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592A -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592A
KR20120043592A KR1020100104959A KR20100104959A KR20120043592A KR 20120043592 A KR20120043592 A KR 20120043592A KR 1020100104959 A KR1020100104959 A KR 1020100104959A KR 20100104959 A KR20100104959 A KR 20100104959A KR 20120043592 A KR20120043592 A KR 2012004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electrode
solar cell
counter electrode
sensitized solar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중
김상학
송인우
김윤석
이기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3592A/ko
Publication of KR2012004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2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zed by he counter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용 기판을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킨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빛을 흡수하여 생성된 전자를 외부회로로 이동시키는 작동전극과 외부회로를 통해 전자를 받아 전해질을 환원시키는 상대전극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전해질이 주입되어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작동전극은 태양광을 마주하게 되는 작동전극용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면적을 증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for concentrating solar energy}
본 발명은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용 기판을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킨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태양전지와 같은 광전변환 소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아름다운 색감과 외부와 내부를 반투명하게 볼 수 있는 시각적인 장점을 갖음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건물의 부드러운 곡면을 따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BIPV)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효율 그린 자동차인 HEV(Hybrid Electric Vehicle)의 차체 상면에 실리콘 태양전지 패널이 설치된 선루프가 채용되고 있으나, 이는 불투명한 특성으로 인해 선루프 고유의 개방감을 살리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개방감과 에어로다이나믹 곡면 설계가 함께 고려된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채용된 자용차용 선루프에 대한 개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 대비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작동전극은 태양광을 마주하게 되는 한면 또는 양면 모두에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하여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면적을 증대시켜 발전효율을 향상시킨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전극과 인접하게 되는 상대전극용 기판의 일면을 평판 또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하여 상대전극의 촉매전극과 작동전극의 반도체 산화물 후막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발전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도록 한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데도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빛을 흡수하여 생성된 전자를 외부회로로 이동시키는 작동전극과 외부회로를 통해 전자를 받아 전해질을 환원시키는 상대전극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전해질이 주입되어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작동전극은 태양광을 마주하게 되는 작동전극용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면적을 증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상대전극은 작동전극과 인접한 상대전극용 기판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작동전극용 기판의 볼록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상대전극은 작동전극과 인접한 상대전극용 기판의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상대전극은 작동전극과 인접한 상대전극용 기판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이 볼록부는 작동전극용 기판의 볼록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는 프레넬 렌즈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는 내부가 빈 중공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는 1㎛ ~ 10㎝ 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너비와 높이의 비율은 0.5~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채용되는 작동전극을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중 적용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코팅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태양광 집적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크게 빛을 흡수하여 생성된 전자를 외부회로로 이동시키는 작동전극과 외부회로를 통해 전자를 받아 전해질을 환원시키는 상대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작동전극과 상대전극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러한 작동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에는 주지된 전해질(300)이 주입되어 있어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작동전극으로 전자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전극은 작동전극용 기판(100)과, 작동전극용 기판(100) 위에 형성되는 배리어(barrier)층(110), 투명전도층(120), 표면에 염료가 흡착된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 및 금속 그리드(140)와 금속 그리드 보호막(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전극용 기판(100)이 소다라임 유리 소재로 이루어진 기판인 경우, 작동전극용 기판(100)과 반도체 산화물 박막(130) 사이에 실리카 소재의 배리어층(110)이 삽입 형성되며, 이 배리어층(110)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 공정 온도인 500℃ 내외의 온도에서 소디움 이온이 작동전극용 기판(100) 표면으로 나오면서 가져오는 투명전도층(12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작동전극의 투명전도층(120)과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 사이에 반도체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다공성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과 투명전도층(120)의 계면저항을 개선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이를 생략한다.
상기 상대전극은 상대전극용 기판(200)과, 상대전극용 기판(200) 위에 코팅 형성되는 투명전도층(220) 및 촉매전극(23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그리드(140,240)를 전극용 기판(작동전극용 기판(100) 및 상대전극용 기판(200)) 위에 형성하고 이를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 금속 그리드 보호막(150,250)이 형성된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듈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금속 그리드(140,240)가 전극용 기판(100,200)의 표면 내부에 존재하여 금속 그리드 보호막(150,250)을 생략 가능한 구조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하는 전극용 기판(100,200)이 무알칼리 유리 소재로 이루어진 기판이라면 배리어층(110)은 삭제 가능하며,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작동전극용 기판(100)은 그 위에 형성되는 배리어층(110), 투명전도층(120), 반도체 산화물 박막(미도시) 및 염료가 흡착된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을 지지하며, 상대전극용 기판은 투명전도층(220)과 촉매전극(230)을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전극용 기판(100,200) 위에는 집전극 역할을 하는 금속 그리드(140,240)와, 이 금속 그리드(140,240)가 전해질(300)과 접촉함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 그리드 보호막(150,250)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작동전극은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 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태양광과 마주하게 되는 면(즉, 입사면)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한 형상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는 작동전극용 기판(100)을 책받침형 돋보기의 원리를 응용한 프레넬 렌즈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하는 것도 태양광 집적에 도움이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동전극용 기판(100)은 표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101)를 태양광을 마주하게 되는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 구조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시 태양광을 마주하게 되는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일면 혹은 양면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101)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태양광의 입사율과 입사 면적을 증대시켜 태양광을 집적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여기서, 볼록부(101,203)는 전극용 기판(100,200)의 표면에서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볼록부(101)는 좌우 너비(혹은 직경) 1㎛ ~ 10㎝ 범위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록부(101)의 너비와 높이(혹은 상하 높이)의 비율은 0.5~10:1 로 함이 바람직하다.
만약 볼록부(101)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작동전극(혹은 반도체 산화물 전극)의 광집적 효과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작동전극의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과 상대전극의 촉매전극(230)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구조를 형성함이 발전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볼록부(101) 형상에 따라 작동전극을 마주하는 상대전극용 기판(200)의 일면(작동전극에 인접한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하게 파인 형상(오목부)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작동전극용 기판의 볼록부(101)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대전극용 기판(200)의 오목부(201)가 대치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목부(201)의 크기는 볼록부(101)와 동일하게 제조한다.
물론, 상기 상대전극용 기판(200)은 작동전극에 인접한 일면을 오목하게 파인 형상 없이 평면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대전극은 작동전극에 인접한 상대전극용 기판(200)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볼록부(203)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때에도 상대전극의 촉매전극(230)과 작동전극의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 간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볼록부(203)를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볼록부(101)와 대향되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금속 그리드(140,240)와 금속 그리드 보호막(150,250)은 볼록부(101,203) 또는 오목부(201)가 아닌 평판부(전극용 기판(100,200) 중 평평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나, 이는 예시일 뿐 볼록부(101,203)나 오목부(201)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금속 그리드(140,240)와 금속 그리드 보호막(150,250)이 볼록부(101,203), 오목부(201) 또는 평판부 중 어디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든 대향되는 작동전극과 상대전극(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과 촉매전극(230))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고려하여 제조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전극은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양면 모두에 다수의 볼록부(101)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대전극은 작동전극에 인접한 상대전극용 기판(200)의 일면에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볼록부(101)에 대향하는 오목부(201)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작동전극용 기판(100)은 양면 모두에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101)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 구조로 형성되며, 상대전극용 기판(200)은 작동전극에 인접한 면에 상기 볼록부(101)에 대치되는 오목부(201)를 가진 구조로 형성된다.
도 2와 도 3의 실시예에서, 상대전극은 평판 구조로 형성되고, 작동전극은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양면 모두에 하나 이상의 볼록부(101)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거나(도 2 참조) 또는 상대전극과 비인접하는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일면에만 하나 이상의 볼록부(101)를 갖도록 형성된다(도 3 참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과 촉매전극(23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 2의 실시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작동전극의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은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볼록부(101) 위에 형성되어 지지되되 그 표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마스크(400)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공정 상 편리하다.
예컨대, 제작한 마스크(400)를 작동전극의 투명전도층(120) 위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스프레이 코팅기(410)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의 표면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코팅 공정의 한 예로서, 스프레이 코팅법 뿐만 아니라 스크린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 상용화된 모든 코팅 공정을 적용하여 제조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전극은 작동전극에 인접하는 상대전극용 기판(200)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볼록부(203)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작동전극은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양면에 하나 이상의 볼록부(101)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거나(도 5 참조) 혹은 상대전극과 인접하지 않는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일면에만 하나 이상의 볼록부(101)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다(도 6 참조).
여기서, 상대전극용 기판(200)의 볼록부(203)는 작동전극용 기판(100)의 볼록부(101)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대전극의 촉매전극(230)과 작동전극의 반도체 산화물 후막(130)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태양광 집적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와 (b)는 상기 작동전극용 기판(100) 또는 상대전극용 기판(200)에 형성한 볼록부(101,203)에서 태양광의 집적 구조를 보여주며, 도 7의 (c)는 앞서 언급한 볼록부(101,203)에서 태양광의 집적을 위한 바깥 부분만을 남겨놓고 내부의 불필요한 부분을 깎아 제거한 것으로, 이와 같이 볼록부(101,203)는 그 내부를 깎아서 제거하여 내부가 빈 중공 타입으로 형성되어도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면적을 증대시키는데는 무방하다.
또한, 도 7의 (d)는 작동전극용 기판(100) 또는 상대전극용 기판(200)에 형성한 볼록부(101,203)를 주지된 프레넬 렌즈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한 예로서, 프레넬 렌즈 형상의 볼록부는 기준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조각들을 연결하여 형성되며 태양광을 집적하는데 있어서 전술한 볼록부(101,20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프레넬 렌즈는 집광렌즈 중 하나로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몇 개의 띠 모양으로 나누어 각 띠에 프리즘작용을 가지게 하여 수차를 작게 한 것으로, 볼록렌즈와 같은 작용을 하되 그 두께를 얇게 줄인 렌즈라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작동전극용 기판(100) 또는 상대전극용 기판(200)에 형성한 볼록부(101,203)는 도 7의 (d)와 같은 프레넬 렌즈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책받침형 돋보기와 같은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물론 모든 광전변환 소자에 적용 가능하며, 전극용 기판(100,200) 소재로는 유리 뿐만 아니라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 등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조된 전극용 기판(100,200)을 사용하면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 면적의 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이로 인해 발전 효율이 증가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 루프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 타입의 기판을 사용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경우 차량의 루프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채택한 자동차용 선루프의 제작은 물론이고, 기타 자동차용 유리, 예를 들면 윈드실드 글래스, 도어 글래스 등 차량에서 유리가 사용되는 모든 부분에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병렬구조 (parallel type)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W-타입 및 Z-타입 등 어떠한 모듈 구조를 사용해도 무방하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사용 가능한 구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극용 기판은 예로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정 온도를 고려하면 유리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곡면이나 평면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이를 자동차 루프에 적용하는 경우라면 자동차 루프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형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0 : 작동전극용 기판
101 : 볼록부
110 : 배리어층
120 : 투명전도층
130 : 반도체 산화물 후막
140 : 금속 그리드
150 : 금속 그리드 보호막
200 : 상대전극용 기판
201 : 오목부
203 : 볼록부
220 : 투명전도층
230 : 반도체 산화물 후막
240 : 금속 그리드
250 : 금속 그리드 보호막
300 : 전해질
400 : 마스크
410 : 스프레이 코팅기

Claims (8)

  1. 빛을 흡수하여 생성된 전자를 외부회로로 이동시키는 작동전극과 외부회로를 통해 전자를 받아 전해질을 환원시키는 상대전극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전해질이 주입되어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작동전극은 태양광을 마주하게 되는 작동전극용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태양광의 입사율 및 입사면적을 증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전극은 작동전극과 인접한 상대전극용 기판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작동전극용 기판의 볼록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전극은 작동전극과 인접한 상대전극용 기판의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전극은 작동전극과 인접한 상대전극용 기판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이 볼록부는 작동전극용 기판의 볼록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내부가 빈 중공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6.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프레넬 렌즈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7.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1㎛ ~ 10㎝ 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너비와 높이의 비율은 0.5~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KR1020100104959A 2010-10-26 2010-10-26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KR20120043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959A KR20120043592A (ko) 2010-10-26 2010-10-26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959A KR20120043592A (ko) 2010-10-26 2010-10-26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592A true KR20120043592A (ko) 2012-05-04

Family

ID=4626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959A KR20120043592A (ko) 2010-10-26 2010-10-26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35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898B1 (ko) * 2013-05-03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80174763A1 (en) * 2015-05-14 2018-06-21 Showa Co., Ltd. Dye-sensitized solar cell having counter electrode that is provided with collector electrode
KR20200075596A (ko) * 2018-12-18 2020-06-26 한국전기연구원 광포집층과 패턴이 형성된 광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898B1 (ko) * 2013-05-03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80174763A1 (en) * 2015-05-14 2018-06-21 Showa Co., Ltd. Dye-sensitized solar cell having counter electrode that is provided with collector electrode
KR20200075596A (ko) * 2018-12-18 2020-06-26 한국전기연구원 광포집층과 패턴이 형성된 광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6160A1 (en) Thin-film solar cel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20118367A1 (en) Non-planar/curved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53081A (ko) 자동차용 태양전지 선루프
KR20120062431A (ko) 태양전지
KR20120117409A (ko) 창문 통합형 태양 전지 모듈
ITMI20100614A1 (it) Cella fotovoltaica, in particolare per applicazioni architettoniche integrate, e metodo di fabbricazione di tale cella
US20120234371A1 (en) Incident angle dependent smart solar concentrator
KR20210025282A (ko) 3차원 투명 태양전지 제조방법
KR20120043592A (ko) 광집적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189578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KR102233877B1 (ko)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435396Y (zh) 太阳能电池板
TW201314935A (zh) 太陽能電池封裝結構
US20170186903A1 (en) Transparent solar cell and rear-reflective transparent solar cell module having the same
CN201853724U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
KR101108996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결합된 리어 스포일러
KR102379143B1 (ko) 태양전지,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4934385B2 (ja) 線状集光レンズ、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素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線状集光レンズの製造方法、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470255B1 (ko) 태양전지 패널 구조체
EP2339597A2 (en) Dye sensitized solar cell
KR20190000158U (ko) 도로표면 발전 어셈블리
CN219800869U (zh) 背接触太阳能电池、电池组件和光伏系统
KR100972115B1 (ko) 플렉시블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91384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5058B1 (ko) 태양전지 커버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