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621A -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621A
KR20120043621A KR1020110026384A KR20110026384A KR20120043621A KR 20120043621 A KR20120043621 A KR 20120043621A KR 1020110026384 A KR1020110026384 A KR 1020110026384A KR 20110026384 A KR20110026384 A KR 20110026384A KR 20120043621 A KR20120043621 A KR 2012004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ays
ray grid
ra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125B1 (ko
Inventor
전재영
박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임
Publication of KR2012004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91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detector being combined with a grid or gr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엑스선의 조사량을 줄이면서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엑스레이 그리드에 관한 것이다. 개시발명은 피사체를 통과한 다이렉트 엑스선을 투과시키는 다수의 투과홀과, 상기 투과홀을 둘러싸 피사체를 통과하면서 난반사 또는 산란되는 엑스선을 흡수하는 흡수부를 갖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전체적으로 메쉬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에 의하면, 산란되는 방사선은 시트의 흡수부에서 흡수되고 직진성을 갖는 방사선은 다수의 투과홀을 통해 투과되므로 방사선의 투과율이 높게 된다. 따라서, 엑스선 발생장치로부터 인체에 해롭지 않을 정도의 엑스선을 방사하더라도 피사체 및 엑스레이 그리드를 통해 필름에 도달하는 엑스선의 양이 많게 되어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X-ray Gr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에 유해한 엑스선의 조사량을 줄이면서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 촬영은 검사하고자 하는 인체 부위에 엑스선을 조사하여 투과된 엑스선으로 상을 만들어 인체 내부의 상태 또는 병변을 알아내는 검사방법이다. 이는 엑스선이 인체를 투과할 때 조직마다 흡수량이 다른 현상을 이용한 것인데, 엑스선은 인체를 통과하면서 일부가 흡수될 뿐만 아니라 산란되어 상을 흐리게 한다.
엑스레이 그리드는 산란된 엑스선에 의하여 상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피사체(인체)와 필름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엑스레이 그리드는 산란되는 엑스선을 차단시키고 산란되지 않은 엑스선만을 선별하여 투과시킨다.
종래의 엑스레이 그리드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14046호가 있다. 등록특허 제0414046호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는 엑스선을 투과시키는 투과부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산란된 엑스선을 흡수하는 비투과부가 납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경우 엑스선을 투과시키는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원하는 엑스선 투과율을 얻기 위해서는 엑스선 발생장치로부터 방사되는 엑스선의 양을 늘릴 수밖에 없다. 이처럼 엑스선의 방사량을 늘리게 되면 촬영시 환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량이 증가되어 인체에 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성의 유방 등과 같이 약한 조직의 경우 엑스선의 양이 늘면 괴사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엑스레이 그리드의 투과부를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투과부를 종이와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3364호로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엑스레이 그리드를 알루미늄 재질 대신 종이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경우, 엑스선의 방사량이 줄어들기는 하나 인체에 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방사선 방사량을 줄이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체에 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방사선의 방사량을 줄임과 동시에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엑스레이 그리드는, 피사체를 통과한 다이렉트 엑스선을 투과시키는 다수의 투과홀과, 상기 투과홀을 둘러싸 상기 피사체를 통과하면서 난반사 또는 산란되는 엑스선을 흡수하는 흡수부를 갖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전체적으로 메쉬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시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각 시트가 상하로 면접되면서 적층되거나, 하나만 구비된다.
상기 각 시트의 투과홀들은 상부로부터 입사되는 엑스선의 입사 경로에 맞게 투과경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엑스선의 투과경로 중 일부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흡수부의 소재로는 납, 금, 탄탈 중 어느 하나의 소재가 사용되거나, 상기 소재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합금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의 소재로는 납(Pb) 78~82중량%, 안티모니(Sb) 7~10중량% 및 주석(Sn) 9~12중량%를 포함하는 합금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메쉬형태는 벌집모양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엑스레이 그리드는, 다수의 투과홀과 흡수부를 갖는 시트가 레이저에 의한 펀칭 방식, 에칭에 의한 화학적 방식 또는 금형에 의한 몰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금형에 의한 몰딩 방식에 의해 상기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납의 함유량은 몰딩액 전체성분 중 85 ~ 90중량%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엑스레이 그리드는, 다수의 투과홀과 흡수부를 갖는 시트를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투과홀을 수직으로 천공한 후, 상기 시트를 수평으로 펴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산란되는 방사선은 시트의 흡수부에서 흡수되고 직진성을 갖는 방사선은 다수의 투과홀을 통해 투과되므로 방사선의 투과율이 높게 된다. 따라서, 엑스선 발생장치로부터 인체에 해롭지 않을 정도의 엑스선을 방사하더라도 피사체 및 엑스레이 그리드를 통해 필름에 도달하는 엑스선의 양이 많게 되어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엑스레이 그리드를 이용해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레이저에 의한 펀칭 방식에 의해 각 시트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에칭에 의한 화학적 방식에 의해 각 시트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금형에 의한 몰딩 방식에 의해 각 시트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의 B-B 선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에 투과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10)는 엑스선을 투과하는 다수의 투과홀(11a)과, 투과홀(11a)을 둘러싸 엑스선을 흡수하는 흡수부(11b)로 구성된 복수 개의 시트(11)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11)의 투과홀(11a)은 피사체(인체)를 통과한 엑스선 중 산란되지 않은 엑스선을 투과시키게 되며, 흡수부(11b)는 피사체를 통과한 엑스선 중 산란되는 엑스선을 흡수하여 후술할 엑스레이 필름에 선명한 영상이 맺히도록 한다.
상기 시트(11)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벌집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메쉬 형태로 인해 시트(11)는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산란되는 엑스선을 사방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균일하게 엑스선을 통과시켜 필름에 선명한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시트(11)의 메쉬 형태는 벌집모양 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시트(11)는 상하로 적층되되, 도 2와 같이 각 시트(11)의 투과홀(11a)들은 상부로부터 입사되는 엑스선의 입사 경로에 맞게 투과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각 시트(11)의 투과홀(11a)중 일부는 각 시트(11)를 적층했을 때 엑스선이 수직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다른 시트(11)의 투과홀(11a)들과 동일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엑스선이 사선방향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다른 시트(11)의 투과홀(11a)들과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된다. 즉, 엑스선의 투과경로 중 일부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각 시트(11)는 입사되는 엑스선의 입사각(θ)이 변하더라도 투과홀(11a)들이 직선의 투과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적층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흡수부(11b)의 소재로는 납(Pb), 금(Au), 탄탈(Ta)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소재가 포함된 형태의 합금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재중 엑스선의 흡수성이 뛰어나고 비용적으로 경제적인 납 또는 납이 함유된 합금소재가 흡수부(11b)의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엑스레이 그리드를 이용해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엑스레이 촬영시 엑스선의 이동경로를 보면, 엑스선 발생장치(1), 피사체(인체,20), 엑스레이 그리드(10) 및 엑스레이 필름(30) 순으로 구성된다. 촬영시 엑스선 발생장치(1)에서 방사되는 엑스선은 피사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투과(transmission), 흡수(absorption), 감쇠(attenuation) 및 산란(scattering)이 일어나게 된다. 이 때 발생되는 엑스선의 난반사와 산란은 인체를 구성하는 뼈, 근육, 기관 등의 원자구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일어난다. 이와 같은 엑스선의 난반사와 산란은 엑스레이 필름(30)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엑스레이 그리드에서 난반사 및 산란 엑스선을 제거하게 된다.
엑스레이 그리드(10)로 입사되는 엑스선 중 난반사 및 산란 엑스선은 시트(11)의 흡수부(11b)에 흡수되며, 다이렉트 엑스선만이 투과홀(11a)을 통과한 후 엑스레이 필름(30)에 도달하여 엑스레이 필름(30)을 감광시킴으로써 엑스레이 필름(30)에 영상이 맺히게 된다.
도 4는 레이저에 의한 펀칭 방식에 의해 각 시트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에 의해 시트의 투과홀을 펀칭하는 시스템은 단말기(100)에 의해 컨트롤되는 레이저 발생장치(110), 레이저 발생장치(110)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를 반사하는 반사미러(120)(121), 반사미러(120)(121)를 통해 반사되는 빛을 시트(11)로 조사하여 시트(11)에 투과홀(11a)을 형성하는 스캔미러(130), 및 시트(11)가 안착되는 안착부(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이저 발생장치(110)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는 반사미러(120)(121)에 의해 스캔미러(130)로 반사된 후 최종적으로 스캔미러(130)에서 반사되어 시트(11)로 조사됨으로써, 시트(11)에 투과홀(11a)을 형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안착부(140)에 안착된 시트(11)의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반사미러(120)(121) 및 스캔미러(130) 등의 위치를 변화시켜 시트(11)에 다수의 투과홀(11a)을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에칭에 의한 화학적 방식에 의해 각 시트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에 의해 시트의 투과홀을 형성하는 과정은, 기판(200)상에 마스크 패턴(210)을 형성하는 단계(S1), 기판(200) 상에 애칭보호막(220)을 형성하는 단계(S2), 마스크 패턴(210)을 제거한 후 에칭보호막(220) 이외의 부분을 에칭하여 투과홀(11a)을 형성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200)은 엑스선의 흡수성이 뛰어난 납(Pb) 또는 납을 함유한 합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에칭으로는 습식 또는 건식에칭이 이용될 수 있다. 습식에칭의 경우에는 과산화수소화 초산과 같은 종류의 에칭용액을 이용하여 에칭을 수행하며, 건식에칭의 경우에는 알아이비 장비를 이용하여 건식에칭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엑스레이 그리드의 시트(11)를 형성하게 되는 기판(200)의 두께는 시트(11)가 복수개 적층되는 것을 고려하여 0.2~0.6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6mm를 초과하게 되면 투과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투과홀의 내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확장될 우려가 있으며, 0.2mm 미만일 경우에는 시트(11)의 강도가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6은 금형에 의한 몰딩 방식에 의해 각 시트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300)은 하부금형(310)과 상부금형(320)으로 구성된다. 하부금형(310)의 상면에는 몰딩액을 주입하여 시트(11)를 형성하기 위한 몰딩액 삽입홈(311)이 형성되고, 몰딩액 삽입홈(311)의 바닥면에는 시트(11)의 투과홀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312)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320)의 중심부에는 하부금형(310)의 몰딩액 삽입홈(311)으로 몰딩액을 주입하기 위한 몰딩액 주입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금형(310)의 상면중 몰딩액 삽입홈(311)의 바깥쪽에는 대각선 방향에 두 개의 위치결정돌기(313)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금형(320)에는 하부금형(310)의 위치결정돌기(313)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홀(322)이 대각선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금형(300)에 따르면, 하부금형(310)과 상부금형(320)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상부금형(320)의 몰딩액 주입홀(321)을 통해 몰딩액을 주입하면 몰딩액이 하부금형(310)의 몰딩액 삽입홈(311)에 주입된 후 경화됨으로써, 시트(11)가 완성된다.
한편, 시트(11)를 형성하기 위한 몰딩액은 납(Pb), 주석(Sn) 및 안티모니(Sb)를 포함한다. 주석은 시트(11)의 연성을 높여주고 안티모니는 시트(11)의 강도를 높여준다. 이때, 납(Pb)의 함량은 전체 성분대비 85~90중량%가 바람직하다. 납의 함량이 8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산란되는 엑스선의 흡수력이 떨어지게 되며, 납의 함량이 9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작된 시트(11)의 구조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B-B 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100)는 사각의 프레임(110a)과, 엑스선을 투과하는 다수의 투과홀(110b)과, 투과홀(110b)을 둘러싸 엑스선을 흡수하는 흡수부(110c)로 구성된 하나의 시트(110)를 포함한다.
상기 사각의 프레임(110a)은 시트(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루미늄을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투과홀(110b)은 피사체(인체)를 통과한 엑스선 중 산란되지 않은 엑스선을 투과시키게 되며, 흡수부(110c)는 피사체를 통과한 엑스선 중 산란되는 엑스선을 흡수하여 엑스레이 필름에 선명한 영상이 맺히도록 한다.
상기 시트(110)는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벌집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메쉬 형태로 인해 시트(110)는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산란되는 엑스선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균일하게 엑스선을 통과시켜 엑스레이 필름에 선명한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시트(11)의 메쉬 형태는 벌집모양 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110)의 투과홀(110b)들은 상부로부터 입사되는 엑스선의 입사 경로에 맞게 투과 경로를 형성한다. 즉, 엑스선이 수직으로 입사되는 부분의 투과홀(110b)의 경우에는 시트(110)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엑스선이 사선방향으로 입사되는 부분의 투과홀(110b)들의 경우에는 시트(110) 상에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시트(110)의 흡수부(110c)의 소재로는 납(Pb)이 사용될 수 있으나, 납(Pb) 78~82중량%, 안티모니(Sb) 7~10중량% 및 주석(Sn) 9~12중량%를 포함하는 합금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흡수부(110b)를 순수한 납으로만 제작하지 않고 안티모니와 주석을 혼합하여 합금으로 제작하는 이유는 순수하게 납으로만 제작하는 경우 재질이 연질이어서 투과홀(110b) 형성을 위한 천공이 어렵고 천공 후 취급시 찢어짐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흡수부(110b)를 합금으로 형성함으로써, 천공에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의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시트(110)의 높이(T)는 일정하다. 따라서, 흡수부(110c)에서 균일한 흡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투과홀(110b)의 단면적이 일정해야 한다. 즉, 투과홀(110b)의 좌우폭(D)이 줄어들게 되면 그에 맞게 투과홀(110b)의 전후폭(R)을 증가시켜 투과홀(110b)의 단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에 투과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0의 (a)와 같이 엑스레이 그리드(100)를 일정한 곡률반경(r1=r2=r3)을 갖도록 구부린 상태에서 다수의 투과홀(110b)을 펀치(P)를 이용해 수직으로 천공한다. 이 때, 곡률반경은 신체의 촬영부위 또는 진단목적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어서, 도 10의 (b)와 같이 투과홀(110a)이 천공된 엑스레이 그리드(100)를 수평으로 펴면 투과홀(110a) 중 일부는 시트(110)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부는 시트(110) 상에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그리드에 따르면, 엑스레이 그리드(100)로 입사되는 엑스선 중 난반사 및 산란 엑스선은 시트(110)의 흡수부(110c)에 흡수되며, 다이렉트 엑스선만이 투과홀(110b)을 통과한 후 엑스레이 필름에 도달하여 엑스레이 필름을 감광시킴으로써 엑스레이 필름에 영상이 맺히게 된다. 따라서, 엑스선 발생장치로부터 인체에 해롭지 않을 정도의 엑스선만을 방사하더라도 피사체 및 엑스레이 그리드를 통해 엑스레이 필름에 도달하는 엑스선의 양이 많게 되어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투과홀(110a)의 경사가 계단형이 아닌 직선형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엑스선의 투과율이 높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시트를 적층하지 않고 하나의 시트(110)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트(110)의 제작과정에서 적정한 두께로 제작하면 되므로 복수 개의 시트를 적층할 때 요구되는 별도의 두께 조절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시트를 적층할 때 요구되는 두께 조절 작업으로 인해 시트의 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없게 된다. 즉, 복수 개의 시트를 적층하게 되면 밀링(milling)작업을 통해 두께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시트의 표면에 밀링 흔적이 남게 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엑스레이 그리드(100)는 하나의 시트(110)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작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불량률이 낮아지게 되며,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어 양산성이 확보되고, 제품의 품질에 있어서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시트를 적층하는 경우에 비해 제품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충격에 의해 제품이 파손될 위험성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0, 100 : 엑스레이 그리드 11, 110 : 시트
110a : 프레임 11a, 110b : 투과홀
11b, 110c : 흡수부 P : 펀치

Claims (11)

  1. 피사체를 통과한 다이렉트 엑스선을 투과시키는 다수의 투과홀과, 상기 투과홀을 둘러싸 상기 피사체를 통과하면서 난반사 또는 산란되는 엑스선을 흡수하는 흡수부를 갖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전체적으로 메쉬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각 시트가 상하로 면접되면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트의 투과홀들은 상부로부터 입사되는 엑스선의 입사 경로에 맞게 투과경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의 투과경로 중 일부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의 소재로는 납, 금, 탄탈 중 어느 하나의 소재가 사용되거나, 상기 소재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합금소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의 소재로는 납(Pb) 78~82중량%, 안티모니(Sb) 7~10중량% 및 주석(Sn) 9~12중량%를 포함하는 합금소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메쉬형태는 벌집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메쉬형태는 벌집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
  9. 다수의 투과홀과 흡수부를 갖는 시트는 레이저에 의한 펀칭 방식, 에칭에 의한 화학적 방식 또는 금형에 의한 몰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엑스레이 그리드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의한 몰딩 방식에 의해 상기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납의 함유량은 몰딩액 전체성분 중 85 ~ 9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그리드의 제조방법.
  11. 다수의 투과홀과 흡수부를 갖는 시트를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투과홀을 수직으로 천공한 후, 상기 시트를 수평으로 펴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엑스레이 그리드의 제조방법.
KR1020110026384A 2010-10-26 2011-03-24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61 2010-10-26
KR20100104761 2010-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621A true KR20120043621A (ko) 2012-05-04
KR101333125B1 KR101333125B1 (ko) 2013-11-26

Family

ID=4626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384A KR101333125B1 (ko) 2010-10-26 2011-03-24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1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29B1 (ko) * 2012-12-14 2014-10-28 한국기계연구원 엑스레이 그리드 및 이의 제조방법
GB2527505A (en) * 2014-06-20 2015-12-30 Kirintec Ltd X-ray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30787B1 (ko) * 2014-12-12 2016-06-15 한국기계연구원 엑스레이 그리드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84453A (ko) * 2018-01-08 2019-07-17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엑스선 영상 진단기기용 멀티채널 비산란 그리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129A (ja) * 1991-12-12 1993-06-29 Toshiba Corp フィルム保持装置
IN187505B (ko) * 1995-03-10 2002-05-11 Gen Electric
US5717733A (en) * 1995-05-31 1998-02-10 Quanta Vision, Inc. X-ray and neutron diffractometric imaging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objects
JP5059521B2 (ja) * 2007-08-29 2012-10-24 株式会社放電精密加工研究所 散乱線除去グリッド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29B1 (ko) * 2012-12-14 2014-10-28 한국기계연구원 엑스레이 그리드 및 이의 제조방법
GB2527505A (en) * 2014-06-20 2015-12-30 Kirintec Ltd X-ray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30787B1 (ko) * 2014-12-12 2016-06-15 한국기계연구원 엑스레이 그리드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84453A (ko) * 2018-01-08 2019-07-17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엑스선 영상 진단기기용 멀티채널 비산란 그리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125B1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125B1 (ko)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US8666025B2 (en) Back focused anti-scatter grid
DE112008002448B4 (de) Effektive Laser-Photodisruptive Chirurgie in einem Gravitationsfeld
KR100882035B1 (ko) 산란 방지 및 콜리메이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US11723612B2 (en) Hybrid flat panel detector for cone beam CT systems
DE112007000128B4 (de)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Zielposition eines geladenen Teilchenstrahls, Verfahren zur Verwendung der Vorrichtung und Bahandlungsvorrichtung, die die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Zielposition verwendet
EP1850756B1 (en) A rigid patient support element for low patient skin damage when used in a radiation therapy environment
JP2021527476A (ja) 機能形成されたトップシートを有する吸収性物品、及び製造方法
DE20321423U1 (de) Hornhautkontaktsystem für die Laserchirurgie
CN102782769A (zh) 具有提供散射辐射屏蔽的低辐射累积的多层轻型服装材料
JP4270650B2 (ja) 散乱防止用x線グリッドの基板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105916443B (zh) 用于x射线成像装置的具有衰减元件的x射线发射设备
KR102393604B1 (ko) 향상된 x선 투과율을 갖는 x선 그리드를 제조하는 장치
DE1033530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r Strahlintensität eines Laserstrahls und Vorrichtung zur Aussendung des Laserstrahls
CN110462390A (zh) 质量检查方法
US6625253B1 (en) High ratio, high efficiency mammography grid system
JP4413075B2 (ja) 散乱防止グリッド
EP3946190B1 (en) Absorbent layer for an absorbent article
WO2012057371A1 (ko) 엑스레이 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DD294119A5 (de) Filter und verfahren zur verringerung des strahlendosis
JP2009531126A (ja) コリメータ製造方法
DE69823193T2 (de) Strahlungsverstärkungs-schirm, strahlungsrezeptor und vorrichtung zur strahlungsinspektion mit einem solchen schirm
EP2599438A1 (en) Evaluation aid
DE102012223748A1 (de) Adaptives Bow-Tie-Röntgenfilter und Verfahren zur Veränderung der lokalen Intensität einer Röntgenstrahlung
CN1243523C (zh) 包含微孔薄膜的吸湿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