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108A -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108A
KR20120039108A KR1020100100626A KR20100100626A KR20120039108A KR 20120039108 A KR20120039108 A KR 20120039108A KR 1020100100626 A KR1020100100626 A KR 1020100100626A KR 20100100626 A KR20100100626 A KR 20100100626A KR 20120039108 A KR20120039108 A KR 20120039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log information
computer
screen s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10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9108A/en
Publication of KR2012003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1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5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5Enforcing rules, e.g. detecting foul play or generating lists of cheating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3/1425Traffic logging, e.g. anomaly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PURPOSE: A faulty user monitoring method of an online game method of system therefor are provided to effectively detect faulty users by using game log information of each user through a robot program. CONSTITUTION: A game server records time information existed in a screen saver operating state as game log information(S211). A monitoring apparatus interlocked with the game server analyzes the recorded game log information(S212). The game lo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anipulation of a user is detected(S213). A user computer grasps the time information in the screen saver operating state.

Description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 및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Bad user monitoring method of online game system and bad user monitoring system for online game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 프로그램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불량 유저들을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로그정보를 기초로 효율적으로 찾아 낼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d user monitoring method of an online game system, and to effectively find bad users using abnormal online games through a robot program based on game log information of each user character.

통신망과 컴퓨터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게임 내 재화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부정하게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As the network and computer related technologies are developed, various kinds of online game services are being provided. As the value of the goods in the game increases,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online games are illegally used in abnormal ways.

그 하나의 예로서 자산적 가치가 높은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기 위하여 로봇 프로그램(불법 프로그램이나 'BOT' 등으로도 불린다)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As an example, there are many cases of using a robot program (also called an illegal program or 'BOT') to play a game to obtain a game item having a high asset value.

로봇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따라 마치 자신이 유저인 것처럼 위장하며, NPC(Non Player Character)와 계속 대결을 진행하여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등 비정상적으로 게임을 진행한다.The robot program disguises itself as if it were a user according to the programmed contents, and proceeds abnormally by acquiring game items by continuously confronting a non player character (NPC).

로봇 프로그램이 사용되면, 정상적으로 게임을 이용하는 유저들이 게임 내에서 좋은 게임 아이템을 얻을 기회가 부당하게 박탈되고 게임 진행을 방해 받기 때문에 여러 가지 피해가 발생한다.When a robot program is used, various damages occur because users who normally use the game are unjustly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obtain good game items in the game and interrupt the game progress.

이는 게임에 대한 흥미를 감소시켜 게임의 이용을 피하게 하고 민원을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This can be a major factor in reducing interest in the game, avoiding the use of the game, and generating complaint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저 컴퓨터에 로봇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비정상적으로 게임을 이용하는 불량 유저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 및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ad user monitoring method and online game system of the online game system that can effectively monitor the bad users using abnormal games by installing a robot program on the user compu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ogue user monitoring system for a game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은, 게임 서버가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각 유저 캐릭터의 접속이 이루어진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게임 로그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와 연동하는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기록된 게임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한 해당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인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d user monitoring method of the online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een saver of the user computer that the game server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n the in-game behavior of each user character and each user character is connected Recording time information in the driving state as game log information; And the monitoring device linked with the game server analyzes the recorded game log information so that the in-game behavior of the corresponding user character generated when the user computer i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can be generated only by the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Detecting game log information.

이때 상기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는 각 유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파악하여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computer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is detected and transmitted by the game client installed in each user computer.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유저 컴퓨터의 운영체제(OS)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해당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game cli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uter i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by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f the user computer.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은, 게임 서버로부터 게임 로그정보를 수집하는 로그정보 수집수단(상기 게임 로그정보는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각 유저 캐릭터의 접속이 이루어진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로그정보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게임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임 로그정보를 액세스 하여,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한 해당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인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하는 로그정보 분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ogue user monitoring system for an online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game log information from the game server (the game log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in-game behavior of each user character, and each user character A log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game lo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And accessing game log information stored in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so that in-game behavior of the corresponding user character generated when the user computer i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can be generated only by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It comprises a log information analysis means for detecting the.

이때 상기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는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파악하여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game client grasps and transmits tim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uter i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상기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유저 캐릭터의 행동은 유저가 유저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행동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tion of the user character, which can occur only by the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n action of acquiring a game item by the user operating an input device of the user computer.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유저 컴퓨터의 운영체제(OS)가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해당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The game cli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uter i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by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f the user computer.

상기 로그정보 분석수단의 역할은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상기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다.The role of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may be performed by a computer device installed with a computer program capable of accessing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to detect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상기 로그정보 분석수단은 주기적으로, 또는 게임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may detect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periodically or according to a game manager's instruction.

상기 로그정보 분석수단은 검출된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가 검출되었음을 게임 관리자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may separately store and manage the game log information of the detected bad user, notify the game manager that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has been detected, or display on the monitor screen.

일반적으로 로봇 프로그램은 마치 유저가 자신의 캐릭터를 조작하는 것처럼 모방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즉, 실제 사람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유저 캐릭터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고 로봇 프로그램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유저 캐릭터를 조작하여 게임을 진행한다.In general, the robot program proceeds by imitating as if the user manipulates his character. In other words, the actual program does not operate the user character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but the robot program manipulates the user character in software to advance the game.

로봇 프로그램이 게임을 조작하더라도 온라인 게임 시스템으로서는 해당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실제 유저에 의해 조작된 것인지 아니면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작된 것인지 알기 어렵다.Even if the robot program operates the game, it is difficult for the online game system to know whether the in-gam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is operated by the actual user or by the robot progra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 유저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유저 컴퓨터에서 화면보호기가 구동되면, 해당 유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이 정보를 파악하여 전송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creen saver is driven on a user computer because no signal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rough an input device of a user computer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a game client installed in the user computer is used. Identify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그러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실제 유저에 의해 조작된 것인지 아니면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작된 것인지 알 수 있다.The online game system can then know whether the in-gam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has been manipulated by a real user or by a robot program.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다면 실제 유저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지 않은 것이므로,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을 때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캐릭터의 행동이 나타났다면 이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user's computer was in the screen saver running state, the actual user did not operate the keyboard or mouse. This is because it can be judged by game operation.

그러므로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으로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불량 유저들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refore, a robot program can be used to efficiently monitor rogue users who play abnormal online games.

뿐만 아니라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로그정보를 기초로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비정상적 게임 이용을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 유저의 모니터링 업무를 자동화된 절차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량 유저의 감시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임의 관리와 관련한 인적/물적 비용을 절감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abnormal game use by the robot program based on the game log information of each user character, so that the monitoring task of the bad user can be processed by an automated procedure. As a result, monitoring of bad user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human and material costs related to game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불량 유저를 모니터링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일 실시예,
도 2는 유저 컴퓨터에 관한 구체적인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
도 4는 불량 유저 모니터링을 위해 기록되는 게임 로그정보의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
도 6은 로그정보 분석수단이 게임 로그정보를 기초로 불량 유저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검출하는 예,
도 7은 로그정보 분석수단의 또 다른 역할에 관한 예이다.
1 is an embodiment of an online game system for monitoring a rogu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pecific example of a user computer;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a bad user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game log information recorded for bad user monitoring;
5 is one embodiment of a bad user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in which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detects a game play by a bad user based on game log information;
7 is an example of another role of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자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은 유선 인터넷망이나 무선 인터넷망 등 각종 통신망(15)을 통해 각 유저 컴퓨터(10)와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 the online game system 20 is connected to each user computer 10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15 such as a wired internet network o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provide an online game service.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은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게임을 서비스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여러 유저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을 들 수 있다.The online game system 20 may serve various types of online games. For example, the online game system 20 may be a game of a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MMORPG) type, in which several users may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multiple times.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은 온라인 게임의 종류, 내용, 성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online game system 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content, and nature of the online game.

그 하나의 예로서,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은 웹 서버(21), 업데이트 서버(22), 인증 서버(23), 게임 서버(24),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online game system 20 may include a web server 21, an update server 22, an authentication server 23, a game server 24, an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28, and the like. .

웹 서버(21)는 유선 인터넷 홈페이지나 모바일 인터넷 홈페이지를 운영하여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각 유저로부터 인증용 정보인 아이디(ID)와 비밀번호, 닉네임, 연락처 등 회원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계정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eb server 21 operates a wired internet homepage or a mobile internet homepage to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a game service, and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membership registration, such as an ID (ID), password, nickname, and contact information, for each user. It can play a role that allows you to open an account by receiving input.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는 각 유저들의 회원정보, 게임 레벨정보, 유저 캐릭터 정보, 게임 아이템 정보 등 각 유저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한다.The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28 stores and maintains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each user to use the online game service, such as member information, game level information, user character information, and game item information of each user.

업데이트 서버(22)는 유저 컴퓨터(10)로 게임 클라이언트(12)를 전송해주고 최신 버전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update server 22 transmits the game client 12 to the user computer 10 and maintains the latest version.

인증 서버(23)는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24)에 로그인 하는 유저를 인증하며, 게임 서버(24)는 게임 클라이언트(12)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한다.
The authentication server 23 authenticates a user logging in to the game server 24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28, and the game server 24 communicates with the game client 12 to play an online game. Proceed.

각 유저가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저 컴퓨터(10)는 데스크 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뿐 아니라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 통신망(15)을 통해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임의의 기기일 수 있다.The user computer 10 used by each user to play the online game is not only a personal computer (PC) such as a desktop computer or a laptop computer, but also an online gam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5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It can be any device with available performance.

유저 컴퓨터(10)에는 유저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클라이언트(12)가 설치된다.The user computer 10 is provided with a game client 12 that allows a user to use an online game service.

게임 클라이언트(12)는 통신망(15)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고 최신 버젼으로 유지되며, 게임 관련 공지사항의 디스플레이, 게임 화면 처리, 사운드 효과 처리, 게임을 위한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공 등 유저측에서 수행되어야 할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The game client 12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5 and maintained at the latest version. The game client 12 may display a game related announcement, process a game screen, process a sound effect, and provide various user interfaces for the game. Plays a variety of roles to be played in

게임 클라이언트(12)는 기본적으로 게임 서버(24)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게임 클라이언트(12)와 게임 서버(24)의 역할 분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game client 12 basically plays an online gam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game server 24, and the role sharing between the game client 12 and the game server 24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cessary. .

도 2는 유저 컴퓨터(10)의 구체적인 예로서 범용 컴퓨터를 보인 것이다.2 shows a general purpose computer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user computer 10.

각 요소들은 다양한 구조의 시스템 버스(10-1)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10-2)의 총괄적인 제어하에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그 역할을 수행한다.Each elemen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ystem bus (10-1) of various structures, and performs the role while exchanging data with each other under the overall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0-2).

롬(ROM: Read Only Memory,10-3)은 일반적으로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정보 전달을 돕기 위한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을 저장하고, 램(RAM: Random Access Memory,10-4)은 중앙처리장치(10-2)가 즉시 액세스할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유지한다.ROM (Read Only Memory, 10-3) generally stores a basic input / output system (BIOS)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information between the components,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10-4) holds computer programs or data th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2 will immediately access.

입력장치 인터페이스(10-5)는 입력장치(10-6)와 연결되어 유저가 유저 컴퓨터(10)로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put device interface 10-5 is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10-6 so that a user can input various commands or information to the user computer 10.

유저 컴퓨터(10)는 입력장치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10-6)와 연결될 수 있다.The user computer 1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10-6,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touch screen, and a mouse, through the input device interface 10-5.

디스플레이 어댑터(10-7)는 디스플레이 화면(10-8)을 통해 출력할 비디오 정보를 처리하며, 사운드 카드(10-9)는 오디오 정보를 처리하여 스피커(10-10)를 통해 출력한다.The display adapter 10-7 processes video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screen 10-8, and the sound card 10-9 processes audio information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10-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12)는 유저 컴퓨터(10)가 유선 인터넷망이나 무선 인터넷망 등 각종 통신망(15)과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network interface 10-12 allows the user computer 10 to communicate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15 such as a wired internet network o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저장매체(10-11)는 비휘발성의 성질을 가지며, 유저 컴퓨터(1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내장형, 외장형, 분리형, 비분리형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10-11 is nonvolatile and may have various forms of internal, external, removable, and non-removable types that can be accessed by the user computer 10.

저장매체(10-11)에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유저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웹 브라우저, 게임 클라이언트(12) 등의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며, 특히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따라 마치 자신이 유저인 것처럼 위장하여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로봇 프로그램(13)이 설치될 수 있다.
The storage medium 10-11 includes various computer programs and data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S) such as Microsoft's Windows, a web browser that allows a user to use an Internet service, and a game client 12. The robot program 13 may be installed to disguise the online game by disguising as if the user is a user.

유저가 게임 클라이언트(12)를 실행시키면, 중앙처리장치(10-2)는 게임 클라이언트(12)를 램(10-4)에 로딩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며, 디스플레이 화면(10-8)과 스피커(10-10)를 통해 각각 게임화면과 사운드가 출력되기 시작한다.When the user executes the game client 12,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2 loads the game client 12 into the RAM 10-4 and processes them sequentially. The display screen 10-8 and the speaker ( Game screen and sound start to output through 10-10).

정상적인 유저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10-6)를 이용하여 각종 명령을 입력하면서 게임을 진행하지만, 로봇 프로그램(13)이 구동되는 경우에는 유저가 직접 입력장치(10-6)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로봇 프로그램(13)이 마치 키보드나 마우스로부터 어떤 명령이 입력된 것처럼 모방하여 NPC와 대결하는 등 게임 내 행동을 하게 된다.
A normal user proceeds to play a game by inputting various commands using the input device 10-6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However, when the robot program 13 is driven, the user directly operates the input device 10-6. Instead of doing so, the robot program 13 mimics as if a command is input from a keyboard or a mouse and confronts the NPC to act in the game.

한편,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은 본 발명에 따라 불량 유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online game system 20 comprises a monitoring device 26 for monitoring bad user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모니터링 장치(26)는 각 유저 캐릭터가 온라인 게임을 이용한 정보인 게임 로그정보를 기초로 로봇 프로그램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게임을 이용하는 불량 유저를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onitoring device 26 monitors the bad user who abnormally uses the game through the robot program based on the game log information which is the information using the online game by each user character.

모니터링 장치(26)의 역할은 게임 서버(24)에서 수행할 수도 있지만, 게임 서버(24)의 본래 기능인 게임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게임 서버(24)와 연동하는 별도의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role of the monitoring device 26 may be performed by the game server 24, but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computer device that works with the game server 24 so as not to affect the game progress, which is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game server 24. It may be configured.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an embodiment of a bad user monitoring method of an online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게임 서버(24)는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면서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게임 로그정보로서 기록한다(S211).First, the game server 24 records, as game log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in-game behavior of each user character and the time when the user computer wa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while the online game was being played (S211).

유저 컴퓨터의 화면보호기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화면보호기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운영체제(OS)는 화면보호기 모드에서의 동작을 지원한다.A screen saver of a user computer, as is well known, is a computer program that is run when no signal is input from a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rograms that drive the screen saver can vary, and in general, an operating system (OS) supports operation in the screen saver mode.

온라인 게임 내에서는 가상 공간상에서의 이동, NPC와의 대결, 게임 아이템 획득, 게임 아이템 거래, 타 유저 캐릭터와의 대화 등 다양한 종류의 유저 캐릭터 행동이 발생한다.In an online game, various kinds of user character behaviors occur, such as movement in a virtual space, confrontation with an NPC, game item acquisition, game item trading, and conversation with other user characters.

이와 같이 다양한 유저 캐릭터의 행동 중 어떤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을 게임 로그정보로서 기록할 것인지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As such, which user character's in-game behavior is recorded as game log information among various user character's behaviors can be set as necessary.

단계 S211에서 게임 로그정보로서 기록하는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은 유저의 정상적인 게임 플레이에 의해 발생한 것일 수도 있고, 로봇 프로그램(13)이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발생한 것일 수도 있다.The in-gam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recorded as game log information in step S211 may be caused by normal game play of the user, or may be generated by the robot program 13 proceeding with the game.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는 게임 클라이언트(12)가 전송한다.The game client 12 transmits tim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uter wa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게임 클라이언트(12)가 자신이 동작하는 유저 컴퓨터(10)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game client 12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uter 10 in which the game client 12 operates i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구체적인 예로서,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유저 컴퓨터의 운영체제(OS)가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유저 컴퓨터(10)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game client 12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uter 10 i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by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f the user computer.

즉,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OS)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내지 태스크(Task)가 어떤 것인지를 알려 주는 API를 제공하며,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이러한 API를 통해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an operating system (OS), such as Microsoft's Windows, provides an API that tells you what processes or tasks are currently running, and the game client 12 uses these APIs to display the user's computer. You can check whether the protector is in operation.

모니터링 장치(26)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가 되거나 또는 게임 관리자의 지시가 있는 등 게임 로그정보 분석이 필요하게 되면(S212), 게임 서버(24)가 기록한 게임 로그정보를 액세스 하여, 게임 로그정보 중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을 때 이루어진 유저 캐릭터의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인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한다(S213).When the monitoring device 26 needs to analyze game log information such as a preset monitoring cycle or a game manager's instruction (S212), the monitoring device 26 accesses game log information recorded by the game server 24, and among game log information. The game log information is detected in which th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made when the user computer i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can be generated only by the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S213).

여기서,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이란 유저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직접 유저 캐릭터를 조작하였을 때만 나타날 수 있는 행동을 말한다.Here, the action of the user character in the game can occur only by the user's direct operation refers to an action that can appear only when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user character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예컨대 유저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어떤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였고, 해당 게임 아이템이 유저 캐릭터가 특정 NPC와 대결하여 승리한 결과로 주어진 것이라면 이 유저 캐릭터가 해당 게임 아이템을 획득한 행동은 반드시 유저의 직접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a user character has acquired a game item in a game, and the game item is given as a result of the user character winning a specific NPC, the action that the user character acquired the game item must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user. It is necessary.

이 경우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다면, 실제 유저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단계 S213에서 모니터링 장치(26)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게임 로그정보는 불량 유저와 관련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user's computer was in the screen saver state, the actual user did not operate the keyboard or mouse. Therefore, in step S213, the monitoring device 26 may determine the game operation by the robot program, and the game log information may be detected as related to the bad user.

도 4를 참조하여, 불량 유저에 의한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a specific example of detecting game log information by a bad user will be described.

도 4a는 각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유저 캐릭터 A의 접속이 이루어진 유저 컴퓨터는 2010년 10월 5일 10시 20분 10초로부터 2010년 10월 5일 11시 3분 20초까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고, 유저 캐릭터 B의 접속이 이루어진 유저 컴퓨터는 2010년 10월 5일 11시 29분 30초로부터 2010년 10월 5일 16시 59분 40초까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4A shows an example of time information in which each user computer wa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The user computer to which user character A was connected is 10 October 2010 from 10:20:10 seconds on October 5, 2010. FIG. The screen saver was in operation until 11:03:20, and the user's computer connected to User Character B was connected from 11:29:30 on October 5, 2010 to 16:59:40 on October 5, 2010. Contains information that the screen saver was in operation.

도 4b는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유저 캐릭터 A는 2010년 10월 5일 13시 45분 25초에 온라인 상점에서 게임 아이템 #7을 구매하였고, 유저 캐릭터 B는 2010년 10월 5일 13시 56분 11초에 NPC #32와 대결하여 승리함에 따라 게임 아이템 #69를 획득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4B shows an example of information about the in-game behavior of each user character, in which user character A purchased game item # 7 from the online store at 13:45:25 on October 5, 2010, and user character B Contain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game item # 69 was acquired by winning NPC # 32 on October 5, 2010, at 13:56:11.

이러한 예에서 유저 캐릭터 A에 관한 게임 로그정보는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유저 캐릭터 B에 대해서는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게임 아이템 #69의 획득 행동이 해당 유저 컴퓨터에서 화면보호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발생하였으므로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game log information regarding the user character A is determined to be normal, but for the user character B, the action of acquiring game item # 69 that can be generated only by the user's direct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screen saver is driven on the user's computer. Since it occurred, it can be determined by the robot program.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5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5, an embodiment of a bad user monitoring system 50 for an online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50)은 온라인 게임 시스템(20)과 연동한다.The bad user monitoring system 50 is interlocked with the online game system 20.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은 게임의 종류, 내용, 성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웹 서버(21), 업데이트 서버(22), 인증 서버(23), 게임 서버(24),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 등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을 도시하였다.
The online game system 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content, and nature of the game. In FIG. 5, the web server 21, the update server 22,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 23, an online game system 20 including a game server 24, an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28, and the like is shown.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50)은 로그정보 수집수단(51),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 및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ad user monitoring system 50 includes a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51, a log information database 52, and a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로그정보 수집수단(51)은 게임 서버(24)로부터 게임 로그정보를 수집하여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lo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collects game log information from the game server 24 and stores the game log information in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52.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는 게임 로그정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정보일 수 있지만,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The game log information stored in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52 may b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s necessary, bu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character's in-game behavior and tim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uter wa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의 의미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meanings of the information on the in-gam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and the tim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uter wa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are as described above.

로그정보 수집수단(51)의 역할은 게임 서버(24)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행할 수 있다.The role of the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51 may be performed by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game server 24.

이 경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에 기록한다.In this case, the computer program records in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52 information on the in-gam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and tim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uter wa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로그정보 수집수단(51)의 역할은 게임 서버(24)와 연동하는 별도의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The role of the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51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computer device that interworks with the game server 24.

이 경우 게임 서버(24)는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임의의 저장소에 저장하고, 로그정보 수집수단(51)의 역할을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는 해당 저장소를 주기적으로 액세스 하여 게임 로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ame server 24 stores information about each user character's in-game behavior and tim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uter wa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in an arbitrary storage and serves as a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51. The computer device may periodically access the storage to collect game log information.

게임 로그정보 중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는 유저의 정상적인 게임 플레이에 의해 발생한 것일 수도 있고, 로봇 프로그램(13)이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발생한 것일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in-gam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in the game lo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normal game play of the user, or may be generated when the robot program 13 advances the game.

유저 컴퓨터(10)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는 게임 클라이언트(12)가 전송한다.The game client 12 transmits tim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uter 10 wa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게임 클라이언트(12)가 자신이 동작하는 유저 컴퓨터(10)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game client 12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uter 10 in which the game client 12 operates i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구체적인 예로서,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유저 컴퓨터의 운영체제(OS)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유저 컴퓨터(10)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OS)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내지 태스크(Task)가 어떤 것인지를 알려 주는 API를 제공하며,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이러한 API를 통해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game client 12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uter 10 is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by using an API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f the user computer. That is, an operating system (OS), such as Microsoft's Windows, provides an API that tells you what processes or tasks are currently running, and the game client 12 uses these APIs to display the user's computer. You can check whether the protector is in operation.

로그정보 수집수단(51)이 수집할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의 종류와 내용,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될 게임 로그정보의 데이터 구조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type and content of information about the in-gam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to be collected by the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51, the data structure of the game log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52, etc.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cessary. .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은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된 게임 로그정보를 액세스 하여,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을 때 이루어진 해당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행동인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한다.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accesses the game log information stored in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52, so that in-game behavior of the corresponding user character made when the user computer i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can be generated only by the user's direct manipulation. Detects game log information, which is an action.

여기서,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행동이란 유저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통해 직접 유저 캐릭터를 조작하였을 때만 나타날 수 있는 행동을 말한다.Here, the behavior that can occur only by the user's direct operation in the game of the user character refers to an action that can appear only when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user character through a keyboard or a mouse.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유저 캐릭터의 행동에 관한 구체적인 예는 유저가 유저 컴퓨터(10)의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행동을 들 수 있다.A specific example of th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that can occur only by the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may be an action in which the user manipulates an input device of the user computer 10 to obtain a game item.

예컨대 유저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어떤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였고, 해당 게임 아이템이 유저 캐릭터가 특정 NPC와 대결하여 승리한 결과로 주어진 것이라면 이 유저 캐릭터가 해당 게임 아이템을 획득한 행동은 반드시 유저의 직접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a user character has acquired a game item in a game, and the game item is given as a result of the user character winning a specific NPC, the action that the user character acquired the game item must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user. It is necessary.

이 경우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다면, 실제 유저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지 않은 것이다.In this case, if the user's computer was in the screen saver state, the actual user did not operate the keyboard or mouse.

그러므로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게임 로그정보는 불량 유저와 관련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game operation by the robot program, and the game log information can be detected as relating to the bad user.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cessary.

예를 들자면 게임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불량 유저를 검출하기 위해 게임 서버와 연동하도록 구비되는 컴퓨터 장치, 또는 게임 관리자가 불량 유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관리자의 컴퓨터 장치가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 computer device provided to interoperate with a game server to analyze game log information and detect a bad user, or a computer device of an administrator used by a game manager to monitor bad users may be used in the log information analysis means 53. Can play a role.

이러한 컴퓨터 장치에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를 액세스하여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다.Such a computer device is provided with a computer program that can access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52 and detect game log information of a bad user.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은 주기적으로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를 액세스 하여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하거나, 또는 게임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52)를 액세스 하여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periodically accesses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52 to detect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or accesses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52 according to a game manager's instruction to log the bad user's game. It can be configured to detect the information.

도 6을 참조하여,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이 불량 유저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검출하는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detects game play by a bad user will be described.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은 게임 로그정보의 분석이 시작되면(S231), 첫 번째 게임 로그정보부터 분석을 시작하고(S232). 현재 분석 대상인 게임 로그정보에서 유저 캐릭터의 행동이 발생한 시간을 확인한다(S233).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starts analyzing the game log information (S231), and starts analyzing the first game log information (S232). The game log information, which is the current analysis target, is checked for the time at which the action of the user character occurs (S233).

단계 S233에서 확인된 시간이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이 아니면 단계 S237로 진행한다(S234).If the time checked in step S233 is not the time when the user computer i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the flow advances to step S237 (S234).

그러나 단계 S233에서 확인된 시간이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이면, 현재 분석 대상인 게임 로그정보의 유저 캐릭터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일어날 수 있는 행동인지를 확인한다(S234,S235-1).However, if the time identified in step S233 is the time when the user computer i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character behavior of the game log information currently being analyzed is an behavior that can only occur by the user's direct manipulation (S234, S235-). One).

단계 S235-1에서의 확인 결과, 현재 분석 대상인 게임 로그정보의 유저 캐릭터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니면 단계 S237로 진행한다(S235-2).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235-1, if the user character behavior of the game log information currently being analyzed is not an action that can occur only by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the flow advances to step S237 (S235-2).

그러나 단계 S235-1에서의 확인 결과, 현재 분석 대상인 게임 로그정보의 유저 캐릭터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행동이라면, 현재 분석 대상인 게임 로그정보는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불량 유저와 관련된 것으로 검출한다(S236).However,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235-1 indicates that the user character behavior of the game log information currently being analyzed is an action that can occur only by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the game log information currently being analyzed is detected as being related to a bad user using a robot program. (S236).

단계 S237에서는 모든 게임 로그정보를 분석 하였는지에 따라 다음 순서의 게임 로그정보 분석을 위해 단계 S233으로 진행하거나(S238), 또는 게임 로그정보의 분석을 종료한다(S239).
In step S237, depending on whether all the game log information has been analyz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3 for analysis of game log information in the next step (S238), or the analysis of game log information is terminated (S239).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은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가 검출되면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may process the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in various ways.

도 7을 참조하자면,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은 검출된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불량 유저 데이터베이스(17-1)에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may separately store and manage game log information of the detected bad user in the bad user database 17-1.

이 경우 게임 관리자는 언제든지 불량 유저 데이터베이스(17-1)를 조회하여 그 내역을 조회해 볼 수 있다.In this case, the game manager may inquire the bad user database 17-1 at any time and inquire the details.

또한, 로그정보 분석수단(53)은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가 검출되면, 불량 유저가 발생하였음을 이메일이나 메신저, 휴대폰 문자 메시지 등 다양한 통신방법을 통해 게임 관리자(17-2)에게 통보하거나, 검출된 게임 로그정보를 모니터(17-3)에 표시하여 게임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is detected,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53 notifies the game manager 17-2 of the bad user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e-mail, a messenger, or a mobile phone text message. The detected game log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monitor 17-3 so that the game manager can view it.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10: 유저 컴퓨터 12: 게임 클라이언트
13: 로봇 프로그램 15: 통신망
20: 온라인 게임 시스템 21: 웹 서버
22: 업데이트 서버 23: 인증 서버
24: 게임 서버 26: 모니터링 장치
28: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 50: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51: 로그정보 수집수단 52: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
53: 로그정보 분석수단
10: user computer 12: game client
13: Robot Program 15: Network
20: online game system 21: web server
22: Update Server 23: Authentication Server
24: game server 26: monitoring device
28: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50: rogue user monitoring system
51: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52: log information database
53: log information analysis means

Claims (8)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이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불량 유저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으로서,
게임 서버가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각 유저 캐릭터의 접속이 이루어진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게임 로그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와 연동하는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기록된 게임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한 해당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인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는 각 유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파악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
An online game system that provides an online gam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monitors rogue users who play a game using a robot program.
The game server recording, as game log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in-game behavior of each user character and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computer to which each user character is connected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And
A game device in which the monitoring device linked with the game server analyzes the recorded game log information so that the in-game behavior of the corresponding user character generated when the user computer i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can be generated only by the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Detecting log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computer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is transmitted by a game client installed in each user compu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유저 컴퓨터의 운영체제(OS)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해당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game client is a bad user monitoring method of the on-line g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OS) of the user comput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uter running the screen saver.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이 불량 유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서버로부터 게임 로그정보를 수집하는 로그정보 수집수단 -상기 게임 로그정보는 각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에 관한 정보와, 각 유저 캐릭터의 접속이 이루어진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포함함-;
상기 로그정보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게임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임 로그정보를 액세스 하여,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한 해당 유저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이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인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하는 로그정보 분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에 있었던 시간 정보는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파악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rogue user monitoring system that allows the on-line game system that provides the online game ser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the rogue user,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game log information from the game server-The game log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in-game behavior of each user character, and the tim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uter connected to each user character wa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Includes;
A log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game lo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lo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And
By accessing game log information stored in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the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can be generated by the user's direct manipulation of the game character of the corresponding user character generated when the user's computer is in the screen saver driving state. Log information analysis means for detecting;
And the game client grasps and transmits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computer in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직접 조작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유저 캐릭터의 행동은 유저가 유저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행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ehavior of the user character that can occur only by the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is an action of acquiring a game item by the user operating an input device of the user compu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유저 컴퓨터의 운영체제(OS)가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해당 유저 컴퓨터가 화면보호기 구동 상태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ame client is a bad user monitoring system for an online g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OS) of the user comput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uter is a screen saver driving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정보 분석수단은 상기 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상기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comprises a computer device installed with a computer program capable of accessing the log information database to detect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정보 분석수단은 주기적으로, 또는 게임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detects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periodically or according to a game manager's instru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정보 분석수단은 검출된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가 검출되었음을 게임 관리자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검출된 불량 유저의 게임 로그정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g information analyzing means stores and manages the game log information of the detected bad user separately, notifies the game manager that the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has been detected, or displays the detected game log information of the bad user on the monitor screen. Rogue user monitoring system for an online g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00100626A 2010-10-15 2010-10-15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KR201200391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26A KR20120039108A (en) 2010-10-15 2010-10-15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26A KR20120039108A (en) 2010-10-15 2010-10-15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08A true KR20120039108A (en) 2012-04-25

Family

ID=4613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626A KR20120039108A (en) 2010-10-15 2010-10-15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910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191B1 (en) * 2015-01-05 2016-02-1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trade attribute of respective character in on-line game
KR101997777B1 (en) * 2019-01-25 2019-07-08 넷마블 주식회사 Apparatus of detecting abnormalit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191B1 (en) * 2015-01-05 2016-02-1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trade attribute of respective character in on-line game
KR101997777B1 (en) * 2019-01-25 2019-07-08 넷마블 주식회사 Apparatus of detecting abnormalit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99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er game-playing behavior and reporting game play data in a gaming environment
JP6086562B2 (en) Identification of plug-ins for EMU class Internet games
US11654365B2 (en) Secure anti-cheat system
US200700779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user game play data and crediting users in a gaming environment
JP5449827B2 (en) GAME SYSTEM, GAME DEVICE, AND GAME PROGRAM
US200802208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ame guide data in a gaming environment
US9005029B2 (en) Physical characteristics based user identification for matchmaking
JP6473259B1 (en) System, server, program and method for detecting fraud of user in game
WO2018145527A1 (en) Cross-platform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program, and medium
US200700779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er game-playing behavior and reporting game play data in a gaming environment
US200802208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ing a challenge prompt in a gaming environment
CA3040126C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online game
KR20120039108A (en) Method and system for bad user monitoring of on-line game system
IL275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online game
KR20130113654A (en) The method,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game interface
JP2012050750A (en) Server device, server device control method, and server device control program
KR1011552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ad user of on-line game service
KR101741026B1 (e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Malicious Module of On-Line Game
KR10187542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online game character using in-client-server
KR20120081360A (en) Method for game client authentication using random code
KR20120094671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ad user of on-line game service
Ansyar et al. Implementation of Cloud gaming using the Chrome Remote Desktop Method
JP739357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99693B1 (en)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abnormal function call in on-line game
KR101211855B1 (en) Method for Game Client Authentication using Random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