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120A -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120A
KR20120038120A KR1020100099705A KR20100099705A KR20120038120A KR 20120038120 A KR20120038120 A KR 20120038120A KR 1020100099705 A KR1020100099705 A KR 1020100099705A KR 20100099705 A KR20100099705 A KR 20100099705A KR 20120038120 A KR20120038120 A KR 20120038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tency
keywords
evaluation
human resource
cap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292B1 (ko
Inventor
이근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정보통신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통신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정보통신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0009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2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은,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될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의 추출을 위한 선정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제공부와, 상기 기준 제공부에서 제공된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로부터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와, 및 상기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역량 평가부를 제공함으로써, 평가 대상자 또는 평가 대상팀 등의 인적 자원 역량을 보다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Human resource competenc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함에 있어서 역량 평가를 위한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선정 기준을 제공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수의 회사들은 조직에서 효과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회사 내부의 서버에 자신의 회사에 가장 적합한 역량 모델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 모델 프로그램은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에 따른 평가 대상자 등의 응답 정보에 기반하여 역량을 평가한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한편, 상술한 역량 모델 프로그램은 GQM 설문서의 설문 항목에 의해서만 개인의 인적 자원이 평가되어 관리되므로, 개인의 인적 자원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GQM 설문서뿐만 아니라 평가 대상자가 작성하는 문서로부터 역량에 관한 키워드들을 추출하여 개인의 인적 자원 역량을 보다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내용의 기술을 출원하였다(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출원하여 공개된 특허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의 역량을 평가하는 경우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지표가 없어서 인적 자원의 역량 평가에 대한 신뢰성 확보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2003-0094749호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2008-0113452호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 2010-005151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함에 있어서 평가를 위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선정 기준을 마련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역량 키워드들에 대한 응답 정보가 신뢰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선정 기준 및 평가 키워드들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신뢰성 검사 지표를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을 이용하여 정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맞춤 정보 및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를 연계하고, 업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인적 자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스케줄에 따라 학습을 관리할 수 있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은,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될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의 추출을 위한 선정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제공부와, 상기 기준 제공부에서 제공된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로부터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와, 및 상기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역량 평가부를 제공한다.
상기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문서 역량 키워드들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에서, RSS(Reality Simple Syndication)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추출한 RSS 문서 역량 키워드들 및 전문가에 의해 추출된 전문가 문서 역량 키워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제공부는, 상기 키워드 추출부가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로부터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GQM 설문서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 정보가 소정의 점수 이상이거나 점수가 높은 소정의 비율을 선정 기준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RS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RSS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평가 대상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에서 하나의 단락마다 2 이상 역량 용어가 사용된 경우를 선정 기준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될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역량 키워드 추출부와, 상기 역량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을 생성하는 평가 지표 생성부와, 상기 평가 지표 생성부에서 제공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역량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한 역량 키워드들로부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평가 키워드 선정부와, 및 상기 평가 키워드 선정부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역량 평가부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지표 생성부는 상기 평가 키워드 선정부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검증하기 위한 신뢰성 검사 지표를 더 생성하고,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은 상기 평가 지표 생성부에서 생성된 신뢰성 검사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키워드 선정부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신뢰성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은 상기 역량 평가부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에 기반하여, 평가 대상자에 필요한 맞춤 정보 또는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역량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은 상기 역량 평가부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에 기반한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를 연계하여,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일정에 따라 학습을 관리하는 역량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역량 서버를 구비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의 추출을 위한 선정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된 선정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로부터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및 상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역량 서버를 구비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제공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한 역량 키워드들로부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단계와, 및 상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단계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함에 있어서 평가를 위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선정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평가 대상자 또는 평가 대상팀 등의 인적 자원 역량을 보다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량 키워드들에 대한 응답 정보가 신뢰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역량 키워드들의 일의성 및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선정 기준 및 평가 키워드들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신뢰성 검사 지표를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에 따라 선정 기준 및 신뢰성 검사 지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을 이용하여 정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맞춤 정보 및 맞춤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평가 대상자에게 필요한 정보 또는 광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를 연계하고, 학습 계획을 세우고, 세워진 학습 계획의 일정에 따라 학습을 관리함으로써, 평가 대상자의 업무 성과의 달성을 위한 인적 자원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역량과 역량 키워드들의 연관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워드 추출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의 연관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역량과 역량 키워드들의 연관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량 관리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역량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개인용 단말 장치의 일종으로, 입력부(112)와 디스플레이부(114)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이외에도 모바일폰 및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4)에 표시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등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4)는 역량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GQM 설문서를 표시하고,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12)를 이용하여 문서 등을 작성하는 경우 작성되는 문서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역량 서버(120)는 플랫폼부(130), 키워드 추출부(140), 기준 제공부(150), 역량 평가부(160) 및 역량 관리부(170)를 포함한다.
플랫폼부(1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및 데이터베이스(18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Ajax 엔진 모듈(132) 및 DBMS 모듈(134)을 포함한다.
Ajax 엔진 모듈(132)은 비동기식 서비스를 지원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입력부(112)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을 역량 서버(120)로 송신한 후에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4)에 표시된 현재 웹 브라우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역량 서버(12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 결과를 바로 페이지의 전환 없이 현재의 웹 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다.
DBMS 모듈(134)은 데이터베이스(180)로의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180)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등에 제공될 GQM 설문서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송신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이하, 'GQM 응답서'라 함)와 평가 대상자가 작성한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이하, '역량 평가 문서 정보'라 함) 등을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GQM 설문서는 목표(Goal)를 정하여 설문서(Questionaire)를 만들고 목표에 도달할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Metrics)를 정할 수 있는 설문서이다.
키워드 추출부(140)는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GQM 응답서 및 역량 평가 문서 정보로부터 인적 자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 및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을 포함한다.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은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GQM 응답서의 설문 항목 및 응답 점수를 이용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은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역량 평가 문서 정보에서 RSS를 이용하여 RSS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은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역량 평가 문서 정보에서 전문가가 추출하거나 전문가가 작성한 키워드 용어 등을 이용하여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한편,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에서 추출된 RSS 역량 키워드들 및/또는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에서 추출된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은 문서 정보로부터 추출한 키워드들이므로, 이하에서는 문서 역량 키워드들이라고 한다.
기준 제공부(150)는 키워드 추출부(140)에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의 추출을 위한 선정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항목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2), RSS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4) 및 전문가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6)을 포함한다.
항목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2)은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이 GQM 응답서로부터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GQM 응답서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 점수가 소정의 점수 이상이거나 점수가 높은 소정의 비율을 선정 기준으로 제공한다. RSS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4)은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이 자동으로 RSS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역량 평가 문서 정보에서 하나의 단락마다 2 이상의 역량 용어가 사용된 경우를 선정 기준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전문가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6)은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이 역량 평가 문서 정보로부터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전문가가 작성한 키워드 용어들을 선정 기준으로 제공한다.
역량 평가부(160)는 키워드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한다. 역량 평가부(160)는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 역량을 개인 역량, 사회적 역량 및 전문 영역 역량으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역량은 창의력, 비인지 능력, 글로벌 역량으로 나누어 평가될 수 있으며, 창의력 평가는 성공 지능 및 사회 지능으로 분류되고, 사회 지능은 인성, 감성, 성실성, 협동, 리더십으로 나누어 평가된다. 역량 평가부(160)는 이들을 취합하여 창의력의 수준을 평가한다. 또한, 역량 평가부(160)는 역량 평가의 목표, 즉 목표 의식과 실행 능력, 학업 성취도, 재능 평가 및 진로 적성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역량 키워드들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역량 관리부(170)는 인적 자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업의 성취 능력 등을 관리한다. 역량 관리란 개인의 역량을 평가하고 목표에 이루기 위해 역량을 높이기 위한 학습 활동 지원과 보상 스킴을 구현하여 실행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베이스(18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등에 제공될 GQM 설문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송신된 GQM 응답서와 평가 대상자가 작성한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 등이 저장되며, 또한 키워드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데이터베이스(180)가 역량 서버(120)와 분리되어 있으나, 역량 서버(1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워드 추출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추출부(14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실체 데이터와 실체 데이터를 구조화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메타데이터는 참여자에 의한 역량 키워드의 태깅 업데이드(tagging update)를 지원하고, 역량 키워드의 지능적인 태깅 지원에 활용될 수 있다.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은, 먼저 항목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2)에 의해 제공된 선정 기준에 의해 평가 대상자의 실체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선정한다. 예를 들면,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은, 실체 데이터인 GQM 응답서(210)의 설문 항목 중에서 체크 등급이 전체 응답자의 평균 이상인 항목을 평가 대상자의 실체 항목별 역량 키워드로 선정한다. 또한,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은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신된 GQM 응답서를 분석하여 개인별 실체 키워드 항목별 역량 키워드의 집합을 수정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한편,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은 이 GQM 응답서를 구조화한 응답서 메타데이터(212)에서의 GQM 응답자의 평균 점수 등을 이용하여 실체 데이터로부터 선정한 핵심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보완할 수 있는 객체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은 선정된 실체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객체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의 합집합이 필요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의 개수 미만인 경우에는 합집합에 의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교집합에 의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다만,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은 교집합에 의해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의 개수가 인적 자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최하위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선정된 객체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로 추출할 수 있다.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은 RSS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4)에 의해 제공된 선정 기준에 의해 평가 대상자의 실체 RSS 역량 키워드들을 선정한다. 예를 들면, 실체 데이터인 역량 평가 문서 정보(220)에서 하나의 단락마다 2 이상의 역량 용어가 사용된 경우를 실체 RSS 역량 키워드로 선정한다. 또한,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은 어근(rooted word) 표현 기법에 의해서 키워드들을 보정하여 표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어근의 선정 기준은 시멘틱 속성 기준, 어근의 메타 집합 기준 및 메타 집합의 속성 기준 등에 의한다.
한편,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은 역량 평가 문서 정보를 구조화한 RSS 메타데이터(224)로부터 댓글, 트랙백 및 태깅 지표(tagging index)에 의한 검색 식별 코드 지정 등의 선정 기준을 이용하여 객체 RSS 역량 키워드들을 선정한다.
그리고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은 선정된 실체 RSS 역량 키워드들 및 객체 RSS 역량 키워드들의 합집합이 필요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의 개수 미만인 경우에는 합집합에 의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교집합에 의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다만,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은 교집합에 의해 추출된 RSS 역량 키워드들의 개수가 인적 자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최하위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선정된 객체 RSS 역량 키워드들을 RSS 역량 키워드들로 추출할 수 있다.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은 전문가 키워드 기준 제공 모듈(156)에 의해 제공된 선정 기준에 의해 평가 대상자의 실체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을 선정한다.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은 평가 대상자의 직업군을 식별하고 전문가가 작성한 직업군별 핵심 역량 키워드들을 기반하여 실체 데이터인 역량 평가 문서 정보(220)에서 실체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을 선정한다.
한편,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은 전문가가 작성한 직업군별 핵심 역량 키워드들을 시소러스하고, 역량 평가 문서 정보를 구조화한 전문가 메타데이터(226)로부터 객체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을 선정한다.
그리고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은 선정된 실체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 및 객체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의 합집합이 필요한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의 개수 미만인 경우에는 합집합에 의한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교집합에 의한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다만,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은 교집합에 의해 추출된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의 개수가 인적 자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최하위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전문가 객체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로 추출할 수 있다.
역량 키워드 추출 모듈(230)은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에서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에서 추출된 RSS 역량 키워드들 및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에서 추출된 전문가 역량 키워드들의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인적 자원 평가 방법의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인적 자원을 평가하기 원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역량 서버(120)에 연결한다(S402). 역량 서버(120)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입력부(112)를 통하여, 사용자는 평가 대상자의 인적 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플랫폼부(130)는 평가 대상자가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에 최초로 로그인하거나 데이터베이스(180)에 GQM 응답서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404).
플랫폼부(130)는 평가 대상자가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에 최초로 로그인하거나 데이터베이스(180)에 GQM 응답서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GQM 설문서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송신한다(S406).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부(114)에 GQM 설문서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4)에 표시된 GQM 설문서의 설문 항목에 응답한다(S408). 예를 들어 사용자는 GQM 설문서의 설문 항목에 대응하여 매우 우수, 우수, 보통, 열등 및 매우 열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표시하거나 또는 점수의 형태로 응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부(114)에 표시된 GQM 설문서의 설문 항목들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면, 역량 서버(120)로 GQM 응답서를 송신한다. 플랫폼부(130)는 수신된 GQM 응답서를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S410).
플랫폼부(130)는 GQM 응답서가 작성되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역량 평가 문서 정보를 요청한다(S412).
평가 대상자는 입력부(112)를 통하여 평가 대상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를 작성한다(S414).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역량 평가 가능 문서가 작성되면, 역량 서버(120)로 역량 평가 문서 정보를 송신한다. 플랫폼부(130)는 수신된 역량 평가 문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S416).
기준 제공부(150)는 키워드 추출부(140)에 항목별 역량 키워드 및 문서 역량 키워드의 추출을 위한 선정 기준을 제공한다(S418).
키워드 추출부(140)는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GQM 응답서 및 역량 평가 문서 정보로부터 인적 자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S420).
역량 평가부(160)는 키워드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한다(S42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의 연관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역량 서버(50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개인용 단말 장치의 일종으로, 입력부(미도시됨)와 디스플레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이외에도 모바일폰 및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8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등에 제공될 GQM 설문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송신된 GQM 응답서와 평가 대상자가 작성한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 등이 저장되며, 또한 역량 키워드 추출부(520)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역량 서버(500)는 플랫폼부(510), 역량 키워드 추출부(520), 평가 지표 생성부(530),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 신뢰성 검사부(550), 역량 평가부(560) 및 역량 관리부(570)를 포함한다.
플랫폼부(51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제공될 GQM 설문서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송신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이하, 'GQM 응답서'라 함)와 평가 대상자가 작성한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역량 키워드 추출부(520)는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GQM 응답서 및 역량 평가 문서 정보로부터 인적 자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역량 키워드 추출부(520)는 도 1에 도시된 항목 키워드 추출 모듈(142), RSS 키워드 추출 모듈(144) 및 전문가 키워드 추출 모듈(146)을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지표 생성부(530)는 역량 키워드 추출부(520)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지표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평가 지표란 역량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프로젝트 또는 제품의 속성 기반을 말한다.
역량 키워드들의 집합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체 역량 키워드들(물리적으로 표현된 키워드)과 객체 역량 키워드들(논리적으로 표현된 키워드)로 구분된다. 따라서 객체의 평가 지표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객체 역량 키워드들로부터 생성되며, 실체의 평가 지표는 실체 역량 키워드들로부터 생성된다.
이 평가 지표의 선정 기준은 일의성, 간단하고 단순하며 명백한 메시지 전달, 측정 대상의 속성에서 추출, 좌표축과 크기(무게, 시간, 길이)의 라벨링 등이며, 이 선정 기준에 의해 선정된 평가 지표는 평가 키워드들의 선정, 일의성 검사 및 일관성 검사를 위해 사용된다.
평가 지표 생성부(530)는 평가 지표들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 및 신뢰성 검사 지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 및 신뢰성 검사 지표를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 및 신뢰성 검사부(550)에 각각 제공한다.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는 평가 지표 생성부(530)에서 제공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역량 키워드 추출부(520)에서 추출한 역량 키워드들로부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한다.
신뢰성 검사부(550)는 평가 지표 생성부(530)에서 제공된 신뢰성 검사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의 신뢰성을 검증한다. 이를 위하여, 신뢰성 검사부(550)는 일의성 검사 모듈(552)과 일관성 검사 모듈(554)을 포함한다.
일의성 검사 모듈(552)은 동일 평가 키워드들과 유사 평가 키워드들에 대한 일의성을 검사한다. 일의성 검사 모듈(552)은 예를 들어, 평가 대상자의 동일한 설문 항목들에 대한 응답 정보가 소정의 범위 이상, 예를 들면 80% 이상 일치하고, 평가 대상자의 유사한 설문 항목들에 대한 응답 정보가 소정의 범위, 예를 들면 50% 이상 유사하면, 일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
일관성 검사 모듈(554)은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에 대한 일관성을 검사한다. 일관성 검사 모듈(554)은 평가 대상자의 설문 항목들 중에서 동일 응답 등을 선정하여 검사 등급 등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역량 평가부(560)는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한다. 역량 평가부(560)는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 역량을 개인 역량, 사회적 역량 및 전문 영역 역량으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역량 관리부(570)는 인적 자원의 역량을 관리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고 서비스 모듈(572), 역량 등급 결정 모듈(574), 업무 성과 연계 모듈(576) 및 역량 향상 관리 모듈(578)을 포함한다. 역량 관리부(570)는 역량 평가부(560)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의 역량을 HCM(Human Capital Management)와 HCD(Human Capital Development) 등의 전분야에 활용될 수 있게 한다.
광고 서비스 모듈(572)은 역량 평가부(560)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평가 대상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서 작업할 동안에 실시간으로 평가 대상자에 필요한 맞춤 정보 및 맞춤 광고를 제공한다. 또한, 광고 서비스 모듈(572)은 역량 평가부(560)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평가 대상자에게 필요한 맞춤 정보 및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맞춤 정보 및 맞춤 광고의 제공은 광고 배너와 솔루션 리스트 중에서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역량 등급 결정 모듈(574)은 인적 자원의 역량 수준을 활용 영역에 따라 3 내지 7 단계의 등급으로 나누고, 이 단계들에 근거하여 역량 등급을 결정한다.
업무 성과 연계 모듈(576)은 역량 등급 결정 모듈에서 결정된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를 연계하여 관리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업무 성과란 매출 성과 및 수익 성과 등을 의미하며, 이 업무 성과의 등급은 본 발명에 추가되어 또는 다른 업무 성과 시스템 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의 연관표의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역량 대비 업무 성과의 연관성 수준이 A, B 및 C의 3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역량 향상 관리 모듈(578)은 도 6의 연관표 등을 이용하여 비즈니스 목표 달성 또는 경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량 향상 관리 모듈(578)은 평가 대상자에게 요구되는 업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인적 자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스케줄에 따라 학습을 관리한다. 역량 향상 관리 모듈(578)에서의 학습 계획은, 평가 대상자가 실행 가능한 학습 네트워크를 검증하고, 현재 평가 대상자의 업무와 경험에 근거하여 프로파일 기준의 학습 과정을 작성함으로써 세워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적 자원 역량을 GQM 설문서뿐만 아니라 평가 대상자가 작성한 문서 정보 등을 이용하므로,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고, 따라서 개인의 업무 성과 관리에 대응한 역량 개발 및 향상 방법을 올바르게 계획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역량 서버(500)가 하나의 서버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복수의 서버에 구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인적 자원 평가 방법의 흐름도는 도 5에 도시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역량 키워드 추출부(520)는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GQM 응답서 및 역량 평가 문서 정보로부터 인적 자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한다(S702).
평가 지표 생성부(530)는 역량 키워드 추출부(520)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에 근거하여 평가 지표들을 생성한다(S704). 평가 지표 생성부(530)는 생성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을 평가 키워드 선정부에 제공하고 또한, 생성된 신뢰성 검사 지표를 신뢰성 검사부(550)에 제공한다.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는 평가 지표 생성부(530)에서 제공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에 근거하여 역량 키워드들로부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한다(S706).
신뢰성 검사부(550)는 평가 지표 생성부(530)에서 제공된 신뢰성 검사 지표에 기반하여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의 신뢰성을 검증한다(S708). 신뢰성 검사부(550)는 평가 키워드들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일 평가 키워드들과 유사 평가 키워드들에 대한 일의성을 검사하고, 평가 키워드들의 응답 정보들에 대한 일관성을 검사한다. 신뢰성 검사부(550)는 평가 키워드들을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문제가 있는 평가 키워드들과 관련된 GQM 설문서 등을 플랫폼부(51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제공하게 한다.
역량 평가부(560)는 평가 키워드 선정부(540)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한다(S710).
광고 서비스 모듈(572)은 역량 평가부(160)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평가 대상자에 필요한 맞춤 정보 및 맞춤 광고를 제공한다(S712). 이 경우 맞춤 정보 및 맞춤 광고의 제공은 광고 배너와 솔루션 리스트 중에서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역량 등급 결정 모듈(574)은 역량 평가부(560)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을 활용 영역에 따라 3 내지 7 단계의 등급으로 나누고, 역량 등급을 결정한다(S714).
업무 성과 연계 모듈(576)은 역량 등급 결정 모듈에서 결정된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를 연계하여 관리한다(S716).
역량 향상 관리 모듈(578)은 평가 대상자에게 요구되는 업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인적 자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스케줄에 따라 학습을 관리한다(S718).
도 1 내지 도 7은 개인의 인적 자원 역량 평가에 맞추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인의 인적 자원의 역량뿐만 아니라 조직의 인적 자원의 역량 평가에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직의 인적 자원 역량과 업무 성과를 연계하여 경영 목표를 달성하고, 조직의 인적 자원의 역량 개발 향상 방법을 계획하고 보상과 연계시켜서 조직의 경영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클라이언트 단말기 120 : 역량 서버
130 : 플랫폼부 140 : 키워드 추출부
150 : 기준 제공부 160 : 역량 평가부
170 : 역량 관리부 180 : 데이터베이스
510 : 플랫폼부 520 : 역량 키워드 추출부
530 : 평가 지표 생성부 540 : 평가 키워드 선정부
550 : 신뢰성 검사부 560 : 역량 평가부
570 : 역량 관리부

Claims (10)

  1.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될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의 추출을 위한 선정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제공부와,
    상기 기준 제공부에서 제공된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로부터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와, 및
    상기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역량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문서 역량 키워드들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에서, RSS(Reality Simple Syndication)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추출한 RSS 문서 역량 키워드들 및 전문가에 의해 추출된 전문가 문서 역량 키워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제공부는, 상기 키워드 추출부가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로부터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GQM 설문서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 정보가 소정의 점수 이상이거나 점수가 높은 소정의 비율을 선정 기준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RS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RSS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평가 대상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에서 하나의 단락마다 2 이상 역량 용어가 사용된 경우를 선정 기준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4.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될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역량 키워드 추출부와,
    상기 역량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을 생성하는 평가 지표 생성부와,
    상기 평가 지표 생성부에서 제공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역량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한 역량 키워드들로부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평가 키워드 선정부와, 및
    상기 평가 키워드 선정부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역량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지표 생성부는 상기 평가 키워드 선정부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검증하기 위한 신뢰성 검사 지표를 더 생성하고,
    상기 평가 지표 생성부에서 생성된 신뢰성 검사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키워드 선정부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신뢰성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 평가부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에 기반하여, 평가 대상자에 필요한 맞춤 정보 또는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역량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 평가부에서 평가된 인적 자원 역량에 기반한 역량 등급과 업무 성과를 연계하여, 평가 대상자의 인적 자원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일정에 따라 학습을 관리하는 역량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8.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역량 서버를 구비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와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의 추출을 위한 선정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된 선정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로부터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및
    상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항목별 역량 키워드들 및 문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
  9.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역량 서버를 구비한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QM(Goal-Questionaire-Metrics)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GQM 설문서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서 정보로부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제공된 평가 키워드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한 역량 키워드들로부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단계와, 및
    상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단계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인적 자원 역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역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단계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을 검증하기 위한 신뢰성 검사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신뢰성 검사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신뢰성 검사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키워드들을 선정하는 단계에서 선정된 평가 키워드들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KR1020100099705A 2010-10-13 2010-10-13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23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05A KR101235292B1 (ko) 2010-10-13 2010-10-13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05A KR101235292B1 (ko) 2010-10-13 2010-10-13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120A true KR20120038120A (ko) 2012-04-23
KR101235292B1 KR101235292B1 (ko) 2013-02-20

Family

ID=4613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705A KR101235292B1 (ko) 2010-10-13 2010-10-13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29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59A1 (ko)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사운들리 티브이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엠아이엠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9794620B2 (en) 2014-03-11 2017-10-17 Soundll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ted content at low pow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in
US9858937B2 (en) 2013-09-06 2018-01-02 Soundlly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 waves using time-varying frequency-based symbo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882455B1 (ko) * 2017-02-20 2018-07-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환가능역량 요인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141397A (ko) 2018-06-14 2019-12-24 이강식 상사 평가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이용한 상사 평가 방법
KR20200092299A (ko) 2020-07-27 2020-08-03 이강식 상사 평가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이용한 상사 평가 방법
KR20200129024A (ko) * 2019-05-07 2020-11-17 (주)스마트소셜 직무 추천 장치 및 직무 추천 방법
KR20220114909A (ko) * 2021-02-09 2022-08-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핵심역량 진단 기반의 맞춤형 교육모델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63B1 (ko) * 2013-09-16 2014-06-02 김길원 리서치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매장 평가 시스템
KR102216365B1 (ko) 2018-09-19 2021-02-16 주식회사 후이즈시스템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00082540A (ko) 2018-12-29 2020-07-08 김만돌 서류함기법역량평가
KR20200086602A (ko) 2019-01-09 2020-07-17 김만돌 서류함기법역량평가 시스템
KR20200086601A (ko) 2019-01-09 2020-07-17 김만돌 집단토론역량평가
KR20200086600A (ko) 2019-01-09 2020-07-17 김만돌 구두발표역량평가
KR20200086799A (ko) 2019-01-10 2020-07-20 김만돌 원격무인자동 집단토론역량평가 시스템
KR20200086797A (ko) 2019-01-10 2020-07-20 김만돌 원격무인자동 구두발표역량평가 시스템
KR20200086798A (ko) 2019-01-10 2020-07-20 김만돌 원격무인자동 역할연기역량평가 시스템
KR20200086794A (ko) 2019-01-10 2020-07-20 김만돌 역할연기역량평가 시스템
KR20200086796A (ko) 2019-01-10 2020-07-20 김만돌 원격무인자동 서류함기법역량평가 시스템
KR20200086795A (ko) 2019-01-10 2020-07-20 김만돌 집단토론역량평가 시스템
KR20200086793A (ko) 2019-01-10 2020-07-20 김만돌 구두발표역량평가 시스템
KR102297047B1 (ko) * 2019-09-09 2021-09-02 박정열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566A (ja) 2001-06-20 2003-01-10 Masahiro Yoshimoto 個人特性推定方法
KR100878588B1 (ko) * 2007-03-16 2009-01-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보역량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2944A (ko) * 2007-07-31 2009-02-0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평가역량 정보를 고려한 다면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51516A (ko) * 2008-11-07 2010-05-17 (주)이투오피에스 역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59A1 (ko)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사운들리 티브이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엠아이엠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9858937B2 (en) 2013-09-06 2018-01-02 Soundlly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 waves using time-varying frequency-based symbo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9794620B2 (en) 2014-03-11 2017-10-17 Soundll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ted content at low pow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in
KR101882455B1 (ko) * 2017-02-20 2018-07-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환가능역량 요인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141397A (ko) 2018-06-14 2019-12-24 이강식 상사 평가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이용한 상사 평가 방법
KR20200129024A (ko) * 2019-05-07 2020-11-17 (주)스마트소셜 직무 추천 장치 및 직무 추천 방법
KR20200092299A (ko) 2020-07-27 2020-08-03 이강식 상사 평가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이용한 상사 평가 방법
KR20220114909A (ko) * 2021-02-09 2022-08-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핵심역량 진단 기반의 맞춤형 교육모델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292B1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292B1 (ko)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Mubarak et al. Confirming the links between socio-economic variables and digitalization worldwide: the unsettled debate on digital divide
Klašnja-Milićević et al. Social tagging strategy for enhancing e-learning experience
Tsai et al. An effective evaluation model and improvement analysis for national park websites: A case study of Taiwan
Aurum et al. Investigating Knowledge Management practices in software development organisations–An Australian experience
Li et al. Understanding post-adoption behaviors of e-service users in the context of online travel services
Ogiemwonyi et al. Do we care about going green? Measuring the effect of green environmental awareness, green product value and environmental attitude on green culture. An insight from Nigeria
Ali et al. Testing the criticality of HR-TQM factors in the Malaysian higher education context
Cegarra-Navarro et al. An open-minded strategy towards eco-innovation: A key to sustainable growth in a global enterprise
Fang et al. Leveraging sociability for trust building on social commerce sites
Wood et al. Establishing territorial embeddedness within retail Transnational Corporation (TNC) expansion: the contribution of store development departments
Stefani et al. Weight-modeling of B2C system quality
Reiter et al. Social media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s: Instrument validation
Lobo et al.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quality management capabilities f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Australia
Chowudhury Developing the measurement of consumer based brand equity in service industry: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phone industry
Lohrke et al. Should it stay or should it go? Developing an enhanced SWOT framework for teaching strategy formulation
Lee et al. Design and validation of a knowledge map system—the case of construction industry in Taiwan
Kramoliš Design as a condition for prosperity in Czech businesses-A comparative study
Phillips et al. SNSQUAL: a social networking site quality model
Rufín et al. Moderating effects of familiarity and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s of trust with it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Ali et al. Influences of knowledge sharing in improving facilities management performance of private finance initiative projects
Naoumova et al. A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View on Digital Disruption in Marketing
Quagrainie et al. Effective deployment of digital technologies for business enterprise in Sub-Sahara Africa: Implications for women entrepreneurs e-readiness for Internet usage in Ghana?
Nevo et al. Scoping review of crowdsourcing literature: Insights for IS Research
Fraij et al. An evolving recommender-based framework for virtual learning comm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