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655A -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655A
KR20120047655A KR1020100109345A KR20100109345A KR20120047655A KR 20120047655 A KR20120047655 A KR 20120047655A KR 1020100109345 A KR1020100109345 A KR 1020100109345A KR 20100109345 A KR20100109345 A KR 20100109345A KR 20120047655 A KR20120047655 A KR 20120047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hull
risk
degre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호
장봉석
이성로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7655A/ko
Publication of KR2012004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43/20Fee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은, 일 선박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 상기 일 선박의 뒤틀림 정도를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및 상기 일 선박의 기울기 및 상기 뒤틀림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일 선박의 위험도를 확인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System for Context-Aware of Hull's Danger}
본 발명은 디지털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위험상황 발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은 날씨에 따라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려우며,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대피하기도 어려운 환경이다.
따라서, 해양을 항해하는 선박은 위급상황에 이르지 않도록, 선박의 위급상황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선박은 운항자의 상황 인식에 의존하여 선박의 위급상황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였기 때문에, 운항자의 집중력이 저하된 경우나, 순간적으로 판단을 잘못한 경우 해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컸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선체의 기울기와 뒤틀림 정도를 이용한 사례기반추론을 수행하여 선박의 위급상황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은, 일 선박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 상기 일 선박의 뒤틀림 정도를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및 상기 일 선박의 기울기 및 상기 뒤틀림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일 선박의 위험도를 확인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특성을 고려한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체의 위험도를 판단하고, 이후 의사를 결정할 수 있어, 선박 운항의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최적 항로 결정에도 효율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규칙이 한정되어 있고, 일정 규칙을 찾기 힘들어 지식의 일반화가 어려운 해양이라는 환경에서, 효율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10)은 3축 가속도 센서(110),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20), 저장부(140) 및 분석부(130)를 포함한다.
3축 가속도 센서(110)는 3축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합하여 일 선박의 기울어진 정도 즉, 기울기를 측정한다. 예컨대, 3축 가속도 센서(110)는 일 선박의 기울기를 각도(Degree)로 표현하여 분석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20)는 일 선박 선체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어, 상하좌우의 뒤틀림 정도를 측정한다. 예컨대,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는 뒤틀림 정도를 %로 표현하여 분석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이전에 사고를 당한 복수의 선박의 기울기와 뒤틀림 정도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박의 사고 사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복수의 선박의 사고 사례에 대한 정보는 사고 당시의 해양특성, 바람 세기, 파고, 날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3축 가속도 센서(110) 및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20)로부터 각기 전달받은 일 선박의 기울기 및 뒤틀림 정도를 이용하여 일 선박의 위험도를 확인한다.
상세하게는, 분석부(130)는 사례기반추론 기법 및 KNN(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선박의 사고 사례 중에서, 일 선박의 기울기 및 뒤틀림 정도(즉, 일 선박의 사례)와 동일한 사례 또는 가장 유사한 사례를 선정하고, 그 유사도를 확인하여 일 선박의 위험도를 확인한다.
한편, 분석부(130)는 일 선박의 위험도가 높아 조치가 필요한 경우, 소리 또는 글자로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대한 대비를 하도록 촉구한다.
한편,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10)은 일 선박의 사례와 동일 또는 유사 사례 선정시에 현재와 과거의 해양특성, 바람 세기, 파고, 날씨 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조절함으로써, 위험도 확인의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해양특성을 고려한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체의 위험도를 판단하고, 이후 의사를 결정할 수 있어, 선박 운항의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최적 항로 결정에도 효율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규칙이 한정되어 있고, 일정 규칙을 찾기 힘들어 지식의 일반화가 어려운 해양이라는 환경에서, 효율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일 선박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
    상기 일 선박의 뒤틀림 정도를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및
    상기 일 선박의 기울기 및 상기 뒤틀림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일 선박의 위험도를 확인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사고가 발생한 복수의 선박의 기울기와 뒤틀림 정도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선박에 대한 사고 사례 중에서, 상기 일 선박의 기울기 및 상기 뒤틀림 정도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사고 사례를 선정하여 상기 일 선박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인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KR1020100109345A 2010-11-04 2010-11-04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KR20120047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345A KR20120047655A (ko) 2010-11-04 2010-11-04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345A KR20120047655A (ko) 2010-11-04 2010-11-04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655A true KR20120047655A (ko) 2012-05-14

Family

ID=4626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345A KR20120047655A (ko) 2010-11-04 2010-11-04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76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903A (ko) 2019-03-18 2020-09-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구조 피로손상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903A (ko) 2019-03-18 2020-09-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구조 피로손상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su et al. Extreme mooring tensions due to snap loads on a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system
CN103714718B (zh) 一种内河桥区船舶安全航行预控系统
KR101918980B1 (ko) 실시간 복원성 지수를 이용한 대피 레벨 결정 기반 선박 사고시 안전한 대피를 지원하기 위한 선박 항로 및 선박 조종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5385B1 (ko)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Mata-Álvarez-Santullano et al. Stability, safety and operability of small fishing vessels
KR101736577B1 (ko)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355388B1 (ko)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방법
JP7023494B2 (ja) 波浪観測通知システム
Caamaño et al. Real-time detection of transverse stability changes in fishing vessels
KR102524953B1 (ko)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52801B1 (ko) 선박용 전복경보 시스템
Liwång Exposure, vulnerability and recoverability in relation to a ship's intact stability
CN111240229B (zh) 一种基于智能船舶靠离泊仿真测试的故障信息处理系统
KR20210123436A (ko)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선체응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피로 파괴 예측 방법
KR10255963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선박 과속 판정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8260315A (ja) 操船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20047655A (ko) 선체 위험 상황 인지 시스템
KR101799733B1 (ko) 배터리를 구비한 전기 추진 선박
CN117198031A (zh) 一种基于安全包络策略的平台状态监测预警方法
Blanke et al. Statistical change detection for diagnosis of buoyancy element defects on moored floating vessels
Vanem et al. Collision damage stability of passenger ships: Holistic and risk-based approach
KR102490475B1 (ko) 선박 복원력 상실 판단 방법 및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자동 경보 시스템
KR100851050B1 (ko)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88253B1 (ko) 선박의 침몰안전성 요소 추정 및 침몰안전성 판별 방법
CN113705503A (zh) 一种基于多模态信息融合的异常行为检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