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000A -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000A
KR20120044000A KR1020100105343A KR20100105343A KR20120044000A KR 20120044000 A KR20120044000 A KR 20120044000A KR 1020100105343 A KR1020100105343 A KR 1020100105343A KR 20100105343 A KR20100105343 A KR 20100105343A KR 20120044000 A KR20120044000 A KR 20120044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connection
housing
not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권
이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05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4000A/ko
Publication of KR2012004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과 중성선의 전력 라인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원공급을 연결하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통신장비와 같이 전원 접속시 전원 라인 상을 구분하여 접속해야 하는 장비에 대한 전원 연결 시 전원 라인 상의 구분을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하고, 전기 충격에 의한 장비 피해 및 인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원 연결을 위한 기존 구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어 실용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알림 유닛;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도전부재; 상기 접속 단자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알림유닛을 거쳐 상기 도전부재에 연결되는 전기 배선 부재;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알림유닛 사이 또는 알림유닛과 도전부재 사이의 전기 배선 부재에 구비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력공급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POWER SUPPLY CONNECTING APPARATUS FOR BOTH POWER LINE CHECK AND POWER SUPPLY CONNECTION}
본 발명은 활선과 중성선의 전력 라인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원공급을 연결하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통신장비와 같이 전원 접속시 전원 라인 상을 구분하여 접속해야 하는 장비에 대한 전원 연결 시 전원 라인 상의 구분을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하고, 전기 충격에 의한 장비 피해 및 인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원 연결을 위한 기존 구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어 실용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설 전진배치 사업장에서는 하절기 장마와 폭염 등에 대비해 BBC(Broadband Cabinet)와 BBS(Broadband Shelter), BBH(Broadband House) 등 옥외 통신장치 수용시설을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이러한 점검을 통해 전진배치 사업장에 안정된 인입전원 공급을 통하여 VOC(Volt open current) 예방 및 이상전원 유입시 차단기 정상 동작으로 장비 보호 및 감전사고 방지를 도모한다.
이러한 점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단상 220V와 메인 차단기 간, 메인 차단기와 전원분배반 간, 및 전원분배반과 초고속 통신장비 간의 인입전원 연결 및 상태를 점검한다.
통상적으로 전력 발생원으로부터 송전된 전력은 사용되는 기기 또는 장비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기기 또는 장비에 전력을 공급되는 흐름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공급 흐름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통신장비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력공급 흐름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송전소로부터의 전력은 전원 분전반으로 공급된다. 전원 분전반은 콘센트로 제공되고, 파워 케이블을 통해 사용될 장비로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단상 AC 전원은 전류가 실질적으로 흐르는 활선(hot line)과 전류가 흐르지 않는 중성선으로 구성된다.
통신장비와 같은 장비 중에서는 접속시 전원 상 라인(활선 또는 중성선)을 구분하여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예를 들면 전원 분전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장비로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콘센트에는 AC전원의 상 라인의 구분이 없어 콘센트에 어떻게 접속시키느냐에 따라 활선과 중성선이 바뀔 수 있으며, 상 라인의 접속이 잘못될 시에는 전기 충격으로 인하여 장비를 손상시키고, 특히 감전 사고에 의한 인적 피해를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 라인을 구분하여 통신장비 등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전원의 입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특히 이상 전압 유입시에는 장비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통신시설 전진배치 사업장의 통신장치와 같이 전원 접속 시 전원 상 라인의 구분을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는 전원공급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되는 전력의 상 구분을 별도의 장비를 통해 실행하지 것이 아니라, 공급되는 전력의 상 구분을 확인할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전력이 공급될 장비로의 전력 공급도 함께 실행할 수 있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연결 부재에 상 라인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성과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알림 유닛;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도전부재; 상기 접속 단자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알림유닛을 거쳐 상기 도전부재에 연결되는 전기 배선 부재;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알림유닛 사이 또는 알림유닛과 도전부재 사이의 전기 배선 부재에 구비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력공급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전력이 공급될 장비에 연결되는 전력케이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전력공급 케이블 연결용 전선부재, 및 상기 하우징 외에서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 연결용 전선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력공급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유닛은 네온 램프나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알림유닛은 스피커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유닛은 빛을 발광하고 음향을 발생시키는 발광/음향 발생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에 따르면, 전원 접속시 전원 라인 상을 구분하여 접속해야 하는 장비에 대한 전원 연결 시 전원 라인 상의 구분을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충격에 의한 장비 피해 및 인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연결을 위한 기존 구성에 간단한 구성을 통해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과 실용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공급 흐름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는 기본적으로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되는 연결기구(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전원 상 라인의 확인을 위한 확인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는, 콘센트에 삽입되는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로서,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접속 단자(21, 22);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알림 유닛(30);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도전부재(40); 상기 접속 단자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알림유닛(30)을 거쳐 상기 도전부재(40)에 연결되는 전기 배선 부재(50); 및 상기 접속 단자(21)와 알림유닛(30) 사이 또는 알림유닛(30)과 도전부재(40) 사이의 전기 배선 부재(50)에 구비되는 레지스터(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21, 2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전력이 공급될 장비에 연결되는 전력케이블 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력케이블 부재(70)는 하우징(10)내에 구비되는 전력케이블 연결용 전선 부재(미도시)와 접속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전력케이블 부재(70)는 제작 과정에서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케이블 부재(70)는 하우징(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되, 접속시 전력케이블 연결용 전선 부재(미도시)와 접속가능하게 구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라인의 상 라인을 확인할 수 있고, 이후 전력이 공급된 장비에 연결됨으로써 전력을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형 외관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는 기존 플러그를 생산하는 제조 라인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접속 단자(활선용 접속 단자 및 중선선용 접속 단자)(21, 22)는 실내 배전인 콘센트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이다.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알림 유닛(30)은 접속 단자(21. 22) 중 하나의 접속 단자, 즉 전기 배선 부재(50)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가 전류가 흐르는 활선(핫라인(hot line))에 접속되는 경우, 작업자가 도전부재(40)에 손 접촉 시 접지되어 그 활선에 접속되어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그 전력 공급에 따른 활선 접속 상태를 작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시각적 신호나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청각적 신호 모두를 발생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알림 유닛(30)은 일 실시 형태로서 발광 부재(예를 들면, 네온 램프, 발광다이오드(LED) 등)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알림 유닛(30)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 스피커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유닛(30)은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발광 부재와 스피커 부재가 결합된 발광/음향 발생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림 유닛(30)의 실시 예는 앞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속 단자(21. 22) 중 하나의 접속 단자(활선 접속 단자)가 전류가 흐르는 활선(핫라인(hot line))에 접속되는 경우, 전기 배선 부재(5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그 전력 공급에 따른 활선 접속 상태를 작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장치나 수단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채용할 수 있는 것임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도전부재(4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알림유닛(30)과 연결되는 접속 단자가 활선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도전부재(40)에 작업자의 손이 접촉될 시 접지되고 이에 따라 폐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알림유닛(30)이 동작된다.
상기 전기 배선 부재(5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 배선 부재(50)는 제1 접속 단자(활선 접속 단자(21))로부터 알림유닛(30)과 레지스터(60)를 거쳐 도전부재(40)까지 연결하는 배선 부재이다. 상기 전기 배선 부재(50)는 그 구성이나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속 단자, 알림유닛(30), 레지스터(60) 및 도전부재(4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나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에서 상기 알림유닛(30)과 레지스터(60)의 배치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서 알림유닛(30)이 레지스터(60)보다 상류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도 5의 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지스터(60)과 알림유닛(30)의 상류 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지스터(60)는 전원의 활선에 연결되는 경우에 그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전압을 소정 전압 이하로 강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 레지스터(60)를 통해 감압 전류는 도전부재(40)로 흐르게 되고, 이후 작업자가 도전부재(40)에 손을 접촉할 경우 접지되어 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의 구현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전원 접속시 상 라인을 구분하여 접촉하기 위한 (고속)통신장비와 같은 장비에 전력 공급을 위한 파워케이블 연결에 앞서, 실내 배전의 콘센트에 본 발명의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를 삽입한다.
먼저 작업자는 손(손가락)을 도전부재(40)에 접촉한 상태에서 하우징(10)을 파지한 채로 활선용 접속단자(예를 들면, 제1 단자(21))와 중선선용 접속단자(예를 들면, 제2 단자(22))를 콘센트에 삽입할 때, 활선과 중선선에 대응하지 않게, 즉 활선용 접속 단자가 콘센트의 중선선에 연결되고, 중선선용 접속 단자가 콘센트의 활선에 연결될 때, 전류가 흐르지 않아 알림 수단(발광부재 또는 스피커부재)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접속단자가 중선 접속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손(손가락)을 도전부재(40)에 접촉한 상태에서 하우징(10)을 파지한 채로 활선용 접속단자(예를 들면, 제1 단자(21))와 중선선용 접속단자(예를 들면, 제2 단자(22))를 콘센트에 삽입할 때, 활선과 중선선에 대응하게, 즉 활선용 접속 단자가 콘센트의 활선에 연결되고, 중선선용 접속 단자가 콘센트의 중선선에 연결될 때, 작업자의 손이 도전부재(40)에 접촉되어 접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폐회로를 형성하여 전류가 공급되게 된다.
전류는 활선용 접속 단자로부터 전기 배선 부재(50)를 통해 알림유닛(30)과 레지스터(60)(또는 레지스터(60)와 알림유닛(30)을 거치고, 도전부재(40), 사람의 손, 접지로의 흐름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알림유닛(30)(발광부재 또는 스피커부재)이 동작되어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졌음을 작업자에게 통지하게 된다(접속 흐름도: 옥내배선의 활선 → 알림유닛→레지스터(또는 레지스터→알림유닛)→도전부재→작업자의 손→접지).
이와 같이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한 작업자는 이후 전력공급을 위한 장비에 전력공급 케이블 부재(70)를 접속함으로써(접속 단자들과 연결된 전력케이블 연결용 전선 부재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력공급 연결장치는 전원 접속시 전원 라인 상을 구분하여 접속해야 하는 장비에 대한 전력 공급 시 전원 라인 상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어 전기 충격에 의한 장비 피해 및 인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연결을 위한 기존 구성(플러그)에 간단한 구성을 통해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과 실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하우징
21, 22: 접속 단자(활선용 접속 단자, 중선선용 접속 단자)
30: 알림 유닛
40: 도전부재
50: 전기 배선 부재
60: 레지스터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알림 유닛;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도전부재;
    상기 접속 단자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알림유닛을 거쳐 상기 도전부재에 연결되는 전기 배선 부재;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알림유닛 사이 또는 알림유닛과 도전부재 사이의 전기 배선 부재에 구비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력공급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전력이 공급될 장비에 연결되는 전력케이블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력공급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전력공급 케이블 연결용 전선부재, 및 상기 하우징 외에서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 연결용 전선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력공급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력공급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유닛은 발광부재로 이루어지는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력공급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유닛은 스피커 부재로 이루어지는
    전원라인 체크겸용 전력공급 연결장치.
KR1020100105343A 2010-10-27 2010-10-27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 KR20120044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43A KR20120044000A (ko) 2010-10-27 2010-10-27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43A KR20120044000A (ko) 2010-10-27 2010-10-27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00A true KR20120044000A (ko) 2012-05-07

Family

ID=4626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43A KR20120044000A (ko) 2010-10-27 2010-10-27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40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028A (ko) 2017-12-06 2019-06-14 유경학 교류 전원 장치
KR20190129483A (ko) * 2018-05-11 2019-11-20 한국전력공사 전력선통신 검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028A (ko) 2017-12-06 2019-06-14 유경학 교류 전원 장치
KR20190129483A (ko) * 2018-05-11 2019-11-20 한국전력공사 전력선통신 검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32366A (ja) 回路保護システム及び方法
US8292657B2 (en) Portable electrical power box
WO2011060020A3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US20060057890A1 (en) AC power phase indicator
AU2014246654B2 (en) Surge reduction filter
US9281644B2 (en) Power strip having a first power cord with a 110-120V plug and a second power cord with a 220-240V plug
US842147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esting welding apparatuses
US8215993B2 (en) Socket
KR20120044000A (ko) 전원라인 체크 겸용 전원공급 연결장치
JP5954893B2 (ja) 電力供給方法および家屋用配線
US20140126092A1 (en) Electrical surge suppressor
CN110829428A (zh) 低压快速接入联络装置及供电网络
US20200303912A1 (en) Bridge Power Module with High-Joule In-Wall Surge Protection
CN203326384U (zh) 现场配电箱
JP2009231942A (ja) 電力線通信用分電盤
CN206076918U (zh) 电路控制器用漏电保护装置
US20100285689A1 (en) Power strip with 110 and 220 volt outlets
CN202167823U (zh) 一种有边嵌入式轨道限流器
CN210838949U (zh) 低压快速接入联络装置及供电网络
CN202978151U (zh) 一种贴附式电缆保险分接盒
CN204497582U (zh) 变能接地组合式防雷电源柜
CN202662977U (zh) 一种电气试验用电源刀闸箱
TW201630289A (zh) 住宅用配電盤
CN201781261U (zh) 配电箱保护装置
KR20180001327U (ko) 대기전력 차단용 검전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