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260A -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260A
KR20120043260A KR1020100104467A KR20100104467A KR20120043260A KR 20120043260 A KR20120043260 A KR 20120043260A KR 1020100104467 A KR1020100104467 A KR 1020100104467A KR 20100104467 A KR20100104467 A KR 20100104467A KR 20120043260 A KR20120043260 A KR 20120043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nozzle
melting furnace
outle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354B1 (ko
Inventor
박진섭
서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0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3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16Closures stopper-rod type, i.e. a stopper-rod being positioned downwardly through the vessel and the metal therein, for selective registry with the pouring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조업 중에 용강의 탕면에 공급되는 플럭스를 주형 외부에서 미리 용융시켜서 주형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는 주형에 주입되는 플럭스를 용융시키는 장치로서, 플럭스를 용융시키고, 측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융로와; 상기 용융로의 배출구에 장착되고, 용융된 플럭스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가 구비되며, 용융된 플럭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출구노즐과; 일측이 상기 출구노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이 주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입노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Outlets nozzl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melt mold flux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주조 조업 중에 용강의 탕면에 공급되는 플럭스를 주형 외부에서 미리 용융시켜서 주형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공정에서는 용강이 몰드 내에서 응고될 때 윤활, 보온, 개재물 부상분리 및 생성된 기체의 포집을 목적으로 몰드 플럭스가 상온 상태에서 용강의 탕면으로 투입된다. 이때 불가피하게 몰드 상부의 탕면에서 냉각이 일어나 매니스커스부의 온도가 저하되고 후크가 과도하게 성장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탕면이 불규칙하게 응고하며 개재물 부상분리 및 생성된 기체의 포집이 방해되고, 주편의 오실레이션 마크 깊이가 증가하여 표면품질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온 상태에서 투입되는 몰드 플럭스 내의 수분으로 인하여 용강 내로 수소와 같은 가스가 이동하고 이 가스가 응고 중 주형과 응고셀 사이에 구속되어 최종 제품의 표면 품질을 악화시키는 문제점도 유발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몰드 플럭스를 주형의 외부에서 용융시킨 상태에서 주형 내부로 투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이러한 제안은 몰드 플럭스를 별도로 용융시키는 용융로와 용융로에서 용융된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형으로 주입시키는 주입관을 구비하여서 구현되었다.
주입관은 용융로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용융 몰드 플럭스가 일정하게 주입관 상부에 떨어지도록 제공되었으나 용융로의 출구를 통과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가 대기와 접촉하면서 온도가 하락되어 점진적으로 출구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용융로의 출구가 완전히 막히거나 완전히 막히지 않더라도 출구에 응고된 몰드 플럭스가 존재함에 따라 용융 몰드 플럭스의 주입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주입관의 외부로 떨어져 몰드 플럭스의 손실이 발생하거나 조업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몰드 플럭스를 주형의 외부에서 용융시키고, 용융된 몰드 플럭스의 온도 저하 없어 주형까지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용융로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가 주입노즐로 배출될 때 용융로의 출구노즐에서 용융 몰드 플럭스가 응고되어 출구노즐을 막거나 주입류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융로의 출구노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구노즐은 플럭스를 용융시키는 용융로의 출구에 설치되는 출구노즐로서, 내화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양단이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와; 상기 유로에 인접하도록 상기 노즐 본체에 내장되는 가열히터와; 상기 노즐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노출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 본체의 일단에는 용융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타단에는 유로를 연장하면서 용융된 플럭스의 배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보조노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는 상기 노즐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는 주형에 주입되는 플럭스를 용융시키는 장치로서, 플럭스를 용융시키고, 측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융로와; 상기 용융로의 배출구에 장착되고, 용융된 플럭스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가 구비되며, 용융된 플럭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출구노즐과; 일측이 상기 출구노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이 주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입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출구노즐에는 용융된 플럭스의 배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보조노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용융된 플럭스의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가열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주입노즐은 일측의 상부에 상기 출구노즐에서 낙하되는 용융된 플럭스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의 측부 또는 하부에 용융된 플럭스가 주형으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노즐에는 용융된 플럭스를 보온하는 보온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융로를 경동시키는 경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경동수단은 상기 용융로를 지지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중간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하우징의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경동되도록 지지하는 경동축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적어도 일측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하우징의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경동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용융로 및 주입노즐이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하부에 복수의 바퀴가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노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융로에서 용융되어 배출되는 몰드 플럭스의 온도를 제어함에 따라 출구노즐에서 몰드 플럭스에 의한 노즐 막힘을 방지하여 연속주조 전 과정에서 안정적인 조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용융로의 출구노즐에 용융 몰드 플럭스의 주입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보조노즐부를 형성함에 따라 용융 몰드 플럭스의 비산을 방지하여 몰드 플럭스 비산에 따른 조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출구노즐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출구노즐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출구노즐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출구노즐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명을 위하여 연속 주조공정 시 주형(10)의 내부에 공급되는 몰드 플럭스(PF)를 주형(10)의 외부에서 용융시켜 공급하는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는 몰드 플럭스의 공급에 한정되는 장치가 아니라, 공급 전에 용융이 필요한 다양한 플럭스 형태의 재료를 용융시켜 공급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는 몰드 플럭스(PF)를 용융시키고, 측부에 배출구(110)가 형성되는 용융로(100)와; 상기 용융로(100)를 경동시키는 경동수단(200)과; 상기 용융로(100)의 배출구(110)에 장착되고, 용융된 몰드 플럭스(LF)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320)가 구비되며, 용융된 몰드 플럭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30)가 구비되는 출구노즐(300)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경동수단(200)이 설치되는 이동수단(400)과; 일측이 상기 출구노즐(30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수단(400)에 설치되고, 타측이 주형(10)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입노즐(500)을 포함한다.
용융로(100)는 주형(10)의 탕면 상부에 투입되는 몰드 플럭스(PF)를 주형(10)의 외부에서 용융시키는 수단으로서, 상부에는 몰드 플럭스(PF)를 투입하는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캡(120)이 구비되고, 일측 측부에는 상기 배출구(1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융로(100)는 몰드 플럭스(PF)를 용융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용융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가열식 용융로 또는 가스 버너 가열식 용융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융로의 측부에 복수의 가스 버너(101)가 설치되는 가스 버너 가열식 용융로를 채택하였다.
경동수단(200)은 상기 용융로(100)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LF)를 주입노즐(500)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용융로(100)를 기울이는 동작(이하, "경동"이라 칭함)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용융로(100)를 지지하는 지지하우징(210)과; 상기 지지하우징(210)의 중간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하우징(210)의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경동되도록 지지하는 경동축(220)과; 상기 지지하우징(210)의 적어도 일측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하우징(210)의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경동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하우징(210)은 상기 용융로(100)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용융로(100)의 하부와 측부를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지지하우징(210)은 제시된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용융로(100)의 형상 및 용융로(100)의 가열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경동축(220)은 상기 지지하우징(210)의 하부 영역을 지지하여 지지하우징(210)을 일측 방향으로 기울일 때 경동의 중심이 되는 축이다. 이때 상기 경동축(220)은 양단이 베어링박스(230)에 지지되어 베어링박스(230)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경동축(220)의 외주면 중 일부분은 상기 지지하우징(210)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경동축(220)이 회전될 때 지지하우징(210), 즉 용융로(100)가 경동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박스(230)는 후술되는 이동수단(400)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1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410a)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하우징(210)의 전방 및 후방의 하부 영역에 각각 전방 스토퍼(413) 및 후방 스토퍼(415)가 입설된다. 이때 전방은 도면에서 출구노즐(300)이 구비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캡(120)이 구비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상기 전방 스토퍼(413)는 후방 스토퍼(415)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방 스토퍼(413)는 지지하우징(210), 즉 용융로(100)가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배출을 위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기울기의 최대값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스토퍼(415)는 용융로(100)가 평행할 수 있도록 용융로(100) 후방의 기울기 최대값을 제한한다.
상기 경동구동부(24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 또는 설치 플레이트(410a)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하우징(210)의 후방 영역을 승강시켜 용융로(100)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수단으로서, 지지하우징(210)을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린더(241)를 채택하여 실린더(241)의 로드(243)를 지지하우징(210)의 후방 하면에 연결하고 실린더(241)를 동작시켜 로드를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동작에 의해 지지하우징(210)을 경동시킬 수 있다.
출구노즐(300)은 상기 용융로(100)의 배출구(110)에 장착되어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온도 및 주입류(이하, 출구노즐(300)을 통하여 주입노즐(500)로 낙하되는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흐름을 "주입류"라 칭함.)의 방향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내화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양단이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310)와; 상기 유로(311)에 인접하도록 상기 노즐 본체(310)에 내장되는 가열히터(320)와; 상기 노즐 본체(310)를 관통하여 상기 유로(311)에 노출되는 온도센서(33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 본체(310)는 내부에 상기 유로(311)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일단에 용융로(100)에 연결되는 연결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본체(310)의 타단에는 유로(311)를 연장하면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배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보조노즐부(3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로(311)는 상기 노즐 본체(310)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출구노즐(3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한다.
상기 보조노즐부(340)는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주입류가 주입노즐(500)을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수단으로서, 내화물로 형성되고,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깔대기를 절반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단면이 "V"자 또는 "U" 형상을 갖는 상부 개방형 노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열히터(320)는 상기 노즐 본체(310)에 내장되어 출구노즐(300) 내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온도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노즐 본체(310)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LF)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백금 히터가 유로(311)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 본체(310)에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가열히터(3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드(321) 및 리드 단자(323)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가열히터(320)는 백금 히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노즐 본체(310)를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330)는 상기 노즐 본체(310)의 유로(3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노즐 본체(310)를 관통하여 유로에 노출되는 내열튜브몰드 플럭스(PF)와 상기 내열튜브(331)에 내장되는 열전대(333)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온도센서(330)도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되는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수단(400)은 상기 용융로(100) 및 경동수단(200)이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하부에 복수의 바퀴(411)가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400)은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에는 상기 베어링박스(230), 전방 스토퍼(413) 및 후방 스토퍼(415)가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410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주입노즐(500)은 상기 용융로(100)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LF)가 출구노즐(300)을 통하여 배출될 때 이를 주형(10)의 탕면 상부에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일측의 상부에 상기 출구노즐(300)에서 낙하되는 용융된 몰드 플럭스(LF)가 주입되는 주입구(510)가 형성되고, 타측의 측부 또는 하부에 용융된 몰드 플럭스(LF)가 주형(10)으로 토출되는 토출구(5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노즐(500)에는 용융되어 이송되는 몰드 플럭스(LF)를 보온하는 보온커버(5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온커버(530)에는 주입노즐(500)을 가열하는 히팅수단(53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노즐(500)을 이동수단(4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수단(400)의 베이스 플레이트(410) 또는 설치 플레이트(410a)에는 상기 주입노즐(500)의 일측영역과 중간영역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20)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는 상기 온도센서(330)에서 측정되는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가열히터(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한다. 그래서, 상기 온도센서(330)에서 실시간에 측정되는 용융되어 출구노즐(300)을 통과하는 몰드 플럭스(LF)의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히터(320)의 작동 정도를 제어하여 용융된 몰드 플럭스(LF)가 항상 일정한 온도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히터(320)에 의해 출구노즐(300)이 가열되도록 함에 따라 용융된 몰드 플럭스(LF)가 출구노즐(300)의 노즐 본체(310)에서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에는 상기 온도센서(330)에서 측정된 온도를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용융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41)를 작동시켜 용융로(100)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주입노즐(500)의 토출구(520)가 주형(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본 장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용융로(100)의 캡(120)을 열고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몰드 플럭스(PF)를 용융로(100)에 장입한 다음, 캡(120)을 닫고 몰드 플럭스(PF)를 용융을 시작한다. 이렇게 일련의 과정을 거쳐 몰드 플럭스(PF)를 완전히 용융시킨다. 이때 출구노즐(30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캡 또는 밸브에 의해 닫혀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몰드 플럭스(PF)의 용융이 완료되었다면 연속 주조 공정이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실린더(241)를 작동시켜 지지하우징(210), 즉 용융로(100)의 후방을 상승시켜 출구노즐(300) 방향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용융로(100)를 경동시킨다. 그리고 출구노즐을 닫고 있던 캡을 제거하거나 밸브를 오픈하여 용융된 몰드 플럭스(LF)가 출구노즐(300)을 통하여 주입노즐(500)의 주입구(510)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때 용융된 몰드 플럭스(LF)는 출구노즐(300)의 단부에 형성된 보조노즐부(340)의 가이드를 받아 주입노즐(500)의 주입구(510)로 정확하게 주입된다. 이렇게 주입노즐(500)의 주입구(510)로 주입된 용융된 몰드 플럭스(LF)는 주입노즐(500)을 따라 이송되어 토출구(520)를 통하여 주형(10)의 탕면 상부로 토출된다.
이때 출구노즐(300)에 설치된 온도센서(330)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출구노즐(300)에 설치되는 가열히터(320)의 작동 정도를 제어함에 따라 용융된 몰드 플럭스(LF)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가열히터(320)에 의해 출구노즐(300)이 가열되어 용융된 몰드 플럭스(LF)가 출구노즐(300)의 노즐 본체(310)에서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10: 주형 100: 용융로
200: 경동수단 210: 지지하우징
220: 경동축 240: 경동구동부
300: 출구노즐 310: 노즐 본체
320: 가열히터 330: 온도센서
340: 보조노즐부 400: 이동수단
500: 주입노즐 600: 제어부

Claims (11)

  1. 플럭스를 용융시키는 용융로의 출구에 설치되는 출구노즐로서,
    내화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양단이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와;
    상기 유로에 인접하도록 상기 노즐 본체에 내장되는 가열히터와;
    상기 노즐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노출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출구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일단에는 용융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타단에는 유로를 연장하면서 용융된 플럭스의 배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보조노즐부가 형성되는 출구노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노즐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출구노즐.
  4. 주형에 주입되는 플럭스를 용융시키는 장치로서,
    플럭스를 용융시키고, 측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융로와;
    상기 용융로의 배출구에 장착되고, 용융된 플럭스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가 구비되며, 용융된 플럭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출구노즐과;
    일측이 상기 출구노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이 주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입노즐을 포함하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구노즐에는 용융된 플럭스의 배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보조노즐부가 형성되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용융된 플럭스의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가열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주입노즐은 일측의 상부에 상기 출구노즐에서 낙하되는 용융된 플럭스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의 측부 또는 하부에 용융된 플럭스가 주형으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입노즐에는 용융된 플럭스를 보온하는 보온커버가 설치되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를 경동시키는 경동수단을 포함하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동수단은
    상기 용융로를 지지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중간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하우징의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경동되도록 지지하는 경동축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적어도 일측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하우징의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경동구동부를 포함하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용융로 및 주입노즐이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하부에 복수의 바퀴가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노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KR1020100104467A 2010-10-26 2010-10-26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KR101315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67A KR101315354B1 (ko) 2010-10-26 2010-10-26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67A KR101315354B1 (ko) 2010-10-26 2010-10-26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260A true KR20120043260A (ko) 2012-05-04
KR101315354B1 KR101315354B1 (ko) 2013-10-08

Family

ID=4626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467A KR101315354B1 (ko) 2010-10-26 2010-10-26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97B1 (ko) * 2013-03-29 2014-10-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롤 주조용 용탕주입장치
KR101876188B1 (ko) * 2017-10-17 2018-07-10 (주)파인엔클린 고순도 아연 회수 및 주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3052A (ja) * 1990-10-05 1992-05-18 Sumitomo Metal Ind Ltd 連鋳用モールドパウダーの加熱供給方法・装置
JPH067908A (ja) * 1992-06-24 1994-01-18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装置への溶融パウダ添加装置
KR101114422B1 (ko) * 2008-12-24 2012-02-22 글로벌텍 주식회사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97B1 (ko) * 2013-03-29 2014-10-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롤 주조용 용탕주입장치
KR101876188B1 (ko) * 2017-10-17 2018-07-10 (주)파인엔클린 고순도 아연 회수 및 주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354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0036B2 (en) Launder for casting molten copper
KR101114422B1 (ko)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방법
KR101315354B1 (ko)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CN112912679A (zh) 熔化炉
US7563406B2 (en) Device for supplying casting installations with molten metal
US5567378A (en) Molten metal holding furnace and method of holding molten metal within the same
AU608152B2 (en) Refractory-gas permeable bubbling plug
KR100802477B1 (ko)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US64744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a melt, preferably of a steel melt during continuous casting
KR101076279B1 (ko) 필터 가열장치가 장착된 진공 용해로
KR101219608B1 (ko) 몰드 플럭스 온도 보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1367301B1 (ko)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1075915B1 (ko)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의 예열 장치
KR101969113B1 (ko) 용강 처리장치
CN113735420A (zh) 流槽装置和流槽温度的控制方法
KR101404802B1 (ko) 비철금속 용탕용 용해로 장치
KR101271958B1 (ko) 용융 장치
KR101977359B1 (ko) 주조장치
US7379663B2 (en)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and process
KR100846423B1 (ko) 빌렛 주조 장치
JP5076693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207332B1 (ko) 플럭스 용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해 방법
KR101373113B1 (ko) 원료 용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용해 방법
US5341394A (en) Furnace for melting materials with low melting point with improved casting duct
KR101909511B1 (ko)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