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183A - 댐핑형 구조물 - Google Patents

댐핑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183A
KR20120042183A KR1020100103717A KR20100103717A KR20120042183A KR 20120042183 A KR20120042183 A KR 20120042183A KR 1020100103717 A KR1020100103717 A KR 1020100103717A KR 20100103717 A KR20100103717 A KR 20100103717A KR 20120042183 A KR20120042183 A KR 20120042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lit
damper
structures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247B1 (ko
Inventor
김상범
유홍식
윤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0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2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4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들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구조물에 의한 인가 하중을 흡수토록 제공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댐핑형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에 전달되는 수평하중에 대해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이 에너지를 흡수 또는 소산시키고, 손상이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에 집중되어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만을 쉽게 교체함으로써 건물의 정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구조물간의 접합부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경제성과 시공성이 향상되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은 표준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생산성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댐핑형 구조물{DAMPING TYPE STRUCTURE}
본 발명은 댐핑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로 이루어진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에 의해 구조물에 전달되는 지진하중이나 풍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의 에너지를 흡수 또는 소산시키는 댐핑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은 높이가 높을수록 지진하중이나 풍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을 더 크게 받으므로 아웃리거와 같은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 시스템이 요구된다. 아웃리거는 건물 기둥과 중앙 코어 전단벽을 연결함으로써 수평하중에 대해 기둥과 코어가 일체로 거동하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수평하중 저항 성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아웃리거의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웃리거 자체의 구조도 중요하지만 연결수단의 구조가 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부재들을 연결시켜줄 뿐만 아니라 고층건물의 수평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내력을 보유한 연결수단을 설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의 아웃리거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는, 중앙 코어 전단벽(220)에 접합된 아웃리거(210)가 다시 건물의 외부 기둥(200)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그런데, 종래의 아웃리거의 연결수단(2)은 수평하중을 지지할 때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로 설계하거나 크기를 거대하게 설계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아웃리거의 연결수단(2)은 비경제적인 구조이고, 이로 인해 시공성 또한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둥, 벽, 보 또는 아웃리거와 같은 구조물간의 연결수단에 댐핑수단을 포함시켜 연결수단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고, 더하여 경제성, 시공성 및 생산성이 뛰어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물간의 연결수단에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로 이루어진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연결수단의 구조를 보다 간단히 하여 경제성, 생산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댐핑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구조물에 전달되는 수평하중에 의한 손상이 슬릿댐퍼에만 집중되도록 하여 수평하중 지지 후 슬릿댐퍼 또는 슬릿댐퍼를 포함한 연결수단만을 교체함으로써 건물의 정상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댐핑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들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구조물에 의한 인가 하중을 흡수토록 제공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댐핑형 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은, 상기 구조물과 직접 또는 간접 형태로 결합하는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은, 상기 구조물과 연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다른 구조물과 연결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는, 상기 결합부들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수평 슬릿댐퍼는 상기 결합부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슬릿댐퍼는 상기 수평 슬릿댐퍼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슬릿댐퍼와 수직 슬릿댐퍼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판형 부재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슬릿댐퍼는, 상기 구조물과 결합하는 일측의 양단부 및 상기 다른 구조물과 결합하는 타측의 중앙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이 상기 수평 슬릿댐퍼가 상기 구조물과 결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양측에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슬릿댐퍼는, 상단과 하단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이 상기 수직 슬릿댐퍼가 상기 구조물과 결합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댐퍼는, 상기 구조물에 의한 인가 하중에 대응토록 재질, 두께 또는 슬릿의 설치 개수가 조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물은, 적어도 아웃리거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과 상기 구조물의 결합수단으로 볼트를 더 포함하여 손상된 상기 댐핑형 구조물 연결수단의 교체가 용이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에 전달되는 지진하중이나 풍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에 대해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이 에너지를 흡수 또는 소산시키고, 손상이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에 집중되어 다른 주요 부재들의 손상 없이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만을 교체함으로써 건물의 정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구조물간의 연결수단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경제성과 시공성이 향상되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은 표준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생산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웃리거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핑형 구조물에 구비되는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핑형 구조물에 구비되는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핑형 구조물에 구비되는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을 이용한 댐핑형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을 이용한 댐핑형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4 및 5는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의 내부 구성이 보다 잘 나타나도록 제2결합부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이하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수평 슬릿댐퍼(32)가 있는 방향을 상측, 하부 수평 슬릿댐퍼(32)가 있는 방향을 하측, 제1결합부(12)가 있는 방향을 좌측, 제2결합부(14)가 있는 방향을 우측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구조물(100)(110) 및 상기 구조물(100)(110)들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구조물(100)(110)에 의한 인가 하중을 흡수토록 제공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조물은 건물의 기둥, 벽, 보 또는 아웃리거 등과 같이 다른 구조물과 연결되는 구조물(100)(110)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도 6은 구조물(100)(110)이 건물의 외부 기둥(100)과 아웃리거(110)인 실시예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건물이 지진하중이나 풍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을 받게 되는 경우,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연결수단을 복잡한 구조로 설계하거나 크게 설계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을 포함하여, 이러한 인가 하중(에너지)을 흡수하거나 소산시킴으로써, 건물의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 성능이 향상된다.
다음,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구조물(100)(110)과 직접 또는 간접 형태로 결합하는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를 포함한다.
즉,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는 구조물(100)(110)과 직접 용접 등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고,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와 구조물(100)(110) 사이에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간접 형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후자인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는,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와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유닛 형태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5는 구조물(100)(110)과 간접 형태로 결합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5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상기 구조물(100)과 연결되는 제1결합부(12)와, 상기 다른 구조물(110)과 연결되는 제2결합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슬릿댐퍼(32)와 수직 슬릿댐퍼(36)는, 상기 결합부(12)(14)들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수평 슬릿댐퍼(32)는 상기 결합부(12)(14)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슬릿댐퍼(36)는 상기 수평 슬릿댐퍼(32)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하나의 유닛으로서, 양측에, 상세하게는 제1, 2결합부(12)(14)의 바깥쪽 면에 각각 구조물(100)(110)이 결합한다. 그리고,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는 제1, 2결합부(12)(14) 사이에 설치되되, 수평 슬릿댐퍼(32)는 면이 수평하도록 설치되고, 수직 슬릿댐퍼(36)는 수평 슬릿댐퍼(32) 및 제1, 2결합부(12)(14)와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수평 슬릿댐퍼(32)와 수직 슬릿댐퍼(36)가 결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평 슬릿댐퍼(32)는 제1, 2결합부(12)(14)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설치되고, 수직 슬릿댐퍼(36)는 상부와 하부 수평 슬릿댐퍼(32)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도 2, 3 및 5는 수직 슬릿댐퍼(36)가 한 개, 도 4는 다른 실시예로서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선택에 따라 수직 슬릿댐퍼(36)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간접 형태로 구조물(100)(110)과 결합되는 구조로서, 본 발명의 연결수단(1)은 유닛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제1, 2결합부(12)(14)와 결합부들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로 이루어진 유닛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연결수단(1)이 유닛 형태이므로, 건물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의해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가 상기 수평하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경우에, 슬릿댐퍼(32)(36) 또는 슬릿댐퍼(32)(36)를 포함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만을 교체함으로써, 건물의 정상 상태를 유지하여 바로 다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댐핑형 연결수단(1)은 유닛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여, 구조물 연결수단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제1, 2결합부(12)(14) 및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는 표준화가 가능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생산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 각 슬릿댐퍼(32)(36)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평 슬릿댐퍼(32)와 수직 슬릿댐퍼(36)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슬릿(33)(37)을 포함하는 판형 부재이다. 슬릿(33)(37)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홀로서,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슬릿(33)(37)은 평행하게 층층이 형성된다.
또한, 수평 슬릿댐퍼(32)는, 상기 구조물(100)과 결합하는 일측의 양단부 및 상기 다른 구조물(110)과 결합하는 타측의 중앙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릿(33)이 상기 수평 슬릿댐퍼(32)가 상기 구조물(100)(110)과 결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양측에 형성된다. 즉, 일측 양단의 돌출부가 구조물(100)에 결합하고, 타측 중앙부의 돌출부가 다른 구조물(110)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타측 중앙부의 돌출부를 기준으로, 수평 슬릿댐퍼(32)의 일면의 양측에 복수의 슬릿(3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슬릿(33)의 길이 방향은 구조물(100)(110)과 결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즉, 상기 타측 중앙부의 돌출부를 기준으로 한 중심선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또한, 수직 슬릿댐퍼(36)는, 상단과 하단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37)이 상기 수직 슬릿댐퍼(36)가 상기 구조물(100)(110)과 결합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수직 슬릿댐퍼(36)의 양측이 구조물(100)(110)과 결합하고, 슬릿(37)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는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가 구조물(100)(110)과 직접 형태로 결합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다.
도 2 내지 5는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가 구조물(100)(110)과 직접 결합하는 형태가 아니고,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가 제1, 2결합부(12)(14)를 통해 구조물(100)(110)과 결합하는 간접 형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수평 슬릿댐퍼(32)는, 제1결합부(12)와 결합하는 일측의 양단부 및 제2결합부(14)와 결합하는 타측의 중앙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릿(33)이 상기 수평 슬릿댐퍼(32)가 제1, 2결합부(12)(14)와 결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수직 슬릿댐퍼(36)는, 상단과 하단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37)이 상기 수직 슬릿댐퍼(36)가 제1, 2결합부(12)(14)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부(12)가 구조물(100)과, 제2결합부(14)가 다른 구조물(110)과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이 구조물(100)(110)을 연결하게 된다. 또한,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덧불여, 수평 슬릿댐퍼(32)의 양측 슬릿(33) 사이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부재(3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결합부(12)와 수평 슬릿댐퍼(32) 일측 양단부의 결합부위에 보강부재(35)를 더 포함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건물에 수평하중이 작용할 때, 수평 슬릿댐퍼(32)가 쉽게 구부러지지 않게 하여 에너지를 잘 흡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2결합부(12)(14),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는 일반강과 같은 금속소재의 플레이트 형태가 바람직하다.
다음, 건물에 수평하중이 전달될 때 각 슬릿댐퍼(32)(36)의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을 이용한 아웃리거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아웃리거 구조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를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건물에 지지하중이나 풍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이 작용할 때 건물은 좌우로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아웃리거 구조물은 건물에서 대칭되게 설치된다. 건물이 우측으로 휘어지는 경우에, 상부 수평 슬릿댐퍼(32)는 인장력을 받게 되고, 하부 수평 슬릿댐퍼(32)는 반대로 압축력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수평 슬릿댐퍼(32)의 타측 중앙부의 돌출된 부분은 우측으로, 일측 양단부의 돌출된 부분은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됨으로써, 상부 수평 슬릿댐퍼(32)는 인장력을 받게 된다. 반대로, 하부 수평 슬릿댐퍼(32)는 타측 중앙부의 돌출된 부분은 좌측으로, 일측 양단부의 돌출된 부분은 우측으로 힘을 받게 됨으로써, 하부 수평 슬릿댐퍼(32)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또한, 이 때 수직 슬릿댐퍼(36)는 우측은 상방으로, 좌측은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즉, 건물이 좌우로 휘어짐에 따라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는 슬릿(33)(37)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전단력을 받게 되고, 이 전단력에 의해 슬릿댐퍼(32)(36)가 변형 또는 손상되면서 수평하중에 따른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소산시키게 된다. 이 후 슬릿댐퍼(32)(36) 또는 슬릿댐퍼(32)(36)를 포함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만을 교체함으로써 건물의 정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슬릿댐퍼(32)(36)는, 상기 구조물(100)(110)에 의한 인가 하중에 대응토록 재질, 두께 또는 슬릿(33)(37)의 설치 개수가 조정된다. 건물마다 요구되는 수평하중 저항 성능이 다르다. 이에 대응하도록 슬릿댐퍼(32)(36)의 재질, 두께 또는 슬릿댐퍼(32)(36)에 형성되는 슬릿(33)(37)의 설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의 항복점(yield point)을 높거나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2 내지 4의 실시예에 비해 슬릿댐퍼(32)(36)의 슬릿(33)(37)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댐핑 연결수단(1)의 항복점(yield point)을 변화시킨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을 이용한 댐핑형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구조물(100)(110)은, 적어도 아웃리거(110)를 포함한다. 도 6의 좌측의 구조물은 건물의 외부 기둥(100)이고, 우측의 구조물은 중앙 코어 전단벽(120)에 접합된 아웃리거(110)를 나타낸다. 그리고, 건물의 외부 기둥(100)과 아웃리거(110)가 상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을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과 상기 구조물(100)(110)의 결합수단으로 볼트(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의 시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변형되거나 손상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 12 ... 제1결합부
14 ... 제2결합부 32 ... 수평 슬릿댐퍼
33, 37 ... 슬릿 36 ... 수직 슬릿댐퍼
100, 110 ... 구조물

Claims (9)

  1. 구조물(100)(110); 및
    상기 구조물(100)(110)들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구조물(100)(110)에 의한 인가 하중을 흡수토록 제공된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
    을 포함하는 댐핑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상기 구조물(100)(110)과 직접 또는 간접 형태로 결합하는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를 포함하는 댐핑형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은, 상기 구조물(100)과 연결되는 제1결합부(12)와, 상기 다른 구조물(110)과 연결되는 제2결합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슬릿댐퍼(32)(36)는, 상기 결합부(12)(14)들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수평 슬릿댐퍼(32)는 상기 결합부(12)(14)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슬릿댐퍼(36)는 상기 수평 슬릿댐퍼(32)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댐핑형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슬릿댐퍼(32)와 수직 슬릿댐퍼(36)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슬릿(33)(37)을 포함하는 판형 부재인 댐핑형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슬릿댐퍼(32)는, 상기 구조물(100)과 결합하는 일측의 양단부 및 상기 다른 구조물(110)과 결합하는 타측의 중앙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릿(33)이 상기 수평 슬릿댐퍼(32)가 상기 구조물(100)(110)과 결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양측에 형성되는 댐핑형 구조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슬릿댐퍼(36)는, 상단과 하단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37)이 상기 수직 슬릿댐퍼(36)가 상기 구조물(100)(110)과 결합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댐핑형 구조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댐퍼(32)(36)는, 상기 구조물(100)(110)에 의한 인가 하중에 대응토록 재질, 두께 또는 슬릿(33)(37)의 설치 개수가 조정되는 댐핑형 구조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0)(110)은, 적어도 아웃리거(110)를 포함하는 댐핑형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과 상기 구조물(100)(110)의 결합수단으로 볼트를 더 포함하여, 손상된 상기 복합 댐핑형 연결수단(1)의 교체가 용이한 댐핑형 구조물.
KR1020100103717A 2010-10-22 2010-10-22 댐핑형 구조물 KR101259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17A KR101259247B1 (ko) 2010-10-22 2010-10-22 댐핑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17A KR101259247B1 (ko) 2010-10-22 2010-10-22 댐핑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183A true KR20120042183A (ko) 2012-05-03
KR101259247B1 KR101259247B1 (ko) 2013-04-29

Family

ID=4626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717A KR101259247B1 (ko) 2010-10-22 2010-10-22 댐핑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33B1 (ko) * 2010-12-28 2013-06-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구조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웃리거
KR20190059475A (ko) * 2017-11-23 2019-05-31 (주)한국건축구조연구원 손상제어형 기둥-보 접합구조물 및 기둥-보 접합부 보강공법
CN112647608A (zh) * 2019-10-11 2021-04-13 刘念 一种建筑工程用横向减震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7800B2 (ja) * 1996-03-19 2002-04-22 株式会社大林組 制振構造
KR100448441B1 (ko) * 2001-10-22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슬릿댐퍼를 구비한 브레이싱형 철골구조
KR100517893B1 (ko) * 2003-06-11 2005-09-30 주식회사 포스코 슬릿 플레이트를 구비한 건축구조용 댐퍼
KR100799980B1 (ko) * 2007-03-21 2008-01-31 (주)대우건설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33B1 (ko) * 2010-12-28 2013-06-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구조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웃리거
KR20190059475A (ko) * 2017-11-23 2019-05-31 (주)한국건축구조연구원 손상제어형 기둥-보 접합구조물 및 기둥-보 접합부 보강공법
CN112647608A (zh) * 2019-10-11 2021-04-13 刘念 一种建筑工程用横向减震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247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404B1 (ko) 하이브리드 비좌굴 가새
KR101164413B1 (ko) 마찰재를 이용한 중약진 지진용 강성증대형 비좌굴가새
KR101160390B1 (ko) 연성증가형 전단벽 시스템
KR101403230B1 (ko)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
KR101185974B1 (ko) 가새부재를 이용한 기둥부와 보의 연결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101112577B1 (ko) 이중 철골프레임 내진보강장치
KR100995937B1 (ko) 철근콘크리트건축물의 내진 보강구조
KR101372087B1 (ko)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KR101019060B1 (ko) 상하 철골프레임이 구비된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KR101439744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물
JP5596990B2 (ja) 木造建物の耐力壁構造
KR101259247B1 (ko) 댐핑형 구조물
KR101344813B1 (ko) 기둥-보 접합구조물 및 접합방법
KR20120078108A (ko) 기둥-보 접합 장치
CN102635175B (zh) 多用途结构抗震耗能连接件
JP2015074928A (ja) 鋼製耐震壁
KR101209367B1 (ko) 철골 모멘트 골조 내진보강용 가새의 좌굴방지 후보강구조
KR101209363B1 (ko) 에이치형강 기둥의 내진보강용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KR101299574B1 (ko)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CN208564124U (zh) 一种金属耗能阻尼器
KR101603191B1 (ko) 내진 보강용 frp 내력패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30094056A (ko) 돔 구조물용 프레임 구조
KR100977041B1 (ko) 건축물의 제진용 헌치
KR20170023572A (ko) 내진성능을 구비한 철골기둥 연결부 시공방법
KR20200145183A (ko) 구조 보강 및 내진성 향상을 위한 철골 기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