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280A -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280A
KR20120042280A KR1020100103902A KR20100103902A KR20120042280A KR 20120042280 A KR20120042280 A KR 20120042280A KR 1020100103902 A KR1020100103902 A KR 1020100103902A KR 20100103902 A KR20100103902 A KR 20100103902A KR 20120042280 A KR20120042280 A KR 2012004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arbonate
h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composition
poly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155B1 (ko
Inventor
조인식
고은주
김우정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10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레이트-13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씻어내지 않고 모발에 직접 적용하는 리브온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이며, 컨디셔닝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의 지속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적당한 점도로 모발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끈적임이 없으며 모발에 발림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씻어내지 않고 모발에 바로 적용하는 리브온(leave-on)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아크릴레이트-13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모발은 자외선 노출, 먼지 등과 같은 주위 환경과의 접촉 및 모낭에서 분비되는 피지 등으로 인해 오염되고, 잦은 퍼머, 헤어 드라이, 염색, 빗질 등에 의해 적지 않은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손상된 모발은 젖었을 때 혹은 말랐을 때, 엉김이 심하고 뻣뻣하여 빗질이 잘 안되는 등 다루기 힘들고, 윤기가 떨어져 보기에 좋지 않은 외관을 나타낸다. 따라서 모발의 외관과 촉감을 향상시키고 다루기 쉽게 해주는 컨디셔닝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와 선호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시간이 절약되고 사용이 간편한 제품의 선호도는 더욱 높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 및 중합체, 실리콘 컨디셔닝 제제, 탄화수소 오일 및 지방알콜과 같은 물질들이 모발 컨디셔닝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는 컨디셔닝 효과가 있는 점증제로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포함하는 이는 염색약에 대한 기술이 있으나, 이는 염색약에국한된 것으로 일반 모발 컨디셔닝에 관한 언급은 전혀 없다.
또한, 씻어내지 않고 모발에 바로 적용하는 제품이 있으나, 모발 화장료 중에서 고점도 디메치콘 검과 저점도 디메치콘 또는 사이클로 디메치콘을 함께 사용한 유성 베이스 타입의 모발 컨디셔닝 제품이며, 유성 베이스 타입이기 때문에 부드러움과 지속성은 우수하나 사용 후 흡수가 느리며 오일 특유의 끈적임이 남아 사용시 손을 세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리고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모발 컨디셔닝 제품이 있으나 빗질감과 윤기가 상승되는 효과는 있는 반면에, 이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수계로 본 발명의 제형과는 상이하다.
더불어 씻어내지 않고 모발에 바로 적용하는 모발 화장료 중에서 수성 에멀젼 타입의 모발 화장료는 사용 후 손에 끈적임이 남는 것이 덜하여 사용의 편이성이 있으나, 사용 후 모발의 매끄러움이나 부드러움이 시간 경과에 따라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심하게 손상된 모발에서는 충분한 정발감, 부드러움 및 윤기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디셔닝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모발에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고 발림성이 좋으며 씻어낼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며, 끈적임이 없는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레이트-13 및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손상된 모발에 부드러움, 매끄러움, 윤기 등을 부여하는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고 종래의 조성물보다 컨디셔닝 효과가 장시간 지속된다. 또한, 씻어낼 필요가 없이 모발에 바로 적용되며, 사용 후 흡수가 빠르며 손에 끈적거림 및 오일이 남아있지 않아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모발에 적용 시 적당한 점도로 인하여 발림성이 우수하고 모발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을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변경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레이트-13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이다.)
그리고 상기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13 는 총 중량의 0.0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며,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총 중량의 0.01 내지 10.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본 조성물의 모발에 발림성을 향상시켜주고 모발을 유연하게 하며 윤기를 더해주어 모발의 외관을 매끄럽게 해주고 컨디셔닝 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에틸헥실카보네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13은 아크릴릭 애시드, 아크릴아마이드, 소듐아크릴레이트 및 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를 중합하여 형성한 공중합체이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13은 점증제 역할로 함수 능력이 뛰어나 보습을 위해 널리 사용되며, 매끄러운 사용감과 함께 오일에 대한 유화능력이 뛰어나며 광범위한 pH 범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중 유화 형태에서 내수성이 좋아 필름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증점제인 폴리아크릴레이트-13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되면, 점도가 낮아져 모발의 발림성 및 제형 안정성이 나빠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발림성이 떨어지고 끈적임이 증가되며 균일하게 상을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되면 모발 발림성 및 컨디셔닝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빌드업이 발생하고 정발감이 나빠지게 된다.
상기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씻어내지 않는 리브온(leave-on)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성분들, 예를 들어 비이온 계면활성제, 보습제, 지방물질, 습윤물질, 향료, 방부제, 비타민, 단백질 등과 같이 두발 화장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라틴(Keratin) 및 가수분해 밀 단백질(hydrolyzed wheat protein)과 같은 모발 보수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통상적인 두발 화장품, 예를 들면 헤어 린스, 헤어 크림, 헤어 앰플, 헤어 트리트먼트 등의 O/W 에멀전 형태이며, 씻어내지 않는 리브온(leave-on) 형태로 제제화 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은 하기 표 1에 따르고, 비교예 1 내지 4는 표 2에 따라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아크릴레이트-13, 디메치콘 및 향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균일상이 될 때까지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교반시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 성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1,3-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폴리소르베이트60 1.0 1.0 1.0 1.0 1.0 1.0
디메치콘 5.0 5.0 5.0 5.0 5.0 5.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1 ) 2.0 2.0 2.0 0.5 5.0 -
디에틸헥실카보네이트2 ) - - - - - 2.0
폴리아크릴레이트-133) 1.0 0.05 3.0 1.0 1.0 1.0
가수분해 밀 단백질 1.0 1.0 1.0 1.0 1.0 1.0
케라틴 1.0 1.0 1.0 1.0 1.0 1.0
페녹시에탄올 0.5 0.5 0.5 0.5 0.5 0.5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단위:중량부%)
1) 상품명 : Cetiol CC (Cognis사)
2) 상품명 : Tegosoft DEC (Degussa사)
3) 상품명 : Sepiplus 400 (Seppic사)
< 비교예 1 및 2>
비교예 1은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한 그 외의 것들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2는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6.0 중량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그 외의 것들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비교예 3은 디알킬카보네이트 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4, 및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비교예 4는 디알킬카보네이트 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를 12.0 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 및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조 성 성 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3-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폴리소르베이트60 1.0 1.0 1.0 1.0
디메치콘 5.0 5.0 5.0 5.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2.0 2.0 - 12.0
폴리아크릴레이트-13 - 6.0 1.0 1.0
가수분해 밀 단백질 1.0 1.0 1.0 1.0
케라틴 1.0 1.0 1.0 1.0
페녹시에탄올 0.5 0.5 0.5 0.5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단위:중량부)
< 실험예 1> 점도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상온(25℃)으로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 24시간 이상 방치하여 내용물의 온도를 맞춘 후, Brookfield Viscometer RVT model(Spindle 06, 10rpm, 15sec)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점도
(단위: cPs)
27,600 5,600 36,800 29,000 24,200 28,800 60 60,840 31,000 22,00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사용하기에 편리한 수준인 높은 점도가 확보되었으므로 모발에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는 점도가 매우 낮으므로 모발에 도포시 흘러내리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하고, 비교예 2의 경우는 점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모발에 도포시 균일한 발림성이 매우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다.
< 실험예 2> 사용 편리성 및 사용감 평가
20~40대의 여성 100명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포함한 제품을 매일 1회씩 2주간 사용하게 한 뒤,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상기 실시예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상기 비교예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1: 매우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좋음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사용 편리성 4.2 3.6 3.8 4.1 4.1 4.2
도포 시 흡수 느낌 4.3 3.4 3.5 3.8 3.6 4.0
제형 점도 4.5 3.4 3.6 3.8 3.8 4.3
모발에 고루 발림 4.1 3.5 3.5 3.6 3.8 3.9
마른 후 부드러움 및 개선 느낌 4.2 3.8 3.8 3.6 3.7 3.9
모발의 끈적임이 없음 4.0 3.8 3.6 3.9 3.9 4.0
모발의 부드러움이 지속됨 4.2 3.7 3.7 3.8 3.8 4.0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사용 편리성 1.3 1.7 3.4 3.2
도포 시 흡수 느낌 1.4 1.4 2.4 2.2
제형 점도 1.1 1.3 3.6 3.3
모발에 고루 발림 2.1 1.8 3.4 3.3
마른 후 부드러움 및 개선 느낌 1.7 1.7 2.3 2.3
모발의 끈적임이 없음 2.5 2.4 3.2 2.5
모발의 부드러움이 지속됨 1.5 1.5 2.2 2.0
상기 표 4에 의하면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1.0중량% 포함한 실시예 1 은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6.0% 포함하는 비교예 2에 비해 제형 점도가 적당하고, 모발에 고루 발려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제형 점도 및 모발에 고루 발림의 정도가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에서 확인 된 바와 같이, 폴리아크릴레이트-13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적당한 점도를 부여하고 조성물의 모발에 발림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폴리 아크릴레이트-13을 과용량을 포함할 시에도 점도 및 발림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비교예 3, 4보다 모든 항목에서 월등하게 평가되었다.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3의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1보다 경우 모발의 부드러움이 감소해 컨디셔닝 효과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를 12중량% 포함하는 비교예 4의 경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를 2.0중량%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를 5.0% 포함하는 실시예 5에 비하여 모발의 끈적임이 있으며 오히려 부드러움의 지속력은 떨어져 컨디셔닝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빗질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제품들의 컨디셔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스트론(Universal Test Machine, Instron Model 4465 Test System)을 이용하여 젖은 모발 및 건조된 모발에 대한 빗질감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미국의 De-Meo Brothers 社로부터 구입한 아시아 여성의 정상모(virgin hair)로 모발 다발(hair tress)을 만든 다음 10 % SLS(Sodium Laureth Sulfate)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충분한 물로 헹구고 타올과 드라이어로 완전히 건조 시킨 후 항온항습실에서 2시간 방치 한 다음 모발 다발을 인스트론의 로드 셀 고리에 걸고 빗을 지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인스트론을 작동시켜 빗질할 때 걸리는 로드값을 측정하였다.
테스트를 마친 모발 다발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 에 따른 조성물로 모발다발에 1 g 도포 후 1분간 마사지 후 전술한 방법으로 빗질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발 다발은 각 조성물에 대해 3 개 이상 준비하고, 각 항목에 대해 3회 이상 테스트하여 로드값의 평균을 산출한 다음, 상기 조성물의 미처리한 후의 평균 로드값에 대한 처리한 후의 평균 로드값의 감소율로 빗질감의 우세함을 평가하였다. 평가 조건은 모발 다발의 무게는 10 g, 길이는 20 cm 로 하고, 빗의 상태는 실린더형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빗살로, 빗살 직경은 1 mm, 빗살 사이의 간격은 1 mm인 빗으로 하였다. 인스트론의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는 500.00 mm/min.로 하고, 로드 셀(Load Cell)은 10.0 kg/Limit Type, 이동거리(Displacement)는 200.00 mm 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조성물의 미처리/처리 후의 평균 로드값의 변화율을 백분율(%)로 비교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항 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평균 로드값 감소율 -56 -45 -40 -46 -50 -50 -19 -10 -28 -22
(단위: %)
마이너스(-) 값이 클수록 빗질감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1.0중량% 포함하는 실시예 1이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 및 폴리아크릴레이트-13을 6.0중량% 포함하는 비교예 4의 조성물에 비해 컨디셔닝 효과가 우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디알킬카보네이트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가 제외된 비교예 3 및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를과량 포함하는 비교예 4의 로드값보다 실시예 1의 로드값이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였다는 점에서 적당량의 디알킬카보네이트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의 사용이 빗질감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브온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컨디셔닝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당한 점도로 흘러내리지 않고 모발에 균일하게 발리고 끈적임이 없으며 물로 씻어낼 필요가 없이 모발에 직접 적용되므로 시간이 절약되고 사용이 편리하다.

Claims (6)

  1. 폴리아크릴레이트-13 0.01 내지 5.0중량%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알킬카보네이트 0.01 내지 1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13 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에틸헥실카보네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13은 아크릴릭 애시드, 아크릴아마이드, 소듐아크릴레이트 및 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를 중합하여 형성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리브온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0100103902A 2010-10-25 2010-10-25 리브온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1753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02A KR101753155B1 (ko) 2010-10-25 2010-10-25 리브온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02A KR101753155B1 (ko) 2010-10-25 2010-10-25 리브온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280A true KR20120042280A (ko) 2012-05-03
KR101753155B1 KR101753155B1 (ko) 2017-07-04

Family

ID=4626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902A KR101753155B1 (ko) 2010-10-25 2010-10-25 리브온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9589A1 (en) * 2020-06-01 2021-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7954B1 (en) 2006-10-13 2018-02-21 Cognis IP Management GmbH Aqueous meta-stable oil-in-water emulsions
WO2010002586A2 (en) * 2008-06-30 2010-01-07 Elc Management Llc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isonicotinam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9589A1 (en) * 2020-06-01 2021-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155B1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6655B (zh) 毛发形状调整用组合物
KR101196280B1 (ko) 모발 화장료
RU2212227C2 (ru) Косме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сополимер винилдиметикона и диметикона в водной эмульсии и ассоциативный загуститель, а также применение этих композиций
JP5658952B2 (ja) 毛髪処理剤組成物
KR102195213B1 (ko) 염모료 조성물
JPH04108725A (ja) 毛髪化粧料
KR20130046109A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TWI735485B (zh) 毛髮化妝料
KR20160063396A (ko) 바디케어 조성물
JP2008308415A (ja) 毛髪化粧料
KR20120042280A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JPH03291211A (ja) 毛髪化粧料
KR101029665B1 (ko) 수성 에멀젼 형태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JP6484029B2 (ja) 毛髪化粧料
TWI826462B (zh) 毛髮化妝料
JP2002241244A (ja) クリーム状毛髪化粧料
JPH10279436A (ja) 毛髪化粧料
JP4444888B2 (ja) 毛髪化粧料
WO2018180516A1 (ja) 染毛料組成物
WO2022186286A1 (ja) 毛髪セット力増強剤
JP7150389B2 (ja) 頭皮用組成物
JP2003095880A (ja) 毛髪化粧料
KR20130049305A (ko)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JP6719656B2 (ja) 染毛料組成物
JPH05221837A (ja) 角質繊維染色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