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345A - 단열 이중 창호 - Google Patents

단열 이중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345A
KR20120042345A KR1020100104005A KR20100104005A KR20120042345A KR 20120042345 A KR20120042345 A KR 20120042345A KR 1020100104005 A KR1020100104005 A KR 1020100104005A KR 20100104005 A KR20100104005 A KR 20100104005A KR 20120042345 A KR20120042345 A KR 20120042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nding
window
base fram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363B1 (ko
Inventor
이희석
Original Assignee
이네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네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네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3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중 창호를 시공할 때 건물 밖 시공을 실내에서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기능적으로는 이중 창호를 통해 흡수되는 외기 온도의 실내 전도를 방지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40);, 상부프레임(43);, 랜딩프레임(45);, 상기 랜딩프레임(45)의 랜딩공간(44) 상에 창유리(10)(10a)를 세워서 고정하기 위하여 랜딩프레임(45)의 외곽을 따라 각각 결합 되어 창유리(10)(10a)를 랜딩프레임(45)의 랜딩공간(44)에 고정 지지하는 한편 랜딩프레임(45)과 분해 결합 가능한 브리지(46)들을 포함하는 창유리 지지프레임(47); 상기 베이스프레임(40)과 상기 랜딩프레임(45) 사이 대응 위치에 형성된 충진공간(48); 상기 충진공간(48)을 따라 그 공간을 채워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을 따라 전도되는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간 상호 외기 온도 전도를 낮추는 단열재(49); 상기 상부프레임(43)의 양편과 지지프레임(47)이 서로 마주 보는 대향 벽면(50)을 따라 형성된 레일(51), 그리고 그 레일(51)을 따라 안착 되어 창유리(10)(10a)를 안쪽과 바깥쪽에서 지지하는 밀폐부재(52a)(52b)(52c)(52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 이중 창호{A double insulation window}
본 발명은 단열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중 창호를 시공할 때 건물 밖 시공을 실내에서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기능적으로는 이중 창호를 통해 흡수되는 외기 온도의 실내 전도를 방지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형틀에 설치되는 창호는 구조물의 벽면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구조물에 형성된 형틀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제작하여 창유리를 프레임의 안쪽면을 따라 끼워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창호는 벽체의 개구에 설치되어 창틀의 설치 입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창유리를 지지하고 프레임의 입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틀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벽체의 개구에 대응하는 틀의 형상이다. 프레임의 실내측을 향하는 내측 둘레단부 및 이에 대응하는 창틀에는 기밀가스켓의 결합 부위 등으로 외기와 우수의 유입을 막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창틀은 창유리의 실외측 둘레 연부면과 둘레 단부를 지지하는 창틀본체와, 실내측에서 창틀본체에 결합되어 실내측 창유리를 지지하는 고정틀을 구비하고 있다.
창유리의 실외측과 실내측 둘레면에 접하는 창틀 본체와 유리고정틀의 접면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기밀가스켓이 설치된다.
한편, 페어글래스를 기본적으로 끼우는 창호는 페어글래스 창유리를 한 개만 설치한 단창형 창호와 창유리를 두 개로 설치한 이중 창호가 알려져 있다.
이중 창호는 건물의 외부에서 먼저 외부 창유리를 프레임에 조립하고 난 후 다시 실내에서 내부 창유리를 조립하여 시공한다. 이에 따라 여러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다.
창유리 조립에서 실런트를 이용하여 창유리를 프레임에 설치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으나 실런트의 수명이 짧고 유리 파손시 교체가 어려우며 지지강도가 취약하다.
그리고 외부에서 볼 때 프레임과 창틀의 실내외 측 창유리 지지 부위 간의 단차 발생에 의해 건물 입면의 미관이 상당히 나쁘다.
또한, 창호에 단열재를 설치하여도 구조적으로 외기 온도가 프레임을 통해 내부로 전도되어 실내 온도에 영향을 미쳐 만족할 만한 단열효과를 얻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무거운 중량을 갖는 창호를 시공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창호 자체적으로 외기 온도 차폐성능을 갖도록 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창호를 구성하는 전체 프레임 구조의 평면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프레임의 외관이 평탄면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통일되어 미감이 개선된 상태로 나타나도록 함으로서 창호를 간결하면서도 미려한 상태로 제작하고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는,
창유리를 프레임에 이중으로 장착하여 이중 창호를 구성하고 그 이중 창호를 창틀을 따라 시공하도록 구성된 이중 창호에 있어서,
창틀의 안쪽 내벽을 따라 밀착되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결합 되어 창유리를 벌어진 간격으로 떨어지도록 지지하여 블라인드 커튼이 간격 사이에 내장형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중심으로 그 양편 외곽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창유리를 안착시키는 랜딩공간을 형성하는 랜딩프레임;
상기 랜딩프레임의 랜딩공간 상에 창유리를 세워서 고정하기 위하여 랜딩프레임의 외곽을 따라 각각 결합 되어 창유리를 랜딩프레임의 랜딩공간에 고정 지지하는 한편 랜딩프레임과 분해 결합 가능한 브리지들을 포함하는 창유리 지지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랜딩프레임 사이 대응 위치에 형성된 충진공간;
상기 충진공간을 따라 그 공간을 채워 베이스프레임과 랜딩프레임을 따라 전도되는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베이스프레임과 랜딩프레임 간 상호 외기 온도 전도를 낮추는 단열재;
상기 양편의 상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서로 마주 보는 대향 벽면을 따라 형성된 레일, 그리고 그 레일을 따라 안착 되어 창유리를 안쪽과 바깥쪽에서 지지하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랜딩프레임에는 보강살이 형성되고 그 보강살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평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보강살로부터 돌출된 브리지들의 높이도 상호 대등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은 표면 방향으로 보강살이 형성되고 그 보강살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평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보강살로부터 연장된 브리지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공간의 공간 방향으로는 단열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돌기가 충진공간의 내부를 따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랜딩프레임의 연결부는 전단면으로 잘려져 있으며 상기 전단면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과 랜딩프레임으로 구획되고 그 전단면에 의해 베이스프레임과 랜딩프레임 간 상호 외기 온도 전도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공간을 채우는 단열재는 합성수지제로서, 가열에 의해 유동성을 가지는 고분자 열가소성수지 또는 저분자로서 형 속에서 가열과 가압 되는 동안에 유동성을 가지고 화학반응에 의해서 고분자화 되어 경화 후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열경화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거운 중량을 갖는 창호를 시공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창호 자체적으로 외기 온도의 차폐성능을 갖도록 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창호 시공성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고품질의 이중 창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 프레임 구조의 평면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프레임의 외관이 평탄면으로 통일된 상태로 나타나도록 함으로서 창호를 투박하지 않게 간결하면서도 미려한 상태로 제작하고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와 그 시공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유리의 설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의 분해 상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의 결합 상태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와 그 시공 설명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유리의 설치 설명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의 분해 상태 설명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의 결합 상태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유리(10)(10a)를 프레임에 이중으로 장착하여 이중 창호(20)를 구성하고 그 이중 창호(20)를 창틀(30)을 따라 시공하도록 되어 있다.
창유리(10)(10a)는 양편에 각각 한 쌍을 이루어 이중으로 장착 되어 있다. 이것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유리를 이격부재(60) 및 포켓(61)으로 벌려 놓고 조합한 한 쌍의 창유리(10)(10a)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페어글래스(pair glass) ' 또는 '복층유리'로 불리워 진다. 단열과 방음성을 얻기 위해 쓰인다.
본 발명에서는 2 장의 유리가 한 쌍으로 조합된 페어글래스 창유리(10)(10a)를 이중으로 배치하고 이것을 잡아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의 프레임이 구성되었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40), 상부프레임(43), 랜딩프레임(45) 그리고 지지프레임(47)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호 브리지들과 리브(미도시)들을 통해 분해 결합 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 소재는 일반적으로 무게가 가볍고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연속 인발이 가능한 내식성이 있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경금속 합금,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제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는 열 변형을 감안하여 비철금속류 경금속 합금이 바람직하지만 합성수지재 소재도 바람직한 소재로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40)은, 창틀(30)의 안쪽 내벽(31)을 따라 밀착되어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프레임들의 조합에서 중심에 위치하여 양편의 창유리(10)(10a)를 간격(41)으로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부프레임(43)은, 베이스프레임(40)의 상부에 결합 되어 창유리(10)(10a)를 벌어진 간격(41)으로 떨어지도록 지지하여 블라인드 커튼(42)이 간격(41) 사이를 따라 내장형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분이다. 상부프레임(43)의 높이는 후술하는 지지프레임(47)의 높이가 거의 나란한 평면 상태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비평면 표면이 갖는 복잡함을 단순화시켜 전체 프레임들이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정돈되고 통일된 외관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프레임(40)과 상부프레임(43)의 결합수단은 베이스프레임(40)에 형성된 브리지(54)와 이 브리지(54)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부프레임(4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브리지(46)들이다.
그리고, 랜딩프레임(45)은, 베이스프레임(40)을 중심으로 그 양편 외곽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창유리(10)(10a)를 안착시키는 랜딩공간(44)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7)은, 랜딩프레임(45)의 랜딩공간(44) 상에 창유리(10)(10a)를 세워서 고정하기 위하여 랜딩프레임(45)의 외곽을 따라 각각 결합 되어 창유리(10)(10a)를 랜딩프레임(45)의 랜딩공간(44)에 고정 지지하는 한편 랜딩프레임(45)과 분해 결합 가능한 브리지(46)들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47)에 형성된 브리지(46)들은 랜딩프레임(45)에 형성된 브리지(54)들에 각각 결합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사이 대응 위치에 충진공간(48)을 형성한 부분을 포함한다. 충진공간(48)은 단열재(49)를 채워 넣기 위하여 마련된 공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충진공간(48)을 따라 그 공간을 채워서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을 따라 전도되는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간 상호 외기 온도 전도를 낮추기 위한 단열재(49)를 설치물로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43)의 양편과 지지프레임(47)이 서로 마주 보는 대향 벽면(50)을 따라 형성된 레일(51), 그리고 그 레일(51)을 따라 안착 되어 창유리(10)(10a)를 안쪽과 바깥쪽에서 지지하는 밀폐부재(52a)(52b)(52c)(52d)를 설치물로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에는 보강살(53)이 형성되고 그 보강살(53)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그 보강살(53)로부터 돌출된 브리지(54)들의 높이도 상호 대등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프레임(43)과 지지프레임(47)은 표면 방향으로 보강살(55)이 형성되고 그 보강살(55)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평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보강살(55)로부터 연장된 브리지(46)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충진공간(48)의 공간 방향으로는 단열재(49)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돌기(56)가 충진공간(48)의 내부를 따라 돌출된다.
또한, 충진공간(48)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의 연결부는 전단면(57)으로 잘려져 있다. 그 전단면(57)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으로 구획되고 그 전단면(57)에 의해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간 상호 외기 온도 전도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충진공간(48)을 채우는 단열재(49)는 가열에 의해 유동성을 가지는 고분자 열가소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저분자로서 형 속에서 가열과 가압 되는 동안에 유동성을 가지고 화학반응에 의해서 고분자화 되어 경화 후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열경화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49)로서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외기 온도 전도성이 낮으면서도 전단면(57)으로 분할된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을 일정한 강도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유리섬유 등은 단열성은 우수하지만 강도가 없어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리를 한 쌍으로 조합한 페어글래스를 프레임에 설치한 싱글 글래스 창호는 보편화 되어 있다. 유리를 복층으로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프레임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이중 창호도 알려져 있으나 한 쌍의 페어글래스를 이중으로 프레임에 장착하기 때문에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프레임 구조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창유리와 또 다른 한 쌍의 창유리를 배치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문제는 창유리들을 시공 현장에서 간단하게 끼워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점이다.
기능적으로는 이중 창호의 특징을 살리기 위해 창유리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외기 온도 전도 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중 창호에서 내구성과 강도 등 주로 소재 선택에 따라 결정되는 사항을 제외하면 이러한 두 가지 사항을 충족시키면 우수한 시공성 그리고 외기 온도 전도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중 창호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이중 창호(20)와 그 시공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층유리로 된 창유리(10)(10a)를 프레임에 간격(41)을 두어 이중으로 장착하여 이중 창호(20)를 구성하고 그 이중 창호(20)를 창틀(30)을 따라 시공된 상태이다.
창유리(10)(10a) 사이에 확보된 간격(41)에는 블라인드 커튼(42) 등의 시설물을 간격(41) 사이에 내장형으로 설치할 수 있어 간결하면서도 미려한 시스템 창호의 특징을 갖는다.
상부프레임(43)의 높이와 지지프레임(47)의 높이는 거의 나란한 평면 상태인 'h1'의 높이로 되어있다. 비평면 표면이 갖는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켜 전체 프레임들이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프레임이 시각적으로 정돈되고 직선으로 곧으며 표면이 평평한 통일된 외관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베이스프레임(40), 상부프레임(43), 랜딩프레임(45) 그리고 지지프레임(47)으로 구분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브리지(46)(54)들을 통해 결합 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여기서, 개개의 프레임들의 재질은 무게가 가볍고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연속 인발이 가능한 내식성이 있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경금속 합금소재 및 고강도 합성수지제 등을 선택하여 제작된다.
경금속 합금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외기 온도 전도율이 높아 단열에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인발 생산공정에서 단열재(49)를 직접 충진시켜 별도 단열처리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교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 동일한 조건의 베이스프레임과 랜딩프레임을 충진공간을 포함하는 일체형 프로파일을 성형한 후 사출 성형이 완료된 단열재를 성형하고 성형이 완료된 단열재를 별도로 프레임에 끼워 넣어 제작하여야 하므로 프레임 생산과 단열재 생산이 독립되고 이들을 모아 다시 조합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경금속 합금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열변형이 합성수지제를 소재로 하는 단열재(49)에 비해 적으므로 단열재(49)를 직접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제작 공정에 포함시켜 충진공간(48)에 동시에 충진 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양호하다.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을 연속 인발 하여 제조하는 경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조건이므로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간의 외기 온도 전도를 회피시키기 어렵다.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커팅하여 전단면(57)을 두면 그 전단면(57)의 벌어진 간격을 통하여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간의 전도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프레임을 따라 전도되는 실외측 온도가 그대로 프레임을 따라 실내측으로 전도되지 못하도록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사이에 충진된 단열재(49)를 통해 차단한다.
동시에 실외측 랜딩프레임(45)에 흡수된 외기 온도는 전단면(57)에서 외기 온도 전도가 끊겨 베이스프레임(40)측으로 전도되지 않는다. 베이스프레임(40)에 온도 전도가 있어도 실내에 위치하는 전단면(57)에서 다시 차단된다.
통상적으로 이중 창호에서 실외측 온도가 실내측 온도에 영향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은 창유리를 포함하여 창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그리고 프레임과 창틀 사이 벌어짐에 의한 풍압 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는 프레임을 따라 전도되는 외기 온도가 실내측으로 옮겨가지 못하도록 한다.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의 충진공간(48)에 채우는 단열재(49)는 가열에 의해 유동성을 가지는 고분자 열가소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저분자로서 형 속에서 가열과 가압 되는 동안에 유동성을 가지고 화학반응에 의해서 고분자화 되어 경화 후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열경화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49)로서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면 전도성이 낮으면서도 전단면(57)으로 분할된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을 일정한 강도로 결합할 수 있고 프레임 제조과정에서 단열재(49)를 일괄적으로 충진하여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성형 제작이 완료된 프레임들에 창유리를 이중으로 끼워 넣어 이중 창호로 제작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프레임(40)의 브리지(54)에 상부프레임(43)의 브리지(46)를 맞추어 끼워 넣어 조립한다. 브리지(46)(54)들은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보통 밀어넣기로 끼운다.
베이스프레임(40)과 상부프레임(43)의 조립이 완료되면 실외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47)의 브리지(46)를 랜딩프레임(45)의 브리지(54)에 끼워 넣어 조립한다. 브리지(46)(54)들은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보통 밀어넣기로 끼운다.
여기서, 랜딩프레임(45)은 베이스프레임(40)과 단열재(49)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조합된 상태이다.
밀폐부재(52a)를 지지프레임(47)의 레일(51) 홈을 따라 밀어넣어 끼운다. 지지프레임(47)에 끼우는 밀폐부재(52a)는 지지프레임(47)을 랜딩프레임(45)에 조립하기 전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외부측 창유리(10)(10a)를 랜딩프레임(45)의 랜딩공간(44)에 안착시킨다. 가능하면 단열재(49)의 중심에 맞추어 안착시키고 전단면(57)을 따라 나란히 일치되도록 정열 한다.
창유리(10)(10a) 정열 위치를 기준으로 외부 창유리(10)의 외표면은 밀폐부재(52a)와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측 창유리(10)의 안쪽면 유리 표면과 베이스프레임(40) 그리고 상부프레임(43)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되며 이 틈을 통해 밀폐부재(52a)를 눌러서 상부프레임(43)의 레일(51) 안으로 밀어넣어 끼운다.
도 3에는 밀폐부재(52a)의 구체적인 형상이 나타나 있다. 레일(51)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턱이 있으며 완충을 위한 탄력공간도 있다.
밀폐부재(52a)(52b)를 지지프레임(47)과 상부프레임(43)의 레일(51)에 먼저 끼워 넣은 후 창유리(10)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랜딩공간(44) 안으로 창유리(10)(10a)를 밀어넣을 때 밀폐부재(52a)(52b)에 창유리(10)가 걸려서 안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루버 재질의 밀폐부재(52a)(52b)가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교정 작업으로 창유리(1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외부 측에 위치하는 랜딩프레임(45)의 랜딩공간(44)에 외부측 창유리(10)를 안착시키면 외부 창유리(10)의 설치가 완료된다.
외부측 창유리(10) 설치가 완료되면 동일한 순서와 방법으로 내부측 창유리(10a)를 설치하여 이중 창호의 제작을 완료한다.
현장 시공에서도 이와 같은 이중 창호의 조립 순서가 유용하게 쓰인다. 통상적으로 이중 창호를 시공하는 경우 실외와 실내로 나누어서 창유리를 시공한다.
본 발명은 실내측에서 실외측 창유리(10)와 실내측 창유리(10a)를 모두 조립하는 이중 창호의 시공이 가능하다. 실외 작업에 비해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프레임(40), 상부프레임(43), 랜딩프레임(45), 지지프레임(47)들에 형성되어 있는 브리지(46)(54)들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모두 실내 조립이 가능하도록 턱의 방향이 조정되어 형성되었고 분해 결합이 쉽도록 필요한 부분은 구배면을 두어 쉽게 끼우고 뺄 수 있는 형상과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10a: 창유리 20: 이중창호
30: 창틀 31: 내벽
40: 베이스프레임 41: 간격
42: 블라인드커튼 43: 상부프레임
44: 랜딩공간 45: 랜딩프레임
46: 브리지 47: 지지프레임
48: 충진공간 49: 단열재
50: 벽면 51: 레일
52a.52b.52c.52d: 밀폐부재 53: 보강살
54: 브리지 55: 보강살
56: 돌기 57: 전단면

Claims (6)

  1. 창유리(10)(10a)를 프레임에 이중으로 장착하여 이중 창호(20)를 구성하고 그 이중 창호(20)를 창틀(30)을 따라 시공하도록 구성된 이중 창호에 있어서,
    창틀(30)의 안쪽 내벽(31)을 따라 밀착되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40);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상부에 결합 되어 창유리(10)(10a)를 벌어진 간격으로 떨어지도록 지지하여 블라인드 커튼(42)이 간격(41) 사이에 내장형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프레임(43);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을 중심으로 그 양편 외곽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창유리(10)(10a)를 안착시키는 랜딩공간(44)을 형성하는 랜딩프레임(45);
    상기 랜딩프레임(45)의 랜딩공간(44) 상에 창유리(10)(10a)를 세워서 고정하기 위하여 랜딩프레임(45)의 외곽을 따라 각각 결합 되어 창유리(10)(10a)를 랜딩프레임(45)의 랜딩공간(44)에 고정 지지하는 한편 랜딩프레임(45)과 분해 결합 가능한 브리지(46)들을 포함하는 창유리 지지프레임(47);
    상기 베이스프레임(40)과 상기 랜딩프레임(45) 사이 대응 위치에 형성된 충진공간(48);
    상기 충진공간(48)을 따라 그 공간을 채워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을 따라 전도되는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 간 상호 외기 온도의 전도를 낮추는 단열재(49);
    상기 상부프레임(43)의 양편과 지지프레임(47)이 서로 마주 보는 대향 벽면(50)을 따라 형성된 레일(51), 그리고 그 레일(51)을 따라 안착 되어 창유리(10)(10a)를 안쪽과 바깥쪽에서 지지하는 밀폐부재(52a)(52b)(52c)(52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에는 보강살(53)이 형성되고 그 보강살(53)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평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보강살(53)로부터 돌출된 브리지(54)들의 높이도 상호 대등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 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43)과 지지프레임(47)은 표면 방향으로 보강살(55)이 형성되고 그 보강살(55)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평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보강살(55)로부터 연장된 브리지(46)의 높이는 상호 대등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 창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48)의 공간 방향으로는 단열재(49)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돌기(56)가 충진공간(48)의 내부를 따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 창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48)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의 연결부는 전단면(57)으로 잘려져 있으며 상기 전단면(57)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으로 구획되고 그 전단면(57)에 의해 베이스프레임(40)과 랜딩프레임(45)간 상호 외기 온도의 전도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 창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48)을 채우는 단열재(49)는 합성수지제로서, 가열에 의해 유동성을 가지는 고분자 열가소성수지 또는 저분자로서 가열과 가압 되는 동안에 유동성을 가지고 화학반응에 의해서 고분자화 되어 경화 후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열경화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 창호.
KR1020100104005A 2010-10-25 2010-10-25 단열 이중 창호 KR10118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005A KR101184363B1 (ko) 2010-10-25 2010-10-25 단열 이중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005A KR101184363B1 (ko) 2010-10-25 2010-10-25 단열 이중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345A true KR20120042345A (ko) 2012-05-03
KR101184363B1 KR101184363B1 (ko) 2012-09-20

Family

ID=4626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005A KR101184363B1 (ko) 2010-10-25 2010-10-25 단열 이중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3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07B1 (ko) * 2019-02-21 2020-01-23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이종소재의 단열바 연속제조장치
KR20210017416A (ko) * 2019-08-08 2021-02-17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상부커버를 가지는 이종소재의 단열바 연속제조장치
KR20210043336A (ko)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경연 실내로 코킹 부위가 노출되지 않는 창호 조립체
KR102502641B1 (ko) * 2022-04-19 2023-02-23 주식회사 원진알미늄 창호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우수한 고정창호, 미서기창호, 입면분할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800B1 (ko) 2013-05-21 2015-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스템 창호
KR101549043B1 (ko) 2015-01-27 2015-09-14 주식회사 동현이앤아이 복합 창호 프레임
CN105822209B (zh) * 2016-05-23 2018-02-09 沈阳乐道铝建筑系统有限公司 一种双层内开百叶窗
KR102114078B1 (ko) * 2018-04-26 2020-05-22 (주)거광기업 플랫폼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332B1 (ko) 2005-05-16 2007-03-29 주식회사동양강철 슈퍼창용 이중단열 프레임
KR101153212B1 (ko) 2010-08-13 2012-06-05 문수용 단열복합의 프로젝트 이중 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07B1 (ko) * 2019-02-21 2020-01-23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이종소재의 단열바 연속제조장치
KR20210017416A (ko) * 2019-08-08 2021-02-17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상부커버를 가지는 이종소재의 단열바 연속제조장치
KR20210043336A (ko)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경연 실내로 코킹 부위가 노출되지 않는 창호 조립체
KR102502641B1 (ko) * 2022-04-19 2023-02-23 주식회사 원진알미늄 창호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우수한 고정창호, 미서기창호, 입면분할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363B1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363B1 (ko) 단열 이중 창호
US9091119B2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EP2672051B1 (en) Door or window
CN105804589A (zh) 一种高节能铝合金门窗
KR101283787B1 (ko) 시스템 창호
KR100510392B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KR101068108B1 (ko) 건물용 복합창호
RU142575U1 (ru) Профиль створки и импоста створки оконного и/или дверного блока
CN103498624A (zh) 内悬膜中空玻璃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1401047B1 (ko) 슬라이드 개폐형 창문틀의 커먼 프레임
CN202706809U (zh) 一种平开式型材结构相同的保温窗
CN105781334A (zh) 带隔热齿的节能门窗
KR101331143B1 (ko)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086370B1 (ko) 소음 차단구조를 구비한 이중창호
CN104196409A (zh) 一种隔热门窗型材以及门、窗系统
CN204754719U (zh) 一种磁控三玻中空外腔百叶玻璃
CN204371014U (zh) 一种外保温中空玻璃平开窗开启窗扇结构
KR200326568Y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CN203879234U (zh) 隔热推拉窗勾企组件型材
CN215949239U (zh) 一种模块拼装式齐平窗
CN210768443U (zh) 一种隔音隔热双层玻璃窗户
CN203879252U (zh) 隔热推拉窗的勾企型材
KR20130001976U (ko) 단열복합 창문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