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437B1 -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437B1
KR101791437B1 KR1020100103995A KR20100103995A KR101791437B1 KR 101791437 B1 KR101791437 B1 KR 101791437B1 KR 1020100103995 A KR1020100103995 A KR 1020100103995A KR 20100103995 A KR20100103995 A KR 20100103995A KR 101791437 B1 KR101791437 B1 KR 10179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upport
display
vertical port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337A (ko
Inventor
김원종
전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4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지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지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는 자체 발광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백 라이트 모듈의 중량, 체적 및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LCD)보다도 더 얇고 조작 전압도 2에서 10볼트까지 낮출 수 있다. 또한, OLED의 시각이 넓어 화면 반응 속도가 빠르며 색채 표현이 LCD보다 뛰어나고, 플렉시블한 특성도 가지고 있어, 그 응용 범위가 광대하여, 이미 핸드폰, PDA등 휴대용 전자 제품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응용되고 있다.
현재 핸드폰이나 PDA 등 휴대용 단말기는 부가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해 대부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내부에 장착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아울러 충격에 의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개의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개의 지지 케이스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상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성이 낮아 외부 충격에 쉽게 휘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지지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도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62Mpa로써 강성이 낮아 외부 충격시 전체적으로 휘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2개의 지지 케이스를 사용하므로 생산 단가가 증가함과 아울러 두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지 케이스의 낮은 강성으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지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배면에 형성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1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1 단턱부; 상기 제 1 내측벽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2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2 단턱부; 상기 제 1 내측벽의 일측에 수직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3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3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3 단턱부; 및 상기 제 1 내측벽의 타측에 수직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4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4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4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턱부 각각은 상기 내측벽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수직부;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 1 수직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제 1 수직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제 2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는 높은 강성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지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 케이스에 대한 강도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A-A'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B-B'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케이스에 대한 강도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지지 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표시부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패널일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브 표시부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패널일 수 있다.
지지 케이스(300)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공통으로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 케이스(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10), 및 패널 지지 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플레이트(310)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삽입되는 개구부(31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310)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하고, 지지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등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고 강성이 우수한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도전성이며, 중량이 작고,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 지지 부재(320)는 개구부(312)를 형성하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내측벽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개구부(312)에 삽입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패널 지지 부재(320)는 제 1 내지 제 4 단턱부(322, 324, 326, 3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단턱부(322)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1 내측벽(310a)에 형성되어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측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1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 1 단턱부(322)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322a), 절곡부(322b), 및 제 2 수직부(32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수직부(322a)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1 내측벽(310a)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직부(322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1 내측벽(310a)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 1 내측벽(310a)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부(322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측면을 가이드한다.
절곡부(322b)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 1 수직부(322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부(322b)는 개구부(312)에 삽입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제 2 수직부(322c)는 제 1 수직부(322a)와 나란하도록 절곡부(322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 2 수직부(322b)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수직부(322c)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1 측면을 가이드한다.
제 2 단턱부(324)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2 내측벽(310b)에 형성되어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2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 2 단턱부(324)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324a), 절곡부(324b), 및 제 2 수직부(32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수직부(324a)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2 내측벽(310b)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직부(324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2 내측벽(310b)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내측벽(310b)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부(324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측면을 가이드한다.
절곡부(324b)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 1 수직부(324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부(324b)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2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제 2 수직부(324c)는 제 1 수직부(324a)와 나란하도록 절곡부(324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 2 수직부(324b)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수직부(324c)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2 측면을 가이드한다.
제 3 단턱부(326)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3 내측벽(310c)에 형성되어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3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3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 3 단턱부(326)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326a), 절곡부(326b), 및 제 2 수직부(32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수직부(326a)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3 내측벽(310c)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직부(326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3 내측벽(310c)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 3 내측벽(310c)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부(326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3 측면을 가이드한다.
절곡부(326b)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 1 수직부(326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부(364b)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3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제 2 수직부(326c)는 제 1 수직부(326a)와 나란하도록 절곡부(326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 2 수직부(326b)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수직부(326c)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3 측면을 가이드한다.
제 4 단턱부(328)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4 내측벽(310d)에 형성되어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4 측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4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 4 단턱부(328)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328a), 절곡부(328b), 및 제 2 수직부(328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수직부(328a)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4 내측벽(310d)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직부(328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1 내측벽(310a)에 인접한 제 4 내측벽(310d)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부(328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4 측면을 가이드한다. 한편, 제 1 수직부(328a)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 플레이트(310) 상에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 회로 필름(미도시)이 배치된다.
절곡부(328b)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 1 수직부(328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부(328b)는 개구부(312)에 삽입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4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제 2 수직부(328c)는 제 1 수직부(328a)와 나란하도록 절곡부(328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 2 수직부(328b)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수직부(328c)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4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은, 지지 케이스(300)는 제 1 및 제 4 단턱부(322, 328)의 절곡부(322c, 328c)를 통해 개구부(312)에 삽입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 2 및 제 3 단턱부(324, 326)의 절곡부(324c, 326c)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지지한다.
상술한 지지 케이스(300)는 지지 플레이트(310)에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단턱부(322, 324, 326, 328)에 의해 높은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케이스(300)의 강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도 실험을 통해 종래 보다 매우 높은 338Mpa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케이스(300)는 높은 강성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을 동시에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시에도 변형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 2,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로써,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를 서로 결합시킨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 각각의 배면에 부착된 완충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500)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이러한 완충부재(500)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높은 강성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지지 케이스(300)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핸드폰이나 PDA 등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거나,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200: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300: 지지 케이스 310: 지지 플레이트
312: 개구부 320: 패널 지지 부재
322: 제 1 단턱부 322a: 제 1 수직부
322b: 절곡부 322c: 제 2 수직부
324: 제 2 단턱부 326: 제 3 단턱부
328: 제 4 단턱부 400: 접착 부재
500: 완충 부재

Claims (12)

  1.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마련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배면에 배치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1 내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1 단턱부;
    상기 제 1 내측벽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2 내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2 단턱부;
    상기 제 1 내측벽의 일측에 수직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3 내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3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3 단턱부; 및
    상기 제 1 내측벽의 타측에 수직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4 내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4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4 단턱부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턱부는 상기 제 1 내측벽에 인접한 제 4 내측벽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턱부 각각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턱부 각각은,
    상기 내측벽에 수직하게 구비된 제 1 수직부;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 1 수직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제 1 수직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제 2 수직부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4 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 1 및 제 4 단턱부의 절곡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및 제 3 측면은 상기 제 2 및 제 3 단턱부의 제 1 수직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및 제 3 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 2 및 제 3 단턱부의 절곡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4 측면은 상기 제 1 및 제 4 단턱부의 제 2 수직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00103995A 2010-10-25 2010-10-25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79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95A KR101791437B1 (ko) 2010-10-25 2010-10-25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95A KR101791437B1 (ko) 2010-10-25 2010-10-25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337A KR20120042337A (ko) 2012-05-03
KR101791437B1 true KR101791437B1 (ko) 2017-10-30

Family

ID=4626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995A KR101791437B1 (ko) 2010-10-25 2010-10-25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4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453A (ja) 2006-06-30 2008-01-24 Lg Phillips Lc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用コンピュ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453A (ja) 2006-06-30 2008-01-24 Lg Phillips Lc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用コンピュ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337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933B2 (en) Backlight uni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hock-absorbing members
CN107437590B (zh) 显示装置
EP1956401B1 (en) Display device with a bottom chassis
EP2209102A1 (en) Display device
KR10167071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949589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8471975B2 (en) Display device
CN101956938B (zh) 背光模组以及液晶显示器
KR101777307B1 (ko) 표시 장치
CN111128020A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20110187692A1 (en) Flat panel display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US2015026841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57693B1 (ko) 액정 표시장치
US11394816B2 (en)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mobile phone module
JP2006146214A (ja) 平板表示パネル用の支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平板表示装置
US20190165300A1 (en) Display Apparatus
JP2010521713A (ja) 表示装置
US2013010715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65427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201428959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US9335788B2 (en) Slim-type display module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2005346061A (ja) 液晶表示装置のモジュール
US9097930B2 (en) Flat panel display
KR1010822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윈도우 결합 구조체
CN101583900A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