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827B1 -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827B1
KR102365827B1 KR1020150148638A KR20150148638A KR102365827B1 KR 102365827 B1 KR102365827 B1 KR 102365827B1 KR 1020150148638 A KR1020150148638 A KR 1020150148638A KR 20150148638 A KR20150148638 A KR 20150148638A KR 102365827 B1 KR102365827 B1 KR 10236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support
buffer member
middle cabine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634A (ko
Inventor
김동훈
최충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8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들 캐비넷에 완충부재를 결합하여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들 캐비넷에 완충부재를 결합하여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 1 기판(101), 제 1 기판(1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02)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2 기판(101, 102)은 서로 이격되어 이의 가장자리부를 밀봉부재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되어 OLED패널(110)을 이룬다.
이때, OLED패널(110)의 상부면에는 편광판(140)이 부착되는데, 여기서, 편광판(140)은 OLED패널(110)이 외부광의 세기에 따라 콘트라스트가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OLED패널(110)은 배면이 접착부재(125)로, 수평면(121)과 측면(123)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버툼(120)과 결합되며, 커버버툼(120)의 측면(123)은 완충부재(130)가 결합되고 이의 외측에 케이스(160)가 OLED패널(110)의 전면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베젤(bezel) 또는 외곽부 테두리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깨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수요자들에게 보다 어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 또는 슬림화하는 것 뿐만아니라, 전면에서 노출되는 베젤의 면적을 축소시켜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슬림화 또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됨에 따라서, 베젤(bezel) 또는 외곽부 테두리 부분의 파손과 외관불량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미들 캐비넷의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미들 캐비넷에서 완충부재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들 캐비넷에 완충부재를 결합하여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미들 캐비넷의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미들 캐비넷에서 완충부재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203a)와, 외측지지부(203a)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후면에 백커버(205)가 결합되는 내측지지부(203b)가 구비되어 있는 미들 캐비넷(203), 미들 캐비넷(203)을 감싸며 결합되는 완충부재(21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외곽부 테두리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부위를 이루는 미들 캐비넷(203)에 완충부재(2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미들 캐비넷(203)의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들 캐비넷(203)의 내측지지부(203b)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는데, 도면에서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봉지부재는 금속 기판이나 유리 기판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는 편광필름(201a)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 20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씰부재(204)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204)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어느 한쪽 단부의 배면에는 IC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패드부(미도시)와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미들 캐비넷(203)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203a)와, 외측지지부(203a)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측지지부(203b)가 구비되며, 내측지지부(203b)의 후면에는 백커버(205)가 결합된다.
이러한 미들 캐비넷(203)은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측지지부(203a)와 내측지지부(203b)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케이스 역할을 하는 외측지지부(203a)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측면을 감싸면서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측지지부(203a)의 끝단부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끝단부 사이의 거리 즉, 베젤이 종래에 비해 대폭 줄어들게 되어 있고, 내측지지부(203b)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고 후면에 백 커버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미들 캐비넷(203)을 감싸며 결합되는 완충부재(210)는 미들 캐비넷(203)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210a)와, 제1지지부(210a)의 상단부에서 벤딩되어 미들 캐비넷(203)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210b), 제1지지부(210a)의 하단부에서 벤딩되어 백커버(205)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210c)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전가될때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은 제1지지부(210a)가 지지하고, 상부와 하부로부터의 충격은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가 지지하여 미들 캐비넷(203)의 스크래치로 의한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210)는 제1지지부(210a)와 제2지지부(210b), 제3지지부(2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수개의 돌기부(211)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기부(211)는 서로 완충부재(2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210)의 내주면 전체에 돌기부(211)가 형성되게 하거나,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지지부(210a)와 제2지지부(210b), 제3지지부(210c)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 돌기부(211)가 형성될 수도 있고, 제1지지부(210a)와 제2지지부(210b), 또는 제1지지부(210a)와 제3지지부(210c), 또는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에만 돌기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완충부재(210)에 충격이 전가될 때 돌기부(211)가 먼저 탄성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길이방향의 일렬로 배치된 돌기부(211)들이 충격 하중을 균일하게 배분하면서 충격이 미들 캐비넷(203)에 바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러한 돌기부(211)는 완충부재(210)의 내측면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서 충격량이 커지더라도 돌기부(211)의 끝단부부터 점진적으로 두꺼운 부위까지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210)는 제2지지부(210b)의 끝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되는 제4지지부(210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4지지부(210d)는 미들 캐비넷(203)의 외측 뿐만아니라 미들 캐비넷(203)의 내측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쪽과 대향되는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모서리 부위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스크래치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부재(210)는 제4지지부(210d)의 끝단부에 미들 캐비넷(203)의 외측지지부(203a) 내측면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미들 캐비넷(203)의 외측지지부(203a) 내측면에 지지되는 이탈방지부(210e)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4지지부(210d)의 끝단부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게 이탈방지부(210e)가 형성되어 외측지지부(203a)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결합됨으로써, 미들 캐비넷(203)에 완충부재(210)를 결합한 후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가되더라도 완충부재(210)가 이탈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완충부재(210)의 제3지지부(210c)는 제3지지부(210c)와 제1지지부(210a)의 연결부위에서 제2지지부(210b)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각도(A)가 제2지지부(210b)쪽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완충부재(210)에 외부에서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가 예각(대략 5°~ 60°)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미들 캐비넷(203)에 완충부재(210)를 결합할 때,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가 미들 캐비넷(203)의 제1지지부(210a) 높이만큼 벌어진 후 결합됨으로써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지지부(210a)의 상측과 하측을 누르면서 결합된 위치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210)는 탄성력과 함께 내후성과 신축성 등을 구비하도록 NR(Natural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Terpolymer), FPM(Fluoro Rubb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 역할을 하게 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미들 캐비넷(203)에서 완충부재(210)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내측지지부(203b)의 전면 사이와 백커버(205)와 내측지지부(203b)의 전면 사이에는 씰링접착부재(209, 207)가 각각 결합되는데, 여기서 씰링접착부재(209, 207)는 점도가 높은 경화성 레진일 수 있고, 여기서 경화성 레진은 아크릴 레진이나, 에폭시 레진, 무발포 우레탄 레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자연 경화 또는 자외선 경화, 열 경화될 수 있으며, 씰링접착부재 대신 접착 패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1)에서 나오는 열을 미들 캐비넷(203)쪽으로 잘 방출시킬 수 있도록, 접착 패드 또는 양면 테이프는 접착성 열전도 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미들 캐비넷(203)은 성형성과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완충부재(210)는 디스플레이 장치 뿐만아니라 완충이 필요한 그 어떠한 물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처럼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을 구비하는 테두리를 갖는 그 어떠한 물건에도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지지부(210a)는 테두리의 측면에 지지되고 제2지지부(210b)는 테두리의 상면에 지지되며 제3지지부(210c)는 테두리의 하면에 지지되며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완충부재(210)의 구조와 형상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미들 캐비넷의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미들 캐비넷에서 완충부재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201: 디스플레이 패널 203: 미들 캐비넷
203a: 외측지지부 203b: 내측지지부
205: 백커버 210: 완충부재
210a: 제1지지부 210b: 제2지지부
210c: 제3지지부 210d: 제4지지부
210e: 이탈방지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와, 상기 외측지지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후면에 백커버가 결합되는 내측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미들 캐비넷;
    상기 미들 캐비넷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상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미들 캐비넷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백커버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의 끝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되는 제4지지부; 상기 제4지지부의 끝단부에 상기 미들 캐비넷의 외측지지부 내측면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미들 캐비넷의 외측지지부 내측면에 지지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들 캐비넷을 감싸며 결합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미들 캐비넷의 상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4지지부와 이탈방지부는 상기 미들 캐비넷의 내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와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수개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서로 상기 완충부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측면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3지지부와 제1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제2지지부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2지지부쪽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을 구비하는 테두리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상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테두리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테두리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의 끝단부에서 상기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상면의 모서리 내측에 위치되는 제4지지부;
    상기 제4지지부의 끝단부에 상기 하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면의 모서리 내측면에 지지되는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4지지부와 이탈방지부는 상기 테두리의 상면 내측 모서리를 감싸는 완충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수개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있는 완충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서로 상기 완충부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완충부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측면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완충부재.
  13. 삭제
  14. 삭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3지지부와 제1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제2지지부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2지지부쪽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완충부재.
KR1020150148638A 2015-10-26 2015-10-26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38A KR102365827B1 (ko) 2015-10-26 2015-10-26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38A KR102365827B1 (ko) 2015-10-26 2015-10-26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34A KR20170048634A (ko) 2017-05-10
KR102365827B1 true KR102365827B1 (ko) 2022-02-23

Family

ID=5874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638A KR102365827B1 (ko) 2015-10-26 2015-10-26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503B1 (ko) * 2017-07-20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73503B1 (ko) * 2020-10-15 2021-07-06 카페24 주식회사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WO2022080593A1 (ko) * 2020-10-15 2022-04-21 카페24 주식회사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835A (ja) * 2007-10-22 2009-05-14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200476543Y1 (ko) * 2014-08-21 2015-03-09 마승홍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625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835A (ja) * 2007-10-22 2009-05-14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200476543Y1 (ko) * 2014-08-21 2015-03-09 마승홍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34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318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8844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20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90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018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68743B2 (en) Casing and frame for touch display apparatus
US9195083B2 (en) Impact resistant construction of an interactive device
US9674922B2 (en) Display side edge assembly and mobile device including same
KR1023579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17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8176B1 (ko) 표시 장치
EP3226070B1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TW201426099A (zh) 顯示裝置
US847725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490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5827B1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73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422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3332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61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42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90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2772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199743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207895200U (zh) 背光板胶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