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197A -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197A
KR20120041197A KR1020127000158A KR20127000158A KR20120041197A KR 20120041197 A KR20120041197 A KR 20120041197A KR 1020127000158 A KR1020127000158 A KR 1020127000158A KR 20127000158 A KR20127000158 A KR 20127000158A KR 20120041197 A KR20120041197 A KR 2012004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frame
sta
schedule
w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059B1 (ko
Inventor
석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4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의 스테이션을 위한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은 전력절감(Power Save, PS) 모드로 전환할 것임을 알리는 전력절감 환경설정(Power Seve Configuration, PSC) 요청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하고, 상기 AP로부터 PSC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력절감 환경설정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및 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전력절감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POWER MANAGEMENT METHOD FOR STATION IN WIRELESS LAN SYSTEM AND STATION THAT SUPPORTS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WLAN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초기의 WLAN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한 이래, 최근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적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QoS(Quality for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
IEEE 802.11 중에서 IEEE 802.11b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면서 최고 11M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한다. IEEE 802.11b 이후에 상용화된 IEEE 802.11a는 2.4GHz 대역이 아닌 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혼잡한 2.4GHz 대역의 주파수에 비해 간섭에 대한 영향을 줄였으며, OFDM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 속도를 최대 54Mbps까지 향상시켰다. 그러나 IEEE 802.11a는 IEEE 802.11b에 비해 통신 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IEEE 802.11g는 IEEE 802.11b와 마찬가지로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대 54Mbps의 통신속도를 구현하며, 후방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만족하고 있어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는데, 통신 거리에 있어서도 IEEE 802.11a보다 우위에 있다.
또한,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제정된 기술 규격으로써 IEEE 802.11n이 있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규격은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사본을 여러 개 전송하는 코딩 방식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을 사용할 수도 있다.
IEEE 802.11 MAC(Medium Access Mechanism)의 기본 접속 메커니즘(Basic Access Mechanism)은 이진 익스포넨셜 백오프(binary exponential backoff)와 결합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메커니즘이다. CSMA/CA 메커니즘은 IEEE 802.11 MAC의 분배 조정 기능(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이라고도 불리는데, 기본적으로 "listen before talk" 접속 메커니즘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접속 메커니즘에서는, 스테이션(Station, STA)은 전송을 시작하기에 앞서 무선 채널 또는 매체(Medium)를 청취한다. 청취 결과, 만일 매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청취하고 있는 스테이션(listening STA)은 자기 자신의 전송을 시작한다. 반면, 매체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테이션은 자기 자신의 전송을 시작하지 않고 이진 익스포넨셜 백오프 알고리즘에 의하여 결정되는 지연 기간에 들어간다.
CSMA/CA 메커니즘은 STA이 매체를 직접 청취하는 물리적 캐리어 센싱(physical carrier sensing) 외에 가상 캐리어 센싱(virtual carrier sensing)도 포함한다. 가상 캐리어 센싱은 은닉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 등과 같은 물리적 캐리어 센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 캐리어 센싱을 위하여, IEEE 802.11 MAC(Medium Access Control)은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 NAV)를 이용한다. NAV는 현재 매체를 사용하고 있거나 또는 사용할 권한이 있는 STA이, 매체가 이용 가능한 상태로 되기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다른 STA에게 지시하는 값이다. 따라서 NAV로 설정된 값은 해당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에 의하여 매체의 사용이 예정되어 있는 기간에 해당된다.
NAV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 중의 한 가지는 RTS(Request To Send) 프레임과 CTS(Clear To Send) 프레임의 교환 절차이다.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에는 수신 STA들에게 다가오는 프레임의 전송(upcoming frame transmission)을 알려 주어서 상기 수신 STA에 의한 프레임 전송을 지연시킬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정보는 예컨대,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지속시간 필드(duration field)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나면, 소스 STA은 목표 STA에게 보내고자 하는 실제 프레임을 전송한다.
무선랜 시스템은 네트워크 접근에 특정한 지점의 노드가 필요하지 아니하여 STA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STA은 배터리로 동작한다. 하지만, 배터리의 용량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STA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여 제한된 배터리 용량으로 네트워크의 접속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오랜 시간 제한된 배터리 용량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STA의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한 고려가 요청된다.
본 발명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테이션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은 전력절감(Power Save, PS) 모드로 전환할 것임을 알리는 전력절감 환경설정(Power Seve Configuration, PSC) 요청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하고, 상기 AP로부터 PSC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력절감 환경설정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및 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전력절감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요청 프레임은 상기 스테이션이 깨어있는 상태로 동작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웨이크업(wakeup) 스케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요청 프레임은 전력 관리(PM)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력관리 필드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응답 프레임은 상기 AP가 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요청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상태코드(status cod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은 프레임 전송의 대상이 되는 목적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포함하는 정보 응답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웨이크업 스케쥴에 따라 상기 목적 스테이션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요청 프레임은 상기 목적 스테이션의 MAC(Medium Access Contorl) 주소가 대상(Target) 주소로 설정되고, 상기 목적 스테이션의 상기 웨이크업 스케쥴을 요청함을 지시하는 요청 정보 요소(Request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은 요청된 정보요소(Requested Information element)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된 정보요소 필드는 상기 목적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는 상기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길이를 지시하는 길이 필드, 비콘 간격(Beacon Interval)에서 상기 목적 STA이 최초로 깨어 있는 상태로 동작하는 시작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Start Time) 필드, 및 상기 비콘간격에 존재하는 복수의 상기 목적 STA이 깨어 있는 기간 사이의 간격을 지시하는 수면 간격(Sleep Interval) 필드를 포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스테이션이 액티브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길이 필드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AP에 의해 수행되는,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은 상기 제어 스테이션과 결합된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포함하는 PSC 요청 프레임을 정보 응답 프레임을 PCP로부터 수신하고,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및 상기 정보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포함하는 정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선랜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테이션의 효율적인 전력 관리 방법을 제공하여 스테이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A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A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 STA)의 집합으로써,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개념은 아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 및 퍼스널 BSS(personal BSS, PBSS)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 1에는 인프라스트럭쳐 BSS가 도시되어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BSS(BSS1, BSS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TA(STA1, STA3, STA4),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STA인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및 다수의 AP(AP1, AP2)를 연결시키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한다. 반면, IBSS는 AP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STA이 이동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DS에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PBSS는 IBSS와 유사한 IEEE 802.11 LAN 애드 혹(ad hoc) 네트워크의 한 유형이다. PBSS의 STA 들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STA간 통신이 가능하다. 다만 IBSS와 달리 BSS의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는 PCP(PBSS Cotrol Point)가 존재한다. PCP는 PBSS에서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는 STA으로, 비콘 프레임의 전송을 홀로 담당하고, 서비스 구간 및 경쟁 기반 구간을 할당한다.
STA은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 PCP, 비AP 스테이션(Non-AP Station), 비PCP 스테이션(non-PCP Station)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60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는 STA을 밀리미터파 STA(mmWave STA, mSTA)이라 한다.
무선 통신을 위한 STA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서와 디스플레이 수단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기능 유닛으로써, 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이다.
STA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단말은 비AP/비PCP STA(non-AP/non-PCP STA)으로서, 단순히 STA이라고 할 때는 비AP/비PCP STA을 가리키기도 한다. 비AP/비PCP STA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이하의 기술에서 STA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비AP/비PCP STA을 의미한다.
그리고 AP(AP1, AP2)는 자신에게 결합된 STA(Associated Station)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AP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비AP STA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STA들 사이에서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AP는 엑세스 포인트라는 명칭 외에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STA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비AP STA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DS는 하나의 AP가 다른 AP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이에 의하면 AP가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STA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STA이 다른 BSS로 이동한 경우에 프레임을 전달하거나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러한 DS는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DS는 메쉬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AP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IEEE 802.11 규격을 지원하는 STA의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 방법의 일환으로, STA의 전력 상태(power state)는 전송/수신을 포함한 모든 기능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전력을 공급받고(fully powered) 소모하는 깨어있는 상태(awake state)와 전송/수신 기능을 제한한 대신 저전력을 소모하는 도우즈 상태(doze state) 중 어느 한 상태(state)를 취할 수 있다.
STA의 전력관리 모드(Power management mode)로는 액티브(active) 모드와 전력 절감(Power Save, PS) 모드가 있다. 액티브 모드에서 STA은 깨어 있는 상태(awake state)에서 동작한다. 전력 절감모드에서 STA은 필요에 따라 깨어 있는 상태(awake state)와 도우즈 상태(doze state)간 전환을 통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STA이 PS 모드일 때, STA은 언제든지 깨어 있는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STA은 PS 모드에서 상술한 두 상태간 전환을 통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AP 또는 다른 스테이션과 데이터 등을 전송/수신 하지 않을 때에는 도우즈 상태(doze state)를 취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만일 데이터 등의 전송이 필요하거나 데이터 등의 수신을 요청 받는 경우에는 할 때 깨어 있는 상태(awake state)로 진입하여(enter) 데이터 등의 전송/수신을 하고 전송/수신을 마친 이후 다시 도우즈 상태로 복귀(return)한다.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던 스테이션은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되는 프레임 제어 필드(frame control field)의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 Pwr Mgt) 비트를 1로 설정한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하여 전력 절감 모드로 전환함을 AP에게 알릴 수 있다. AP는 PS 모드로 동작하는 STA에게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다만, 전송할 프레임을 버퍼링하고 정해진 시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A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2는 어느 STA이 전력 절감(Power Save, PS)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예에서 전력 절감(Power Save, PS) 모드에 들어가고자 하는 STA(205)는 전력 절감 모드에 들어가기에 앞서, 반드시 AP(200)에게 자신이 전력 절감 모드에 들어갈 것임을 알리는 전력절감 환경설정(Power Save Configuration, PSC) 요청 프레임(210)을 전송한다(S210).
PSC 요청 프레임(210)을 수신한 AP(2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PSC 응답 프레임(220)을 STA(205)에게 전송한다(S220).
PSC 응답 프레임(220)을 수신한 STA(205)은 PS 모드로 진입한다(S230).
표 1은 PSC 요청 프레임(210)의 프레임 몸체(frame body)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ct00001
PSC 요청 프레임(210)은 카테고리 필드, 액션 필드, 전력관리 필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드의 명칭 또는 순서(oder)는 임의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새로운 필드가 더 추가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카테고리 필드와 액션 필드는 해당 프레임의 카테고리와 동작 내용을 간략히 나타낸다. 즉 해당 프레임이 전력절감 환경설정에 관련된 것이며, 이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신호임을 나타낼 수 있다. PSC 요청 프레임의 액션 필드 값은 2로 설정될 수 있다.
전력관리(PM) 필드는 PSC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이 진입할 모드를 지시한다. PS 모드로 진입하고자 하는 STA은 PSC 요청 프레임의 PM 필드 값을 1로 설정하여 PSC 요청 프레임을 AP로 전송하고, PS 모드에서 동작하던 STA이 액티브 모드로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PSC 프레임의 PM 필드 값을 0으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PM 필드는 1 옥텟(octet)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STA(205)는 액티브 모드에서 동작하다가 PS 모드로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이므로, STA(205)가 AP(200)에게 전송하는 PSC 요청프레임(210)의 PM 필드 값은 1로 설정된다.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 필드는 PSC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담고 있다. PSC 요청 프레임에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 필드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이로부터 AP는 PSC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획득할 수 있다. AP는 획득한 해당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이후 해당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필요로 하는 다른 STA에게 알려줄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절차는 이후 다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 IE)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300)은 요소 식별자(Element ID, 310), 길이(Length, 320), 시작 시간(Start Time, 330), 수면 간격(Sleep Interval, 340) 필드를 포함한다.
요소 식별자(Element ID, 310) 필드는 정보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길이(Length, 320) 필드는 웨이크업 스케쥴 저옵요소의 길이를 나타낸다.
시작 시간(Start Time, 330)은 비콘 간격(Beacon Interval, BI)에서 STA이 최초로 깨어 있는 상태로 동작하는 시작 시점을 지시한다. PS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BI 동안 깨어 있는 상태(awake state)와 도우즈 상태(doze state)로의 전환을 반복할 수 있는데, BI 내에서 깨어 있는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을 어웨이크 BI(Awake BI, A-BI)라 한다면, 시작 시간(Start Time, 330)은 최초의 A-BI 시작 시점을 지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수면 간격(Sleep Interval, 340) 필드는 BI 에서 여러 번 존재할 수 있는 STA이 깨어 있는 구간, 즉 상술한 A-BI 간의 간격을 지시한다.
도 2의 예에서 AP(200)는 STA(205)으로부터 수신한 PSC 요청 프레임(210)의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 필드를 이용하여 STA(205)이 깨어 있는 상태(awake state)로 동작하는 기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AP(200)는 STA(205)에게 전송할 프레임을 버퍼링 하였다가, STA(205)이 깨어 있는 상태로 동작할 때 버퍼링 되어 있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표 2는 PSC 응답 프레임(220)의 프레임 몸체(frame body)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ct00002
PSC 응답 프레임(220)은 카테고리 필드, 액션 필드, 상태 코드 필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드의 명칭 또는 순서(oder)는 임의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새로운 필드가 더 추가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카테고리 필드와 액션 필드는 해당 프레임의 카테고리와 동작 내용을 간략히 나타낸다. 즉 해당 프레임이 전력절감 환경설정(PSC)에 관련된 것이며, 이를 응답하기 위한 제어 신호임을 나타낼 수 있다. PSC 응답 프레임의 액션 필드 값은 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태코드 필드는 PSC 요청 프레임(210)을 전송한 STA의 PSC 요청에 대한 AP(200)의 응답이 포함된다. AP는 PS 모드로의 진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지시하거나, STA(205)이 제안한 자신의 웨이크업 스케쥴에 대하여 거부(reject)하면서 새로운 웨이크업 스케쥴을 제안함을 지시할 수 있다.
웨이크업 스케쥴 필드는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를 포함하는데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의 포맷은 PSC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는 웨이크업 스케쥴 요소의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AP(200)는 STA(205)가 웨이크업 스케쥴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PSC 요청 프레임(210)을 전송한 경우 또는 STA(205)이 PSC 요청 프레임(210)을 통해 전송한 웨이크업 스케쥴을 거부하는 경우에 STA(205)에 대하여 새로운 웨이크업 스케쥴을 제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목적 STA(407)에게 프레임을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STA(405)은 프레임 전송에 앞서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wakeup) 스케쥴(schedule)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적 STA(407)이 PS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전송 STA(405)은 목적 STA(407)으로 임의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목적 STA(207)으로 전송할 프레임을 버퍼링하고 있는 전송 STA(205)은 목적 STA(2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얻기 위하여 정보 요청 프레임(information request frame, 410)을 AP(400)로 전송한다(S410).
AP(400)는 정보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응답 프레임(420)을 전송 STA(405)에게 전송한다(S420).
전송 STA(405)은 정보 응답 프레임(420)으로부터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획득하고, 목적 STA(407)이 깨어 있는 상태로 동작할 때, 데이터 프레임(430)을 전송할 수 있다(S430).
표 3은 정보 요청 프레임(410)의 프레임 몸체(frame body)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ct00003
정보 요청 프레임(410)은 카테고리 필드, 액션 필드, 대상 주소 필드 및 요청 정보 요소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필드의 명칭 또는 순서(oder)는 임의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새로운 필드가 더 추가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카테고리 필드와 액션 필드는 해당 프레임의 카테고리와 동작 내용을 간략히 나타낸다. 즉 해당 프레임이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관리 액션 프레임임을 나타낼 수 있다. PSC 응답 프레임의 액션 필드 값은 4로 설정될 수 있다.
대상 주소 필드는 전송 STA(405)이 웨이크업 스케쥴을 알고자 하는 목적 STA(407)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목적 STA(407)을 지시하는 정보는 목적 STA(407)의 결합 ID(Association ID, AID) 또는 MAC 주소가 될 수 있다.
AP(400)는 대상 주소 필드를 확인하여 전송 STA(405)이 웨이크업 스케쥴을 알기 원하는 목적 STA(407) 을 알게 되고,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전송 STA(405)에게 정보 응답 프레임(420)을 알려 줄 수 있다. 대상 주소 필드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설정되어 AP(400)에게 전송된 경우, AP(400)는 BSS 내의 모든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정보 응답 프레임(420)을 통해 전송 STA(405)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요청 정보요소(Request Information element) 필드는 정보 요청 프레임(410)을 통해 요청하는 정보 요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4의 예에서 요청 정보요소 필드는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를 요청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요청 정보요소 필드는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요소 식별자로 설정되거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를 지칭하는 색인(index)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정보 요청 프레임(410)에는 추가로 전송 STA(405)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 또는 전송 STA(405)이 알고 있는 다른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가 더 포함되어 전송 될 수 있다.
AP는 도 2와 같이 PS 모드로 진입하려 하는 STA으로부터 웨이크업 스케쥴을 획득하거나, 정보 요청 프레임을 통해서 정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 및 정보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이 알고 있는 다른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외에도 AP는 BSS 내의 STA들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조정하여 PSC 응답 프레임 또는 정보 응답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으로 BSS내의 모든 STA 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관리할 수 있다.
표 4는 정보 응답 프레임(420)의 프레임 몸체(frame body)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ct00004
정보 응답 프레임(420)은 카테고리 필드, 액션 필드, 대상 주소 필드 및 요청된 정보 요소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필드의 명칭 또는 순서(oder)는 임의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새로운 필드가 더 추가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카테고리 필드와 액션 필드는 해당 프레임의 카테고리와 동작 내용을 간략히 나타낸다. 즉 해당 프레임이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를 요청에 대한 응답을 위한 관리 액션 프레임임을 나타낼 수 있다. PSC 응답 프레임의 액션 필드 값은 5로 설정될 수 있다.
대상 주소 필드는 정보 요청 프레임(410)의 대상 주소 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값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AP(400)가 요청된 정보요소 필드를 통하여 전송하는 웨이크업 스케쥴이 어느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인지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요청된 정보요소 필드는 정보 요청 프레임(410)을 통해 요청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도 4의 예에서 요청된 정보요소 필드는 대상 주소 필드가 지시하는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이다. 따라서 정보 응답 프레임(420)의 요청된 정보 요소 필드에는 대상 주소 필드가 지시하는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이 포함된다.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포맷은 도 3의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상술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도 4의 예에서, 전송 STA(405)가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얻기 위하여 응답 AP(400)에게 정보 요청 프레임을 보내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이때 정보 요청 프레임(410)의 대상 주소필드는 목적 STA(407)의 MAC 주소로 설정되고, 요청 정보 요소 필드는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색인값으로 설정된다. 정보 요청 프레임(410)에는 전송 STA(405)의 웨이크업 스케쥴과 전송 STA(405)이 알고 있는 다른 STA(들)의 웨이크업 스케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AP(400)는 정보 요청 프레임(410)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응답 프레임(420)을 전송한다. 이때 정보 응답 프레임(420)의 대상 주소 필드는 목적 STA(407)의 MAC 주소로 설정된다. 요청된 정보요소 필드는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가 포함된다. 이때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포맷은 도 3의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목적 STA(407)이 액티브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면 정보 응답 프레임(420)의 요청된 정보요소 필드에 포함되는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길이 필드는 0으로 설정되어 전송된다.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이 기존의 웨이크업 스케쥴에 의할 때 목적 STA(407)이 깨어 있는 상태로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변경되는 경우, AP(400)는 변경된(업데이트 된)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전송 STA(405)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목적 STA(4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의 변경에 따라 AP(400)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 응답 프레임은 전송 STA(405)의 요청 여부와 무관하게(요청 없이도)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도 2, 도 4의 실시예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동작하는 AP와 STA간의 동작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BSS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 도 4의 AP는 PCP일 수 있으며, STA은 비PCP STA 또는 mSTA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A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TA 2(507)는 PS 모드에 들어가기 앞서 PCP(500)와 PSC 요청 프레임 및 PSC 응답 프레임을 교환한다(S510). 이때 교환되는 PSC 요청 프레임 및 PSC 응답 프레임의 포맷 및 기능은 도 2와 함께 기술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즉, STA 2(507)는 PCP(500)에게 자신이 PS 모드에 들어가고자 함을 알리고, 더불어 자신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PSC 요청 프레임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PCP(500)로부터 확인 응답으로 PSC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면, STA2(507)는 PS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STA 2(507)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자 하는 STA 1(505)은 STA 2(5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얻기 위하여 PCP(500)와 정보요청 프레임 및 정보 응답 프레임을 교환한다(S520). 이때 교환되는 정보요청 프레임 및 정보 응답 프레임의 포맷 및 기능은 도 4와 함께 기술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STA 2(5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알게된 STA 1(505)은 자신이 전송할 프레임이 있음을 알리는 트랙픽 지시(traffic indication) 메시지를 STA 2(507)에게 전송한다(S530).
트랙픽 지시(traffic indication) 메시지를 수신한 액티브 모드에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S540) PS 모드하에서 도우즈 상태로 들어가지 아니하고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STA1(505)이 이후 전송할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한다. 이후 STA 1(505)은 (액티브 모드에서 또는 PS 모드에서)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STA 2(507)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S550, S560).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 포함되는 Pwr Mgt 비트는 0으로 설정되어 전송되거나 1로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MAC 헤더 포맷 및 Pwr Mgt 비트의 기능에 대한 보다 자세한 2007년 6월 12일에 개시된 IEEE Std 802.11™-2007(Revision of IEEE Std 802.11-1999 ) 문서의 7.1.2 절 및 7.1.3.1 절을 참조할 수 있다.
STA 1(505)은 자신이 PS 모드로 들어갈 것임을 알리려 하는 경우 Pwr Mgt 비트를 1로 설정하고, 액티브 모드로 동작할 것임을 알리려 하는 경우 Pwr Mgt 비트를 0으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STA 1(505)이 Pwr Mgt 비트를 1로 설정한 데이터 프레임을 STA 2(507)에게 전송(S560)하는 경우, 전송을 마친 이후 STA 1(505)는 PS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70).
이후 STA 2(507)가 전력 관리 모드를 바꾸거나 웨이크업 스케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PSC 요청 프레임을 PCP(500)로 전송(S580)할 수 있다. PCP(500)는 STA 2(507)의 웨이크업 스케쥴의 변경을 STA 1(505)에 알리기 위하여 STA 1(505)의 요청 여부와 무관하게, 요청되지 아니한 정보 응답 프레임을 STA 1(505)에게 전송할 수 있다(S590).
한편, 한 비콘간격(Becon Interval)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쟁 기반 기간(Contention Based Period, CBP)이 존재할 수 있다. ATIM 윈도우는 첫번째 CBP 안에 있을 수 있고, 첫번째 CBP의 시작부터 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ATIM 윈도우는, 비콘 프레임에 포함되는 ATIM 윈도우 파라미터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 기간으로서, ATIM 프레임 및 제어 프레임은 오직 ATIM 윈도우 동안 전송되어야 한다. ATIM 윈도우 파라미터 및 ATIM 프레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2007년 6월 12일에 개시된 IEEE Std 802.11™-2007(Revision of IEEE Std 802.11-1999 ) 문서의 7.3.27 절 및 7.2.3.2 절을 참조할 수 있다.
PS 모드로 동작하는 mSTA은 A-BI 내의 ATIM 윈도우 동안에는 깨어있는 상태로 동작하여야 한다.
수신자 주소가 그룹 어드레스로 설정된 멀티캐스트 MSDU(MAC Service Data Unit) 및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STA(power-conserving STA)에 대하여 전송되는 MSDU는 ATIM 윈도우 동안 ATIM 프레임을 통하여 먼저 통보된다. PS 모드의 STA은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ATIM 프레임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보를 청취하여야 한다. 만일 ATIM 윈도우 동안 아무런 통보도 받지 못한 경우라면, 경쟁기반 기간에서 PS 모드로 동작하는 mSTA은 ATIM 윈도우가 종료되는 때에 도우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만일 STA이 ATIM 윈도우 동안 디렉티드(directed) ATI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ATIM 프레임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전송하고, 자신에게 전송될 MSDU 수신을 위해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만일 STA이 ATIM 윈도우 동안 ATIM 프레임을 전송하고, 다른 STA으로부터 ATIM 프레임을 받지 못한 경우 STA은 PM 비트를 1로 설정한 MPDU를 자신이 전송한 ATIM 프레임을 수신한 STA에게 전송하고 도우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장치(600)는 AP, PCP 또는 비AP/비PCP 스테이션일 수 있다.
무선장치(600)은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및 트랜시버(63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630)는 무선신호를 송신/수신하되, IEEE 802.11의 물리계층이 구현된다. 프로세서(610)는 트랜시버(630)와 연결되어, IEEE 802.11의 MAC 계층을 구현한다. 프로세서(610)가 전술한 방법 중 AP/PCP에서의 동작을 처리할 때, 무선장치(600)는 AP/PCP가 된다. 프로세서(610)가 전술한 방법 중 비AP/비PCP 스테이션에서의 동작을 처리할 때, 무선장치(600)는 비AP/비PCP 스테이션이 된다. 프로세서(610) 및/또는 송수신기(63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6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6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전력절감(Power Save, PS) 모드로 전환할 것임을 알리는 전력절감 환경설정(Power Seve Configuration, PSC) 요청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하고,상기 AP로부터 PSC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력절감 환경설정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및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전력절감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요청 프레임은 상기 스테이션이 깨어있는 상태로 동작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웨이크업(wakeup) 스케쥴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요청 프레임은 전력 관리(PM) 필드를 포함하고,상기 전력관리 필드는 1로 설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응답 프레임은 상기 AP가 상기 전력절감 환경설정 요청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상태코드(status code) 필드를 포함하는 방법.
  5.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프레임 전송의 대상이 되는 목적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포함하는 정보 응답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고, 및상기 웨이크업 스케쥴에 따라 상기 목적 스테이션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정보 요청 프레임은 상기 목적 스테이션의 MAC(Medium Access Contorl) 주소가 대상(Target) 주소로 설정되고,상기 목적 스테이션의 상기 웨이크업 스케쥴을 요청함을 지시하는 요청 정보 요소(Request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은 요청된 정보요소(Requested Information element) 필드를 포함하고,상기 요청된 정보요소 필드는 상기 목적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는 상기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길이를 지시하는 길이 필드, 비콘 간격(Beacon Interval)에서 상기 목적 STA이 최초로 깨어 있는 상태로 동작하는 시작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Start Time) 필드, 및 상기 비콘간격에 존재하는 복수의 상기 목적 STA이 깨어 있는 기간 사이의 간격을 지시하는 수면 간격(Sleep Interval) 필드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목적 스테이션이 액티브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길이 필드는 0으로 설정되는 방법.
  11.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AP에 의해 수행되는,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어 스테이션과 결합된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포함하는 PSC 요청 프레임을 정보 응답 프레임을 PCP로부터 수신하고,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및상기 정보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포함하는 정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2. 프로세서; 및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프레임을 전송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를 포함하되,상기 프로세서는 프레임 전송의 대상이 되는 목적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스케쥴을 포함하는 정보 응답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고, 및상기 웨이크업 스케쥴에 따라 상기 목적 스테이션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설정된 스테이션.
  13.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은 요청된 정보요소(Requested Information element) 필드를 포함하고,상기 요청된 정보요소 필드는 상기 목적 STA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14.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는 상기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길이를 지시하는 길이 필드, 비콘 간격(Beacon Interval)에서 상기 목적 STA이 최초로 깨어 있는 상태로 동작하는 시작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Start Time) 필드, 및 상기 비콘간격에 존재하는 복수의 상기 목적 STA이 깨어 있는 기간 사이의 간격을 지시하는 수면 간격(Sleep Interval)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목적 스테이션이 액티브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정보 응답 프레임의 웨이크업 스케쥴 정보요소의 길이 필드는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KR1020127000158A 2009-07-09 2010-07-09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KR101637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406309P 2009-07-09 2009-07-09
US61/224,063 2009-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197A true KR20120041197A (ko) 2012-04-30
KR101637059B1 KR101637059B1 (ko) 2016-07-06

Family

ID=4342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158A KR101637059B1 (ko) 2009-07-09 2010-07-09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8451761B2 (ko)
KR (1) KR101637059B1 (ko)
AU (1) AU2010269280B2 (ko)
CA (1) CA2767413C (ko)
WO (1) WO2011005062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471A1 (ko) * 2012-06-28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방법
KR20140117336A (ko) * 2012-08-16 2014-10-0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WO2015170831A1 (ko) * 2014-05-08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7003062A1 (ko) * 2015-06-30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콘 인터벌 내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의 상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70104452A (ko) * 2015-01-20 2017-09-15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력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0492129B2 (en) 2012-06-28 2019-11-26 Red Hat, Inc. Method for scanning for access points in wireless LAN system
KR20200104272A (ko) * 2013-07-15 2020-09-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plink mu-mimo 통신을 위한 uplink mu-mimo 송신 요청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893A (ja) * 1993-08-13 1995-02-28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開傘補助具
US8885530B2 (en) * 2009-12-24 2014-11-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management in an ad hoc network
US8861383B2 (en) * 2010-01-19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Acquiring a signal parameter for a neighboring access point
US8345660B2 (en) * 2010-05-06 2013-01-01 Digi International Inc. Wireless mesh network controller synchronization
US20120147800A1 (en) * 2010-12-10 2012-06-14 Minyoung Park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having stations with different power capabilities
US9232472B2 (en) * 2010-12-23 2016-01-05 Stmicroelectronics, Inc. Multiple MAC addresses in a device
US8645492B2 (en) 2011-09-30 2014-02-0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display low power managed adapter
CN103096440B (zh) * 2011-11-07 2019-0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信道接入方法及系统
WO2013073920A1 (ko) * 2011-11-17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에 의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18016B1 (ko) 2012-03-06 2019-09-0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의 절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3187710A1 (ko) 2012-06-13 2013-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모드 변경 방법 및 무선랜 시스템
CN108668347B (zh) 2012-06-13 2021-06-29 韩国电子通信研究院 无线局域网动态连接识别码分配操作方法、基站和接入点
US8982774B2 (en) * 2012-06-27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ranging to a station in power saving mode
US8958433B2 (en) 2012-06-27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an awake state of a station
CN104429133B (zh) * 2012-06-29 2018-10-26 汤姆逊许可公司 Wlan接入点的低功耗模式
KR101672289B1 (ko) * 2012-09-18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청취 간격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US9220063B2 (en) * 2012-10-12 2015-12-22 Broadcom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data transfers in network devices
US20140111312A1 (en) 2012-10-19 2014-04-24 Sanghoon Kim Apparatus and methods for coordinated query and response service discovery
JP2016115991A (ja) * 2014-12-11 2016-06-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機、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機の制御方法
US9924457B2 (en) * 2015-05-06 2018-03-20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and product of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10244532B2 (en) 2016-10-27 2019-03-26 Itron, Inc. Channel structure for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WO2018080584A1 (en) * 2016-10-31 2018-05-03 Intel IP Corporation Station (sta), access point (ap) and methods of signaling for channel bonding arrangements
US10924986B2 (en) 2016-12-21 2021-02-16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to access point in wireless network
US10554369B2 (en) 2016-12-30 2020-02-04 Itron, Inc. Group acknowledgement message efficiency
US10244467B2 (en) * 2017-05-26 2019-03-26 Mediatek Singapore Pte. Ltd. Power-save operations for access points
US20200236624A1 (en) * 2017-07-27 2020-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frame in wireless lan and apparatus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8781B2 (en) * 2003-03-25 2009-03-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saving mechanism for wireless LANs via schedule information vector
US20090196212A1 (en) * 2008-02-01 2009-08-06 Maarten Menzo Wentink Scheduled peer power save mode
US20100014458A1 (en) * 2008-07-17 201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direct link on the high throughput channel of a multi-rate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3117B2 (en) * 2002-12-16 2010-04-06 Avaya Inc. Power-saving mechanism for periodic traffic streams in wireless local-area networks
US6958982B2 (en) 2003-07-16 2005-10-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mobile station physical measurements and MAC performance statistics in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of an access point
US7551948B2 (en) 2003-07-24 2009-06-23 Cisco Technology, Inc. Uniform power save method for 802.11e stations
DE602005017392D1 (de) * 2004-06-16 2009-12-10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Verteilte betriebsmittelreservierung in einem drahtlosen ad-hoc-netzwerk
US7224970B2 (en) * 2004-10-26 2007-05-29 Motorola, Inc. Method of scanning for beacon transmissions in a WLAN
KR100850912B1 (ko) * 2005-06-15 2008-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장치 및 방법
US20080232287A1 (en) * 2007-03-21 200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ower saving schedul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100965052B1 (ko) 2007-06-26 2010-06-21 주식회사 케이티 초소형 무선 접속 장치의 송신 전력 측정 및 자동 조절 방법
IL185088A (en) * 2007-08-07 2012-02-29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hanges in power saving procedures
US8315234B2 (en) * 2007-09-24 2012-11-20 Wi-Lan, Inc. Time multiplexing for coexistence within multiple communication systems
EP2218236B1 (en) 2007-11-12 2019-01-02 LG Electronics Inc. Procedure for a power save mode in a direct link setup wireless network
TWI360045B (en) * 2007-11-23 2012-03-11 Asustek Comp Inc Method for switching automatically power state
US8208391B2 (en) * 2007-11-30 2012-06-2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node within a mobile ad hoc cognitive radio network
US8072913B2 (en) * 2008-02-03 2011-12-06 Broadcom Corporation Collaborative coexistence of co-located mobile WiMAX, wireless LAN, and/or bluetooth radios
US20090268652A1 (en) * 2008-04-29 2009-10-29 Noki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mode aware mesh beacon collision avoidance and information update mechanism
US8284708B2 (en) * 2008-07-14 2012-10-09 Nokia Corporation Power save enhanc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515481B2 (en) * 2008-09-05 2013-08-20 Mediatek Inc. Power management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US9055531B2 (en) * 2008-12-01 2015-06-09 Marvellworld Trade Ltd. Portable AP enhancements
US20150237578A1 (en) * 2008-12-01 2015-08-20 Shantanu Arun Gogate Access point power save enhancements
US8203985B2 (en) * 2008-12-31 2012-06-19 Intel Corporation Power saving in peer-to-peer communication devices
US8054771B2 (en) * 2009-02-20 2011-11-0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a new connection identifier to an existing power save class
US8806246B1 (en) * 2010-05-05 2014-08-12 Crimson Corporation Enforcing and complying with a computing device power policy
EP2395797B8 (en) * 2010-06-11 2014-04-0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tivity modes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8781B2 (en) * 2003-03-25 2009-03-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saving mechanism for wireless LANs via schedule information vector
US20090196212A1 (en) * 2008-02-01 2009-08-06 Maarten Menzo Wentink Scheduled peer power save mode
US20100014458A1 (en) * 2008-07-17 201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direct link on the high throughput channel of a multi-rate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orsten Braun, Laura Marie Feeney. Power Saving in Wireless Ad hoc Networks Without Synchronization. 5th Scandinavian Workshop on Wireless Ad-hoc Networks (ADHOC'05) 2005.03.03.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471A1 (ko) * 2012-06-28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방법
US10492129B2 (en) 2012-06-28 2019-11-26 Red Hat, Inc. Method for scanning for access points in wireless LAN system
KR20140117336A (ko) * 2012-08-16 2014-10-0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20200104272A (ko) * 2013-07-15 2020-09-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plink mu-mimo 통신을 위한 uplink mu-mimo 송신 요청 방법
WO2015170831A1 (ko) * 2014-05-08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9974022B2 (en) 2014-05-08 2018-05-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mode-based operation in wireless LAN
KR20170104452A (ko) * 2015-01-20 2017-09-15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력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7003062A1 (ko) * 2015-06-30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콘 인터벌 내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의 상태 설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51761B2 (en) 2013-05-28
US20150257105A1 (en) 2015-09-10
KR101637059B1 (ko) 2016-07-06
AU2010269280A1 (en) 2012-02-16
US9635614B2 (en) 2017-04-25
WO2011005062A2 (ko) 2011-01-13
CA2767413C (en) 2015-07-07
CA2767413A1 (en) 2011-01-13
US20110199952A1 (en) 2011-08-18
US20130242835A1 (en) 2013-09-19
AU2010269280B2 (en) 2013-08-29
WO2011005062A3 (ko) 2011-03-31
US9078209B2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05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US9060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in a wireless LAN system
KR101997457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10167228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청취 간격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1591212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그룹핑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467357B2 (en) Method for power save mode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988320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102004833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16000953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저전력 장치를 위한 프레임 교환 방법 및 장치
KR20150023362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03116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프레임의 선택적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73994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50023310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15000049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14013012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03764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00474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13815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그룹 어드레스드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07413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그룹핑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5010533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9357489B2 (en) Method for power save mode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5010456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한된 액세스 윈도우 기반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150089003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4013466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지시 맵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07510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