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134A -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134A
KR20120048134A KR1020100109599A KR20100109599A KR20120048134A KR 20120048134 A KR20120048134 A KR 20120048134A KR 1020100109599 A KR1020100109599 A KR 1020100109599A KR 20100109599 A KR20100109599 A KR 20100109599A KR 20120048134 A KR20120048134 A KR 20120048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sheet
retaining wall
tension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764B1 (ko
Inventor
김경석
이상래
박영호
박상일
김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0010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7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상면에 파형강판 삽입홈(110)이 형성된 기초부재(100);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하단이 삽입됨으로써, 옹벽의 표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복수의 파형강판(200); 파형강판(200)에 결합한 연결부재(300); 전단이 연결부재(300)에 결합한 인장부재(400); 인장부재(400)의 후단이 결합함과 아울러, 배후토사에 매설된 매설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을 제시함으로써, 시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지반변형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여 급격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RETAINING WALL USING CORRUGATED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옹벽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배후토사의 토압에 저항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설치된 벽체 구조물을 말한다.
종래의 옹벽은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표면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옹벽, 블록의 축조에 의한 조적식 옹벽 등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의 옹벽은 대부분이 대규모의 구조를 전제로 개발된 것이므로 시공성이 좋지 않다는 점, 전면의 표면 구조물이 비탄성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지반 변형에 대한 대응성이 떨어져 급격한 파괴(취성 파괴)가 우려된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시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지반변형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여 급격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상면에 파형강판 삽입홈(110)이 형성된 기초부재(100); 상기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하단이 삽입됨으로써, 옹벽의 표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복수의 파형강판(200); 상기 파형강판(200)에 결합한 연결부재(300); 전단이 상기 연결부재(300)에 결합한 인장부재(400); 상기 인장부재(400)의 후단이 결합함과 아울러, 배후토사에 매설된 매설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을 제시한다.
상기 기초부재(100)는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강판(200)의 두께는 3~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복수의 파형강판(200)을 상호 결합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파형강판(2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삽입공(210)에 삽입됨과 아울러, 외측을 향하여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몸통부(310); 상기 나사결합공에 결합하는 결합볼트(320); 상기 인장부재(400)의 후단과 결합하도록, 상기 몸통부(310)의 내측에 형성된 인장부재 결합부(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부재(400)는 강선(410)이고, 상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상기 강선(410)이 감겨 결합하도록 형성된 O-링 결합부(3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부재(400)는 강판(420)이고, 상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상기 강판(420)이 접혀 결합하도록 형성된 봉형 결합부(3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420)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겹침부는 리벳(421)에 의해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부재(400)는 전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강봉(430)이고, 상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상기 강봉(430)이 나사결합하도록 형성된 나사결합부(3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저면에 파형강판 삽입홈(610)이 형성된 캡부재(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형강판(200)의 상단은 상기 캡부재(600)의 파형강판 삽입홈(610)에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부재(600)는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부재(600)의 후방에는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배수용 측구(62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층(10) 위에 상기 기초부재(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부재(100)의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상기 파형강판(2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파형강판(200)에 상기 연결부재(300)를 결합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 상기 연결부재(300)에 상기 인장부재(400)의 전단을 결합하는 인장부재 설치단계; 상기 인장부재(400)의 후단을 상기 매설부재(500)에 결합하는 매설부재 설치단계; 배후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다짐단계; 상기 다짐층(20) 위에서 상기 연결부재 설치단계, 인장부재 설치단계, 매설부재 설치단계 및 다짐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층(10) 위에 상기 기초부재(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부재(100)의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상기 파형강판(200)을 설치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파형강판(200)을 상기 연결부재(300)에 의해 결합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 상기 연결부재(300)에 상기 인장부재(400)의 전단을 결합하는 인장부재 설치단계; 상기 인장부재(400)의 후단을 상기 매설부재(500)에 결합하는 매설부재 설치단계; 배후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다짐단계; 상기 다짐층(20) 위에서 상기 연결부재 설치단계, 인장부재 설치단계, 매설부재 설치단계 및 다짐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지반변형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여 급격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옹벽의 단면도.
도 2는 옹벽의 사시도.
도 3은 파형강판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파형강판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기초부재의 사시도.
도 6은 파형강판과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단면도.
도 7은 연결부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연결부재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연결부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연결부재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 12는 옹벽의 시공방법의 공정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기본적으로,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상면에 파형강판 삽입홈(110)이 형성된 기초부재(100);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하단이 삽입됨으로써, 옹벽의 표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복수의 파형강판(200); 파형강판(200)에 결합한 연결부재(300); 전단이 연결부재(300)에 결합한 인장부재(400); 인장부재(400)의 후단이 결합함과 아울러, 배후토사에 매설된 매설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옹벽의 시공과정은 다음과 같다(도 1,2,11,12).
지반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층(10)을 형성하고, 필요 시 레벨링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기초층(10) 위에 기초부재(100)를 설치하고, 기초부재(100)의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파형강판(200)을 설치한다.
파형강판(200)에 연결부재(300)를 결합하고, 연결부재(300)에 인장부재(400)의 전단을 결합한 후, 인장부재(400)의 후단을 매설부재(500)에 결합한다.
여기서, 복수의 파형강판(200)의 상호 결합작업과 연결부재(300)와의 결합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파형강판(200)을 연결부재(300)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위 작업들을 하나의 작업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배후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한 후, 위 과정을 반복(복수의 다짐층(20a,20b)의 반복형성)하여 설계된 높이의 옹벽을 시공한다.
즉, 옹벽의 표면구조물로서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비탄성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이 우수한 파형강판(200)을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도 3,4).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옹벽의 표면구조물의 형성을 위하여, 파형강판을 볼트와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하는 간편한 방식을 취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파형강판의 재단이 쉬워 다양한 높이 및 형태의 옹벽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옹벽의 표면구조물로서 연성이 우수한 파형강판을 사용하므로, 지반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급격한 파괴(취성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일부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재의 교체 등에 의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다.
넷째, 파형강판의 전면에 대한 도색작업이 용이하므로, 주변경관과 어울리도록 도안 작업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파형강판(200)은 절곡 또는 만곡진 구조로서 파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강판을 의미한다(도 3,4).
이는 3~7mm 정도의 두께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건물 슬랩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 등에 활용되고 있다.
파형강판(200)의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초부재(100)는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으나,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5).
파형강판(200)과 인장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는 파형강판(200)의 어느 부분에 결합하더라도 관계없으나, 복수의 파형강판(200)을 상호 결합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파형강판(200)의 상호 결합 및 연결부재(300)와의 결합을 하나의 작업에 의해 이룰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좋다는 점, 파형강판(200)의 상호 겹침에 의한 결합 부위에 연결부재(300)가 설치되므로 인장부재(400)와 파형강판(200)의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도 6).
연결부재(300)는 구체적으로, 파형강판(2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삽입공(210)에 삽입됨과 아울러, 외측을 향하여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몸통부(310); 나사결합공에 결합하는 결합볼트(320); 인장부재(400)의 후단과 결합하도록, 몸통부(310)의 내측에 형성된 인장부재 결합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인장부재(400)의 구조에 따라 적절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즉, 인장부재(400)가 강선(410)인 경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강선(410)이 감겨 결합하도록 형성된 O-링 결합부(331)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인장부재(400)가 강판(420)인 경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강판(420)이 접혀 결합하도록 형성된 봉형 결합부(33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9).
봉형 결합부(332)는 또 다른 봉 구조에 의해 몸통부(310)와 결합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삼각형, 사각형 구조 등을 취할 수 있다(도 8).
강판(420)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겹침부는 리벳(421)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8,9).
인장부재(400)가 전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강봉(430)인 경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강봉(430)이 나사결합하도록 형성된 나사결합부(333)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매설부재(500)는 배후토사의 토압에 의해 인장부재(400)를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콘크리트 블록, 스틸 플레이트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인장부재(400)와 매설부재(500)의 결합구조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그것을 적용하면 된다.
파형강판(200)의 상단은 별도의 캡부재(600)에 의해 덮어 보호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한데, 캡부재(600)는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저면에 파형강판 삽입홈(610)이 형성된 구성을 취하고, 파형강판(200)의 상단은 이러한 캡부재(600)의 파형강판 삽입홈(610)에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캡부재(600)의 경우에도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으나,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배후토사의 상부에 포장체(30)가 형성되는 경우, 위 캡부재(600)의 후방에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배수용 측구(6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측구(620)의 하측에 자갈 등에 의한 배수층(21)을 형성하고, 그 배수층(21)의 하부에 유공관(22) 등을 설치하여 배수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기초층 20 : 다짐층
30 : 포장체 100 : 기초부재
110 : 파형강판 삽입홈 200 : 파형강판
300 : 연결부재 310 : 몸통부
320 : 결합볼트 330 : 인장부재 결합부
331 : O-링 결합부 332 : 봉형 결합부
333 : 나사결합부 400 : 인장부재
410 : 강선 420 : 강판
430 : 강봉 500 : 매설부재
600 : 캡부재 610 : 파형강판 삽입홈
620 : 배수용 측구

Claims (10)

  1.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상면에 파형강판 삽입홈(110)이 형성된 기초부재(100);
    상기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하단이 삽입됨으로써, 옹벽의 표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복수의 파형강판(200);
    상기 파형강판(200)에 결합한 연결부재(300);
    전단이 상기 연결부재(300)에 결합한 인장부재(400);
    상기 인장부재(400)의 후단이 결합함과 아울러, 배후토사에 매설된 매설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복수의 파형강판(200)을 상호 결합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파형강판(2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삽입공(210)에 삽입됨과 아울러, 외측을 향하여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몸통부(310);
    상기 나사결합공에 결합하는 결합볼트(320);
    상기 인장부재(400)의 후단과 결합하도록, 상기 몸통부(310)의 내측에 형성된 인장부재 결합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400)는 강선(410)이고,
    상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상기 강선(410)이 감겨 결합하도록 형성된 O-링 결합부(3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400)는 강판(420)이고,
    상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상기 강판(420)이 접혀 결합하도록 형성된 봉형 결합부(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420)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겹침부는 리벳(421)에 의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400)는 전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강봉(430)이고,
    상기 인장부재 결합부(330)는 상기 강봉(430)이 나사결합하도록 형성된 나사결합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8. 제1항에 있어서,
    옹벽의 폭 방향을 따라 저면에 파형강판 삽입홈(610)이 형성된 캡부재(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형강판(200)의 상단은 상기 캡부재(600)의 파형강판 삽입홈(610)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층(10) 위에 상기 기초부재(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부재(100)의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상기 파형강판(2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파형강판(200)에 상기 연결부재(300)를 결합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
    상기 연결부재(300)에 상기 인장부재(400)의 전단을 결합하는 인장부재 설치단계;
    상기 인장부재(400)의 후단을 상기 매설부재(500)에 결합하는 매설부재 설치단계;
    배후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다짐단계;
    상기 다짐층(20) 위에서 상기 연결부재 설치단계, 인장부재 설치단계, 매설부재 설치단계 및 다짐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방법.
  10. 제2항의 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층(10) 위에 상기 기초부재(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부재(100)의 파형강판 삽입홈(110)에 상기 파형강판(200)을 설치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파형강판(200)을 상기 연결부재(300)에 의해 결합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
    상기 연결부재(300)에 상기 인장부재(400)의 전단을 결합하는 인장부재 설치단계;
    상기 인장부재(400)의 후단을 상기 매설부재(500)에 결합하는 매설부재 설치단계;
    배후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다짐단계;
    상기 다짐층(20) 위에서 상기 연결부재 설치단계, 인장부재 설치단계, 매설부재 설치단계 및 다짐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방법.
KR1020100109599A 2010-11-05 2010-11-05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1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99A KR101314764B1 (ko) 2010-11-05 2010-11-05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99A KR101314764B1 (ko) 2010-11-05 2010-11-05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34A true KR20120048134A (ko) 2012-05-15
KR101314764B1 KR101314764B1 (ko) 2013-10-08

Family

ID=4626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599A KR101314764B1 (ko) 2010-11-05 2010-11-05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7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880A (ko) * 2018-03-21 2019-10-01 세원건설이엔지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72494B1 (ko) * 2021-02-08 2021-07-02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10117024A (ko) * 2020-03-18 2021-09-28 이석호 파형 강판 벽체
KR20220080458A (ko)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포스코 옹벽구조체의 배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624A (ja) * 1996-12-27 1998-07-14 Fujita Corp 擁壁ブロックを用いた補強盛土壁工法
KR200274786Y1 (ko) 2002-02-15 2002-05-09 주식회사 중원 파형강판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구조체
JP3902036B2 (ja) * 2002-03-19 2007-04-04 新興工材株式会社 両側に擁壁を有する構築体
KR200404657Y1 (ko) * 2005-09-23 2005-12-27 (주)서현컨스텍 응력 저감형 옹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880A (ko) * 2018-03-21 2019-10-01 세원건설이엔지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117024A (ko) * 2020-03-18 2021-09-28 이석호 파형 강판 벽체
KR20220080458A (ko)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포스코 옹벽구조체의 배수구조
KR102272494B1 (ko) * 2021-02-08 2021-07-02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764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15025271A (ja) 境界壁構造物
KR101314764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2016528406A (ja) 土留め仮施設工事の切梁連結構造
KR101521556B1 (ko)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CN203530958U (zh) 一种薄壁预制叠合混凝土地下连续墙
KR101599931B1 (ko) 강재띠 phc 말뚝과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시공 옹벽, 그 시공방법
KR200492883Y1 (ko) 토류판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JP5750246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701495B1 (ko) 수직, 수평 보강재를 갖는 각형강관 기둥을 이용한 탑다운공법
JP2016528407A (ja) 土留め仮施設工事用撓み防止切梁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CN205046560U (zh) 筋式托架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101545713B1 (ko) 합성형 강가시설 차수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126883A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58982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층간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305357B1 (ko) 공간확장을 위한 pc보유닛 연결구조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222348B1 (ko) 지하 구조물 지중압입 시공용 압입장치 및 지지 구조체
JP2016199915A (ja) 基礎構造及び基礎施工方法
KR101524302B1 (ko)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