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439A - 파우치용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파우치용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439A
KR20120042439A KR1020100104134A KR20100104134A KR20120042439A KR 20120042439 A KR20120042439 A KR 20120042439A KR 1020100104134 A KR1020100104134 A KR 1020100104134A KR 20100104134 A KR20100104134 A KR 20100104134A KR 20120042439 A KR20120042439 A KR 2012004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pout
injection body
powd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432B1 (ko
Inventor
김상순
이인술
Original Assignee
김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순 filed Critical 김상순
Priority to KR102010010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4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2Fertiliser distributors for hand 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용 스파우트, 특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납작한 형태의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을 뿌리기 위한 전용 용기의 기능을 가지며,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이 분말인 경우 이 분말이 토출되는 너비를 균일하게 하고 단위시간당 토출되는 분말의 양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본 발명은 분말을 내측에 담는 파우치의 개구된 일측부에 융착결합되어 파우치에 담겨진 분말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파우치(P) 개구부의 테두리에 융착결합되는 중공형의 융착부(10); 융착부(10)와 일체로 성형되어 파우치(P) 내측의 분말(R)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내측이 빈 형태로 이루어지되, 분말(R)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토출공(21)과, 분말(R)이 각각의 토출공(21)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쏠리도록 내측벽에 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리브(23)와, 토출공(21)을 통해 분말(R)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내외부를 통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토출공(21) 일측부로부터 절개된 슬릿부(25)를 포함하는 분사몸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우치용 스파우트{SPOUT FOR POUCH}
본 발명은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납작한 형태의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을 뿌리기 위한 전용 용기의 기능을 가지며,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이 분말인 경우 이 분말이 토출되는 너비를 균일하게 하고 단위시간당 토출되는 분말의 양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며, 또한 사용 후 남은 파우치 내용물을 밀봉 가능한 상태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파우치의 개구된 일측 모서리 일체로 융착결합된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용기는 대부분 납작한 형태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가장자리를 밀봉하여 만들어진 내부 공간에 음료, 세제, 섬유유연제 등의 액상, 젤,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포장 및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이 파우치 용기는 휴대가 간편하고 포장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유리병, 캔, 플라스틱 용기 등을 대체하여 리필용 용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파우치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모서리를 일부 절단하고, 그 절단부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이 분말인 경우, 특히 육묘나 모종을 위한 분말 비료, 분말 농약인 경우에 파우치 용기 모서리를 절단한 후, 육묘나 모종을 위한 전용 용기에 옮겨 담아 목적하는 대상체에 뿌리게 된다.
이처럼 파우치에 담긴 분말 비료, 분말 농약을 사용하기 위해 파우치 용기의 모서리를 절단하여 개봉된 후, 파우치 용기에 남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데 있어 밀봉이 용이하지 않아 내용물의 변질이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육묘나 모종을 위한 전용 용기를 항상 따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며, 파우치 용기의 내용물이 농약인 경우 전용 용기의 사용 후 다른 용도의 파우치 용기에 적용하는 경우 세척을 말끔하게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을 뿌리기 위한 전용 용기의 기능을 가지며, 사용 후 남은 파우치 내용물을 밀봉 가능한 상태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납작한 형태의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을 뿌리기 위한 전용 용기의 기능을 가지며,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이 분말인 경우 이 분말이 토출되는 너비를 균일하게 하고 단위시간당 토출되는 분말의 양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제공함에 있고,
또한 사용 후 남은 파우치 내용물을 밀봉 가능한 상태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파우치의 개구된 일측 모서리 일체로 융착결합된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분말을 내측에 담는 파우치의 개구된 일측부에 융착결합되어 파우치에 담겨진 분말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파우치 개구부의 테두리에 융착결합되는 중공형의 융착부; 융착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파우치 내측의 분말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내측이 빈 형태로 이루어지되, 분말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토출공과, 분말이 각각의 토출공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쏠리도록 내측벽에 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리브와, 토출공을 통해 분말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내외부를 통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토출공 일측부로부터 절개된 슬릿부를 포함하는 분사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몸체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 분사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몸체부의 상단면에 복수 개의 토출공이 일렬로 배치형성된다.
분사몸체부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경사지고, 상방으로 돌출된 일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공이 일렬로 배치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파우치의 개구된 모서리에 융착결합된 융착부와 파우치가 연결된 인접부위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융착부의 양단부에는 파우치의 변 방향과 나란하게 고정리브가 일체로 부착되고, 토출공이 외부와 밀봉가능하도록 분사몸체부에는 탈착이 가능한 뚜껑부가 구비된다.
융착부는 파우치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비스듬히 융착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분사몸체부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 분사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몸체부의 상단면에 복수 개의 토출공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분사몸체부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경사지고, 상방으로 돌출된 일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공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사몸체부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교번하여 굴곡되는 복수 개의 아치부가 형성되며, 이 각각의 아치부에 토출공이 분사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첫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납작한 형태의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을 뿌리기 위한 전용 용기의 기능을 가지며, 파우치에 담긴 내용물이 분말인 경우 이 분말이 토출되는 너비를 균일하게 하고 단위시간당 토출되는 분말의 양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 후 남은 파우치 내용물을 밀봉 가능한 상태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상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다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와 뚜껑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다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상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다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와 뚜껑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에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상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다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분말을 내측에 담는 파우치의 개구된 일측부에 융착결합되어 파우치에 담겨진 분말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파우치(P) 개구부의 테두리에 융착결합되는 중공형의 융착부(10); 융착부(10)와 일체로 성형되어 파우치(P) 내측의 분말(R)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내측이 빈 형태로 이루어지되, 분말(R)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토출공(21)과, 분말(R)이 각각의 토출공(21)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쏠리도록 내측벽에 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리브(23)와, 토출공(21)을 통해 분말(R)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내외부를 통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토출공(21) 일측부로부터 절개된 슬릿부(25)를 포함하는 분사몸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스파우트(1)는 바람직하게 융착부(10)와 분사몸체부(20)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스파우트(1)에 융착결합되는 파우치(P)는 보통 쉽게 구겨지는 납작한 형태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에 형성된 토출공(21)의 내경은 파우치(P)에 담긴 분말의 입자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토출공(21)의 내경은 파우치(P)에 담긴 분말의 입자크기보다 충분히(대략 3배 이상)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토출공(21)의 일측부로부터 절개된 슬릿부(25)의 너비는 파우치(P)에 담긴 분말의 입자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슬릿부(25)는 토출공(21)을 통해 파우치(P)에 담긴 분말이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분사몸체부(20)의 내외부를 공기가 통기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슬릿부(25)는 토출공(21) 인접부위에 쏠린 분말 입자 사이사이의 공극에 순간순간 발생될 수 있는 진공상태를 방지하여 토출공(21) 인접부위에 쏠린 분말을 분사몸체부(20)의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시키게 된다.
분사몸체부(20)의 내측벽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리브(23)는 파우치(P)의 분말이 융착부(10)를 거쳐 분사몸체부(20)를 통해 복수 개의 토출공(21)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말이 각각의 토출공(21)에 균일하게 쏠리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처럼 분사몸체부(20)의 토출공(21)에 인접하여 형성된 슬릿부(25)와 가이드리브(23)는 파우치(P)에 담긴 분말을 각각의 토출공(21)을 통해 균일하고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특히 파우치(P)에 담겨지는 분말이 분말 비료, 분말 농약일 경우 스파우트(1)가 하방을 향하도록 파우치(P)를 거꾸로 든 상태에서 중력에 의존하여 뿌리는 경우 분말의 입자는 그 무게가 매우 작기 때문에 스파우트(1)의 분사몸체부(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토출공(21)을 통해 분말이 균일하고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부(25)와 가이드리브(23)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된다.
[도 1],[도 4],[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몸체부(2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 분사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에 복수 개의 토출공(21)이 일렬로 배치형성된다.
분사몸체부(20)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파우치(P) 내측에 담긴 분말이 융착부(10)를 거쳐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분사몸체부(20)의 너비에 대응되게 자연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이렇게 분사몸체부(20)의 너비에 대응하여 분포된 분말은 분사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에 일렬로 배치된 각각의 토출공(21)에 균일하게 쏠려 분사몸체부(20)의 외부로 일정한 너비를 유지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토출된다.
분사몸체부(20)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작업자는 일정한 영역에 파우치(P)의 내측에 담긴 분말을 분사하는 경우 적은 횟수의 동작으로도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에 분사를 할 수 있으므로 노동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경사지고, 상방으로 돌출된 일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공(21)이 일렬로 배치형성된다.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경사지는 형태, 즉 분사몸체부(20)의 측단면이 토출공(21)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스파우트(1)를 하방으로 하여 파우치(P)를 거꾸로 들고 작업하는 경우 파우치(P)로부터 융착부(10)를 거쳐 분사몸체부(20)로 쏠리는 분말의 양을 점진적으로 적게 하여 토출공(21)을 통한 분말의 토출을 원활하게 한다.
즉, 토출공(21) 인접부위의 분사몸체부(20) 내벽에 분포된 분말 입자 상호간에 측방으로 맞물려 미는 힘을 적게 하여 하방의 토출공(21)을 통해 분말이 보다 원활하게 토출된다.
[도 1],[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우치(P)의 개구된 모서리에 융착결합된 융착부(10)와 파우치(P)가 연결된 인접부위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융착부(10)의 양단부에는 파우치(P)의 변 방향과 나란하게 고정리브(30)가 일체로 부착된다.
파우치(P)는 납작한 형태의 부드러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파우치(P)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스파우트(1)와 연결된 인접부위가 쉽게 구겨질 수 있는데, 스파우트(1)가 파우치(P)의 모서리에 비스듬히 연결되는 경우 융착부(10)의 양단부에 고정리브(30)를 연장연결하되 이 고정리브(30)가 파우치(P)의 변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융착부(10)와 파우치(P)가 연결된 인접부위의 구겨짐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 스파우트와 뚜껑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스파우치의 분사몸체부(20)에 뚜껑부(40)가 슬라이드 되면서 탄성적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사몸체부(20)와 뚜껑부(40)의 탄성결합을 위해 뚜껑부(40)는 바람직하게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융착부(10)의 외주벽은 분사몸체부(20)의 외주벽보다 상대적으로 외향 돌출된다. 이로 인해 분사몸체부(20)와 융착부(10)의 연결부위에 대응되는 융착부(10)에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뚜껑부(40)가 분사몸체부(20)에 슬라이드 되면서 탄성결합되는 경우 뚜껑부(40)의 단부가 융착부(10)의 단턱부에 맞물려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다른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공(21)이 외부와 밀봉가능하도록 분사몸체부(20)에는 탈착이 가능한 뚜껑부(40)가 구비된다. 뚜껑부(40)를 착탈형으로 구비함으로써 파우치(P)를 보관하는 경우 파우치(P)에 담긴 분말을 밀봉할 수 있게 된다.
스파우트(1)가 하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파우치(P)를 거꾸로 들고 분말을 분사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분말이 원활하게 하방으로 쏠리도록 융착부(10)는 파우치(P)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비스듬히 융착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상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도시한 다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분사몸체부(20)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 분사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에 복수 개의 토출공(21)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된다.
분사몸체부(20)의 하부에 쏠린 분말이 하방으로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분사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에 복수 개의 토출공(21)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된다.
즉, 복수 개의 토출공(21)이 이루는 전체면적이 동일한 경우에도 복수 개의 토출공(21)이 배치되는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분사몸체부(20)의 하부에 쏠린 분말 입자가 상호 측방으로 미는 힘을 최소화하여 각각의 토출공(21)을 통해 원활하게 분말이 토출된다.
[도 11],[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경사지고, 상방으로 돌출된 일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공(21)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된다.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경사지는 형태, 즉 분사몸체부(20)의 측단면이 토출공(21)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스파우트(1)를 하방으로 하여 파우치(P)를 거꾸로 들고 작업하는 경우 파우치(P)로부터 융착부(10)를 거쳐 분사몸체부(20)로 쏠리는 분말의 양을 점진적으로 적게 하여 토출공(21)을 통한 분말의 토출을 원활하게 한다.
즉, 토출공(21) 인접부위의 분사몸체부(20) 내벽에 분포된 분말 입자 상호간에 측방으로 맞물려 미는 힘을 적게 하여 하방의 토출공(21)을 통해 분말이 보다 원활하게 토출된다.
[도 11],[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교번하여 굴곡되는 복수 개의 아치부가 형성되며, 이 각각의 아치부에 토출공(21)이 분사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된다.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교번하여 굴곡되는 복수 개의 아치부가 형성됨으로써, 분사몸체부(20)의 하부에 쏠린 분말 입자가 상호 측방으로 미는 힘을 최소화하여 각각의 토출공(21)을 통해 원활하게 분말이 토출된다.
즉, 스파우트(1)가 하방을 향하도록 파우치(P)를 거꾸로 하는 경우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 즉 스파우트(1)가 거꾸로 된 상태에서 분사몸체부(20)의 하단면에 상하방으로 교번하여 굴곡되게 형성된 아치부에 각각의 토출공(21)이 배치됨으로써 분사몸체부(20)의 하부에 쏠린 분말 입자가 상호 측방으로 미는 힘을 최소화하여 각각의 토출공(21)을 통해 원활하게 분말이 토출된다.
상세하게, 분사몸체부(20)의 아치부에 형성된 각각의 토출공(21)은 인접하는 토출공(21)보다 상하방으로 높거나 낮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 토출공(21)으로 분사몸체부(20)의 하부에 쏠린 분말이 먼저 토출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토출공(21) 인접부위에 쏠린 분말 입자는 상호 측방으로 미는 힘이 약해져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토출공(21)으로 원활하게 분말이 토출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와 뚜껑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스파우치의 분사몸체부(20)에 뚜껑부(40)가 슬라이드 되면서 탄성적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사몸체부(20)와 뚜껑부(40)의 탄성결합을 위해 뚜껑부(40)는 바람직하게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융착부(10)의 외주벽은 분사몸체부(20)의 외주벽보다 상대적으로 외향 돌출된다. 이로 인해 분사몸체부(20)와 융착부(10)의 연결부위에 대응되는 융착부(10)에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뚜껑부(40)가 분사몸체부(20)에 슬라이드 되면서 탄성결합되는 경우 뚜껑부(40)의 단부가 융착부(10)의 단턱부에 맞물려 고정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에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다른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공(21)이 외부와 밀봉가능하도록 분사몸체부(20)에는 탈착이 가능한 뚜껑부(40)가 구비된다. 뚜껑부(40)를 착탈형으로 구비함으로써 파우치(P)를 보관하는 경우 파우치(P)에 담긴 분말을 밀봉할 수 있게 된다.
스파우트(1)가 하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파우치(P)를 거꾸로 들고 분말을 분사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융착부(10)는 파우치(P)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비스듬히 융착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스파우트 10 : 융착부
20 : 분사몸체부 21 : 토출공
23 : 가이드리브 25 : 슬릿부
30 : 고정리브 40 : 뚜껑부
P : 파우치 R : 분말

Claims (9)

  1. 분말을 내측에 담는 파우치의 개구된 일측부에 융착결합되어 파우치에 담겨진 분말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P) 개구부의 테두리에 융착결합되는 중공형의 융착부(10);
    상기 융착부(10)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파우치(P) 내측의 분말(R)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내측이 빈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말(R)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토출공(21)과, 상기 분말(R)이 각각의 상기 토출공(21)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쏠리도록 내측벽에 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리브(23)와, 상기 토출공(21)을 통해 분말(R)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내외부를 통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토출공(21) 일측부로부터 절개된 슬릿부(25)를 포함하는 분사몸체부(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파우치용 스파우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몸체부(20)는 일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며, 이 분사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에 복수 개의 상기 토출공(21)이 일렬로 배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경사지고, 상방으로 돌출된 일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공(21)이 일렬로 배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몸체부(20)는 일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며, 이 분사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에 복수 개의 상기 토출공(21)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경사지고, 상방으로 돌출된 일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공(21)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사몸체부(20)의 상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교번하여 굴곡되는 복수 개의 아치부가 형성되며, 이 각각의 아치부에 상기 토출공(21)이 상기 분사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P)의 개구된 모서리에 융착결합된 상기 융착부(10)와 상기 파우치(P)가 연결된 인접부위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융착부(10)의 양단부에는 상기 파우치(P)의 변 방향과 나란하게 고정리브(30)가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21)이 외부와 밀봉가능하도록 상기 분사몸체부(20)에는 탈착이 가능한 뚜껑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10)는 상기 파우치(P)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비스듬히 융착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20100104134A 2010-10-25 2010-10-25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122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34A KR101223432B1 (ko) 2010-10-25 2010-10-25 파우치용 스파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34A KR101223432B1 (ko) 2010-10-25 2010-10-25 파우치용 스파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439A true KR20120042439A (ko) 2012-05-03
KR101223432B1 KR101223432B1 (ko) 2013-01-17

Family

ID=4626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134A KR101223432B1 (ko) 2010-10-25 2010-10-25 파우치용 스파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508A (ko) * 2019-02-21 2020-08-26 주식회사중앙플라텍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22542D0 (en) * 1989-10-06 1989-11-22 Melland Tristan Guy Multi-compartment bottle
JP3287115B2 (ja) * 1994-07-04 2002-05-27 凸版印刷株式会社 振出し容器用キャ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508A (ko) * 2019-02-21 2020-08-26 주식회사중앙플라텍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432B1 (ko)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795B1 (en) Applicator package with disposable applicator pad assembly
EP3107819B1 (en) Package including pouring spout
US8893924B2 (en) Stackable container for storing and/or dispensing liquids
US20060006077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integral piercing unit
EP3107818B1 (en) Pouring spout and package including the same
JPH06239358A (ja) 便器のボウルのリムの下での送出範囲を改善した、便器ボウル洗浄剤用噴射ディスペンサ
MY167209A (en) Pouch for refill of contents
JP6901835B2 (ja) スパウト付容器及び詰め替え方法
JP6183847B2 (ja) 詰替え容器用栓体
JP5756357B2 (ja) 詰替え用軟包装容器
KR200476702Y1 (ko) 농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무기
KR101223432B1 (ko)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1392980B1 (ko)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JP6483197B2 (ja) 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付き収容体
US20050194398A1 (en) Container fitment comprising a dispensing orif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5977641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KR101223428B1 (ko) 용기 착탈형 스파우트
US20170215572A1 (en) Carpet and upholstery cleaning product
JP6183846B2 (ja) 詰替え容器用栓体
CN103282288A (zh) 用于粉末的容器
US20160143233A1 (en) Portable water container
KR101961228B1 (ko) 직수 방식 토출과 스프레이 방식 분사가 가능토록 하는 다단 마개
JP2015024864A (ja) 詰替え用軟包装容器
AU2012100223A4 (en) A bottle for dispensing fluid
CN111885943A (zh) 具有汲取管的粉末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