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828A - 흐르는 물로부터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워터 휠 또는 터빈을 결합하는 잠수형 장치 - Google Patents

흐르는 물로부터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워터 휠 또는 터빈을 결합하는 잠수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828A
KR20120042828A KR1020127000104A KR20127000104A KR20120042828A KR 20120042828 A KR20120042828 A KR 20120042828A KR 1020127000104 A KR1020127000104 A KR 1020127000104A KR 20127000104 A KR20127000104 A KR 20127000104A KR 20120042828 A KR20120042828 A KR 2012004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flow
water
attachment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론 카스콘 카르메로
Original Assignee
에너지 웨일테일터빈,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지 웨일테일터빈, 에스.엘. filed Critical 에너지 웨일테일터빈,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2004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03B17/063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the flow engaging parts having no movement relative to the rotor during its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3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4Casings, housings, nacelles, gondels or the like,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there with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which is vertically adjustable
    • F05B2240/915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which is vertically adjustable by being hi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7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ubmerge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Control Of Water Turbines (AREA)

Abstract

잠수형 장치는 흐르는 물로부터 에너지를 수득하기 위하여 워터 휠 또는 터빈의 부착을 위해 설계된다.
흐르는 물로부터 에너지를 수득하기 위하여 워터 휠 또는 터빈의 부착을 위해 설계된 잠수형 장치는 가변 깊이 및 흐름 방향을 갖는다. 이 장치는 터빈과 수류 사이에 장치를 최적의 입사 각으로 배치하고 터빈의 부착을 위해 장치의 경사를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가 제공되고, 기구를 사용하여 강바닥 또는 해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연결 영역으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터빈을 수용하기 위한 지점, 수득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연결되고, 흐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밀봉된 격실 내의 밀도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일련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흐름의 방향 및 중심의 안정화 및 배치를 돕는 특정 유체역학 형태를 가지며, 상기 형태는 평면도에서 항공기의 형태 및 프로파일 도에서 부메랑의 형태와 유사하다.

Description

흐르는 물로부터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워터 휠 또는 터빈을 결합하는 잠수형 장치{SUBMERSIBLE DEVICE FOR THE COUPLING OF WATER WHEELS OR TURBINES IN ORDER TO HARNESS ENERGY FROM FLOWING WATER}
잠수형 장치는 흐르는 물로부터 에너지를 수득하기 위하여 워터 휠(water wheel) 또는 터빈의 부착을 위해 설계된다. 하기에 기술된 본 발명은 깊이 및 흐름 방향을 가변하는 흐르는 물로부터 에너지를 수득하기 위하여 터빈 또는 워터 휠의 부착을 위해 설계된 장치이다. 본 발명은 해저 또는 강바닥에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우선적으로 기저에 고정되고 그 뒤 해저 또는 강바닥에 고정되는 피벗 기구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장치는 다가오는 흐름의 중심에서 직접 배향 및 안정화를 돕는 특정 유체역학 형태를 가지며 흐름 내에서 부착된 터빈의 가장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개시 각도를 형상하도록 의도된 일련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해류 내의 위치에 특히 접합한 임의의 유형의 수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 중 하나는 해류에 의해 생성되는 운동 에너지이다. 이 해류는 그 외의 다른 것들 중에 온도와 염도차이뿐만 아니라 조류의 영향에 의해 야기된다. 이들 효과는 조류가 땅으로 제한된 좁은 영역을 통과할 때 이의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증폭된다.
이러한 에너지를 포획하기 위한 주요한 방법 중 하나는 윈드 터빈과 유사한 운동 에너지 변환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양한 현존 기술들 중에, 흐름 속도가 가장 빠른 표류로부터 에너지를 포획하기 위한 일 기술은 이 경우에 수중에 설치된 윈드 터빈과 유사한 터빈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터빈 로터는 얕은 물 또는 깊은 수중 설치될 수 있는 적합한 계류 설비(mooring)를 포함한 플로팅 시스템을 사용하여 부유하거나 또는 사전준비된 해저 상의 구조물에 끼워맞춤된다. 풍력 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라, 로터의 두 가지의 주요한 유형이 해류에서 사용되며, 이 두 유형은 축방향 로터, 예를 들어, 수평 회전축을 갖는 프로펠러와 수직 회전축을 갖는 횡류 로터이다. 각각의 유닛의 작용 영역 내에서 흐름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은 유체의 밀도와 이의 속도에 비례한다. 물이 공기에 비해 850배 농후하고, 액체의 속도는 공기의 속도보다 낮기 때문에, 각각의 유닛의 작용 영역 내에서 흐름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은 윈드 터빈을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는 양보다 상당히 크다.
상당량의 에너지를 포함하는 이러한 흐름은 이의 가용성에 대해 항시 용이하게 예견될 수 있으며, 이들 흐름은 대안의 주기적으로 재생가능한 에너지 공급원에 비해 40 % 내지 60 %의 잠재적 생성 용량을 갖는다. 게다가, 잠수 시스템은 시각적 음향적 오염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 환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로터의 느린 회전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친다. 또 다른 장점은 잠수 시스템이 폭풍 피해로부터 보호되는 데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 US20020158472, US6109863, WO2008091172, WO2009004308, GB2441821, WO2009026620, US6472768, US4748808 및 GB2434410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해류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현존하는 다수의 장치가 있다.
전술된 특허 문헌의 대부분은 축류 터빈을 사용하며, 일부가 동일한 방향과 배향의 조절을 허용할지라도, 어떠한 것도 유체동역학을 이용하지 않는다. 제안된 해결방법에서, 횡류 터빈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게다가, 이들 시스템의 대부분은 또한 얕은 물에 설치되도록 설계되며, 반면 이 장치는 상당히 더 깊은 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다.
존재하는 기술 문헌의 이 보고서에 기술된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장점은 장치 형태 설계가 용이하게 확장축소가능하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데 있으며, 반면 전술된 장치는 축류 터빈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이의 크기가 상당하여 설계가 제한되기 때문에 가능성을 갖질 못한다.
존재 기술의 문헌에서 존재하는 시스템 대부분은 빈번한 보수를 요하는, 서로에 대한 움직임의 가변도에 따른 다수의 기구로 구성된다. 게다가, 잠수 보수의 비용은 또한 설비가 설치되는 깊이에 대해 증가된다. 제안된 장치는 덜 빈번한 보수를 보장하는 복잡한 기구를 요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현존 기술은 터빈의 설치 이전에 해저 공사(seabed engineering)를 요하며, 우리의 장치는 제어된 잠수 및 투입을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기 때문에 임의의 설비 없이 표면으로부터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전술된 해결 방법에 따른 기술적인 문제점은 흐름이 상당한 깊이에 있을 때 야기되며, 이 경우 방향, 높이 및 또한 흐름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지의 여부는 고려되어야 할 모든 변수이다. 적합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 유형의 흐름 내에서 터빈을 배향하는 것이 곤란하다.
하기는 특히 이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깊이와 방향이 변화하는 수류 흐름의 중심에 배향하기 위하여 상이한 유형의 터빈과 워터 휠이 부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 결과, 주요하게 이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에너지, 바람직하게는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며, 이러한 에너지는 제너레이터를 갖는 설치된 터빈의 조합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으로 재생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의 카테고리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는 깊이 및 흐름 방향이 변화하는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수득하기 위하여 유압식 터빈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신규한 잠수형 장치이다. 장치는 밸러스트 또는 초과 추를 통해 또는 해저 또는 강바닥에 직접 고정된 피벗 기구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장치는 다가오는 흐름의 중심에 직접 배향 또는 안정화를 돕는 특정의 유체역학적 형태를 갖는다. 또한 장치는 흐름 내에서 부착된 터빈의 가장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개시 각도를 형상하기 위해 전술된 장치를 제어 및 조작하는 시스템 및 드리프트(drift)를 특정하도록 의도된 일련의 전략적으로 배치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가상의 중심 설계에 대해 대칭인 대칭 및 다기능 몸체에 의해 형성되며, 본 발명의 각각의 다양하고 상이한 부분들은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부분은 하기 기능을 수행한다:
-설치를 위한 연결 지점의 제공.
-흐름 강도를 특정하기 위해 센서의 설치 공간 제공.
-흐름에 도달되도록 충분한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해 연결 지점으로부터의 충분한 거리에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제공.
-흐름 내에서 장치가 부유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위치에 대한 공간 제공.
이 장치의 상이한 형태는 흐름 내에서 장치의 특정 거동에 기여한다. 다양하고 상이한 형태는 다음을 따른다:
-프로파일 도(도 2 참조)의 부메랑과 평면도(도 3 참조)의 항공기를 닮은 장치의 유체역학적 형태는 배향과 안정성에 기여한다.
-터빈을 수용하는 디플렉터 영역(6)의 형태는 물을 터빈 로터로 향하게 함으로써 이의 성능을 최적화하는데 기여한다.
-흐름의 방향으로 터빈(8)에 대한 후방 요홈 구조의 영역(5)의 형태는 터빈의 움직임을 야기하는 난류의 효과를 최소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항공기의 날개(도 3 참조)와 유사한, 흐름에 대한 장치의 최후방 부분의 평평한 영역(3)의 형태는 특히 장치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터빈이 수용되는 상측 접합 표면(7)의 형태는 요홈 구조의 영역(5)의 보강에 기여하고, 또한 터빈(8)에 대한 노즐로서 기능을 한다.
장치의 전술된 구조 및 다기능 몸체는:
-해저에 설치되는 기구 또는 해저에 고정된 밸러스트에 대한 체결 또는 연결 지점(1)을 포함한다.
이 기구는 장치가 터빈의 부착부에 고정되는 지점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바람직하게 부분적인 회전 움직임과 동시에 동일한 지점에 대한 부분적인 수평 회전으로 구성되는, 2가지의 동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획득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흐름의 강도를 측정하는 일련의 장치.
-이 설계를 시스템의 유체역학적 형태로 통합하기 위하여, 만곡된 블레이드가 원형 섹터 형태로 부착되는 2개의 평행한 디스크로 구성된 로터를 갖는 유압식 터빈(바람직하게는 횡류(transverse flow))의 부착을 위한 일련의 지점.
-가스,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수용하는 일련의 밀봉된 격실.
-터빈에 대한 흐름의 최선의 가능한 개시 각도(angle of attack)에 따라 터빈을 배치하고,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경사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술된 밀봉된 격실 내에 가스의 밀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정 방법을 사용하는 일련의 장치.
장치 및 이의 재료는 접합(articulation)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전체, 바람직하게는 강성 구조 내로 조립될 수 있는 단일 부분 또는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구조물은 주위 환경의 부식제에 대해 보호하기 위하여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코팅될 수 있는 금속(합금 또는 이와는 달리)일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대형 장치 구현에 있어서 상당한 일관성이 구현된다. 또한, 임의의 종류의 액체 유체 또는 가스에 의해 점유된 공동 또는 고상 형태의 단일 금속 또는 합금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전체 체적의 밀도는 물의 밀도보다 낮은 것이 선호되며, 이는 장치의 서스펜션이 수류 흐름에서 터빈의 부착에 기여한다. 흐름의 방향으로 자체적으로 직접 배향되는 목적에 따라 장치의 형태에 기여하는 구조물의 일부 및 장치를 고려하자. 이들 부분의 형태와 표면은 흐름을 대향하는 부분의 표면 영역이 동일한 흐름에서 장치의 최후방 부분의 표면 영역보다 좁도록 해야 한다. 이 구조물은 흐름에 대한 프로파일 도에서 부메랑(도 2 참조) 및 평면도에서 항공기(도 3 참조)와 유사하다. 이의 동역학적 형태는 자체를 직접 흐름내로 배향시키는 이의 능력에 대해 기여한다(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목적에 따라 장치는 3가지의 개별적인 부분 또는 구역, 기구(25)에 대한 부착 및 연결을 위한 것, 일련의 밀봉된 격실(4)을 포함하는 또 다른 것, 및 바람직하게 횡류 유형인 유압식 터빈을 수용하기 위하여 둘(2) 사이의 또 다른 것으로 구성된 고유의 동역학적 형태를 갖는다.
부착 지점(1) 또는 연결로 인해, 장치는 기구(25)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부착될 것이다. 이는 선택된 피벗 기구(25)의 링크(9)를 수용하기 위한 적합한 치수 및 크기의 원통형 오리피스로 구성된다.
밀봉된 격실(4)의 용도는 해저에서 터빈을 특정 각도로 부착시키기 위해 장치의 서스펜션(suspension)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격실을 가스성 유체, 바람직하게는 공기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할 필요가 있다. 이들 격실의 전체 허용 체적은 움직임의 이용 및 변환을 위한 기구 및 터빈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서스펜션을 보장하도록 충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의 총 밀도는 이 시스템이 잠수되는 유체의 밀도보다 작아야 한다. 더 농후한 유체 내에서 잠수하는 동안 덜 농후한 체적이 유발되는 스러스트 작용의 표면과 수직 방향은 장치가 단일 지점에서 기저에 연결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흐름 내에서 부유하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류에 의해 시스템에 가해지는 스러스트 작용을 오프셋설정하도록 충분해야 한다.
장치의 가변 경사는 두 가지의 방식, 추가 또는 제거를 통해, 또는 이들 격실 내의 액체 유체의 교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의 밀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추가 또는 제거 방법은 내부의 가스를 비우지 않고 전술된 격실 내에서 액체 유체를 유입 또는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이유로 격실 내에 수용된 가스는 압력에 노출되어야 한다.
유체 교환 방법은 요건에 따라 더 높거나 낮은 밀도의 유체로 교환하기 위하여 전술된 격실을 차지하는 유체 전부 또는 일부를 비우는 것으로 구성된다.
양 방법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제 이 방법이 분석될 것인데,
1 . 추가 및 제거 방법: 밀봉된 격실은 이상적으로 대기 압력에서 가스(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충전될 것이며, 적합한 시스템이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외측에 위치되고, 튜브의 장착을 통해 압력 하에서 액체 유체(바람직하게 물)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유체의 체적은 일련의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행됨에 따라 격실은 압력이 증가될 것이다.
이는 또한 전술된 밀봉된 격실 내에 배열된 일련의 밸브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개방 및 밀폐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물의 공급은 흐름 자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방식으로 설비의 깊이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압력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방법에서, 유체는 유체를 전술된 외부 유닛으로 회수하는 튜브에 의해 또는 흐름 내로 직접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전술된 밀봉된 격실의 최하측 부분 내에 설치된 잠수형 전기 펌프를 사용하여 배출될 수 있다. 액체가 흐름 내로 배출된다면, 장치가 구현될 때 배치되는 깊이에 의존하여 필요한 힘을 지탱할 필요가 있다.
밀봉된 격실의 하측 표면의 다양한 지점에 위치된 직렬식 잠수형 펌프 및 보수 횟수를 최소화하고 고장의 경우 일부 백업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현 방법에서, 연속적인 가압 및 감압으로 인해 가스의 초기 체적이 줄어들 것이며, 이에 따라 배출되는 체적 가스를 재유입시키기 위해 전술된 격실의 고정된 부분에 압축된 공기 실린더를 설치하는 것이 선호된다.
2. 유체 교환 방법: 이 방법에서 밀봉된 격실은 설치 깊이 및 결과적인 수압에 의해 야기된, 동일한 격실의 외측에서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에서 가스, 바람직하게는 공기로 충전된다. 이는 압력의 조절 및 증가를 위한 장치의 시스템과 밀봉된 격실 내로 연결하는 설비에 압축된 가스를 공급하는 실린더를 필요로 한다. 가스성 유체는 압력을 증가시키고 전술된 실린더를 사용하며, 수류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공급을 자동적으로 변경시키는 밀봉된 격실 내에 배열된 일련의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구현되는 더 농후한 액체 유체의 대체에 의해 비워질 수 있다. 역 방법은 압력을 제어 및 증가시킴으로써 장치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린더로부터 밀봉된 격실까지 액체 유체가 수류 내로 배출될 것이다. 이 선택 사항은 압축된 가스를 수용하는 실린더의 용량에 따라 더 규칙적인 보수를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가스 실린더가 연속적인 충전 및 배출을 통해 점진적으로 감압될 것이기 때문이다.
밀봉된 격실 내에서 가스성 유체를 교체하기 위해 압력의 제어 및 증가를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의 설치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호되는 대안으로 압축된 가스성 유체를 비축 및 공급을 위한 외부 유닛으로 유체 교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밀봉된 격실에 대한 유체의 공급은 서비스 튜브를 통해 대응하는 제어 및 압축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 유닛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격실은 흐름과 접촉하는 하측 부분에 파이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이들 파이프 내에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가스성 유체의 배출은 유체를 회수하기 위한 서비스 튜브를 사용하여 전술된 유닛 내에 위치된 장치를 통해 구현되며, 더 농후한 액체 유체의 대체는 밀봉된 격실의 최하측 부분에 위치된 덕트를 통해 수행되며, 이는 물이 흐름으로부터 자동으로 배출되며, 이는 이 방식으로 밸브가 없기 때문이다. 액체 유체의 배출 공정은 전술된 유닛으로부터 서비스 튜브를 통해 이들 격실이 이의 최하측 섹션을 수용하는 덕트를 통하여 밀봉된 격실을 차지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필요한 압력에서 밀봉된 격실로 압축된 공기의 공급을 통하여 구현된다.
몇몇의 요인이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설치 깊이에 따라 밀봉된 격실에 대한 재료의 구조 및 선택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한다. 한 요인에 있어서, 외측 수압이 내측 압력을 견디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전체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상되어야 한다.
단일의 유닛으로서 밀봉된 격실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격실을 형성하는 벽을 보강하기 위해 내측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이 보강을 위한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인가되는 산화 및 압력을 충분히 견디는 또 다른 재료일 수 있다. 밀봉된 격실의 큰 전체 체적을 형성하기 위하여, 직렬식으로 상호연결된 격실을 사용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닛은 압력을 더 우수하게 견디기 위해 양 측면에 반-구형 로크(lock)를 갖는 원통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된 추가 및 제거 방법을 사용할 때, 이들 격실의 사용에 대해, 격실을 구성 및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는 물과 직접 접촉하여 전술된 격실의 벽에서의 내부 압력의 임의의 증가가 장치가 위치되는 깊이로 인해 외부 수압에 의해 오프셋 설정될 것이다. 해수용 흡입 밸브는 밀봉된 격실 내로 해양종 및 유기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흐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이는 해저에 대한 상이한 높이에서 흐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상의 전략적인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뒤, 전술된 목적에 따라 장치에 대해 최상의 위치를 수득하기 위하여 적합한 장치 및 결과적인 데이터를 사용한다. 터빈 로터의 기계적 움직임으로부터 수득된 에너지의 변환에 대해, 이 섹터가 적합한 방법을 제안할 수 있는 임의의 숙련가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전기 에너지의 생성 및 특히 전기 제너레이터의 위치에 대해, 이는 장치 구조물 내에 또는 상측에 배열될 수 있고, 특히 횡류 터빈의 경우 제너레이터는 터빈 로터 자체 내에 배치되는 것이 권고된다. 속도 승수기 시스템(speed multiplier system)이 필요하다면, 이는 장치의 대칭 및 가상 축에 대해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중 작용 또는 대칭을 구현하는 것이 선호된다.
상당한 깊이에 설치 시에 권고되는 밸러스트 또는 초과 추를 사용하는 기저를 이용하는 장치의 설치에 관해, 기저는 견고한 지지부를 제공하고 부착된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하기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필요한 추(weight)를 계산하기 위하여, 이의 추에 의해 생성된 벡터 힘, 이의 위에서 및 전체 장치상에서 흐름의 효과로부터 야기된 벡터 힘 및 이의 체적에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가스가 충전될 때 터빈의 부착에 대한 장치의 밀봉된 격실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 벡터 힘을 고려해야 한다. 추는 그 외의 다른 부분의 합보다 커야 한다.
지지부의 대해, 장치가 정확히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부는 피벗 기구(25)가 해면에 대해 수평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이러한 요건이 만족되도록 해저의 적합한 지점을 선택해야 한다. 해저가 불규칙적인 토포그래피를 갖는 지점에서 환경이 설치를 나타낼 때, 전술된 밸러스트 또는 추가 추는 이 기능을 수행하는 일부 유형의 제어된 기구에 따라 하측에 부착된 신장가능한 레그(16)와 끼워맞춤된다. 이 방식으로, 전술된 밸러스트는 이상적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피벗(25)을 사용하여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의 설비가 해저 또는 강바닥에 직접 고정될 때, 장치는 기구(25)로부터 이를 분리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이 절차는 특정 깊이까지 임의의 기술적 문제점이 야기되지 않아야 한다.
역으로, 장치(24)가 상당한 깊이에서 설치될 때, 우선 이 장치를 기저, 이에 따라 해저에서 부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장치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위치된 밸러스트의 지점에 연결된 케이블,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표면으로 보내질 수 있다. 이 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은 표면 부이(surface buoy)에 부착될 수 있으며, 케이블을 위로 끌어올림으로써 전체 장치가 표면으로 보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 및 그 외의 다른 가능한 방법으로부터, 물이 충전된 일련의 제어가능한 밀봉된 격실 또는 일련의 팽창가능한 및 인장 부이를 사용하는 기술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기술이 이용된다면, 필요한 체적은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유닛의 작동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이들 유닛은 압력에 대해 더 큰 저항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양 특면에 반-구형 로크를 갖는 원통형일 수 있다. 이들 유닛은 밸러스트 내의 하나 또는 몇몇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장 부이의 팽창은 압축된 용기 내에 수용된 가스의 배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밀봉된 격실 내에 수용된 물을 빼내기 위하여, 압축된 공기는 더 낮은 지점으로부터 물을 비워내는 격실의 최상부 지점으로부터 주입될 수 있다. 가스의 배출은 무선 제어부 또는 유사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더 선호될지라도, 통신 케이블을 통한 지시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압축된 가스를 배출하는 임의의 방식은 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그 외의 다른 설비를 사용하는 것이다.
전체 시스템의 표면에 대해 들어올림을 돕거나 또는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압축된 가스와의 대체 및 물의 배출을 통해 기저 내의 밀봉된 격실은 전체 시스템을 표면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흐름 내에서의 위치 및 설치 깊이로 인해 팽창성 벌룬-유형의 재료(28)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부착된 케이블,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스풀(19)을 제공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압축된 가스가 벌룬-유형의 재료 내로 주입됨에 따라 케이블,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표면으로 들어올려진다. 보트, 플랫폼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부터 메인 시스템의 들어올림은 이의 부착 및 복구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횡류 터빈을 포함하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흐름에 따르는 정면도.
도 2는 횡류 터빈을 포함하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흐름에 따르는 프로파일 도.
도 3은 횡류 터빈을 포함하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흐름에 따르는 평면도.
도 4, 도 5 및 도 6은 횡류 터빈을 포함하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흐름에 따르는 일련의 사시도.
도 7은 밀봉된 격실 중 하나의 형태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절단된,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만곡된 원형 형태의 블레이드가 부착되는 2개의 평행한 디스크로 구성된 로터를 포함하고, 횡류 터빈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밀봉된 격실이 위치되는 영역의 상승된 위치와 화살표로 표시된 더 낮은 상승된 위치인 두 위치에서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프로파일 도.
도 11은 터빈에 대한 영향과 디플렉터 영역(6)에서의 부분의 형태의 흐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기 위해, 도 10을 부분적으로 절단한 도면.
도 12는 흐름 선이 장치의 상이한 영역과 부분에 대해 도시되는, 장치의 결합 표면(7)의 형태와 터빈이 없는, 도 2의 평면도에 대응되는, 기준으로서 기저에 대해 표면을 취한,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최상측 섹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 도 14 및 도 15는 장치의 대안의 위치에서 터빈의 설치를 나타내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유형의 정면도, 프로파일도 및 평면도.
도 16은 강바닥 또는 해저에서 이용하기 위하여,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기구의 사시도.
도 17은 일부 밀봉된 격실을 수용하기 위한 내측 영역(17)과 지지 레그(16)의 분포가 도시될 수 있는, 밸러스트의 하측 부분의 사시도.
도 18은 밸러스트 또는 초과 추의 사시도.
도 19는 밸러스트 부분(17)을 설치하기 위하여, 일련의 밀봉된 격실(21)의 가능한 분포 및 배치의 사시도.
도 20은 기구(25)에 의해 밸러스트에 연결된,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에 의해 형성된 전체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장치의 들어올림을 돕고 제어하기 위하여 장치에 분포된 벌룬(28)이 도시될 수 있다.
다양한 가능 대안으로서,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선호되는 실시는 상당한 깊이에서 흐르며, 가변 깊이와 흐름 방향을 갖는 심해 해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득하기 위하여 규칙적이고 적절한 해저에 이의 장착으로 구성된다. 하기 요소들은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하다:
1. 밸러스트 또는 초과 추(excess weight, 26), 이의 형태와 중량은 해저에서 이의 고정성을 보장하기에 적합하다. 밸러스트는 피벗 기구(pivot mechanism, 25)의 위치를 위한 영역(23)을 포함한다. 또한 밸러스트는 전체 시스템을 해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하네싱 지점(harnessing point, 18)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밸러스트는 해저에 이의 고정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일련의 레그(16)를 포함한다. 밸러스트의 하측 부분에서 공간(17) 내에는 일련의 밀봉된 격실(21)이 배치되고, 이 격실은 바람직하게는 물이 충전되고 서로 연결되며, 내측의 물을 비우기 위해 상측 섹션으로부터 압축된 공기의 주입을 허용하는 원격제어식의 일련의 밸브가 제공된다. 밀봉된 격실(21)은 원통형 형태를 가지며, 측면 고정부(side lock)는 심해에서의 수압에 대해 우수한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반-구형 형태를 갖는다. 밀봉된 격실(21)은 일련의 파이프에 의해 압축된 공기 공급 시스템에 연결되고, 필요 량의 물을 배출시키도록 표면에 대해 설치된 전체 시스템을 들어올리기에 충분한 체적을 갖는다. 밸러스트(26)는 보수 작업을 위해 들어올리는 것을 돕거나 또는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단부가 팽창성 벌룬-유형의 장치(28)에 부착되고 트랙션(traction)에 대한 고-저항성 물질의 스트립이 감겨지는 스풀(spool, 19)로 구성되며, 압축된 공기가 주입될 때 상기 벌룬-유형의 장치에 의해 스트립은 들어올림 작업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고 수집될 수 있는 수면으로 들어 올려진다.
2. 일련의 베어링(11)을 포함하는 기구(10)에 의해 지지된, 회전축으로서 기능을 하기에 적합한 수평 샤프트(9)가 제공된 피벗 기구(25), - 샤프트 내에서 나사에 의해 기구에 고정됨 - .
이 전체 시스템은 수직 축으로서 기능을 하는 새로운 샤프트(12)에 결합되고, 전술된 것들에 대해 90°로 배향된 일련의 베어링(14)을 포함하는 유사한 기구(13)에 의해 지지된다. 밸러스트(26)에 대한 이 기구(25)의 고정은 나사(15)를 사용하여 수행될 것이다. 이 기구(25)에 따라 장치(24)는 이의 움직임에 있어서 2의 독립 자유도가 허용된다.
3. 항공기와 유사한 평면도(도 3 참조)와 부메랑과 유사한 프로파일 도(도 2 참조)에서 특정 유체역학적 형태를 갖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 장치(24)는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연결된 터빈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24)의 상이한 지점에서의 흐름 강도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지지 또는 연결 지점(1)을 포함한다. 장치(24)는 유압식 터빈(8)의 부착, 바람직하게 횡류(transverse flow)에 대해 필요한 것에 의존되는 지지 지점(2)과 일련의 개구를 가지며, 전체 시스템의 유체역학에 대한 통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만곡된 원형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2개의 평행한 디스크로 구성된 로터를 포함한다. 장치(24)는 가스,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공기에 의해 점유된 일련의 밀봉된 격실(4), 이 작용의 원격 제어를 위한 기구가 제공된 일련의 리프트(lift) 및 커팅-오프 밸브(cutting-off valve) 및 적합한 장치에 의해 외측 설비에 연결되도록 밸러스트 내의 위치에 도달되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를 통해 이동하고 밀봉된 격실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기인된 압축된 공기의 공급 및 회수를 위한 일련의 튜브를 포함한다.
4. 회전을 허용하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지점(2)에서의 물의 흐름에서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의 의도된 성능 및 전체 시스템의 유체역학에 대한 우수한 통합을 구현하기 위하여 만곡된 원형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2개의 평행한 디스크로 구성된 로터를 포함한, 횡류 유압식 터빈(8).
5. 장치의 유체역학을 유지시키고 시스템을 안정화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로터 자체 내에 통합될 수 있는 유형의, 터빈 내에 연결된 잠수형 전기식 제너레이터.
또한, 제너레이터에 연결된 보호된 설비는 적합한 장치에 의해 잠수형 전기 설비에 부착을 위한 목적으로 터빈을 밸러스트에 부착하기 위하여 장치를 통해 이동되는 것이 고려된다.
6. 전술된 전체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압축된 공기 공급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련의 장치로 구성된, 특수화된 전체 시스템 외측에 있는 설비.
7. 제너레이터로부터 전력 공급장치를 운반을 위해 제너레이터의 전기 설비에 연결된 잠수형 파워 라인.
터빈의 부착을 위해 장치의 설치 과정은 하기를 따른다.
침수(immersion)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준비
전체 시스템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이한 장치들이 연결되어야 하며, 전술된 피벗 기구(25)는 이 목적을 위해 특정된 섹션(23)에서 밸러스트 내에 장착되어야 한다.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는 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샤프트(9)에 의해 이 기구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 장치(24) 내에 터빈이 설치되고, 터빈은 내측 전기 제너레이터, 압축된 공기의 제공, 공급 및 회수를 위한 파이프 및 밸러스트 내에 배열된 각각의 연결 지점으로 제너레이터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라인을 포함한다. 고정 공정을 더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이들은 일부 유형의 체결구 또는 일부 유형의 도관 시스템을 사용하여 결합이 용이해진다.
전체 시스템의 침수
설치 준비가 완료되면, 전체 시스템의 위치에 대해 규칙적이고 적합한 표면에 따라 특정 해저 상의 지점에서 고정하는 침수 단계를 진행한다. 더 용이한 침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물을 밀봉된 격실에 충전하는 것은 제어될 수 있는데, 이는 전체 시스템의 중량으로 인해 더 낮은 저항에 따라 제어된 침수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침수는, 부착 기구(18)에 의해 밸러스트에 연결되고 원격 제어에 의해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한 기구에 일 단부에서 부착된, 트랙션에 대한 높은-저항력을 갖는 체인, 케이블 또는 스트립에 의해 전체 시스템을 조작 및 지지하기 위하여 크레인 또는 또 다른 시스템이 제공된 보트, 플랫폼,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부터 수행될 것이다.
장치가 고정되고 케이블,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밸러스트로부터 분리된다면, 고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밸러스트의 하측 부분(17)에 위치된 밀봉된 격실(21)에 물을 충전할 것이다.
그 뒤, 전술된 전체 시스템 및 터빈의 부착을 위한 전술된 장치는 해저에 도달되는 순간에 부합되는 하기 조건에 따라 작동될 것이다.
우선, 고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형태 및 지지에 따라 밸러스트에 하중을 제공한다. 둘째로, 수평 위치로 유지되는 밸러스트의 플랫폼(23) 내에 피벗 기구(25)가 적절히 설치된다. 셋째로,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는 샤프트(9)에 의해 이 기구(25)에 연결된다. 넷째로, 터빈과 제너레이터를 수용하는 장치(24)는 수중에서 부유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수류(water current)가 형성된다: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의 프로파일(도 2 참보)은 전방(도 1 참조)보다 더 넓은 표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흐름으로부터 더 큰 힘에 노출되고, 이로 인해 흐름 내로 이의 리딩 변부와 함께 직접적으로 위치를 채택할 것이다(도 1 참조).
이 장치가 이 위치에서 배향된다면(도 9 참조), 흐름 방향에 대해 몸체의 최후방 섹션의, 항공기 날개와 같은 평평한 영역(3)의 형태는 흐름에 대해 가장 큰 대항력을 제공할 것이며, 이에 따라 해저를 향하여 터빈의 부착을 위한 동일한 장치의 경사가 유발될 것이다(도 10 참조).
이 지점에서, 터빈은 흐름에서 배향되고 고정된다. 그 뒤, 만곡된 원형-형태의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2개의 평행한 디스크로 구성된, 로터에 대하여 흐름에 의해 전달된 힘은 터빈의 회전 움직임을 유발할 것이다.
전력 제너레이터에 대한 연결과 이 작용으로 인해, 전력이 공급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지면에 대한 대응하는 설치가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터빈의 회전 움직임은 전체 장치 몸체(24)에 의해 전달될 진동력을 유발할 것이다. 이 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당해 장치는 수류(water flow) 내의 힘의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하는(도 12 참조) 항공기 날개와 유사한, 최후방 섹션에서의 평평한 영역(3)의 전술된 형태로부터 이점이 제공된다.
그 뒤,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의 표면의 상이한 지점에서의 흐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시스템에 연결될 것이다. 이로부터, 이 데이터의 분석 및 기록에 따라 터빈의 방향으로 현 흐름 강도에 대한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의 경사의 최상의 각도가 측정될 수 있다.
그 뒤, 필요하다면, 경사각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밀봉된 격실(4) 내에서의 유체 교환 방법(fluid exchange method)을 사용하여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에 의해 해저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고 원하는 작동의 유형에 따라 하기 절차를 따를 것이다:
해저와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 사이의 경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장치의 밀봉된 격실(4) 내에 수용된 정확히 필요한 양의 압축된 공기를 대체할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적합한 및 요구된 장치에 의해 전술된 외측 유닛에 대한 밀봉된 격실의 상측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압축된 공기에 대해 서비스 튜브(service tube)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해수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액체 유체의 대체는 임의의 유형의 밸브 없이 밀봉된 격실의 하측 부분에 위치된 파이프에 의해 동시에 수행될 것이다.
해저와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 사이의 경사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정확히 필요한 양의 액체 유체가 장치의 밀봉된 격실(4)로부터 배출될 것이다. 이는 적합한 장치에 의해 전술된 외측 유닛과 밀봉된 격실의 상측 부분을 연결하는 압축된 공기를 위한 서비스 튜브를 사용하여 필요한 압력의 압축된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구현될 것이다. 동시에, 더 높은 밀도의 유체는 임의의 종류의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밀봉된 격실의 하측 부분에 위치된 파이프에 의해 바다로 배출될 수 있다.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의 들어올림
전체 시스템의 제어된 들어올림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조 및 제어 장치가 작동될 것이다. 이를 위해, 충분히 압축된 공기가, 장치를 수면으로 들어올리고, 밸러스트의 격실(22) 내에 위치된 스풀(19) 내에 감겨진 케이블을 트랙션에 대한 높은-저항력을 갖는 끌어당기는 필요한 장치가 위치되는 외측 유닛으로부터 밸러스트(26)의 격실(20) 내에 접혀지는 벌룬과 유사한 팽창성 장치(28)에 공급될 것이다. 표면상에서 케이블이 들어올림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수집될 것이다.
따라서, 압축된 공기의 공급 및 제어를 위해 필요한 장치가 밸러스트에 위치되는 외측 유닛으로부터, 일련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밀봉된 격실(21) 내에 충분한 압력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할 것이다. 전체 시스템 체적이 해수보다 덜 농후해질 때, 이는 표면 위로 상승되기 시작한다. 상승 속도는 전술된 외측 유닛으로부터 밀봉된 격실(21) 내의 압축된 공기의 공급 및 가용성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Claims (30)

  1. 터빈과 수류 사이에 장치(24)를 최적의 입사 각으로 배치하고 터빈의 부착을 위해 장치(24)의 경사를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가 제공되고, 유체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해 워터 휠 또는 터빈의 부착, 바람직하게 피벗 기구(25)를 사용하여 강바닥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잠수형 장치(24)로서,
    -기구(25)에 대한 지지 또는 연결 지점(1),
    -흐름에 도달되도록 특정 이동성을 허용하기 위하여 연결 영역(1)으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유압식 터빈을 수용하기 위한 일련의 지지 지점(2),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연결되고, 흐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
    -가스가 채워진 일련의 밀봉된 격실(4),
    -밀봉된 격실 내의 밀도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일련의 장치를 포함하고,
    -흐름의 방향 및 중심의 안정화 및 배치를 돕는 특정 유체역학 형태를 가지며, 상기 형태는 평면도에서 항공기의 형태 및 프로파일 도에서 부메랑의 형태와 유사하고,
    -가상 중심도에 대해 다기능의 대칭 형태와 구조의 몸체를 가지며, 모든 상이한 부분과 형태는 상이한 목적에 기여하고 상이한 작용을 수행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시스템은
    -물을 적절히 로터를 향하게 함으로써 터빈(8)이 인젝터로서 기능을 하도록 배치되는 물 흐름 방향 앞의 디플렉터 영역(5),
    -기인된 난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터빈(8)이 위치되는 물 흐름 방향 뒤의 요홈형 영역(5)
    -특히 안정화에 기여하도록 터빈(8)이 위치되는 물 흐름 방향 뒤의, 항공기 날개와 유사한 평평한 영역(3),
    -요홈형 영역(5)의 보강에 기여하도록 터빈(8)이 위치되고 동시에 터빈(8)을 위한 노즐과 같이 기능을 하는 영역 위의 결합 표면(7)을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피벗 기구(25)는 장치(24)가 움직임의 2의 독립적인 자유도를 갖을 수 있도록 수직한 2개의 로드(9, 12)를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밀봉된 격실을 차지하는 가스는 공기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밀봉된 격실은 내측 구조적 보강부의 벽을 갖는 단일의 공동으로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밀봉된 격실은 일련의 상호연결된 유닛으로 구성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유닛은 원통형 형태를 가지며, 고정 측면은 반-구형 형태를 갖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밀봉된 격실 내로 물의 투입 및 배출은 밸브가 필요 없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해수용 흡입 파이프는 밀봉된 격실 내로 해양종 및 유기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의 안정화를 돕거나 또는 중량의 경량을 목적으로 구조물의 또 다른 부분에 위치된 또 다른 밀봉된 격실이 제공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밀봉된 격실 내의 밀도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장치는 유체 교환 방법을 사용하는 유발시키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밀봉된 격실 내의 밀도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장치는 유체 첨가 및 제거를 위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압력의 증가 및 제어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 저장 및 압축 유닛은 설비의 외측 영역에 배치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흐름 강도의 측정을 위한 장치는 바로미터(barometer)인 장치.
  15.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터빈은 횡류 터빈인 장치.
  16.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터빈읜 축류 터빈(axial flow turbine)인 장치.
  17. 제15항 및 제16항에 있어서, 지지 영역(2)에 2개 이상의 터빈이 일렬로 배치되는 장치.
  18. 제15항 및 제16항에 있어서, 지지 영역(2)에 2개 이상의 터빈이 병렬로 배치되는 장치.
  19. 제15항 및 제16항에 있어서, 평평한 영역(3)에 2개 이상의 터빈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획득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연결된 일련의 유동 강도 측정 장치를 갖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주위 환경에서 부식 요소에 대해 보호하기 위하여 적합한 플라스틱 물질이 덮여질 수 있는 금속성 물질 구조가 사용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설치는 해저 또는 강바닥에서 직접 수행되는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해저 또는 강바닥에서의 장치의 설치는 밸러스트에 의해 수행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밸러스트(26)는
    -피벗 기구(25)의 배치를 위한 영역,
    -일련의 레그(16),
    -전체 시스템을 고정하기 위한 부착 지점(18),
    -몇몇의 밀봉된 격실 및
    -들어올림을 돕고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레그(16)는 밸러스트를 적합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신장가능한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밀봉된 격실은 물이 채워지며, 이의 상측 부분에서 전체 시스템을 표면으로 들어올리고 이 물을 비울 수 있도록 압축된 공기 공급 시스템에 연결되는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들어올림의 돕고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트랙션에 대한 높은-저항력을 갖는 스트립, 케이블 또는 체인이 감겨지고 단부에 팽창성 장치(28)를 갖는 스풀(19)를 포함하는 장치.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를 사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일련의 트랜스미션 기구를 통해 터빈에 의해 생성된 일을 이용하여 전기 제너레이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터빈의 부착을 위한 장치(24)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트랙션에 대한 높은-저항력을 갖는 스트립, 케이블 또는 체인에 의해 전체 시스템을 조작 및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 또는 시스템이 제공된 보트, 플랫폼,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부터 수행되며, 밀봉된 격실을 제어된 방식으로 물을 충전함으로써 침수 작업이 수행되는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터빈의 부착을 위해 장치를 표면(24)으로 들어올리는 방법으로서, 들어올리는 것을 돕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사용되며, 이 시스템이 표면에 도달 시에, 이 시스템은 픽업 및 들어올림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이한 밀봉된 격실 내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밀봉된 격실 내에 수용된 공기가 비워지고 전체 시스템이 들어올려지는 방법.
KR1020127000104A 2009-06-05 2010-06-01 흐르는 물로부터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워터 휠 또는 터빈을 결합하는 잠수형 장치 KR20120042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P200901375 2009-06-05
ES200901375A ES2372513B1 (es) 2009-06-05 2009-06-05 Dispositivo sumergible para acoplamiento de turbinas o ruedas hidráulicas para aprovechamiento energético del flujo de una corriente de agu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828A true KR20120042828A (ko) 2012-05-03

Family

ID=4329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104A KR20120042828A (ko) 2009-06-05 2010-06-01 흐르는 물로부터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워터 휠 또는 터빈을 결합하는 잠수형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2439402A4 (ko)
JP (1) JP2012528978A (ko)
KR (1) KR20120042828A (ko)
CN (1) CN102459867A (ko)
AU (1) AU2010255644A1 (ko)
BR (1) BRPI1010179A2 (ko)
CA (1) CA2766893A1 (ko)
CL (1) CL2011003042A1 (ko)
CO (1) CO6480982A2 (ko)
CU (1) CU20110226A7 (ko)
DO (1) DOP2011000370A (ko)
ES (1) ES2372513B1 (ko)
MA (1) MA33490B1 (ko)
MX (1) MX2011012855A (ko)
RU (1) RU2011154044A (ko)
WO (1) WO2010139818A1 (ko)
ZA (1) ZA2012000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2786A1 (fr) * 2013-03-01 2014-09-05 Edie Ecocinetic Dispositif de transformation d'energie hydrocinetique ou aerocinetique
EP3019739B1 (en) 2013-07-12 2018-03-07 Minesto AB Wing and turbine configuration for power plant
PE20220152A1 (es) 2019-03-08 2022-01-27 Big Moon Power Inc Sistemas y metodos para la generacion de potencia electrica de base hidroelectric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1696A (en) * 1946-01-12 1950-03-28 Wolfgang Kmentt Stream turbine
US4748808A (en) 1986-06-27 1988-06-07 Hill Edward D Fluid powered motor-generator apparatus
GB9322002D0 (en) * 1993-10-26 1993-12-15 Parker Limited Generating apparatus
US6109863A (en) 1998-11-16 2000-08-29 Milliken; Larry D. Submersible appar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associated method
GB2348249B (en) * 1999-03-01 2003-11-05 John Richard Carew Armstrong Buoyant water current turbine
US6472768B1 (en) 2000-09-26 2002-10-29 Darwin Aldis Salls Hydrokinetic generator
US6531788B2 (en) * 2001-02-22 2003-03-11 John H. Robson Submersible electrical power generating plant
GB2434410B (en) 2006-01-18 2009-09-16 Michael Torr Todman Underwater turbine mounting
US20080018115A1 (en) * 2006-07-20 2008-01-24 Boray Technologies, Inc. Semi-submersible hydroelectric power plant
GB2441821A (en) * 2006-09-13 2008-03-19 Michael Torr Todman Self-aligning submerged buoyant tidal turbine
RS20070022A (en) 2007-01-22 2008-08-07 Nenad Paunović Mobile underwater platform for exploitation of river and water steam flow energy
WO2009004308A2 (en) 2007-06-30 2009-01-08 John Richard Carew Armstrong Improvements in water turbines
WO2009026620A1 (en) 2007-08-24 2009-03-05 Fourivers Power Engineering Pty Ltd Marine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ocean currents
CN101344063B (zh) * 2008-08-20 2010-11-17 山东鱼台电力制造业有限公司 一种悬浮式潮涌发电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55644A1 (en) 2012-02-02
CN102459867A (zh) 2012-05-16
WO2010139818A1 (es) 2010-12-09
ES2372513A1 (es) 2012-01-23
DOP2011000370A (es) 2012-05-31
EP2439402A4 (en) 2013-04-10
CO6480982A2 (es) 2012-07-16
MA33490B1 (fr) 2012-08-01
CA2766893A1 (en) 2010-12-09
MX2011012855A (es) 2012-06-25
CU20110226A7 (es) 2012-06-21
WO2010139818A4 (es) 2012-01-12
EP2439402A1 (en) 2012-04-11
JP2012528978A (ja) 2012-11-15
BRPI1010179A2 (pt) 2017-08-15
ZA201200049B (en) 2012-09-26
CL2011003042A1 (es) 2012-06-22
RU2011154044A (ru) 2013-07-20
ES2372513B1 (es)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6406B2 (ja) 浮体式構造物及び浮体式構造物の設置方法
CN105102317B (zh) 可漂浮运输和安装结构、相关方法和漂浮式风力涡轮机
CN102947582B (zh) 海浪发电设备
EP3153399A1 (en) Floating substructure for a wind generato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PT1915528E (pt) Conversor de energia das ondas de flutuação livre
US20100164230A1 (en) Installation for harvesting ocean currents (IHOC) and methods and means for its delivery, installation and servicing
WO201420560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WO2007009192A1 (en) Power generation system
TWI812335B (zh) 具有流體供應總成的風力渦輪機
RU2150021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энергии возобновляющихся источников (варианты) и модуль энергостанции мощностью до мегават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20042828A (ko) 흐르는 물로부터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워터 휠 또는 터빈을 결합하는 잠수형 장치
WO200908830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equipment units in a body of water
US5197826A (en) Offshore gas flare system
CN212099278U (zh) 一种浅水自安装平台
KR101016456B1 (ko) 조류발전장치
KR20230062564A (ko) 유체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 및 방법
DK174463B1 (da) Bølgekraftanlæg
TW201620787A (zh) 電力平台
KR10141152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GB2456833A (en) Tilting wave energy device
EP3744971A1 (en) Water flow power generator
AU2006272373A1 (en) Power generation system
JP2024503133A (ja) 液圧機械エネルギー貯蔵およびエネルギー変換デバイス、ならびに駆動方法
CN113853335A (zh) 海水引入立管系统
WO2013117796A1 (es)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y mantenimiento de estructura flotante monolítica para soporte de aerogener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