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260A - 홈이 형성된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 - Google Patents

홈이 형성된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260A
KR20120049260A KR1020127003686A KR20127003686A KR20120049260A KR 20120049260 A KR20120049260 A KR 20120049260A KR 1020127003686 A KR1020127003686 A KR 1020127003686A KR 20127003686 A KR20127003686 A KR 20127003686A KR 20120049260 A KR20120049260 A KR 2012004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rooves
strap
depth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512B1 (ko
Inventor
에릭 론스웨이
켈리 에이. 오코너
토마스 더블유. 심쇼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filed Critical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04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6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5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이 개시된다. 끈 부분은 한 쌍의 스트랩을 발에 체결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두 개의 인접하는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끈 부분은 두 개의 인접하는 발가락들 사이에서 발의 부분과 해당 끈 부분 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홈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홈은, 끈 부분이 발의 외형에 들어맞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끈 부분의 유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홈이 형성된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신발 제품에 관한 것이고, 특히 홈이 형성된 끈 부분(thong portion)을 갖는 신발 제품에 관한 것이다.
Meltzer(미국 특허 제2,928,191호)에 의해 교시된 신발 제품은 발가락 끈(toe thong)을 포함하는데, 해당 발가락 끈은 직물 튜브로 이루어지고 해당 직물 튜브는 해당 튜브를 동축으로 관통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 둘레로 둘러싸고 있다. 스프링은 그 상부 후크형 단부에서 장식용 버튼의 하면 상에 위치된 부착 루프에 부착된다. 튜브의 상단부는 은폐된 후크형 단부까지 밀어올려진다. 튜브와 스프링은, 고정 수단이 튜브를 관통한 후 신발 바닥(outer sole) 내의 스프링의 하단부에 있는 루프와 체결되는 안창(inner sole) 내의 구멍을 통과한다. 튜브는 버튼 및 신발 바닥에 접착식으로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끈은 갑피(upper)의 일부에 연결되고 그를 통해 연장된다. Meltzer에 의한 교시에 따르면, 튜브의 직물은 다양한 발 및 발가락의 크기에 적절히 맞게 되도록 제한된 정도로 종방향으로 튜브가 연신될 수 있도록 탄성적이다.
관련 기술은 여러 부분을 포함하는 발가락 끈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제조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관련 기술의 제한 사항에 대처하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발 제품으로서, 신발 밑창(sole)과; 발의 두 개의 발가락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끈 부분으로서, 해당 끈 부분은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상기 신발 밑창의 일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발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트랩과 결합되며, 상기 중간 부분은 홈을 포함하는 것인 끈 부분을 포함하는 신발 제품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발 제품으로서, 신발 밑창과;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끈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상기 신발 밑창의 제1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발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트랩과 결합되며, 상기 끈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모놀리식(monolithic)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는 발의 일부에 대한 더큰 파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끈 부분을 포함하는 신발 제품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발 제품으로서, 신발 밑창과;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끈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상기 신발 밑창의 제1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발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트랩과 결합되며, 상기 중간 부분은 제1 홈과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의 제1 깊이는 상기 제2 홈의 제2 깊이와 상이한 것인 끈 부분을 포함하는 신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들은 하기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검토를 통해 당업자에게 분명하거나 분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추가의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들 모두는 본 발명의 설명 및 요약 내에 포함되고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후속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제품, 특히 홈이 형성된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으로서, 당업계의 관련 기술의 제한 사항에 대처할 수 있는 신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도면과 설명을 참조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 내의 구성 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르지는 않으며, 대신에 발명의 원리를 예시할 때 강조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다양한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지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신발 제품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2는 신발 제품의 끈 부분의 일 실시예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발을 수용하는 신발 제품의 일 실시예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4는 단계적 형태의 홈 구조를 갖는 신발 제품의 끈 부분의 일 실시예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불규칙한 홈 구조를 갖는 신발 제품의 끈 부분의 일 실시예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얕은 홈 구조를 갖는 신발 제품의 끈 부분의 일 실시예의 확대도이고;
도 7은 깊은 홈 구조를 갖는 신발 제품의 끈 부분의 일 실시예의 확대도이고;
도 8은 신발 제품의 일 실시예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9는 반원형의 홈을 갖는 끈 부분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10은 초승달형 홈을 갖는 끈 부분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11은 끈 부분의 측면부 상에 홈이 배치되는 끈 부분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12는 끈 부분의 측면부 상에 홈이 배치되는 끈 부분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13은 보강부를 포함하는 끈 부분의 등각 투상도이다.
도 1은 신발 제품(1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명료성을 위해,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샌달 또는 플립-플롭(flip-flop) 형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논의되지만, 본 발명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하이킹 부츠, 축구화, 미식축구화, 스니커즈, 럭비화, 농구화, 야구화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신발을 포함하는 임의의 신발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히 제품(100)으로도 지칭되는 신발 제품(100)은 왼발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이지만, 하기의 설명은 오른발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대칭 이미지의 신발 제품(1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참고의 목적으로, 제품(100)은 전족부(forefoot portion)(10), 중족부(midfoot portion)(12), 후족부(heel portion)(14)로 구분될 수 있다. 전족부(10)는 대체로 발가락, 그리고 중족골(metatarsals)과 지절골(phalanges)을 연결하는 관절과 결합될 수 있다. 중족부(12)는 대체로 발의 장심(arch)과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족부(14)는 대체로 발꿈치 뼈를 포함하는 발꿈치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품(100)은 외측부(lateral side)(16)와 내측부(medial side)(1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외측부(16)와 내측부(18)는 제품(100)의 대향 측부일 수 있다. 더욱이, 외측부(16)와 내측부(18) 모두는 전족부(10), 중족부(12) 및 후족부(1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전족부(10), 중족부(12) 및 후족부(14)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의도된 것으로, 제품(100)의 정확한 영역을 구분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외측부(16)와 내측부(18)는 제품(100)을 두 개의 절반부로 정확하게 구분하기보다는 대략적으로 제품의 양 측면을 표현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또한, 외측부(16)와 내측부(18)는 물론, 전족부(10), 중족부(12) 및 후족부(14)는, 밑창 구조(sole structure) 및/또는 갑피(upper)와 같은 제품의 개별 요소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일관성 및 편의상,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방향 형용사가 채용된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될 때 "종방향"이란 용어는, 제품의 길이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일부의 경우, 종방향은, 제품의 전족부로부터 후족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될 때 "측방향"이란 용어는 제품의 폭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다시 말해, 측방향은 제품의 내측부로부터 외측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될 때 "수직"이라는 용어는 대체로 측방향 및 종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제품이 지표면에 평편하게 놓여진 경우, 수직 방향은 지표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방향 형용사 각각은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와 같은 제품의 개별 요소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품(100)은 밑창 구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110)는 제품(100)에 정지 마찰(traction)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지 마찰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밑창 구조(100)는 보행 중, 구보 중 또는 기타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 지면의 반력을 감쇄시킬 수 있다. 밑창 구조(110)의 구성은 다양한 표준적 구조 또는 비표준적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크게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110)의 구성은, 밑창 구조(100)가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지표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지표면의 예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잔디, 인조 잔디, 흙바닥뿐만 아니라 기타 표면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110)는, 제품(100)의 착화시 발과 지면 사이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110)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밑창 구조(110)는 신발 바닥(outsole), 중창(midsole) 및/또는 안창(insole)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이들 요소 중 하나 이상은 선택적일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는 갑피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품(100)은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 구조(110)는 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상부(112)는 발과의 파지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컨대, 상부(112)는 발바닥에 대한 파지력의 증가에 도움이 되는 파형 표면(ribbe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마디(nubs), 홈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을 포함하는, 발과의 파지력을 증가시키는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경우, 상부(112)는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품(100)은 발을 밑창 구조(110)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품(100)은 발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100)은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랩(120)은 밑창 구조(110)의 외측부(16)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부분(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랩(122)은 밑창 구조(110)의 내측부(18)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부분(1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경우, 제1 스트랩(120)의 제1 단부 부분(131)과 제2 스트랩(122)의 제2 단부 부분(141)은 후족부(14)에서 밑창 구조(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은 두 개의 별개의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은 단일 스트랩의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트랩(120)의 제1 단부 부분(131)과 제2 스트랩(122)의 제1 단부 부분(141)은 밑창 구조(110)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스트랩이 예시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밑창 구조(110)를 발에 고정시키는 추가의 스트랩 또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제품(100)은 발꿈치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힐 스트랩(heel strap)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을 밑창 구조(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족부(10) 및/또는 중족부(12)에 추가의 스트랩이 제공될 수 있다.
제품(100)은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을 밑창 구조(110)의 전족부(10)에 부착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품(100)은 밑창 구조(110)의 전족부(10)와,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의 일부 사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은 전족부(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품(100)은 끈 부분(thong portion)(200)을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200)은 제1 단부 부분(202)과 제2 단부 부분(204)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끈 부분(200)은 제1 단부 부분(202)과 제2 단부 부분(204)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2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1 단부 부분(202)은 제1 스트랩(120)의 제2 단부 부분(132)뿐만 아니라 제2 스트랩(122)의 제2 단부 부분(142)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끈 부분(200)의 제2 단부 부분(204)은 밑창 구조(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끈 부분(200)은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을 밑창 구조(110)에 연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끈 부분(200)은 임의의 방식으로 밑창 구조(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2 단부 부분(204)은 상부(112) 내의 구멍(150)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 부분(204)은, 구멍(150)보다 커서 제2 단부 부분(204)이 구멍(150)으로부터 당겨지지 않게 하는 고정부(anchor portion) 또는 체결부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경우, 제2 단부 부분(204)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교 접합, 봉합(stitching)뿐만 아니라 임의의 기타 체결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방법으로 밑창 구조(110)에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제2 단부 부분(204)은 밑창 구조(110)의 일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끈 부분(200)은 임의의 방법으로 제1 스트랩(120) 및/또는 제2 스트랩(12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1 단부 부분(202)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스트랩(120)의 제2 단부 부분(132) 및/또는 제2 스트랩(122)의 제2 단부 부분(142)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경우, 제1 단부 부분(202)은 제1 스트랩(120) 및/또는 제2 스트랩(122)의 일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제1 단부 부분(202)은 제2 단부 부분(132) 및/또는 제2 단부 부분(142)에 봉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끈 부분(200)은 발의 인접하는 두 개의 발가락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끈 부분(200)은, 끈 부분(200)이 발의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도록 밑창 구조(110)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끈 부분(200)은 발의 다른 인접한 발가락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경우, 끈 부분(200)은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끈 부분(200)은 중지 발가락과 4번째 발가락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끈 부분(200)은 네 번째 발가락과 새끼 발가락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끈 부분(200)은 밑창 구조(110)를 발에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트랩을 발에 더욱 잘 맞게 하기 위해, 끈 부분은 발의 일부와의 파지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끈 부분은 인접하는 발가락들 사이에 배치된 발의 일부와의 결합을 위해 증가된 파지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끈 부분은 발의 인접하는 발가락들을 연결하는 피부 또는 발가락 사이 피막(webbing)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끈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은 제2 부분에 비해 향상된 파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은, 끈 부분이 인접하는 발가락들 사이에 삽입될 때 발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제품의 후족부를 향해 배향된 끈 부분의 일부일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반대측에 배치된 끈 부분의 대체로 평활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끈 부분(200)은 제1 부분(210)과 제2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1 부분(210)은 발의 인접하는 두 개의 발가락 사이의 영역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끈 부분(200)의 일부이다. 이 경우, 제1 부분(210)은 대체로 제품(100)의 후족부(14) 측을 향하여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경우, 제2 부분(212)은 제1 부분(210)의 반대 측에 배치된 끈 부분(200) 중 대체로 평활한 부분일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2 부분(212)은 전족부(10)의 전방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부분(210)은 파지력 향상부일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1 부분(210)은 파지력의 향상을 돕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210)은 실질적으로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고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제1 부분(210)은 파지력의 향상을 돕는 구조적 특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부분(210)에는 끈 부분(200)의 파지력 향상을 위해 복수의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될 때 "홈"이란 용어는 임의의 채널, 슬롯, 배출구(sipe), 리세스, 오목부 또는 기타 유사한 구조적 특징부를 말한다. 홈이란 용어는 임의의 특정의 형상 또는 크기로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추가로, 홈이란 용어는 임의의 특정 종류의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과 함께 사용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부분(210)은 복수의 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220)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 복수의 홈(220)은 두 개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복수의 홈(220)은 다섯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복수의 홈(220)은 다섯 개가 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은 제1 홈(221), 제2 홈(222), 제3 홈(223), 제4 홈(224) 및 제5 홈(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10)과 제2 부분(212)을 포함하는 끈 부분(200)의 재료 특성은 변할 수 있다. 복수의 홈(220)을 포함하는 제1 부분(210)은 제1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212)은 제2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1 재료는 제2 재료와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제1 재료는 제2 재료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재료와 제2 재료는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끈 부분(200)은 실질적으로 모놀리식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끈 부분(200)의 내구성은 여러 가지 개별 요소 또는 재료로 이루어진 구성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도 2는 측면에서 본 끈 부분(200)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 중 하나 이상의 홈의 기하학적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홈의 단면 형상은 변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단면 형상의 예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 반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규칙형, 불규칙한 형상뿐만 아니라 임의의 기타 종류의 단면 형상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의 각각의 홈은 대략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홈들은 상이한 단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홈의 기하학적 형상의 다른 외형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홈의 높이, 폭 및/또는 깊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홈의 높이가 변할 수 있다. "높이"란 용어는, 끈 부분(20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홈의 치수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높이란 용어는 또한 홈의 피치를 말하기도 한다.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의 각각의 홈의 높이는 0.1mm 내지 1cm의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경우, 각각의 홈의 높이는 1mm 내지 10mm의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220)의 각각의 홈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 복수의 홈(220) 중 두 개 이상의 홈은 실질적으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홈의 폭은 변할 수 있다. "폭"이란 용어는 끈 부분(200)의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로 연장되는 홈의 치수를 말한다.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220) 중 각각의 홈은 가변적인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경우, 복수의 홈(220)의 각각의 홈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220)의 각각의 홈은 서로 실질적으로 유사한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 복수의 홈(220) 중 두 개 이상의 홈은 실질적으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홈의 깊이는 변할 수 있다. "깊이"란 용어는 끈 부분(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홈의 치수를 말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의 각각의 홈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 중 두 개 이상의 홈은 실질적으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홈(221)은 깊이(D1)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제5 홈(225)은 깊이(D5)를 가질 수 있다. 일부의 경우, 깊이(D5)는 깊이(D1)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다. 또한, 제2 홈(222), 제3 홈(223) 및 제4 홈(224)의 깊이는 깊이(D1)와 깊이(D5) 사이에서 단조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홈(222)은 제1 홈(221)보다 실질적으로 깊을 수 있고, 제3 홈(223)은 제2 홈(222)보다 실질적으로 더 깊을 수 있으며, 제4 홈(224)은 제3 홈(223)보다 실질적으로 더 깊을 수 있으며, 제5 홈(225)은 제4 홈(224)보다 실질적으로 더 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깊이(D1)는 0.1mm 내지 5mm의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깊이(D5)는 1mm 내지 20mm의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깊이(D1)와 깊이(D5)는 임의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깊이가 변하는 홈의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면, 끈 부분(200)의 파지 특성이 끈 부분(200)의 길이에 걸쳐 변화될 수 있다. 특히, 끈 부분(200)의 파지력은, 제5 홈(225)이 최대 깊이를 가지기 때문에 제2 단부 부분(204)에서 최대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끈 부분(200)의 파지 특성은, 복수의 홈(220)의 깊이가 제2 단부 부분(204)과 제1 단부 부분(202) 사이에서 감소됨에 따라 제2 단부 부분(204)으로부터 제1 단부 부분(202)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의 깊이는 비선형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의 깊이는 곡선(250)에 연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홈(220)의 각각의 홈의 단부 부분은 대략적으로 상기 곡선(250)에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의 깊이는 선형적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의 깊이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복수의 홈의 깊이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을 제공하는 것은 또한 끈 부분의 유연성의 변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증가된 유연성은, 홈이 패인 영역에서 끈 부분의 단면 형상의 감소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경우, 하나 이상의 홈의 깊이를 포함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끈 부분을 따라 차별적인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220)은 제1 부분(220)에서 끈 부분(200)에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홈(220)에서 변하는 깊이는 끈 부분(200)의 길이에 걸쳐 차별적인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부분(210)의 유연성은, 제1 홈(221)이 제5 홈(225)보다 깊이가 얕으므로 끈 부분(200) 상에서 제1 홈(221)으로부터 제5 홈(225)까지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발(300)과 맞물리는 끈 부분(200)의 일 실시예의 등각 투상도를 나타낸다.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은 발(300) 주변에 고정된다. 특히,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은 발(300)의 외측부 및 내측부를 따라 그리고 발(300)의 상부 둘레를 둘러싼다. 또한, 끈 부분(200)은 엄지 발가락(302)과 검지 발가락(304) 사이에 삽입된다. 특히, 복수의 홈(220)을 포함하는 제1 부분(210)은 엄지 발가락(302)과 검지 발가락(304) 사이에 위치된 피부 또는 피막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끈 부분(220)은, 제품(100)이 발(300)에 잘 맞도록 돕기 위해 엄지 발가락(302)과 검지 발가락(304) 사이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끈 부분(200)은 대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적소에 실질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스트랩(120)과 제2 스트랩(122)이 발(300) 위에 적소에 고정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끈 부분(200)과 발(300) 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 복수의 홈(220)은 끈 부분(200)의 굽힘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의 경우, 끈 부분(200)의 제1 부분(210)은 엄지 발가락(302)과 검지 발가락(304) 근처에서 발(300)에 들어맞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품(100)에 대한 편안함과 착화성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복수의 홈에 대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는 끈 부분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명료성을 위해, 이들 대안적인 실시예에는 단지 끈 부분만이 도시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논의되는 끈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의 제품(100)과 유사한 제품에 연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끈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대체로 대응하는 제품의 전족부와 하나 이상의 스트랩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을 포함하는 끈 부분은 제품의 착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홈의 파지 특성을 정밀하게 조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의 파지 특성 및/또는 유연성은 홈의 개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정밀하게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의 구성은, 복수의 홈의 파지 특성 및/또는 유연성의 정밀한 조정을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깊이의 홈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파지 특성 및/또는 유연성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깊이가 변하는 홈을 다른 구성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끈 부분의 파지 특성 및/또는 유연성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끈 부분(400)은 복수의 홈(4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402)은 단계적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개 이상의 홈의 깊이가 단계적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홈(411)과 제2 홈(412)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깊이를 가진다. 또한, 제3 홈(413)과 제4 홈(414)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깊이를 가진다. 또한, 제5 홈(415)과 제6 홈(416)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깊이를 가진다. 추가로, 제3 홈(413)과 제4 홈(414)의 깊이는 제1 홈(411)과 제2 홈(412)의 깊이보다 실질적으로 깊다. 마찬가지로, 제5 홈(415)과 제6 홈(416)의 깊이는 제3 홈(413)과 제4 홈(414)의 깊이보다 실질적으로 깊다. 홈 깊이에 대해 이러한 단계적 구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끈 부분(400)에 의해 제공되는 파지력은 끈 부분(400)의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계적 구성은 끈 부분(400)의 길이에 걸쳐 차별적인 유연성의 용이한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끈 부분(500)은 복수의 홈(5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502)은 불규칙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홈(511), 제2 홈(512), 제3 홈(513), 제4 홈(514), 제5 홈(515) 및 제6 홈(516)의 깊이는, 불규칙한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홈의 깊이에 대해 이러한 불규칙한 구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끈 부분(500)에 의해 제공되는 파지력 및/또는 유연성은 끈 부분(500)의 길이에 걸쳐 불규칙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끈 부분(600)은 복수의 홈(6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602)은 실질적으로 얕은 깊이의 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602)의 각각의 홈의 깊이는 끈 부분(600)의 직경의 대략 1% 내지 20%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끈 부분(600)에 실질적으로 얕은 깊이의 홈을 제공하는 것은, 끈 부분(600)에 단지 적은 양의 파지력 및/또는 유연성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끈 부분(700)은 복수의 홈(7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702)은 실질적으로 깊은 깊이의 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702)의 각각의 홈의 깊이는 끈 부분(700)의 직경의 대략 80% 내지 99%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끈 부분(700)에 실질적으로 깊은 깊이의 홈을 제공하는 것은, 끈 부분(700)에 많은 양의 파지력 및/또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신발 제품(800)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800)은 끈 부분(820)을 포함한다. 일부의 경우, 끈 부분(820)에는 복수의 홈(830)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830)은 대략 열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830)을 포함하는 홈의 개수는 변할 수 있다.
복수의 홈(830)은 비교적 작거나 좁은 피치로 마련될 수 있다. 피치란 용어는 끈 부분(820)의 축방향을 따라 측정할 때 홈의 치수를 말한다. 일부의 경우, 각각의 홈의 피치는 0.001mm 내지 10mm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다른 경우, 각각의 홈의 피치는 0.01mm 내지 1mm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각각의 홈의 피치는 10mm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비교적 일정한 피치의 홈을 포함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홈의 피치는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끈 부분은 제1 피치를 갖는 일부의 홈과 제1 피치보다 큰 제2 피치를 갖는 일부의 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홈의 피치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각각의 홈의 피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끈 부분의 유연성 및/또는 파지 특성은 정밀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홈들 사이의 간격도 또한 변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인접하는 홈들 사이의 간격은 0.001mm 내지 10mm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인접하는 홈들 사이의 간격은 0.01mm 내지 1mm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인접하는 홈들 사이의 간격은 10mm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균일하게 간격을 둔 홈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홈들 사이의 간격이 변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끈 부분은 제1 간격으로 이격되는 인접한 홈들의 하나의 쌍 및 제1 간격보다 큰 제2 간격만큼 떨어져 이격되는 인접한 홈들의 제2 쌍을 갖춘 복수의 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하는 홈들 사이의 간격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홈의 피치와 홈들 사이의 간격 모두는 복수의 홈에 대해 다양한 구성을 얻기 위해 변화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홈들 사이의 간격뿐만 아니라 홈의 피치 모두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끈 부분의 유연성 및/또는 파지 특성은 정밀하게 조정될 수 있다.
제품은 끈 부분과 하나 이상의 발가락의 다양한 부분 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의 형상은 인접하는 발가락들 사이의 영역뿐만 아니라 발가락의 측면부와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끈 부분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연장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의 경우,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의 측면에 대해 배치될 수 있는 끈 부분의 영역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 사이의 피막에 대해 배치될 수 있는 끈 부분의 영역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끈 부분(900)의 일 실시예의 등각 투상도를 나타낸다. 끈 부분(900)은, 제품의 전방 측을 향하는 전방부(910)와 제품의 후방 측을 향하는 후방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900)은 전방부(910)와 후방부(912) 사이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914)와 제2 측면부(916)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900)은 복수의 홈(9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끈 부분(900)은 여섯 개의 홈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끈 부분(900)은 임의의 다른 개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902)은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홈(920)은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을 갖는다. 특히, 홈(920)은 하부 홈 표면(922), 하부 홈 표면(922)의 대향 배치된 상부 홈 표면(도시 생략) 및 후방 홈 표면(924) 사이에서 경계가 형성된다. 하부 홈 표면(922)과 상부 홈 표면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후방 홈 표면(924)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후방 홈 표면(924)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의 후방 홈 표면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홈(920)은 끈 부분(900)의 후방부(912)로부터 제1 측면부(914) 및 제2 측면부(916)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홈(920)의 제1 측방 단부(932)가 끈 부분(900)의 전방부(910)와 후방부(912) 사이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홈(920)의 제2 측방 단부(934)가 전방부(910)와 후방부(912) 사이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의 홈(902)의 나머지 홈 각각은 홈(9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각각의 홈은 홈(9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홈(902)은 두 개의 인접하는 발가락의 피막과 끈 부분(900) 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복수의 홈(902)이 끈 부분(900)의 후방부(912) 상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10은 끈 부분(1000)의 일 실시예의 등각 투상도를 나타낸다. 끈 부분(1000)은 제품의 전방 측을 향하는 전방부(1010)와 제품의 후방 측을 향하는 후방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1000)은 전방부(1010)와 후방부(1012) 사이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1014)와 제2 측면부(1016)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1000)은 복수의 홈(10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끈 부분(1000)은 여섯 개의 홈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끈 부분(1000)은 임의의 다른 개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1002)은 초승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홈(1020)은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을 갖는다. 특히, 홈(1020)은 하부 홈 표면(1022), 하부 홈 표면(1022)의 대향 배치된 상부 홈 표면(도시 생략) 및 후방 홈 표면(1024) 사이에서 경계가 형성된다. 하부 홈 표면(1022)과 상부 홈 표면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초승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후방 홈 표면(1024)은 실질적으로 곡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홈(1020)은 끈 부분(1000)의 후방부(1012)로부터 전방부(1010)로 초승달형 구성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홈(1020)의 제1 측방 단부(1032)가 전방부(10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홈(1020)의 제2 측방 단부(1034)가 전방부(10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의 홈(1002)의 나머지 홈 각각은 홈(10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각각의 홈은 홈(10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초승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홈(1002)은 두 개의 인접하는 발가락의 피막과 끈 부분(1000) 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홈(1002)은 제1 측면부(1014)와 제2 측면부(1016) 모두의 대부분을 통해 연장되므로, 복수의 홈(1020)은 끈 부분(1000)과, 제1 측면부(1014) 및 제2 측면부(1016)에 대해 배치될 수 있는 발가락의 측면 사이에 향상된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끈 부분과, 끈 부분에 인접한 발가락들 사이의 파지력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이는 발가락과 끈 부분 사이의 접촉 영역을 통해 홈이 연장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은 끈 부분의 측면부에 대부분 배치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홈은 끈 부분의 제1 측면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경우, 홈은 끈 부분의 제2 측면부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측면부는 제1 측면부에 대향 배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홈은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끈 부분(1100)의 일 실시예의 등각 투상도를 나타낸다. 끈 부분(1100)은 제품의 전방 측을 향하는 전방부(1110)와 제품의 후방 측을 향하는 후방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1100)은 전방부(1110)와 후방부(1112) 사이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1114)와 제2 측면부(1116)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1100)은 복수의 홈(1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복수의 홈(1102)은 제1 홈 세트(1104)와 제2 홈 세트(1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 세트(1104)는 끈 부분(1100)의 제1 측면부(1114) 상에 배치된 여섯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홈 세트(1106)는 제2 측면부(1116) 상에 배치된 여섯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1 홈 세트(1104)의 홈은 제2 홈 세트의 홈에 대략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제1 홈 세트(1104)의 제1 홈(1120)은 제2 홈 세트(1106)의 제2 홈(1122)에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홈(1102)은 인접하는 발가락들의 측면과 끈 부분(1100) 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제1 홈 세트(1104)의 홈은 엄지 발가락의 측면과 끈 부분(1100) 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제2 홈 세트(1106)의 홈은 검지 발가락의 측면과 끈 부분(1100) 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은 인접하는 발가락들과 끈 부분 사이의 파지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끈 부분의 거의 대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3은 끈 부분(12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끈 부분(1200)은 제품의 전방 측을 향하는 전방부(1210)와 제품의 후방 측을 향하는 후방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1200)은 전방부(1210)와 후방부(1212) 사이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1214)와 제2 측면부(1216)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끈 부분(1200)은 복수의 홈(1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끈 부분(1200)은 여섯 개의 홈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끈 부분(1200)은 임의의 다른 개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홈(1202)은 제1 홈(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홈(1220)은 상당히 큰 단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1 홈(1220)은 후방부(1212), 제1 측면부(1214) 및 제2 측면부(1216)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홈(1220)은 전방부(121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홈(1220)은 끈 부분(1200)을 통해 거의 대부분의 단면적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끈 부분(1200)은 홈에 의해 분리된 끈 부분(1200)의 인접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끈 부분(1200)은 끈 부분(1200)의 제1 부분(1242)과 제2 부분(1244) 사이로 연장되는 연결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1242)과 제2 부분(1244)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거나 타원형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비해, 연결부(1240)는 별개의 엣지를 포함하는 다각형의 단면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240)는 제1 엣지(1261), 제2 엣지(1262) 및 제3 엣지(12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엣지(1261), 제2 엣지(1262) 및 제3 엣지(1263)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직선형, 볼록형, 오목형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엣지(1261)와 제2 엣지(1262)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엣지를 가질 수 있는 반면, 제3 엣지(1263)는 대략 직선형의 엣지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끈 부분(1200)은 복수의 홈(1202)의 각각의 홈과 관련된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끈 부분(1200)은 홈이 위치된 끈 부분의 영역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끈 부분(1200)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끈 부분(1200)에는 복수의 홈(1202)에 인접한 끈 부분(120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보강부(12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들 영역에 있어서 끈 부분(1200)의 강성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홈과 관련된 영역에서 끈 부분(1200)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1250)의 제1 부분(1252)은 제1 홈(1220)에서 끈 부분(1200)의 강도 향상을 위해 연결부(1240)에 대한 단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강부의 형상은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부는 리브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강부는 핀형(fin-lik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실시예에서, 보강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강부의 단면적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보강부는 홈과 관련된 끈 부분의 영역에서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는 끈 부분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단일의 보강부를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보강부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강부의 재료적 특성은 변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보강부는 끈 부분보다 강성이 클 수 있다. 다른 경우, 보강부는 끈 부분보다 강성이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부(1250)는 끈 부분(1200)의 구성에 사용되는 제2 재료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제1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제1 재료는 제2 재료보다 실질적으로 강성이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복수의 홈(1202)에 인접한 영역에서 끈 부분(1200)이 보강부(1250)에 의해 보강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품들은 신발 제품의 제작을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밑창 구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성 중합체, 실록산, 천연 고무, 기타 인조 고무, 알루미늄, 강,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발포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신발 제품에 사용되는 끈 부분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성 중합체, 실록산, 천연 고무, 기타 인조 고무, 가죽, 발포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끈 부분은 탄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홈은 신발 제품의 끈 부분에 임의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의 경우, 홈은 끈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 홈은 커팅 또는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여 끈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홈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해당 설명은 한정을 하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보다 많은 다수의 실시예 및 실시 형태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측면을 제외하고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32 : (제1 스트랩의) 제2 단부 부분
142 : (제2 스트랩의) 제2 단부 부분
150 : 구멍
202 : (끈 부분의) 제1 단부 부분
204 : (끈 부분의) 제2 단부 부분
206 : 중간 부분
210 : (끈 부분의) 제1 부분
212 : (끈 부분의) 제2 부분
221, 222, 223, 224, 225 : 홈

Claims (20)

  1. 신발 제품으로서,
    신발 밑창(sole)과;
    발의 두 개의 발가락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끈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끈 부분은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상기 신발 밑창의 일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발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트랩과 결합되며,
    상기 중간 부분은 홈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적어도 두 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다섯 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끈 부분의 길이에 걸쳐 변하는 것인 신발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두 개의 인접하는 발가락 사이에서 발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 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발의 일부 상에서 상기 끈 부분에 대한 향상된 파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 제품.
  7. 신발 제품으로서,
    신발 밑창과;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끈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상기 신발 밑창의 제1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발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트랩과 결합되며,
    상기 끈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실질적인 모놀리식(monolithic)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는 발의 일부에 대한 더 큰 파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두 개의 인접하는 발가락 사이에서 발의 일부와 맞물리는 것인 신발 제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걸쳐 파지 특성이 변하는 것인 신발 제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재료는 상기 제2 재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신발 제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활한 것인 신발 제품.
  13. 신발 제품으로서,
    신발 밑창과;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끈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상기 신발 밑창의 제1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발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트랩과 결합되며,
    상기 중간 부분은 제1 홈과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의 제1 깊이는 상기 제2 홈의 제2 깊이와 상이한 것인 신발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변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각각의 홈의 깊이는 아크형 구성으로 변하는 것인 신발 제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에 배치된 제3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홈은, 상기 제1 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2 깊이보다 얕은 제3 깊이를 갖는 것인 신발 제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에 배치된 제3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홈은, 상기 제1 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2 깊이보다 깊은 제3 깊이를 갖는 것인 신발 제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불규칙한 구성으로 배열된 변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단계적 구성으로 배열된 변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깊이와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끈 부분의 직경의 20% 미만인 것인 신발 제품.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깊이와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끈 부분의 직경의 80%보다 큰 것인 신발 제품.
KR1020127003686A 2009-07-13 2010-07-12 홈이 형성된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 KR101362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02,090 2009-07-13
US12/502,090 US8336228B2 (en) 2009-07-13 2009-07-13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PCT/US2010/041655 WO2011008667A1 (en) 2009-07-13 2010-07-12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260A true KR20120049260A (ko) 2012-05-16
KR101362512B1 KR101362512B1 (ko) 2014-02-13

Family

ID=4304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686A KR101362512B1 (ko) 2009-07-13 2010-07-12 홈이 형성된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8336228B2 (ko)
EP (3) EP3111790B1 (ko)
JP (1) JP5655073B2 (ko)
KR (1) KR101362512B1 (ko)
CN (3) CN105455292B (ko)
AR (3) AR077409A1 (ko)
BR (1) BR112012000702A2 (ko)
WO (1) WO2011008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6228B2 (en) * 2009-07-13 2012-12-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US10098415B2 (en) 2012-03-22 2018-10-16 Hari Mari, Llc Footwear with enhanced toe post
WO2017089432A1 (de) * 2015-11-23 2017-06-01 Werner Staudenmann Riemenlose zehenstegsandale
WO2018000081A1 (en) * 2016-06-30 2018-01-04 Wiivv Wearable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sandal having customised toe thong location
US20200060382A1 (en) * 2017-03-31 2020-02-27 John R. Pepper Digital manipula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5162A (en) * 1930-09-05 1932-08-30 George E Sayers Sandal
US2928191A (en) 1958-08-01 1960-03-15 Meltzer Jack Shoe provided with toe thong
US4017987A (en) * 1976-01-28 1977-04-19 Perez Jr Louis A Pedicure sandal
JPS5725606U (ko) * 1980-07-16 1982-02-10
USD271156S (en) * 1981-07-20 1983-11-01 Margaret Williamson Pedicure sandal
US4584782A (en) 1983-12-12 1986-04-29 Mark Thatcher Sport sandal construction
CN1082853A (zh) * 1992-08-21 1994-03-02 陈庆立 气囊可按摩换气保健鞋垫
BR9601291A (pt) * 1996-03-28 1998-01-13 Paulo Sergio Arias Desempenadeira elétrica de alta produção
BR9601292A (pt) 1996-04-01 1996-11-12 Grenede S A Disposiçao construtiva introduzida em forquilha para calçados esportivos tipo chinelos e assemelhados
JP2971046B2 (ja) * 1997-03-26 1999-11-02 行雄 吉川 健康履物
US5946823A (en) * 1999-02-01 1999-09-07 Yates; Angel E. Pedicure sandal system
JP3073426U (ja) * 2000-05-22 2000-11-30 有限会社岩瀬商店 鼻 緒
US6508016B1 (en) * 2000-10-17 2003-01-21 R & S Trading Company, Inc. Water-resistant and floatable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D481828S1 (en) * 2001-09-18 2003-11-04 Barry A. Goldberg Pedicure shoe
US6678971B2 (en) * 2002-02-04 2004-01-20 Marian J. Brooks Pedicure sandal
JP2004254865A (ja) * 2003-02-25 2004-09-16 Aprica Kassai Inc 乳幼児用靴の中敷きセット
CN100398023C (zh) * 2004-06-10 2008-07-02 刘志强 一种可拆卸式组合凉、拖鞋及其制造方法
US20050274039A1 (en) * 2004-06-14 2005-12-15 Yung-Chang Lee Slipper vamp embedded with ornaments
US7681332B2 (en) * 2005-07-12 2010-03-23 Kathy Allen Post pedicure shoe
GB0521616D0 (en) 2005-10-24 2005-11-30 Dynamic Input Ltd Protective element for feet
CN200959866Y (zh) * 2006-03-29 2007-10-17 潘光圣 改良鞋拖带结构的轻便鞋
US7464491B2 (en) * 2006-09-21 2008-12-16 Yoko Nakayama Packaged shoes
US7694436B2 (en) 2006-10-13 2010-04-13 Scott Mullen Footwear repair
USD568590S1 (en) * 2007-06-15 2008-05-13 Brea Pablo M Footwear
USD591487S1 (en) * 2007-07-23 2009-05-05 Hayek Import & Export Enterprises Pty Ltd. Pedicure footwear
CN201230640Y (zh) * 2008-01-25 2009-05-06 翁秋煌 改进的鞋面人字带
US7980005B1 (en) * 2008-02-22 2011-07-19 Young Joyce C Toe jammers
CN201230627Y (zh) * 2008-07-07 2009-05-06 王忠明 多功能双面穿保健拖凉鞋
US20100024247A1 (en) * 2008-08-04 2010-02-04 Feeney Daniel T Protective appliance for flip-flop type footwear
US8336228B2 (en) 2009-07-13 2012-12-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92111A2 (es) 2015-03-25
BR112012000702A2 (pt) 2016-02-16
AR092110A2 (es) 2015-03-25
CN102497791A (zh) 2012-06-13
EP2453770B1 (en) 2016-08-17
JP5655073B2 (ja) 2015-01-14
CN105661739A (zh) 2016-06-15
EP2453770A1 (en) 2012-05-23
EP3111791A1 (en) 2017-01-04
CN102497791B (zh) 2016-02-24
JP2012532736A (ja) 2012-12-20
CN105455292B (zh) 2017-09-01
KR101362512B1 (ko) 2014-02-13
EP3111791B1 (en) 2019-09-11
WO2011008667A1 (en) 2011-01-20
US20110005102A1 (en) 2011-01-13
CN105661739B (zh) 2020-07-07
CN105455292A (zh) 2016-04-06
US8516718B2 (en) 2013-08-27
US8528234B2 (en) 2013-09-10
US20130139405A1 (en) 2013-06-06
US8336228B2 (en) 2012-12-25
AR077409A1 (es) 2011-08-24
EP3111790B1 (en) 2019-10-16
US20130185954A1 (en) 2013-07-25
EP3111790A1 (en)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081B2 (en) Article with sole structure having multiple components
TWI694783B (zh) 具有槽之鞋底結構
US8661712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ongue having holes
KR101364281B1 (ko) 스트랩을 갖는 신발 제품
US8919015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exible groove
US20120198721A1 (en) Adjustable Heel Support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US1025810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ongue of varying thickness
EP3199051A1 (en) Cleat assembly
KR101362512B1 (ko) 홈이 형성된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
AU2015244419A1 (en) Footwear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