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603A -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603A
KR20120043603A KR1020100104972A KR20100104972A KR20120043603A KR 20120043603 A KR20120043603 A KR 20120043603A KR 1020100104972 A KR1020100104972 A KR 1020100104972A KR 20100104972 A KR20100104972 A KR 20100104972A KR 20120043603 A KR20120043603 A KR 20120043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anel
cover bottom
support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050B1 (ko
Inventor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0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6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ock absorbing elements, e.g. retainers or cush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면이 관통되어져 있는 커버보텀을 통해 쿠션 테이프를 패널에 부착시킨,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패널; 수납공간에 상기 패널을 수납하는 커버보텀; 상기 커버보텀의 하단면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상기 패널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쿠션 테이프; 점착층을 통해 상기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보텀에 의해 지지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WINDOW-UNIFIED FLAT PALEL DISPLAY}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윈도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형태의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형태의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및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형광물질을 발광시키는 자발광소자로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발광소자에 비하여 응답속도가 빠르고 직류구동전압이 낮고 초박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벽걸이형 또는 휴대용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한편, 최근에는 평판표시장치 상단에 윈도우가 일체형으로 붙어있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버툼(11)의 내측면에 양면 테이프(12)가 접착되고, 양면 테이프 상단으로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13)이 장착되며, 패널 상단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접착재료로 형성된 점착층(15)에 의해 윈도우(16)가 패널의 상단에 점착된다.
종래의 또 다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테이프(21)가 최하단에 배치되고, 쿠션 테이프 상단에는 패널(23)이 장착되며, 패널 상단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점착재료로 형성된 점착층(25)에 의해 윈도우(26)가 평광판 상단에 점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들에서 패널(13, 23)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평판표시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특히,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용하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낙하에 의한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많다.
휴대용 단말기의 낙하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미치는 충격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에 미치게 되며, 따라서, 패널 또는 윈도우 등이 파손되어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하단부 전면을 커버보텀(11)으로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밴딩(Bending) 강성에는 유리하지만, 낙하시 받는 충격에는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커버보텀(11)과 패널(13) 사이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별도의 층(Layer)이 없는 단순 적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 충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테이프(21)를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최 하단에 장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쿠션 테이프(21)가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 충격 시 어느 정도의 개선 효과는 있으나, 커버보텀과 같은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밴딩(Bending) 강성에는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커버보텀(11)과 쿠션 테이프(21)가 동시에 적용되어 있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러한 구조의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추가되는 부품(커버보텀 및 쿠션 테이프)의 두께 만큼 전체 제품의 두께가 상승하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공정이 복잡해 진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최근에는 표시장치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패널과 윈도우 사이의 에어 갭(Air gap)을 없애고 OCA 및 SVR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야외 시인성 및 화질은 향상되나, 패널의 밴딩 강성 및 낙하품질 수준은 많이 취약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의 실수로 휴대폰을 떨어뜨릴 우려가 많으며, 이 경우 패널의 파손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에어 갭(Air gap)이 없는 SVR 및 OCA 적용 단말기의 경우, 낙하품질이 더욱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면이 관통되어져 있는 커버보텀을 통해 쿠션 테이프를 패널에 부착시킨,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패널; 수납공간에 상기 패널을 수납하는 커버보텀; 상기 커버보텀의 하단면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상기 패널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쿠션 테이프; 점착층을 통해 상기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보텀에 의해 지지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패널;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네 개의 벽면을 이루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하단에서 상기 수납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커버보텀; 상기 커버보텀의 하단면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상기 패널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쿠션 테이프; 및 점착층을 통해 상기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보텀에 의해 지지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내부면이 관통되어져 있는 커버보텀을 통해 쿠션 테이프를 패널에 부착시킴으로써, 두께의 증가 없이도 낙하 충격을 완화시켜 패널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커버보텀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응력을 테스트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커버보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할 목적으로 개발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보텀(110), 쿠션 테이프(120), 패널(130), 점착층(150), 윈도우(160) 및 글루층(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커버보텀(110)은 패널을 수납하는 한편, 윈도우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네 개의 벽면을 이루는 격벽(111), 격벽의 하단에서 수납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지지부(114), 격벽의 상단에서 수납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윈도우를 지지하기 위한 윈도우 지지부(112)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커버보텀은 패널의 상단에서 패널을 가이드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패널 고정부(1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격벽(111)은 패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패널의 크기에 맞게 패널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격벽은 패널을 수납하여 패널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격벽(111)은 네 개의 벽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 지지부(114)는 격벽의 하단에서 수납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패널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패널 지지부(114)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으로부터 수납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널 고정부(115)는 격벽의 상단에서 수납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패널의 상단을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패널 지지부가 패널의 하단에서 패널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패널 고정부는 패널의 상단에서 패널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패널 지지부 및 패널 고정부에 의해 패널(130)은 커버보텀(110)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윈도우 지지부(112)는 격벽의 상단에서 수납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윈도우(16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커버보텀이 단순히 패널 및 쿠션 테이프만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것이 아니라, 윈도우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상기한 바와 같이, 윈도우 지지부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지지함에 따라, 본 발명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가 낙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로부터 본 발명으로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일차적으로 커버보텀(110)의 하단부가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윈도우 지지부를 통해 상기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커버보텀이 충격을 다양한 부분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패널(130)이 훼손되는 경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지지부(112)가 윈도우를 직접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의 훼손이 방지될 수도 있다.
한편, 커버보텀의 하단면에는 패널 지지부(114)를 경계로 하여 관통되어져 있는 관통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부로는 쿠션 테이프(120)가 삽입된다.
즉, 쿠션 테이프는 커버보텀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아니고, 쿠션 테이프의 상단에 커버보텀이 놓여지는 것도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보텀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부(118)로 쿠션 테이프가 삽입되기 때문에, 쿠션 테이프의 하단면과 커버보텀의 하단면은 단턱이 없는 평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쿠션 테이프(120)와 커버보텀(110)을 동시에 이용하면서도, 종래의 커버보텀만 이용하고 있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또는 쿠션 테이프만 이용하고 있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와 비교해 볼 때, 두께가 차이자 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쿠션 테이프(12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130)의 하단면에 부착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낙하하여 충격을 받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를 통해 패널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쿠션 테이프는 패널의 하단면에 장착되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충격에 의한 힘을 흡수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낙하되는 경우에도, 패널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쿠션 테이프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패널(1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평판표시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특히,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형광물질을 발광시키는 자발광소자로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발광소자에 비하여 응답속도가 빠르고 직류구동전압이 낮고 초박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벽걸이형 또는 휴대용으로 응용이 가능한바, 본 발명에서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패널(130)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널(130)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등도 패널(130)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자발광소자로 이루어진 평판표시장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널(130)의 상단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됨으로써,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켜 윈도우 방향으로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윈도우(160)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최외곽에 노출되는 것으로서, 투명성 접착재료로 형성된 점착층(150)에 의해 패널과 점착되어, 패널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윈도우는 패널과 점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중에 패널의 훼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점착층(150)은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점착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SVR(Super View Resin) 또는OCA(Optical Cleared Adhesive) 필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글루층(170)은 윈도우(160)와 커버보텀(110)을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Glue)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보텀의 상단에는, 커버보텀의 격벽으로부터 수납공간 외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윈도우 지지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윈도우 지지부(112)로는 윈도우의 외곽면의 배면이 안착되는바, 글루층(170)은 윈도우 지지부(112)와 윈도우의 외곽면의 배면을 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윈도우 지지부(1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패널의 훼손을 방지하는 한편, 윈도우를 지지하여 윈도우의 훼손을 동시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윈도우로 전송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비드(Bead)(113)가 윈도우 지지부(112)에 형성되어 있다.
즉, 비드(113)는 윈도우 지지부(112) 표면의 일부분이 펀칭 또는 사출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움푹 파이는 형상(굴곡진 형상이라고도 함)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와 반대방향으로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비드의 수나 움푹 파인 부분의 높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특히, 높이가 높을수록 충격흡수력이 좋아지므로, 높이는 높을수록 좋다.
한편, 윈도우 지지부와 윈도우 사이를 양면 테이프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접착 면적이 좁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은 글루(Glue) 공정으로 윈도우 지지부(112)와 윈도우(160)를 합착시키고 있다.
즉, 글루층(170)은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드(113)와 윈도우(160)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윈도우 지지부로 전송되는 충격은 비드 및 비드에 충진되는 글루층에 의해 흡수되며, 따라서, 윈도우로 전송되는 충격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보텀을 통해 패널 및 윈도우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전송된 충격을 흡수하여 패널과 윈도우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윈도우로 전송되는 충격을 보다 잘 흡수하기 위해 윈도우 지지부에는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보보텀 하단면의 관통부(118)를 통해 쿠션 테이프가 삽입되어 패널의 하단면을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패널로 직접 전송되는 충격을 쿠션 테이프를 통해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쿠션 테이프의 하단면과 커버보텀의 하단면이 단턱지지 않도록 커버보텀의 하단면에 형성된 관통부(118)로 쿠션 테이프를 삽입시킴으로써, 쿠션 테이프(120)와 커버보텀(110)을 동시에 사용하면서도, 종래에 쿠션 테이프 또는 커버보텀만을 이용하고 있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와 비교할 때, 두께의 차이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상기와 같은 우수성이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응력을 테스트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은 3Point Bending Test를 통해 응력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 제조 업체에서 요구하는 3PB Test에서 200N 하중 인가 시 Encap에 받는 응력을 테스트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100)가 종래의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들에 비해 9~10%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테스트 조건을, 누름 하중이 100N, 지지 스팬(Span) 거리가 36mm, 스팬(Span) 지름이 3mm로 하여 테스트한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은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과 종래의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배면 낙하 충격시의 충격 흡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에 도시된 종래의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경우, 충격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직접 전송됨으로써, 충격에 의한 패널의 심각한 훼손이 예상된다.
그러나, (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보텀(110)과 쿠션 테이프(120)에 의해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커버보텀의 하단면이 흡수한 충격을 다시, 격벽(111)과 윈도우 지지부(112)로 분산시키는 한편, 윈도우 지지부로 전달된 충격을 비드(113)와 글루층(170)을 통해 다시 한 번 분산시킴으로써, 패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슬림(Slim)화를 만족시키면서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야외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패널과 윈도우 사이의 에어 갭(Air gap)을 없애고 OCA 및 SVR을 적용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평판표시장치로 이용되는 경우, 슬림화와 강성을 모두 만족시켜 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커버보텀 120 : 쿠션 테이프
130 : 패널 150 : 점착층
160 : 윈도우 170 : 글루층

Claims (10)

  1. 패널;
    수납공간에 상기 패널을 수납하는 커버보텀;
    상기 커버보텀의 하단면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상기 패널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쿠션 테이프;
    점착층을 통해 상기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보텀에 의해 지지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보텀의 하단면과 상기 쿠션 테이프의 하단면은 단턱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보텀의 상단에는,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절곡된 윈도우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윈도우의 외곽면의 배면은 상기 윈도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지지부에는 상기 글루층이 충진될 수 있는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5. 패널;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네 개의 벽면을 이루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하단에서 상기 수납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커버보텀;
    상기 커버보텀의 하단면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상기 패널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쿠션 테이프; 및
    점착층을 통해 상기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보텀에 의해 지지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커버보텀의 하단면에서 상기 패널 지지부를 경계로 하여 관통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보텀은,
    상기 격벽의 상단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는 윈도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지지부에는 상기 윈도우와 접하는 면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층은 상기 비드에 충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20100104972A 2010-10-26 2010-10-26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176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972A KR101765050B1 (ko) 2010-10-26 2010-10-26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972A KR101765050B1 (ko) 2010-10-26 2010-10-26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603A true KR20120043603A (ko) 2012-05-04
KR101765050B1 KR101765050B1 (ko) 2017-08-23

Family

ID=4626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972A KR101765050B1 (ko) 2010-10-26 2010-10-26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0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422A (ko) * 2013-03-07 2014-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7572A (ko) * 2013-07-11 2015-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370112B2 (en) 2012-07-25 2016-06-14 Samsung Display Co., Ltd. Impact absorp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719577A (zh) * 2016-04-15 2016-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带缓冲层的oled显示屏及终端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0112B2 (en) 2012-07-25 2016-06-14 Samsung Display Co., Ltd. Impact absorp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110422A (ko) * 2013-03-07 2014-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7572A (ko) * 2013-07-11 2015-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719577A (zh) * 2016-04-15 2016-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带缓冲层的oled显示屏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050B1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98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109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47146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765050B1 (ko) 윈도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US20160205293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KR101891113B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0885A (ko) 충격 흡수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9195083B2 (en) Impact resistant construction of an interactive device
KR10092235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079094A (ko)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폴더블 표시 장치
KR10092235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20160055793A1 (en) Composite shee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6012269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 장치
KR2012009635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40128151A (ko) 표시장치
KR2015009242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365827B1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37681A (ko) 표시장치
KR20060000455A (ko) 액정표시장치
KR102377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9671863B (zh) 显示屏封装结构
US11145840B2 (en) Display screen assembly structure
KR100621862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패널의 패키징 케이스
KR10196108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9143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