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912A -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912A
KR20120039912A KR20100101362A KR20100101362A KR20120039912A KR 20120039912 A KR20120039912 A KR 20120039912A KR 20100101362 A KR20100101362 A KR 20100101362A KR 20100101362 A KR20100101362 A KR 20100101362A KR 20120039912 A KR20120039912 A KR 2012003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h
packet
link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195B1 (ko
Inventor
김태연
윤승현
정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0010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195B1/ko
Priority to US13/275,973 priority patent/US9130868B2/en
Publication of KR2012003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2Centralis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4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an overlay rout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영자의 경로 설정 요구에 따라,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상위계층 경로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설정된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다계층으로 구성된 전달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CROSS LAYER PATH PROVISIONING METHOD AND SYSTEM IN MULTI LAYER TRANSPORT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계층으로 구성된 전달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패킷망, 회선망, 광전송망이 혼재하는 현재의 망 구조를 단순화하고, 도래할 프리미엄 IP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전송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패킷-광 통합망 구축 및 네트워크 제어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SONET(Synchronous Digital Hierarchy)/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중심의 광 전달망이 동적인 패킷 전달망으로 진화함에 따라 패킷 트래픽의 전달 특성 및 서비스 품질을 고려한 경로 및 자원 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즉,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계층으로 구성한 다 계층 네트워크는 각 계층별로 독립적으로 자원을 최적화하는 것보다는 모든 계층을 고려한 네트워크의 자원 최적화를 통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계층 간의 트래픽 엔지니어링이 요구된다.
따라서, IETF 등의 표준화 기구에서는 최적의 자원으로 계층 간의 경로설정을 위해서 경로 계산부(PCE: Path Computation Element)를 기반으로 하는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와 GMPLS(Generalized MPLS)를 통한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법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IETF에서는 단일 계층이 아닌 계층간의 프로비저닝을 위한 경로 계산부와 MPLS 혹은 GMPLS 간의 중재 및 제어 역할을 위한 VNTM(Virtual Network Topology Manager)의 기능 정립과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예컨대, 계층 간의 경로계산을 위하여 세 가지 모델이 제시된다. 첫 번째로 하나의 경로 계산부를 통하여 모든 계층을 통합한 경로의 계산을 하는 모델이다. 두 번째로는 계층별로 별도의 경로 계산부를 두되 이들 경로 계산부간의 통신을 통해서 계층 간의 경로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 경로를 계산하는 모델이다. 마지막 세 번째 모델은 계층 간의 경로 계산부가 있으나 경로 계산부간의 연동 없이 각 계층 내에서만 경로 계산을 하는 모델이다.
한편, 경로계산과 마찬가지로 계층 간의 경로 제어 기술도 몇 가지 가능한 모델이 제시된다. 첫 번째는 PCE-VNTM 협조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경로 계산부와 VNTM과의 역할 분담을 통하여 계층간 경로 설정을 이룬다. 두 번째 모델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모델로서 VNTM 없이 시그널링 엔티티가 주체가 되어 하위 계층의 LSP(Label Switched Path)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계층별로 시그널링을 통한 경로를 제어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세 번째 모델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Network Management System)-VNTM 통합형 협조모델로서 네트워크 관리의 관점에서 가상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관리하는 것이다. 마지막 모델은 NMS-VNTM 분리형 협조모델로서 기존의 독립 계층별로 경로 계산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위계층에서 경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하위계층 LSP가 필요한 경우에만 VNTM을 통해서 TE(Traffic Engineering) 링크를 구성하게 되는 모델이며, 경로계산 방법과 조합하여 다양한 구성에 대한 장단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경로계산 기술 및 경로제어 기술로 다계층간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우,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토폴로지 관리 문제가 발생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상위계층 노드, 하위계층 노드, 그리고 상하위 통합 노드로 다양한 상황에서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그런데, 가상 TE 링크를 모두 상위에 반영하는 것은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상위계층의 경로 계산 성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위계층 경로와 독립적으로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계층별로 존재하는 경로 계산부에 대한 독립성을 보장하고, 계층간 경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위계층 경로와 하위계층 경로의 토폴로지 정보에서 연결되지 않은 가상 링크(제2 타입의 링크)를 운영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위계층 경로 상에 이용되도록 함으로써, 경로 계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은 운영자의 경로 설정 요구에 따라,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 상기 상위계층 경로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설정된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하는 교차-계층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위계층 경로는 패킷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패킷노드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하위계층 경로는 광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광노드 경로와 연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는 패킷 전달계층 트래픽공학 데이터베이스(Traffic Engineering Database: 이하 TEDB)로부터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상기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전달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패킷 전달계층 TEDB와 광 전달계층 TEDB를 이용하여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는 광 전달계층 TEDB로부터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전달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패킷노드와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광노드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상위계층에서 연결 가능한 패킷노드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패킷노드 링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이미 경로가 설정된 링크를 제1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링크를 제2 타입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상기 제1 타입 또는 상기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를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로서 패킷 전달계층 TEDB에 저장하고, 상기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에 대하여, 정책에 의해 정의된 메트릭 정보를 상기 패킷 전달계층 TE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 중 상기 제2 타입의 링크를 경유하는 경로가 있는 경우,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로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에 의해 재설정된 하위계층 경로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제2 타입의 링크를 제1 타입의 링크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은 운영자의 경로 설정 요구에 따라,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패킷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패킷노드 경로와 연관된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위계층 경로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광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광노드 경로와 연관된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설정된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위계층 경로와 독립적으로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계층별로 존재하는 경로 계산부에 대한 독립성을 보장하고, 계층간 경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위계층 경로와 하위계층 경로의 토폴로지 정보에서 연결되지 않은 가상 링크(제2 타입의 링크)를 운영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위계층 경로 상에 이용되도록 함으로써, 경로 계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계층간 토폴로지 구성을 위한 하위계층의 정보를 구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위계층에서의 광 경로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광계층 TE 링크정보와 광 경로를 분석하여 계층간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패킷계층에서의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타입의 링크가 상위계층 경로에 포함된 경우, 하위계층 경로를 재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 상위계층의 경로 계산부(120), 패킷 전달계층 TEDB(130), 교차-계층 관리부(140),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 하위계층의 경로 계산부(160), 및 광 전달계층 TEDB(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으로는 패킷 기반으로 운용되어 데이터망에 적용되는 패킷 경로 설정이 가능한 패킷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위계층은 복수의 패킷 노드(A', B', C', F', G')로 구성된다.
또한, 하위계층으로는 광 네트워크 계층으로서 ROADM과 같은 유연한 형상변경이 가능한 광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하위계층은 복수의 광 노드(A 내지 G)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상위계층의 패킷 경로 설정 기능과 하위계층의 광 경로 설정이 독립적으로 수행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간의 연동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인 계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 PPS: Packet-Layer Provisioning System)는 운용자로부터 경로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120)와 연동하여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한다.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120, PCE_PTL: Path Computation Element _ Packet Transport Layer)는 상위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패킷노드에 대한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120)는 패킷 전달계층 TEDB(130)로부터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로 전달한다.
패킷 계층의 TEDB(130, Traffic Engineering DB)는 패킷계층에서의 TE 링크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지고 있으며 Managed 방식 혹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위계층의 변경된 정보가 상위계층에 반영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는 상기 전달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한다.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는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를 교차-계층 관리부(140)로 전함으로써,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에 대한 계층간 연결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는 영구접속 방식(PC: Permanent Connection) 또는 반영구접속 방식(SPC: Semi-Permanent Connection)을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영구접속 방식은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에서 일괄적으로 각 노드에 경로 설정 정보를 전달하여 MP(Management Plane)에서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한편, 반영구접속 방식은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에서 시그널링 기능인 MPLS나 MPLS_TP 등을 이용하여 경로설정을 하는 MP(Management Plane)와 CP(Control Plane)의 연동 하에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는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반영구접속 방식인 경우 계산된 경로를 MPLS/MPLS-TP에 전달하여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가 패킷계층에서 경로 설정을 위한 시작점이라면,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는 광 계층에서 광 경로 설정을 위한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다. 예컨대,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 OPS: Optical Provisioning System)는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와 마찬가지로 운용자 정합 기능과 하위계층의 경로 계산부(160)와 연동을 통한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한다.
하위계층의 경로 계산부(160, PCE_OTL: Path Computation Element _ Optical Transport Layer)는 상위계층 경로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GMPLS와 연동하여 광 전달 계층에서의 SPC 방식으로 경로를 계산한다. 예컨대, 하위계층의 경로 계산부(160)는 광 전달계층 TEDB(170)로부터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는 상기 전달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하위계층 경로를 교차-계층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교차-계층 관리부(140, CPS: Cross-Layer Provisioning System)는 패킷 전달계층 TEDB(130)와 광 전달계층 TEDB(170)를 이용하여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한다.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와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 간의 연동을 통해서 계층간 연결을 위한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 계층별로 구성된 TE 링크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계층간 토폴로지(Inter Layer Topology) 정보를 구성하며, 구성된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이 상호 연동되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계층간 동적 경로설정 방법은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된다. 첫 단계는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상위계층에서 경로 설정을 위한 다계층 토폴로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구성된 다계층 토폴로지 정보에서 동적 다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도 2는 계층간 토폴로지 구성을 위한 하위계층의 정보를 구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계층 네트워크는 여러가지 형태의 노드로 구성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패킷 전달 계층(210, Packet Transport Layer)은 패킷노드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광 전달 계층(220, Optical transport Layer)은 광노드로 구성이 되어 있으나, 광노드와 패킷노드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패킷광 노드도 있을 수 있다.
우선 하위계층은 '광계층'으로 구성이 되며, 광 네트워크 노드(이하, '광노드'라고 함) 간 연결을 통하여 광 계층에서의 경로가 구성된다. 따라서 광 전달 계층에서의 광 경로는 광 전달 계층에서의 TE 링크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광 전달계층 TEDB(230)는 광 계층에서의 광 TE 링크정보와 함께 설정된 광 경로 정보를 가진다. 초기에는 도 2와 같이 광 계층에서의 TE 링크정보만이 구성된다.
도 3은 하위계층에서의 광 경로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는 운용자로부터 광 경로 설정 요구를 받아, 상위계층 경로 설정과 독립적으로, 하위계층의 경로 계산부(160)로 하위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광 노드에 대한 경로 계산을 요청한다.
하위계층의 경로 계산부(160)는 광 전달계층 TEDB(310)을 기반으로 경로를 계산하고, 계산된 경로를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로 전달한다.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는 상기 전달된 경로에 따라 상기 광 노드에 연결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광 계층에서의 광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광 전달계층 TEDB(310)에서 구성한 'OP(Optical Path)'는 설정된 광 경로를 나타내며, Transit의 경유 노드를 나타낸다. 또한,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는 링크의 대역폭(BW: Bandwidth) 내에서 원하는 범위에서 광 경로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만일 SPC 방식으로 경로 설정을 요구 받은 경우에는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는 상기 계산된 경로를 GMPLS로 전달하여 시그널링을 통하여 해당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
도 4는 광계층 TE 링크정보와 광 경로를 분석하여 계층간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위계층의 링크와 경로를 상위계층의 경로에 반영하기 위한 방법으로 라우팅 프로토콜(RL: Routing Listener)을 이용하거나 링크관리 프로토콜(LMP: Link Management Protocol)을 사용하는 자동화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위계층의 광 계층 경로로 구성된 정보만이 상위계층의 TE 링크정보로 반영이 된다. 이 경우에는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430)에 포함된 B'F' 링크와 C'G' 링크와 같은 가상 TE 링크정보를 반영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광 전달계층 TEDB(420)에 기초하여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패킷 전달계층 TEDB(410)에 적용한다.
우선,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광 전달계층 TEDB(420)의 노드간의 광계층 TE 링크정보와 패킷 전달계층 노드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패킷 전달계층에서의 연결 가능한 패킷노드 링크정보(P_Link)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추출된 패킷노드 링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이미 경로가 설정된 링크를 제1 타입('A'ctual 타입)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링크를 제2 타입('V'irtual 타입)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나머지 패킷노드 링크정보는 광 경로를 통해서 분석 결과 광계층에서 연결이 가능한 링크이지만, 아직 광계층에서 경로가 연결되지 않은 링크들에 해당한다.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연결 가능하지만 아직 경로가 연결되지 않은 링크 중에서 정책적으로 '가상 링크'로 활용하고자 하는 링크를 선택하여 이를 제2 타입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가상 링크의 지정 시에 정책에 따라서 해당하는 광 경로의 가용한 대역 내에서 가상 링크의 대역을 정의할 수 있으며, 경로 계산에 활용되는 가상 링크의 매트릭(Metric) 정보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이 가능하고 아직 연결이 되지 않은 링크 중에서 정책에 따라서 선택이 되지 않은 링크는 하위계층 또는 상위계층에서도 활용이 되지 않는 링크로서 가상 링크로 활용이 되지 않는다.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하위계층 또는 상위계층에서도 활용이 되지 않는 링크의 타입을 'N/A'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상기 구성된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 중에서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들을 패킷 전달계층 TEDB(410)에 패킷 TE 링크정보로서 등록한다. 이때, 패킷 전달계층 TEDB(410)에 등록되는 링크는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구분이 없으며, 동일한 링크로 인식된다. 단, 정책에 의해 정의된 매트릭 정보는 TED에 반영이 되어야 하며, 이는 경로 계산에 있어서 제2 타입의 링크(가상 링크)가 최대한 선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연결된 링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상 링크를 경로에서 선택하면 하위계층을 재설정하고 상위계층을 연결하는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계층별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130, 170)와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이용하여 계층간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패킷계층에서의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패킷 전달계층 TEDB(510)와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520)을 이용하여,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로부터 받은 경로 중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경로 계산에서 도출된 경로 중에서 제2 타입의 링크를 경유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위계층 경로의 'PP(Packet Path)'를 참고하면, B'G' 또는 A'G'의 경우에는 Transit 경로 중에서 가상 경로를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이 없이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로 상위계층 경로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는 계산된 경로를 영구접속 방식 또는 반영구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PP(Packet Path)' 상의 마지막에 계산된 경로 A'F'의 경우에는 Transit 링크 중에서 B'F'를 지나게 되는데 이는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520)에서 관리하는 제2 타입의 링크에 해당이 된다. 이 경우,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로 하위계층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명령한다.
도 6은 제2 타입의 링크가 상위계층 경로에 포함된 경우, 하위계층 경로를 재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620) 상에서 제2 타입의 링크가 선택된 경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로 하위계층 경로 설정을 요구한다. 이때, 요구하는 경로는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620)에서 제2 타입의 링크에 해당하는 광 경로(OP)에 해당하는 경로와 제2 타입의 링크로 설정된 대역이다.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는 요구받은 경로를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160)를 통해서 경로를 계산하고, 계산된 경로를 이용하여 영구접속 방식이나 반영구접속 방식으로 하위계층 경로를 재설정한다.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는 재설정된 하위계층 경로를 광 전달계층 TEDB(630)에 등록하고, 재설정된 하위계층 경로를 교차-계층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상기 재설정된 하위계층 경로를 수신하면, 제2 타입의 링크를 제1 타입으로 변경한다. 이때,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나 패킷 전달계층 TEDB(610)에는 전혀 다른 변동 사항이 없다.
교차-계층 관리부(140)는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로 하위계층 경로가 확인되었음을 알리고,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110)는 영구접속 방식이나 반영구접속 방식으로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를 참고하면, 단계 710에서,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운영자의 경로 설정 요구에 따라,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120)와 연동하여 패킷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패킷노드 경로와 연관된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한다. 실시예로,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120)를 통해 패킷 전달계층 TEDB(130)로부터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상기 상위계층 경로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160)와 연동하여 광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광노드 경로와 연관된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한다. 실시예로,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광 전달계층 TEDB(170)로부터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설정된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패킷 전달계층 TEDB(130)와 광 전달계층 TEDB(170)를 이용하여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패킷노드와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광노드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상위계층에서 연결 가능한 패킷노드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패킷노드 링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이미 경로가 설정된 링크를 제1 타입으로 지정하며, 상기 패킷노드 링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링크를 제2 타입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상기 제1 타입 또는 상기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를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로서 패킷 전달계층 TEDB(130)에 저장하고, 상기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에 대하여, 정책에 의해 정의된 메트릭 정보를 패킷 전달계층 TEDB(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100)은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상위계층 경로 중 상기 제2 타입의 링크를 경유하는 경로가 있는 경우,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로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명령함으로써,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150)에 의해 재설정된 하위계층 경로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제2 타입의 링크를 제1 타입의 링크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110: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
120: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
130: 패킷 전달계층 TEDB
140: 교차-계층 관리부
150: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
160: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
170: 광 전달계층 TEDB

Claims (16)

  1. 운영자의 경로 설정 요구에 따라,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
    상기 상위계층 경로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설정된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하는 교차-계층 관리부
    를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경로는 패킷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패킷노드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하위계층 경로는 광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광노드 경로와 연관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는,
    패킷 전달계층 TEDB로부터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상기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로 전달하고,
    상기 상위계층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전달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패킷 전달계층 TEDB와 광 전달계층 TEDB를 이용하여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는,
    광 전달계층 TEDB로부터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로 전달하고,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전달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패킷노드와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광노드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상위계층에서 연결 가능한 패킷노드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패킷노드 링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이미 경로가 설정된 링크를 제1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링크를 제2 타입으로 지정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상기 제1 타입 또는 상기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를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로서 패킷 전달계층 TEDB에 저장하고, 상기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에 대하여, 정책에 의해 정의된 메트릭 정보를 상기 패킷 전달계층 TEDB에 저장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 중 상기 제2 타입의 링크를 경유하는 경로가 있는 경우,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로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명령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계층 관리부는,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에 의해 재설정된 하위계층 경로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제2 타입의 링크를 제1 타입의 링크로 변경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시스템.
  10. 운영자의 경로 설정 요구에 따라, 상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패킷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패킷노드 경로와 연관된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위계층 경로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하위계층 경로 계산부와 연동하여 광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광노드 경로와 연관된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설정된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패킷 전달계층 TEDB로부터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각 패킷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설정된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패킷 전달계층 TEDB와 광 전달계층 TEDB를 이용하여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계층 경로와 상기 하위계층 경로 간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광 전달계층 TEDB로부터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광계층 TE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각 광노드 간의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에 포함된 패킷노드와 상기 하위계층에 포함된 광노드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상위계층에서 연결 가능한 패킷노드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패킷노드 링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이미 경로가 설정된 링크를 제1 타입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노드 링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노드 중에서 상기 광노드와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링크를 제2 타입으로 지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또는 상기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를 패킷계층 TE 링크정보로서 패킷 전달계층 TE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입으로 지정된 링크에 대하여, 정책에 의해 정의된 메트릭 정보를 상기 패킷 전달계층 TE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상위계층 경로와 계층간 토폴로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상위계층 경로 중 상기 제2 타입의 링크를 경유하는 경로가 있는 경우,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설정하는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로 상기 하위계층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계층 경로 설정부에 의해 재설정된 하위계층 경로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제2 타입의 링크를 제1 타입의 링크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KR20100101362A 2010-10-18 2010-10-18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41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1362A KR101417195B1 (ko) 2010-10-18 2010-10-18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US13/275,973 US9130868B2 (en) 2010-10-18 2011-10-18 Cross layer path provisioning method and system in multi layer transpor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1362A KR101417195B1 (ko) 2010-10-18 2010-10-18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912A true KR20120039912A (ko) 2012-04-26
KR101417195B1 KR101417195B1 (ko) 2014-07-09

Family

ID=4593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1362A KR101417195B1 (ko) 2010-10-18 2010-10-18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0868B2 (ko)
KR (1) KR101417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05A (ko) * 2014-06-19 2015-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링크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0768A (ja) * 2012-10-03 2015-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63204B2 (en) * 2013-04-22 2016-06-07 Nant Holdings Ip, Llc Harmonized control planes, systems and methods
CN105960780B (zh) * 2014-07-18 2018-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层路径建立方法及装置
JP5898284B1 (ja) * 2014-09-18 2016-04-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設計装置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設計方法
JP2016086315A (ja) * 2014-10-27 2016-05-19 富士通株式会社 伝送装置およびパス設定方法
WO2016103632A1 (ja) * 2014-12-24 2016-06-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レイヤ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レイヤ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ス設定方法
CN109952744B (zh) 2016-09-26 2021-12-14 河谷控股Ip有限责任公司 云网络中提供虚拟电路的方法和设备
CN111130850B (zh) * 2018-08-30 2022-09-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故障多层链路恢复方法和控制器
CN110971521B (zh) * 2018-09-29 2022-09-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由路径计算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233707B2 (en) * 2020-03-27 2022-01-25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Metadata-based information provenance
US11831657B2 (en) 2020-03-27 2023-11-28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Trust policies for a data provisioning lay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5619B2 (ja) 2005-03-15 2010-09-15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レイヤ3通信装置、レイヤ2通信装置および経路選択方法
ATE389283T1 (de) 2005-08-15 2008-03-15 Alcatel Lucent Verfahren und steuerungsebene zur bereitstellung von verbindungen in einem mehrschichtigen transportnetz
US7831700B2 (en) * 2006-10-16 2010-11-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PCE-based system and architecture in multi-layer network
KR20090060931A (ko) * 2007-12-10 2009-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크로스 레이어 라우팅 방법
US7733786B2 (en) 2008-05-15 2010-06-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computation
KR101004309B1 (ko) 2008-11-25 2010-12-27 (주) 엠엠씨 테크놀로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계층적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KR101231738B1 (ko) * 2008-12-02 2013-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별로 다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라우팅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05A (ko) * 2014-06-19 2015-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링크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93030A1 (en) 2012-04-19
US9130868B2 (en) 2015-09-08
KR101417195B1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195B1 (ko)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계층간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N104426766B (zh) 跨多个网络层的动态端到端网络路径建立
US7593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domain route computation
US10516478B2 (en) Controller based path estimation and path provisioning using optical impairment data
US9634928B2 (en) Mesh network of simple nodes with centralized control
CN103477612B (zh) 经扩展以连接网络层级的云服务控制和管理架构
CN111492627B (zh) 为不同应用建立不同隧道的基于控制器的服务策略映射
US7995569B2 (en) Virtual routers for GMPLS networks
US9559944B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stablishing link-diverse traffic path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4780099A (zh) 利用网络服务链化的跨多个网络层的动态端到端网络路径设立
EP3621243B1 (en) Virtual network creation method, apparatus and transport network system
JP4765980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477843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routing in a photonic network
WO2016119265A1 (zh) 一种网络业务建立方法、协作控制中心及网络系统
US201202100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in a network domain
KR20120066234A (ko) 다계층 네트워크에서의 gmpls 기반의 다계층 링크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7615722A (zh) 传输软件定义网络(sdn)——经由分组窥探的零配置邻接
US201401123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ni path
US94513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nk on multi-layer networks
US8781320B2 (en) Automatically switched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the network
KR20130068449A (ko) 경로 계산 기반의 경로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8780924B2 (en) GMPLS non-enabled network gateway and operating method for routing between GMPLS enabled network and GMPLS non-enabled network
Korniak The GMPLS controlled optical networks as industry communication platform
EP3588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andwidth according to requirement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276914B1 (ko) 영구 접속 방식의 도메인 간 단대단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