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120A - 독서등 - Google Patents

독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120A
KR20120039120A KR1020100100643A KR20100100643A KR20120039120A KR 20120039120 A KR20120039120 A KR 20120039120A KR 1020100100643 A KR1020100100643 A KR 1020100100643A KR 20100100643 A KR20100100643 A KR 20100100643A KR 20120039120 A KR20120039120 A KR 2012003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ading
light source
frame
scatter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환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9120A/ko
Publication of KR2012003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7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books, i.e. reading lights attachable to 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독서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프레임 ;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고정되고, 소정영역에 산란패턴을 구비하는 도광판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독서등{a reading light}
본 발명은 독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가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야간 독서시 눈의 피로감을 덜어 줄 수 있는 한편, 사용자의 신체상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독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등은 천장이나 벽에 설치되는 조명등과, 테이블에 올려놓는 스탠드와는 구별되며, 이러한 독서등은 실내등이나 스탠드등을 사용하지 않고 독서를 밝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8-0002109호에는 "휴대용 독서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기술은 전등부와 건전지 수납함이 장착된 기체를 연결대로서 연결하되 회동절부에 의해 회동되게 한 통상의 스탠드에 있어서, 기체의 전방 3면을 에워싸도록 형성한 U자 형상의 책 협지간을 기체의 후방 양단부에 연설하되 그 연결부의 근접한 외측에 형성시킨 절곡부를 기점으로 책 협지간이 하향경사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독서등은 휴대 및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빛의 조사각이 좁아 전등을 이용하여 책을 읽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지된 종래의 독서등 구조는 대부분 반사판의 반사 범위내에 발광램프(형광등, 백열전구 등)를 설치하여 발광램프의 빛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데, 이는 반사판의 반사범위 내에 발광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발광램프의 빛이 직접 투과되는 렌즈부분과 그렇지 않는 렌즈부분의 조도가 서로 다르므로 독서자의 집중력이 저하되고, 특히 렌즈의 발광면 중 빛이 직접 투과되는 부분의 렌즈 발광면은 조도가 너무 높아 가시광선에 의한 독서자가 눈의 피로감을 쉽게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독서등 사용자는 한 손으로 독서등을 잡고 책이나 신문을 읽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불편하고,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야간 독서시 눈의 피로감을 덜어 줄 수 있는 한편, 사용자의 신체상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독서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프레임 ;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고정되고, 소정영역에 산란패턴을 구비하는 도광판 ;을 포함하는 독서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란패턴은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상부면의 외측에 소정 폭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란패턴은 연속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광원과 대응하는 영역에만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산란패턴은 상기 도광판의 폭에 대하여 1/10 내지 1/20의 폭 크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란패턴은 상기 광원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배치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은 독서대상물과 대응하는 하부면에 미끄럼방지용 마찰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하도록 광원과 마주하는 외측테두리가 프레임에 의해서 고정되는 도광판을 구비하고, 광원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를 프레임에 구비함으로써 손으로 잡거나 별도의 고정장치의 필요없이 읽고자하는 독서대상물의 표면상에 올려놓기만 하여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빛의 떨림이나 움직임없이 독서에 적합한 빛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야간 독서시 눈의 피로감을 덜어 줄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상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부피가 작고, 경량으로 제조할 수 있어 취급 및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독서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독서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독서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등(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110), 프레임(120), 도광판(130) 및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110)은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빛을 발생하는 발광소자이며, 이러한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110)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기판에 실장되어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광원(110)은 도광판(130)의 입사면과 수평방향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판(130)의 입사면을 기준으로 독서대상물 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20)은 도광판(130)을 고정시키고 복수의 광원(110) 및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20)은 상기 도광판(130)의 외측테두리인 입광면(131)과 마주하는 내부면에 상기 광원(110)이 삽입되는 배치공(121)을 구비한다.
상기 배치공(121)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광원(110)을 각각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0)은 다양한 형태의 독서대상물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은 책이나 신문과 같은 독서대상물과 대응하는 하부면에 독서대상물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유발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용 마찰부재(12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140)는 상기 광원(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45) 및 배터리부(145)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광원(11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141)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14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로 프레임(120)의 외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스위칭부(141)는 누름작동시 상기 광원(110)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도록 온(on)작동되고, 누름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한편, 설정된 시간이상 누름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광원(110)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차단하도록 오프(off)작동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부(145)는 상기 광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전원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전원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전원단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부의 사용과 더불어 외부전원단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130)은 전원인가시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PMMA 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20)과 대응하는 대략 사각형의 투명판상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도광판(130)은 상기 광원(110)과 대응하는 입광면(131)과, 상기 독서대상물과 접하는 하부면(132) 및 독서등 사용자의 눈과 대응하는 상부면(13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도광판(130)은 상부면(134)의 소정영역에 산란패턴(135)을 구비하며, 상기 산란패턴(135)은 광원(110)으로부터 발생한 빛을 산란시켜 도광판(130) 전체로 빛이 균일하게 출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산란패턴(135)은 상기 도광판(130)의 상부면(134)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120)에 배치된 광원(110)과 대응하는 영역에만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산란패턴(135)은 상기 도광판(130)의 상부면(134) 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도광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독서대상물의 글씨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130)의 폭에 대하여 1/10 내지 1/20의 폭 크기로 상기 도광판(130)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란패턴(135)은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란패턴(135)을 피라미드형, 원형, 다각형으로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패턴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산란패턴(135)은 별도의 패턴형성공정 대신 상부면(134)에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산란패턴(135)이 상기 도광판(130)의 상부면(134) 외측테두리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의 대부분은 상기 산란패턴(135)에 의해서 독서대상물과 대응하는 도광판(130)의 하부면(132)측으로 산란되어 독서대상물을 향하게 되는 반면에, 사용자의 눈과 대응하는 도광판(130)의 상부면(134)으로 산란되어 사용자에게 향하는 빛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독서대상물을 밝게 비추면서 사용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하여 독서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30)은 상기 광원(110)과 마주하는 입광면(131)에도 산란패턴(13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광면(131)에 형성되는 산란패턴(133)은 상기 도광판(130)의 상부면에 소정영역 형성되는 산란패턴(135)과 마찬가지로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란패턴(133)을 피리미드형, 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연속적이나 불연속적인 패턴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광판(130) 및 프레임(120)은 휨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독서등(100)을 이용하여 독서대상물인 책이나 신문을 읽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독서등을 독서대상물의 표면상에 올려놓은 다음, 상기 스위칭부(141)를 통하여 광원(110)에 배터리부(145)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광원(110)으로부터 빛이 출사되어 도광판(130)의 산란패턴(133,135)을 통해 도광판(130) 전면으로 확산된다.
이에 따라, 독서대상물의 표면이 밝아져 사용자는 독서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광원(110)에서 발생하는 빛이 도광판(130)의 상부면(134)을 통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향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독서가 눈피로감 없이 장시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프레임(12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용 마찰부재(129)에 의해서 독서대상물의 표면상에 올려진 독서등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독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 광원 120 : 프레임
121 : 배치공 130 : 도광판
131 : 입광면 132 : 하부면
133,135 : 산란패턴 140 : 전원공급부
141 : 스위칭부 145 : 배터리부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프레임 ;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고정되고, 소정영역에 산란패턴을 구비하는 도광판 ;을 포함하는 독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패턴은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상부면의 외측에 소정 폭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패턴은 연속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광원과 대응하는 영역에만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패턴은 상기 도광판의 폭에 대하여 1/10 내지 1/20의 폭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패턴은 상기 광원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배치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독서대상물과 대응하는 하부면에 미끄럼방지용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KR1020100100643A 2010-10-15 2010-10-15 독서등 KR20120039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43A KR20120039120A (ko) 2010-10-15 2010-10-15 독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43A KR20120039120A (ko) 2010-10-15 2010-10-15 독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20A true KR20120039120A (ko) 2012-04-25

Family

ID=4613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643A KR20120039120A (ko) 2010-10-15 2010-10-15 독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91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259B1 (ko) * 2013-05-13 2013-08-09 라윤상 플레이트 타입 플래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259B1 (ko) * 2013-05-13 2013-08-09 라윤상 플레이트 타입 플래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8422A2 (en) Led lamp having broad and uniform light distribution
EP2447599B1 (en) Lighting apparatus
TW201224330A (en) Illuminating device
JP2011204497A (ja) Led照明装置
JP2007059163A (ja) 発光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発光物
KR20120039120A (ko) 독서등
JP4796203B1 (ja) 着脱可能な環状照明器具
JP3180295U (ja) 照明装置
CN201787454U (zh) 一种led面板灯
CN204836309U (zh) 高拍仪
CN220958097U (zh) 反射式照明结构及台灯
JP3167022U (ja) 読書用照明器具
JP6407648B2 (ja) 照明装置
CN200963020Y (zh) 一种发光相框
CN205155864U (zh) 一种镜面反射灯光的固定结构
KR10090320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60132164A (ko)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KR20060030862A (ko) 경관 조명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79784B1 (ko) 맞춤형 led 조명장치
KR200474166Y1 (ko) 휴대겸용 스탠드형 엘이디 조명장치
JP3170242U (ja) クリップ付led灯明器
KR101648162B1 (ko) Led 조명장치
KR101508844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1607284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照明システム
CN202452384U (zh) 一种侧发光的led便携式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