 적외선 방출부, 송신부(382)는 적외선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어부(360)는 광량에 기초하여 제1, 2 음원 검출부(310, 320) 간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여기서 음성 신호를 빔포밍하여 출력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대기상태(Idle)를 유지하면서 음원 검출 영역에서 발생하는 음원 신호의 음압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압 레벨이 기준 음압 레벨 이상인지 판단함으로써 음원 검출 영역의 음원 신호에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 모니터링(401)한다.
여기서 기준 음압 레벨은 음성인지 판단하기 위한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이다.
이때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기준 음압 레벨 미만의 음압 레벨을 가진 음원이 검출되면 음성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기준 음압 레벨 이상의 음압레벨을 가진 음원이 검출되면 음성 신호가 존재(402)한다고 판단한다.
아울러 음성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음원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ms)에 인접 설치된 위치 검출부(380)의 송신부(381)를 구동(403)시켜 위치 신호를 송신한다.
다음,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중심에 인접 설치된 위치 검출부(380)의 수신부(382)에서 송신부(381)의 위치 신호가 수신(404)되면 수신된 위치 신호를 제어부(360)에 전송한다.
여기서 신호는 RF 또는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이다. 아울러 신호는 적외선인 것도 가능하다.
다음 음원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부(36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중심과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ms) 사이의 상대적 위치 정보인 거리(l)와 각도(Ω)를 획득(405)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빔포밍부(340)에 전송한다.
다음,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 및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ms)을 이용하여 음원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을 각각의 음원 증폭부(330: 331 내지 335)에서 증폭하고,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의 음원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다음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 및 제2음원 검출부(320)의 마이크로폰(ms) 사이의 상대적 위치 정보인 거리(l)와 각도(Ω), 제1음원 검출부(1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루는 마이크로폰(ma1 내지 ma4) 간의 미리 정해진 거리(d) 정보를 이용하여 빔포밍을 수행(406)한다.
다음 음원 신호 처리 장치는 빔포밍된 음원 신호 중 음성 신호를 강조하여 출력부(370)를 통해 출력(407)한다.
그리고 음원이 발생하는 동안 제2음원 검출부(32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주기로 위치 검출부(380)의 송신부(381)와 수신부(382)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2음원 검출부(320)와 제1음원 검출부(3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
아울러 위치 검출부(380)의 수신부(382)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2음원 검출부(320)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제1음원 검출부(310)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만의 독립적인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한다.
110, 310: 제1음원 검출부 120, 320: 제2음원 검출부
130, 330: 음원 증폭부 140, 340: 빔포밍부
150: 350: 방향 입력부 160, 360: 제어부
170, 370: 출력부 380: 위치 검출부
381: 송신부 382: 수신부

Claims (20)

  1.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제1음원 검출부;
    상기 제1음원 검출부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제2음원 검출부;
    상기 제1음원 검출부 및 제2음원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빔포밍부를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부는,
    상기 제1음원검출부와 상기 제2음원검출부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빔포밍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원 검출부와 상기 제2음원 검출부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는 미리 정해진 음원 신호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원 검출부와 상기 제2음원 검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음원 검출부와 상기 제2음원 검출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알에프 송신부와, 알에프 수신부를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초음파 송신부와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는,
    상기 제1음원 검출부와 상기 제2음원 검출부의 상대적 거리 및 각도인 음원 신호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의 음압을 음압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음압 신호의 음압레벨과 기준 음압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음원 신호에 상기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음원 신호의 빔포밍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포밍 수행 제어 시 상기 위치검출부가 주기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음원 검출부와 제2음원 검출부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빔포밍 시 방향 정보를 입력받는 방향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빔포밍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방향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음원 신호 처리 장치.
  12.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각각 가지는 제1, 2 음원 검출부를 통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음원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 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음원 신호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은,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각 음원 신호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각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각각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신호의 역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 간의 위치 정보는, 미리 정해진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2음원 검출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송신부를 통해 위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음원 검출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수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 간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1음원 검출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송신부를 통해 위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음원 검출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수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된 음원 신호 간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신호는,
    초음파 신호 또는 알에프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인 음원 신호 처리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어느 한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의 음압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음압 레벨과 기준 음압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검출된 음압 레벨이 기준 음압레벨 이상이면 음성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은,
    상기 음원 신호의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음원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원 신호 처리 방법.
KR1020100110838A 2010-11-09 2010-11-09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15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38A KR101715779B1 (ko) 2010-11-09 2010-11-09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13/275,801 US9113242B2 (en) 2010-11-09 2011-10-18 Sound sour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38A KR101715779B1 (ko) 2010-11-09 2010-11-09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534A true KR20120049534A (ko) 2012-05-17
KR101715779B1 KR101715779B1 (ko) 2017-03-13

Family

ID=4601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838A KR101715779B1 (ko) 2010-11-09 2010-11-09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13242B2 (ko)
KR (1) KR1017157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486A (ko) * 2013-08-20 2015-03-02 (주)파워보이스 음원의 위치 추적 장치 및 음원의 위치 추적 방법
US9516241B2 (en) 2013-06-11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fo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8057B2 (en) * 2012-11-01 2015-07-07 Csr Technology Inc. Adaptive microphone beamforming
US9747917B2 (en) 2013-06-14 2017-08-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sition directed acoustic array and beamforming methods
EP3133833B1 (en) * 2014-04-16 2020-02-26 Sony Corporation Sound field reproduc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10412208B1 (en) * 2014-05-30 2019-09-10 Apple Inc. Notification systems for smart band and methods of operation
US9326060B2 (en) * 2014-08-04 2016-04-26 Apple Inc. Beamforming in varying sound pressure level
WO2016114487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US9565493B2 (en) 2015-04-30 2017-02-0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rray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9554207B2 (en) 2015-04-30 2017-01-24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Offset cartridge microphones
GB2551780A (en) * 2016-06-30 2018-01-03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obtaining audio signals
US10367948B2 (en) 2017-01-13 2019-07-3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ost-mixing acoustic echo cancell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789949B2 (en) * 2017-06-20 2020-09-29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with wakeup word detection
US11150869B2 (en) 2018-02-14 2021-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ice command filtering
CN108490384A (zh) * 2018-03-30 2018-09-04 深圳海岸语音技术有限公司 一种小型空间声源方位探测装置及其方法
US11200890B2 (en) 2018-05-01 2021-1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inguishing voice commands
US11238856B2 (en) 2018-05-01 2022-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gnoring trigger words in streamed media content
EP3804356A1 (en) 2018-06-01 2021-04-14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attern-forming microphone array
US11297423B2 (en) 2018-06-15 2022-04-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ndfire linear array microphone
CN109217943A (zh) * 2018-07-19 2019-0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定向播报方法、装置、家用电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89296A (zh) 2018-09-20 2021-06-01 舒尔获得控股公司 用于阵列麦克风的可调整的波瓣形状
WO2020191354A1 (en) 2019-03-21 2020-09-24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ousings and associated design features for ceiling array microphones
TW202044236A (zh) 2019-03-21 2020-12-01 美商舒爾獲得控股公司 具有抑制功能的波束形成麥克風瓣之自動對焦、區域內自動對焦、及自動配置
US11558693B2 (en) 2019-03-21 2023-01-1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and voice activity detection functionality
WO2020237206A1 (en) 2019-05-23 2020-11-2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teerable speaker array,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US11302347B2 (en) 2019-05-31 2022-04-1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Low latency automixer integrated with voice and noise activity detection
US11380312B1 (en) * 2019-06-20 2022-07-05 Amazon Technologies, Inc. Residual echo suppression for keyword detection
US11355108B2 (en) * 2019-08-20 2022-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inguishing voice commands
EP4018680A1 (en) 2019-08-23 2022-06-29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Two-dimensional microphone array with improved directivity
US11552611B2 (en) 2020-02-07 2023-01-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reference gain
WO2021243368A2 (en) 2020-05-29 2021-12-0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Transducer steering and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local positioning system
JP2024505068A (ja) 2021-01-28 2024-02-02 シュアー アクイジッ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ハイブリッドオーディオビーム形成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5005A1 (en) * 2003-03-07 2004-09-09 Hans-Ueli Roeck Binaural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ring device system
KR20040079085A (ko) * 2003-03-06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폰 어레이 구조, 이를 이용한 일정한 지향성을갖는 빔 형성방법 및 장치와 음원방향 추정방법 및 장치
JP2009260948A (ja) * 2008-03-27 2009-11-05 Yamaha Corp 音声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2158B2 (ja) * 2009-10-07 2014-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音響監視システム、及び音声集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085A (ko) * 2003-03-06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폰 어레이 구조, 이를 이용한 일정한 지향성을갖는 빔 형성방법 및 장치와 음원방향 추정방법 및 장치
US20040175005A1 (en) * 2003-03-07 2004-09-09 Hans-Ueli Roeck Binaural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ring device system
JP2009260948A (ja) * 2008-03-27 2009-11-05 Yamaha Corp 音声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6241B2 (en) 2013-06-11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fo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 signal
KR20150021486A (ko) * 2013-08-20 2015-03-02 (주)파워보이스 음원의 위치 추적 장치 및 음원의 위치 추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779B1 (ko) 2017-03-13
US20120114138A1 (en) 2012-05-10
US9113242B2 (en)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779B1 (ko)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9226070B2 (en) Directional sound source filtering apparatus using microphone arr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74970B2 (en) Multi-channel multi-domain sourc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KR102352928B1 (ko) 가변 마이크로폰 어레이 방향을 갖는 헤드셋들을 위한 듀얼 마이크로폰 음성 프로세싱
US97695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alker distance
US9747920B2 (en) Adaptive beamforming to create reference channels
US9107001B2 (en) Earphones having configurable microphone arrays
EP11169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human speakers
US20160165341A1 (en) Portable microphone array
JP5050616B2 (ja) 放収音装置
US20160165350A1 (en) Audio source spatialization
US20110038229A1 (en) Audio source loc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9521486B1 (en) Frequency based beamforming
US20160165338A1 (en) Directional audio recording system
US20160161595A1 (en) Narrowcast messaging system
JP2012147475A (ja) 音識別方法および装置
EP2732638B1 (en) Speech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US20160161594A1 (en) Swarm mapping system
KR20120131826A (ko) 방향성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신호 분리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20160161589A1 (en) Audio source imaging system
US20160161588A1 (en) Body-mounted multi-planar array
JPWO2009075085A1 (ja) 収音装置、収音方法、収音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JP2007318550A (ja) 放収音装置
CN102177731A (zh) 音频设备
JP2008252625A (ja) 指向性スピー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