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039A -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039A
KR20120041039A KR1020100102608A KR20100102608A KR20120041039A KR 20120041039 A KR20120041039 A KR 20120041039A KR 1020100102608 A KR1020100102608 A KR 1020100102608A KR 20100102608 A KR20100102608 A KR 20100102608A KR 20120041039 A KR20120041039 A KR 2012004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ticular lens
light emitting
lenticular
segment
wo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687B1 (ko
Inventor
위동호
이은곤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6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 배면에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하부에서 광을 공급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유닛은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는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대형 사이즈에서 해상도 저하나 크로스 토크 현상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Apparatus for Optical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Optical Sheet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렌티큘러 필름 방식의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광원을 픽셀단위 사이즈로 조절하여 백라이트 유닛상에서 빛을 좌/우안으로 분리할 수 있고 대형사이즈에서 크로스-토크를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욱 실감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증가시킨 고해상도 영상표시장치에 개발에서 나아가, 입체로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3D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3D 영상표시장치는 TV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영상, 게임, 광고, 교육, 군사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됨으로써, 입체 효과에 의한 더욱 큰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사람의 양안에 시각 차이를 갖는 서로 다른 두 영상이 각각 보여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람은 입체영상 표시 장치를 통해 실제로 물체를 관찰할 때와 유사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즉, 입체 영상은 사람의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가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착안해 눈에 보이는 실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두 눈에 입력할 수만 있다면 입체감은 쉽게 표현된다. 예컨대, 특성이 동일한 2대의 카메라를 양안 간격만큼 벌려 놓고 촬영한 후 왼쪽 카메라로 찍은 좌영상은 왼쪽 눈에만 보이게 하고, 오른쪽 카메라로 찍은 우영상은 오른쪽 눈에만 비춰줌으로써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입체영상에 특화된 안경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안경의 두 렌즈에 서로 직교하는 편광 필터를 각각 배치하고, 이 안경을 통해 서로 직교하는 편광 방향을 갖는 두 영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안경의 각 렌즈는 렌즈의 편광 필터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빛만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두 영상 중 편광 필터와 동일한 편광 방향의 영상만이 안경의 한쪽 렌즈를 통해 관찰된다. 마찬가지로 이와 직교하는 편광 방향의 영상이 안경의 다른 렌즈를 통해 관찰된다. 두 렌즈를 통과한 영상은 양안에 각각 분리되어 보여진다. 따라서, 입체영상에 특화된 안경을 쓰고 있는 사람은 양안을 통해 서로 다른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또는 렌티큘러 렌즈(RenticularLens)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종래 렌티큘러 렌즈(RenticularLens)를 이용하는 방식은 렌티큘러 필름이 패널 외부에 부착되어 액정 패널에 우안용과 좌안용 화상을 표시시키고 렌티큘러 렌즈를 통해 화소의 상을 공간에서 결상시키는 원리이다. 그러나 종래의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는 조립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해상도가 반으로 줄어들며, 광이용효율이 떨어지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섞이는 크로스토크(crosstalk)의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US7528893 에서는 2D/3D 스위칭 가능한 무안경식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해 백라이트 자체가 특정 시청 거리에서 좌/우안에 영상이 매칭되게끔 지향성을 가지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균일도를 해결하고나 도광판 하면의 가변각도를 가진 프리즘 구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경우 시역 분리 필름의 상부 렌티구조와 하부 프리즘 구조가 특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야 하는데, 대형화 될수록 제작 공차가 커져 Align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고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광학구조 없이 간단한 구조를 갖는 렌티큘러 필름 방식을 적용한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대형 사이즈에서 해상도 저하나 크로스 토크 현상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은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 배면에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하부에서 광을 공급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유닛은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p)는 하기 식의 값을 가질 수 있다:
p=2D× L1 /( L2 + L3 )
상기에서, D는 눈 사이의 간격, L1은 WOLED의 상부 glass 두께이며, L2는 렌티큘러 렌즈의 두께와 액정패널의 두께의 합이고, L3는 시청거리이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곡률반경(r)은 하기 식의 값을 가질 수 있다:
r=F( n3 -1)
상기에서, F=1/[(1/L1)+(1/(L3+L2))]이고, n3는 렌티큘러 렌즈부 굴절율이며L1은 WOLED의 상부 glass 두께이며, L2는 렌티큘러 렌즈의 두께와 액정패널의 두께의 합이고, L3는 시청거리이다.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은 복수의 좌안 세그먼트(wl)와 복수의 우안 세그먼트(wr)가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은 단위 세그먼트 너비(w, wl+wr)가 하기 식의 값을 가질 수 있다:
w=2D×p/(2D-p)
상기에서, D는 눈 사이의 간격, p는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임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wr)는 단위 렌티큘러 피치에 한 쌍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wr)는 단위 렌티큘러 피치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의 단위 세그먼트의 너비(w) 내의 좌(우)안 세그먼트 너비(wl 또는 wr)는 p/2(p: 렌티큘러 피치)의 10 % 이상 100 % 미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60 % 일 수 있다.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 (wr)를 교대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렌즈면이 발광유닛의 반대쪽을 향하는 볼록 렌티큘러 렌즈, 렌즈면이 발광유닛 쪽을 향하는 오목 렌티큘러 렌즈, 또는 이들이 교대로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평면 렌티큘러 렌즈 및 양면 렌티큘러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잡한 광학구조 없이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대형 사이즈에서 해상도 저하나 크로스 토크 현상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렌티큘러의 피치와 WOLED 상부 Glass두께, 렌티큘러 렌즈/LCD패널 두께 및 시청거리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렌티큘러 렌즈의 곡률반경과 WOLED 상부 Glass두께, 렌티큘러 렌즈/LCD패널 두께 및 시청거리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단위 렌티큘러 렌즈에서 좌/우 시청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WOLED 발광층 출사광 프로파일(시역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실시예 2의 WOLED 발광층 출사광 프로파일(시역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실시예 3의 WOLED 발광층 출사광 프로파일(시역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는 액정패널(10), 상기 액정패널 배면에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20)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하부에서 광을 공급하는 발광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유닛은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패널(1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한다. 상기 액정패널(10)는 화소들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되어 있으며,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은 서로 교차되며,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의 교차점에 TFT가 형성되어 화소를 구성한다. 상기 액정패널(10)의 구성 및 구동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20)는 액정패널(10)와 발광유닛(3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면이 발광유닛의 반대쪽을 향하는 볼록 렌티큘러 렌즈일 수 있으며, 렌즈면이 발광유닛 쪽을 향하는 오목 렌티큘러 렌즈일 수도 있다. 또는 볼록 렌티큘러 렌즈와 오목 렌티큘러 렌즈가 교대로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면 렌티큘러 렌즈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양면 렌티큘러렌즈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20)는 시청자의 두 눈을 잇는 선분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반원통형 렌즈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좌안 광은 좌시역을 향하게 하며 우안 광은 우시역을 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렌티큘러 렌즈(20)가 액정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10)의 전체 화소를 사용하므로 고해상도의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도 2는 렌티큘러의 피치(p)와 WOLED 상부 Glass두께(L1), 렌티큘러 렌즈/LCD패널 두께(L2) 및 시청거리(L3)를 도식화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20)의 피치(p)는 0.1 ~ 1mm 범위에서 하기 식에 의해 얻은 값을 가질 수 있다:
p=2D× L1 /( L2 + L3 )
상기에서, D는 눈 사이의 간격, L1은 WOLED의 상부 glass 두께이며, L2는 렌티큘러 렌즈(20)의 두께+액정패널(30)의 두께(t3)이고, L3는 시청거리이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20)의 두께는 렌티큘러 렌즈부의 두께와 베이스 필름부의 두께의 합이다.
상기 식과 같이, 렌티큘러의 피치(p)는 시역(2D)과 WOLED 상부 Glass두께(L1), 렌티큘러 렌즈 및 LCD패널 두께(L2) 및 시청거리(L3)에 관계된 인자가 된다.
도 3은 렌티큘러 렌즈의 곡률반경(r)과 WOLED 상부 Glass두께(L1), 렌티큘러 렌즈/LCD패널 두께(L2) 및 시청거리(L3)를 도식화한 것이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의 곡률반경(r)은 0.1 ~ 0.6mm 범위에서 하기의 식에 의한 값을 가질 수 있다.
r=F( n3 -1)
상기에서, F=1/[(1/L1)+(1/(L3+L2))]이고, n3는 렌티큘러 렌즈부 굴절율이며, L1은 WOLED의 상부 glass 두께이며, L2는 렌티큘러 렌즈(20)의 두께+액정패널(30)의 두께(t3)이고, L3는 시청거리이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20)의 두께는 렌티큘러 렌즈부의 두께와 베이스 필름부의 두께의 합이다.
상기 식과 같이 렌티큘러 렌즈의 곡률반경(r)은 렌즈부 굴절율(n3), WOLED 상부 Glass두께(L1), 렌티큘러 필름 및 LCD패널 두께(L2) 및 시청거리(L3)에 관계된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하부에는 광을 공급하는 발광유닛(30)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유닛(30)으로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이 사용된다.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을 적용함으로서, 광원이 액정 패널 픽셀 사이즈만큼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좌안 세그먼트(wl)와 복수의 우안 세그먼트 (wr)가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 (wr)는 단위 렌티큘러 피치(p)에 한 쌍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렌티큘러 피치(p)는 렌티큘러 렌즈의 골과 골간의 거리 혹은 정점과 정점간 거리이다. 즉, 하나의 렌티큘러 피치(p)에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 (wr)가 한 쌍씩 포함되도록 한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 (wr)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렌티큘러 피치(p)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구체예에서는 단위 렌티큘러 피치(p) 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위 렌티큘러 피치(p) 의 일부 영역에는 발광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 (wr)가 단위 렌티큘러 피치의 양 끝단인 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 (wr)를 교대로 구동하며, 패널은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와 연동하여 교대로 L/R 영상신호를 패널 전체에 뿌려주게 되는 것이다.
단위세그먼트의 너비(w=wr+wl)는 하기 식에 의한 값을 가질 수 있다.
w=2D×p/(2D-p)
상기에서, D는 눈 사이의 간격, p는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임
한 구체예에서, 눈 사이의 간격이 65mm, WOLED 상부 Glass두께(L1)를 0.8mm, 렌티큘러 렌즈/LCD패널 두께(L2) 를 2.0mm으로 할 경우, 시청거리에 따라 렌티큘러 피치(p) , 단위세그먼트의 너비는 하기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시청거리(L3)
(mm)
렌티큘러 피치(p)
(mm)
단위세그먼트 너비(w)
(mm)
100 1.019608 1.027668
200 0.514851 0.516899
300 0.344371 0.345286
400 0.258706 0.259222
500 0.207171 0.207502
600 0.172757 0.172987
700 0.148148 0.148317
800 0.129676 0.129805
또한, 눈 사이의 간격이 65mm, WOLED 상부 Glass두께(L1)를 0.8mm, 렌티큘러 렌즈/LCD패널 두께(L2) 를 2.0mm으로 할 경우, 시청거리에 따른 매개변수 및 렌즈 곡률반경(r) 값은 하기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시청거리(L3)
(mm)
매개변수(F)
(mm)
렌즈 곡률반경(r)
(mm)
100 0.793774 0.412763
200 0.796844 0.414359
300 0.797886 0.414901
400 0.798411 0.415174
500 0.798727 0.415338
600 0.798938 0.415448
700 0.799089 0.415526
800 0.799203 0.415585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피치(p) 207.5㎛, 곡률반경(r) 415.3㎛,인 렌티큘러 렌즈 하단에 단위 피치 내의 양 끝단에 좌안 세그먼트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로 WOLED 발광층을 형성시켰다. 단위 세그먼트의 너비(wr+wl)는 207.2㎛로 하였고 단위 세그먼트 내의 좌(우) 세그먼트의 너비(wl 또는 wr)는 p/2(p: 렌티큘러 피치)의 50 %로 하였고 시청거리는 500mm로 설정하였다. WOLED 발광층 출사광 프로파일(Gaussian 분포)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역이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단위 세그먼트(w) 내의 좌(우) 세그먼트의 너비(wl 또는 wr)는 p/2(p: 렌티큘러 피치)의 10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WOLED 발광층 출사광 프로파일(Gaussian 분포)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단위 세그먼트(w) 내의 좌(우) 세그먼트의 너비(wl 또는 wr)는 p/2(p: 렌티큘러 피치)의 1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WOLED 발광층 출사광 프로파일(Gaussian 분포)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 액정패널 20 : 렌티큘러 렌즈
30 :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

Claims (12)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 배면에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하부에서 광을 공급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유닛은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p)는 하기 식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p=2D×L1/(L2+L3)
    상기에서, D는 눈 사이의 간격, L1은 WOLED의 상부 glass 두께이며, L2는 렌티큘러 렌즈의 두께와 액정패널의 두께의 합이고, L3는 시청거리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곡률반경(r)은 하기 식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r=F( n3 -1)
    상기에서, F=1/[(1/L1)+(1/(L3+L2))]이고, n3는 렌티큘러 렌즈부 굴절율이며L1은 WOLED의 상부 glass 두께이며, L2는 렌티큘러 렌즈의 두께와 액정패널의 두께의 합이고, L3는 시청거리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은 복수의 좌안 세그먼트(wl)와 복수의 우안 세그먼트(wr)가 서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은 단위 세그먼트 너비(w, wl+wr)가 하기 식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w=2D×p/(2D-p)
    상기에서, D는 눈 사이의 간격, p는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wr)는 단위 렌티큘러 피치에 한 쌍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wr)는 단위 렌티큘러 피치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의 단위 세그먼트의 너비(w) 내의 좌(우)안 세그먼트 너비(wl 또는 wr)는 p/2(p: 렌티큘러 피치)의 10 % 이상 10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WOLED) 발광층의 단위 세그먼트의 너비(w) 내의 좌(우)안 세그먼트 너비(wl 또는 wr)는 p/2(p: 렌티큘러 피치)의 40~6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세그먼트(wl)와 상기 우안 세그먼트 (wr)를 교대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렌즈면이 발광유닛의 반대쪽을 향하는 볼록 렌티큘러 렌즈, 렌즈면이 발광유닛 쪽을 향하는 오목 렌티큘러 렌즈, 또는 이들이 교대로 배치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편면 렌티큘러 렌즈 및 양면 렌티큘러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KR1020100102608A 2010-10-20 2010-10-20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KR10124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08A KR101246687B1 (ko) 2010-10-20 2010-10-20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08A KR101246687B1 (ko) 2010-10-20 2010-10-20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39A true KR20120041039A (ko) 2012-04-30
KR101246687B1 KR101246687B1 (ko) 2013-03-21

Family

ID=4614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608A KR101246687B1 (ko) 2010-10-20 2010-10-20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774B1 (ko) * 2012-05-22 2013-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2d-3d 스위처블 액정렌즈의 설계방법
CN103899989A (zh) * 2014-03-19 2014-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9626887B2 (en) 2013-04-26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using unidirectional be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77B1 (ko) * 2008-10-17 2013-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774B1 (ko) * 2012-05-22 2013-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2d-3d 스위처블 액정렌즈의 설계방법
US9626887B2 (en) 2013-04-26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using unidirectional beam
CN103899989A (zh) * 2014-03-19 2014-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10208918B2 (en) 2014-03-19 2019-02-1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687B1 (ko)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1180B2 (ja) 3dディスプレイ装置用バックライト
KR100658545B1 (ko) 입체 화상 재생 장치
KR100759392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JP4947526B2 (ja) 画像表示装置
US9213203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US8279270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KR20140115487A (ko)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CN203444166U (zh) 一种立体显示装置
US20150237334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0828696B1 (ko) 가변형 패럴렉스 배리어와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20160269718A1 (en) Stereopsis display device
KR102130133B1 (ko) 백 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TW201044020A (en) 3D display and 3D display system
KR101246687B1 (ko)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KR20140080042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59961A (ko) 광 시야각을 갖는 패턴드 리타더를 사용한 3차원 영상 표시장치
US20140160378A1 (en) Display apparatus
JP5839155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4400242B2 (ja) 画像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パネル
CN103472587B (zh) 一种立体显示装置
US10735715B2 (en) Autostereoscopic 3-dimensional display
KR101055608B1 (ko) 다중뷰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표시 장치
CN112415765B (zh) 一种裸眼立体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1700363B2 (en) Stereoscopic display
KR102075783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