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146A - 다용도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146A
KR20120045146A KR1020100106505A KR20100106505A KR20120045146A KR 20120045146 A KR20120045146 A KR 20120045146A KR 1020100106505 A KR1020100106505 A KR 1020100106505A KR 20100106505 A KR20100106505 A KR 20100106505A KR 20120045146 A KR20120045146 A KR 2012004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smetic container
protective cap
insertion groov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566B1 (ko
Inventor
이성환
정병운
Original Assignee
이성환
(주)유니팩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환, (주)유니팩 코리아 filed Critical 이성환
Priority to KR102010010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다용도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숄더- 숄더는 사각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된 센터삽입홈과, 센터삽입홈의 둘레에 형성된 둘레삽입홈을 구비함-와, 센터삽입홈에 삽입되고 제1내용물을 구비하는 원형의 제1홀더와, 둘레삽입홈에 삽입되며 제2내용물을 구비하는 제2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화장품 용기{MULTIPURPOS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다용도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중앙의 제1홀더 둘레에 다수 개의 제2홀더를 배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담을 수 있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팩트(compact)와 같은 화장품 용기에는 중앙의 홀더에 한 가지 종류, 예를 들어, 칼라 팩트(color pact), 파운데이션(foundation), 셰도우(shadow) 또는 립밤(lip balm)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에는 상기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퍼프(puff) 및 거울이 같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용하는 화장품의 종류가 다양해지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에 대한 화장품 용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에 대한 화장품 용기 및 칼라 팩트에 대한 화장품 용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데, 이는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 상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리필(refill)이 쉽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 화장품 용기를 재사용 할 수가 없고 새로운 제품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폐 화장품 용기의 처리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점도 유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용기에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구비하면서도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필이 용이한 다용도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장시간 변질될 가능성이 없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숄더- 숄더는 사각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된 센터삽입홈과, 센터삽입홈의 둘레에 형성된 둘레삽입홈을 구비함-와, 센터삽입홈에 삽입되고 제1내용물을 구비하는 원형의 제1홀더와, 둘레삽입홈에 삽입되며 제2내용물을 구비하는 제2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홀더는 둘레삽입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홀더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홀더는 밀폐부재 및 보호캡에 의해 커버되고, 밀폐부재는 배출돌기를 구비하고, 보호캡은 배출돌기가 돌출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배출돌기에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캡 및 밀폐부재가 제1홀더에 결합할 때, 제1홀더 내부의 공기가 슬롯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보호캡은 수납부재에 의해 커버되고, 수납부재는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배출돌기를 가압하여 슬롯을 폐쇄할 수 있다.
수납부재의 상면에는 브러쉬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수납부재의 하면에는 거울이 부착되며, 수납부재와 제1홀더는 개방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에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구비하면서도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필이 용이한 다용도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장시간 변질될 가능성이 없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에서 상부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수납부재가 추가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호캡이 추가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1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밀폐부재의 배출돌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밀폐부재의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거울이 밀폐부재를 가압한 상태를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100)에서 상부 케이스(110)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수납부재(140)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보호캡(160)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제1홀더(210) 및 제2홀더(22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100)는, 상부케이스(110), 수납부재(140), 거울(150), 보호캡(160), 밀폐부재(170), 받침대(180), 제1홀더(210), 제2홀더(220), 숄더(230) 그리고 하부케이스(240)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10)는 하부케이스(240)와 함께 외체(外體)를 형성하는 것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다. 상부케이스(110)에는 하부케이스(240)의 걸림홈(242)에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1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10)는 숄더(230)에 대해 힌지 결합하게 된다.
수납부재(140)는 퍼프(120), 브러쉬(130) 및 거울(150)을 수납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다. 수납부재(140)는 숄더(230)에 힌지 결합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다. 수납부재(140)는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된 퍼프삽입홈(144) 및 그 내부에 형성된 브러쉬 고정돌기(142)를 포함한다.
퍼프삽입홈(144)은 수납부재(140)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된 홈으로서, 그 내부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퍼프(120)가 삽입된다.
퍼프삽입홈(144)의 내부에는 원호 형상의 브러쉬 고정돌기(142)가 구비되어 있다. 브러쉬(130)는 퍼프삽입홈(144) 및 브러쉬 고정돌기(142) 사이의 공간에 수납된다.
수납부재(140)의 이면에는 거울(150)이 부착된다. 거울(150)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재(140)를 개방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울(150)은 수납부재(140)가 닫히는 경우 밀폐부재(170)의 배출돌기(172)를 가압하게 된다.
보호캡(160)은 제1홀더(210)를 커버하여 그 내부에 수용된 제1내용물(190)을 보호하는 것으로, 제1홀더(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보호캡(160)은 힌지부(162), 관통공(164), 손잡이(166) 및 둘레부(168)를 구비한다.
힌지부(162)는 보호캡(160)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숄더(230)에 대해서 힌지 결합을 한다. 힌지부(162)는 상부케이스(110) 및 수납부재(140)와는 다른 방향에서 힌지 결합을 하기 때문에,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60)을 개방하여도 보호캡(160)에 의해 거울(150)이 가려지지 않게 된다.
관통공(164)은 보호캡(160)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관통공(164)을 통해서는 밀폐부재(170)의 배출돌기(172)가 외부로 돌출된다.
손잡이(166)는 보호캡(160)의 일측에서 돌출된 것으로 힌지부(162)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손잡이(166)는 사용자가 보호캡(160)을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둘레부(168)는 보호캡(160)의 상면에서 하향 돌출된 것으로, 보호캡(160)이 닫히는 경우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210)를 완전히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보호캡(160)의 하부에는 밀폐부재(170)가 결합한다. 밀폐부재(170)는 중앙에 센터홀(176)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도넛(donut) 형상을 갖는다. 밀폐부재(170)는 실리콘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캡(160)과 제1홀더(21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밀폐부재(170)는 중앙의 센터홀(176), 상향 돌출된 배출돌기(172) 그리고 둘레부(178)를 갖는다.
센터홀(176)에는 받침대(180)의 센터돌기(18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센터홀(176)에 센터돌기(182)가 삽입됨으로써, 밀폐부재(170)가 보호캡(16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배출돌기(172)는 밀폐부재(170)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것으로, 제1홀더(2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배출돌기(172)는 도 7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60)의 관통공(164)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배출돌기(172)에 대해서는 아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둘레부(178)는 보호캡(160)의 둘레부(168)와 유사하게 밀폐부재(170)의 상면에서 하향 돌출된 것으로, 보호캡(160)이 닫히는 경우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210)의 둘레홈(214)에 삽입된다.
받침대(180)는 원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중심에는 센터돌기(182)가 형성되어 있다. 센터돌기(182)는 밀폐부재(170)의 센터홀(176)에 삽입되어, 밀폐부재(170)를 보호캡(160)에 견고하게 결합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보호캡(160)은 밀폐부재(170) 및 받침대(18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보호캡(160)을 개방하면 밀폐부재(170) 및 받침대(180)가 동시에 개방된다.
제1홀더(210)는 제1내용물(190)을 수납하는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1홀더(210)는 힌지부(212), 둘레홈(214) 및 손잡이(216)를 구비한다.
제1홀더(210)의 힌지부(212)는 숄더(230)에 힌지 결합하는 것으로, 보호캡(160)의 힌지부(162)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212)에 의해 제1홀더(210)를 숄더(230)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둘레홈(214)은 제1홀더(210)의 둘레에 원형으로 형성된 홈으로, 그 내부에는 도 7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170)의 둘레부(178)가 삽입된다.
손잡이(216)는 힌지부(212)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사용자가 제1홀더(210)를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한다.
제2홀더(220)는 제1홀더(210)의 둘레에 배열되어서 제2내용물을 수용한다. 제2홀더(220)는 숄더(230)의 둘레삽입홈(234)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홀더(220)의 일 측에는 손잡이(222)가 구비되어 있다. 제2홀더(220)의 손잡이(222)는 숄더(230)에 삽입된 제2홀더(220)를 쉽게 빼 낼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100)에서 제2홀더(220)는 크기가 작고 쉽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2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 리필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숄더(230)는 제1홀더(210) 및 제2홀더(220)를 수용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다. 숄더(230)는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된 센터삽입홈(232) 및 센터삽입홈(232)의 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둘레삽입홈(234)을 구비한다.
센터삽입홈(232)은 사각 형상의 숄더(230)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제1홀더(210)가 삽입된다. 그리고 둘레삽입홈(234)은 사각 형상의 숄더(230)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그 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일 측은 원호 형상을 갖고 다른 두 개의 측면은 상호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센터삽입홈(232) 및 둘레삽입홈(234)의 구조에 의해, 사각 형상의 숄더(230)에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하부케이스(240)는 상부케이스(110)와 함께 다용도 화장품 용기(100)의 외체를 형성한다. 하부케이스(240)의 일 측에는 상부케이스(110)의 걸림돌기(112)가 걸리게 되는 걸림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100)는 하나의 용기에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구비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제1홀더(210)에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또는 칼라 팩트(color pact)를 구비하고 제2홀더(220)에는 셰도우(shadow) 또는 립밤(lip balm)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홀더(210)의 둘레에 제2홀더(220)가 숄더(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100)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110)가 개방되면, 수납부재(140)에 삽입되어 있는 퍼프(120) 또는 브러쉬(130)가 노출된다.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 퍼프(120) 또는 브러쉬(130)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수납부재(130)를 상부케이스(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한다. 수납부재(130)의 개방으로 인해 거울(150)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가 제1내용물(19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166)를 이용하여 보호캡(160)을 도 4와 같이 개방하면 된다.
또한, 제1내용물 또는 제2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제1홀더(210) 및 제2홀더(220)를 숄더(230)에서 분리 한 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의 밀폐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170)의 배출돌기(172)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밀폐부재(170)가 제1홀더(210)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거울(150)에 의해서 배출돌기(172)가 가압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배출돌기(172)는 전체적으로 절두 원추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길이 방향으로는 미세한 슬롯(174)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74)은 배출돌기(172)가 거울(15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개방되는데, 이를 통해 보호캡(160)이 제1홀더(210)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홀더(2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슬롯(174)은 거울(15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폐쇄되는데, 이에 의해 외부의 공기 등이 제1홀더(2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밀폐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100)는 밀폐부재(170)를 닫는 과정에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거울(150)이 부착된 수납부재(140)를 닫는 과정에서 슬롯(174)이 폐쇄되어 외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없기 때문에, 제1내용물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최근에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예를 들어, 주름 방지 또는 주름 개선, 피부 탄력, 미백, 보습)은 앞으로의 사용량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용기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내용물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인데, 이는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야 할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의 공기도 외부로 배출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품 용기는 제1홀더(2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화장품 등을 보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상부케이스 120: 퍼프
130: 브러쉬 140: 수납부재
150: 거울 160: 보호캡
170: 밀폐부재 180: 받침대
210: 제1홀더 220: 제2홀더
230: 숄더 240: 하부케이스

Claims (7)

  1. 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숄더-상기 숄더는 사각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된 센터삽입홈과, 상기 센터삽입홈의 둘레에 형성된 둘레삽입홈을 구비함-;
    상기 센터삽입홈에 삽입되고 제1내용물을 구비하는 원형의 제1홀더;
    상기 둘레삽입홈에 삽입되며 제2내용물을 구비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상기 둘레삽입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밀폐부재 및 보호캡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배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캡은 상기 배출돌기가 돌출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돌기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 및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제1홀더에 결합할 때, 상기 제1홀더 내부의 공기가 상기 슬롯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수납부재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배출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슬롯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상면에는 브러쉬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재의 하면에는 거울이 부착되며,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제1홀더는 개방 방향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1020100106505A 2010-10-29 2010-10-29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10121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05A KR101214566B1 (ko) 2010-10-29 2010-10-29 다용도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05A KR101214566B1 (ko) 2010-10-29 2010-10-29 다용도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146A true KR20120045146A (ko) 2012-05-09
KR101214566B1 KR101214566B1 (ko) 2012-12-24

Family

ID=4626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505A KR101214566B1 (ko) 2010-10-29 2010-10-29 다용도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545A1 (ko) * 2013-07-29 2015-02-05 Kang Sungil 에어출입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WO2015020424A1 (ko) * 2013-08-07 2015-02-12 Kang Sungil 누출 검사가 용이한 포장용 밀폐용기 및 이를 이용한 누출 검사방법과 검사장치
WO2019106275A1 (fr) 2017-11-30 2019-06-06 Chanel Parfums Beaute Recharge pour boîtier de maquillage liquide et ensemble comportant un boîtier et une telle rechar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938Y1 (ko) 2000-07-25 2001-01-15 변영광 화장품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545A1 (ko) * 2013-07-29 2015-02-05 Kang Sungil 에어출입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10405636B2 (en) 2013-07-29 2019-09-10 Sungil Kang Cosmetic container having air entrance/exit member
WO2015020424A1 (ko) * 2013-08-07 2015-02-12 Kang Sungil 누출 검사가 용이한 포장용 밀폐용기 및 이를 이용한 누출 검사방법과 검사장치
KR101512298B1 (ko) * 2013-08-07 2015-04-15 강성일 누출 검사가 용이한 포장용 밀폐용기 및 이를 이용한 누출 검사방법과 검사장치
US10684189B2 (en) 2013-08-07 2020-06-16 Sungil Kang Air tight packaging container for easy leakage test and leakage test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me
WO2019106275A1 (fr) 2017-11-30 2019-06-06 Chanel Parfums Beaute Recharge pour boîtier de maquillage liquide et ensemble comportant un boîtier et une telle re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566B1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127A (en) Compact case with interchangeable cosmetic inserts
US20150201733A1 (en) Portable Interchangeable Cosmetic Compact
KR100479410B1 (ko) 화장품 용기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KR101222087B1 (ko) 다단형 화장품 용기
KR200488068Y1 (ko) 화장품 용기
KR101978732B1 (ko)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101214566B1 (ko) 다용도 화장품 용기
US6694987B2 (en) Applicator unit
KR200483271Y1 (ko)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KR101957008B1 (ko) 화장품 콤팩트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91126Y1 (ko)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20170000426U (ko) 화장품 용기
KR200375537Y1 (ko) 화장용구
KR20180001540U (ko) 화장품 용기
KR20160078661A (ko) 화장품 용기
CN113260279A (zh) 滑动彩妆化妆品外壳
KR20200013301A (ko) 듀얼 타입의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 용기
EP3935994B1 (en) Slide-type cosmetic compact case
KR20180000520U (ko) 화장품 용기
KR200405176Y1 (ko) 아이새도우 화장용 용기
KR101581111B1 (ko) 콤팩트 케이스의 내뚜껑
KR102079083B1 (ko) 듀얼 콤팩트 용기
KR200217591Y1 (ko) 화장품 용기
KR200449137Y1 (ko) 투인원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