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047B1 -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047B1
KR102297047B1 KR1020190111332A KR20190111332A KR102297047B1 KR 102297047 B1 KR102297047 B1 KR 102297047B1 KR 1020190111332 A KR1020190111332 A KR 1020190111332A KR 20190111332 A KR20190111332 A KR 20190111332A KR 102297047 B1 KR102297047 B1 KR 102297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lity
diagnosis
data
workplac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981A (ko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박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열 filed Critical 박정열
Priority to KR102019011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0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지식근로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일터학습민첩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1차 설문 데이터를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1차 설문 데이터에 대해 응답한 1차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수준을 진단하는 기초 진단 단계와, 지식근로자에게 실제 일터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상황을 표현하는 진단 이미지와,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본 피진단자의 일터에서의 대처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2차 설문 데이터를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2차 설문 데이터에 대해 응답한 2차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진단하는 심층 진단 단계, 및 상기 기초 진단 단계에서 얻은 피진단자의 상기 일터학습민첩성 수준 및 상기 심층 진단 단계에서 얻은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피진단자에게 개발 포인트를 제시하는 개발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Workplace Learning Agility of Knowledge Workers}
본 발명은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식근로자의 핵심역량인 일터에서의 민첩한 학습능력 보유 정도 및 유형을 진단하고, 보유정도 및 유형에 따른 개발 포인트를 제시하는 지식근로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식근로자의 중요성은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전환되면서 부각되기 시작하였는데 초지능·초연결 사회로 명명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이제 모든 분야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심이 되었다. 초지능·초연결 사회는 지식사회보다 지식의중요성이 더욱 증대되면서도 지식의 유통기한이 급속히 줄어들고 수명이 짧은 상반된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즉, 지식에 기반한 부가 가치 창출 기회가 모든 분야로 확대된 반면 환경변화의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지식의 가치창출가능 기간은 매우 짧아졌다는 것이다. 지식근로자는 필요한 지식을 끊임없이 학습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따라서 새롭고 도전적인 변화가 일상화된 일터상황 속에서 경험으로부터 민첩하게 학습하고 이를 가치있는 결과로 연결하는 일터학습민첩성은 초지능·초연결 사회의 지식근로자에게 핵심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다.
피진단자의 학습능력, 역량을 진단하는 검사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하기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복수 개의 역량 지표에 대한 평가 지수를 산출하여 응시자 자신의 강하고 약한 역량 지표를 판단할 수 있는 역량 검사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 2]는 학생의 진로 방향과 진학 방향, 대학교의 수준 등을 설문을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목표 학교의 특성 및 학과의 특성, 미래 전망 등에 대한 컨설턴트의 분석결과를 제공받는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과 같은 역량 및 적성의 진단방법은 일반적인 학습능력 등을 진단하는 역량검사에 불과하며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신속하고 유연하게 학습한다는 학습민첩성의 개념을 반영하지 못하고 학교나 교육 장면이 아니라 실제 일터 등의 상황에서 발현될 수 있는 역량을 제대로 진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144998호 (2012. 05. 11. 공고)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825511호 (2018. 03. 22. 공고)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학습민첩성 진단도구가 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학습능력 진단도구와 변별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사회의 근로자인 지식근로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일터에서의 학습민첩성 역량을 진단 및 해석하여 개발역량정보를 제공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학습민첩성 진단도구와 달리, 설문을 통한 양적 진단과 포토보이스 진단을 통한 질적 진단을 병행하여 피진단자가 일터상황에서 어떻게 역량이 발현되는지 진단할 수 있고, 부족한 역량에 있어서는 자기개발 방향과 개발정보 프로그램 제공 등 풍성한 개발 포인트를 제공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지식근로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일터학습민첩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1차 설문 데이터를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1차 설문 데이터에 대해 응답한 1차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수준을 진단하는 기초 진단 단계; 지식근로자에게 실제 일터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상황을 표현하는 진단 이미지와,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본 피진단자의 일터에서의 대처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2차 설문 데이터를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2차 설문 데이터에 대해 응답한 2차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진단하는 심층 진단 단계; 상기 기초 진단 단계에서 얻은 피진단자의 상기 일터학습민첩성 수준 및 상기 심층 진단 단계에서 얻은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피진단자에게 개발 포인트를 제시하는 개발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설문 데이터는 주지표 항목으로서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및 비판적 성찰과 관련된 설문내용과, 보조지표 항목으로서 창의성, 회복탄력성, 및 자존감과 관련된 설문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단 이미지는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및 비판적 성찰과 관련된 일터에서의 상황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적 감지는 내부 및 외부의 환경 변화를 예의주시하여 새롭고 도전적인 일터상황이 요구하는 지식, 스킬, 태도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역량을 설문하는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략적 탐색은 감지된 정보를 분석 및 종합하여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최적의 결과를 내기 위한 후보 해결안을 탐색하는 역량을 설문하는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험적 적용은 탐색된 후보 해결안을 주어진 자원과 상황 속에서 가시적 성과를 얻을 때까지 유연하게 적용하는 역량을 설문하는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판적 성찰은 적용 방식과 결과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피드백을 통해 타 분야 및 미래응용에 연결할 교훈을 포착하는 역량을 설문하는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 진단 단계의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진단코드로 분류하여 유형화하고, 상기 심층 진단 단계의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피진단자의 개발 키워드를 도출하는 유형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형화 단계에서 상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은 신속(S), 유연(F), 및 균형(E)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시스템은, 지식근로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일터학습민첩성 수준 및 대처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피진단자로부터 상기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받아 분석하고, 피진단자에게 개발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상기 설문 데이터와 상기 개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설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수준 및 대처능력을 진단하는 진단부와, 상기 진단부의 진단 결과를 분석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 및 개발 포인트를 도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수준 진단을 위한 주지표 설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지표 데이터베이스와, 보조지표 설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지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피진단자의 대처능력 진단을 위한 진단 이미지와 2차 설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토보이스 진단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피진단자의 상기 개발정보를 저장하는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진단코드를 이용하여 피진단자의 상기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신속(S), 유연(F), 및 균형(E)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피진단자의 일터에서의 학습민첩성이 발휘되기 위한 역량을 수치화하고 진단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분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진단자인 지식근로자가 새롭고 도전적인 일터상황 속에서 어느 정도의 일터학습민첩성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자기개발과 관련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진단 실시를 통해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 자기성찰및 학습민첩성 개발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존 학습민첩성 진단도구와 달리, 설문방식의 양적 진단방법과 포토보이스(Photo Voice) 진단을 통한 질적 진단방법을 병행함으로써, 피진단자에게 기존 진단도구보다 실질적이고 풍성한 개발 포인트를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진단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층 진단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형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지표 및 보조지표의 점수를 도표로 표현한 개발역량정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유형별 개발포인트를 제시하는 개발역량정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지식근로자”는 필요한 지식을 끊임없이 학습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네트워크(200), 클라이언트 시스템(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원격에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일터학습민첩성 유형 및 일터학습민첩성 역량 개발 포인트를 진단받고자 하는 지식근로자(이하, ‘피진단자’라고 한다)가 일터학습민첩성의 민첩성과 유연성의 역량 수준 및 일터학습민첩성 개발포인트를 진단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에 제공하고, 상기 피진단자가 입력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받아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을 진단 및 분석을 실시한다.
상기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300)과 연결되어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역량 수준과 개발포인트를 진단하고 일터학습민첩성 유형 분석 및 개발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 서버(100)는 일종의 웹서버 또는 웹서비스 서버의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달받는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의 수준과 대처능력을 진단하고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분류하고 개발 포인트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피진단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통신모듈(110), 진단부(120), 및 분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모듈(110)은 일터학습민첩성의 수준 및 대처능력 진단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피진단자와 정보를 교환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의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1차 설문 데이터와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 이미지 및 2차 설문 데이터를 추출한다.
진단부(120)는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으로부터 피진단자가 상기 설문 데이터에 대해 응답한 응답 데이터를 진단 및 처리한다. 여기서, 응답 데이터는 피진단자가 1차 및 2차 설문 데이터에 대해 피진단자가 입력한 설문답변을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이며, 1차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는 1차 응답 데이터이고, 2차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는 2차 응답 데이터이다.
진단부(120)는 피진단자가 입력한 1차 응답 데이터의 후술하는 각각의 주지표 항목에 점수를 매겨 점수에 따라 피진단자의 각각의 주지표 항목의 수준을 1수준 내지 3수준 중 하나의 수준으로 결정하고, 1차 응답 데이터의 후술하는 각각의 보조지표 항목에 등급을 매겨 등급에 따라 피진단자의 각각의 보조지표 항목의 등급을 1등급 내지 3등급 중 하나의 등급으로 식별한다.
또한, 진단부(120)는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진단코드를 도출할 수 있도록 피진단자의 1차 응답 데이터 즉, 피진단자의 주지표 항목에 대해 식별된 각각의 주지표 수준과 피진단자의 보조지표 항목에 대해 식별된 각각의 보조지표 등급을 조합하여 피진단자의 프로파일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진단부(120)는 피진단자가 입력한 2차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진단자의 실제 일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피진단자의 대처능력 및 행동을 파악하여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에 대응하는 개발포인트를 진단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상기 진단부(120)에서 도출된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수준인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진단코드를 도출하고 도출된 진단코드를 기반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과 후술하는 개발 키워드에 대응하는 개발정보를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추출하여 피진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은 주지표 항목의 개방적 감지 항목과, 전략적 탐색 항목의 점수에 의해 결정되는 신속(S) 유형, 실험적 적용 항목과, 비판적 성찰 항목의 점수에 의해 결정되는 유연(F) 유형, 및 상기 주지표 항목의 점수가 균형하여 신속(S) 유형과 유연(F) 유형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경우에 분류되는 균형(E) 유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은 상기 역량 수준 진단 1단계에서 주지표 항목의 수준 또는 보조지표 항목의 등급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거나 균형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유형은 상기 주지표 항목의 수준과 상기 보조지표 항목의 등급에 따라 3가지의 수준(+, 0, -)으로 구분되어 피진단자는 일터학습민첩성 역량이 총 9가지의 유형 중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표 4 참조).
또한, 분석부(130)는 상기 진단부(120)에서 진단된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에 대응하는 개발 키워드를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추출하여 피진단자의 역량 수준에 맞는 일터학습민첩성 개발정보와 개발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발 키워드는 피진단자가 실제 일터에서 일터학습민첩성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연상 할 수 있는 특성 단어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진단자의 특성에 따라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대인적 특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지적 특성은 지식근로자가 인지적 측면에서 일터학습민첩성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연상 할 수 있도록 관련된 특성 단어들을 포함한다.
정서적 특성은 지식근로자가 정서적 측면에서 일터학습민첩성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연상 할 수 있도록 관련된 특성 단어들을 포함한다.
대인적 특성은 지식근로자가 대인적 측면에서 일터학습민첩성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연상 할 수 있도록 관련된 특성 단어들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은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수준 및 대처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관리 서버(100)로부터 받아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피진단자로부터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입력받아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모바일 단말기 등의 통상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피진단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300)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1차 및 2차 설문 데이터에 대해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고, 피진단자가 응답한 데이터인 1차 및 2차 응답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시스템(300) 및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서버(100)의 통신모듈(11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일터학습민첩성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1차 설문 데이터인 주지표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지표 데이터베이스(410)와, 보조지표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보조지표 데이터베이스(420),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대처능력을 진단을 위해 실제 일터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상황을 표현하는 진단 이미지 및 피진단자가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본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2차 설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토보이스 진단 데이터베이스(430), 및 피진단자의 진단 결과에 대한 개발정보를 저장하는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지표 데이터베이스(410)는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기초 역량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척도인 4개의 주지표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지표의 항목은 내·외부의 환경 변화를 예의주시하여 새롭고 도전적인 일터상황이 요구하는 지식, 스킬, 태도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역량을 진단하는 설문을 포함하는 '개방적 감지(Open Sensing)' 항목, 감지된 정보를 분석·종합하여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최적의 결과를 내기 위한 후보 해결안을 탐색하는 역량을 진단하는 설문을 포함하는 '전략적 탐색(Strategic Exploring)' 항목, 탐색된 후보 해결안을 주어진 자원과 상황 속에서 가시적 성과를 얻을 때까지 유연하게 적용하는 역량을 진단하는 설문을 포함하는 '실험적 적용(Experimental Applying)' 항목, 및 적용 방식과 결과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피드백을 통해 타 분야 및 미래응용에 연결할 교훈을 포착하는 역량을 진단하는 설문을 포함하는 '비판적 성찰(Critical Reflecting)'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지표 데이터베이스(410)의 각각의 항목은 각 항목의 주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문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설문문항은 척도양식을 5 scale(5점)의 Likert 척도로, 반응양식은 자기평정, 타인평정, 및 자기평정과 타인평정의 혼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지표 데이터베이스(420)는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기초 역량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척도인 3개의 보조지표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창의성', '회복탄력성' 및 '자존감' 에 대한 설문을 포함하는 보조지표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조지표 데이터베이스(420)의 각각의 항목은 각 항목의 주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문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설문문항은 척도양식을 5 scale(5점)의 Likert 척도로, 반응양식은 자기평정, 타인평정, 및 자기평정과 타인평정의 혼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토보이스 진단 데이터베이스(430)는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진단하기 위해 실제 일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상황을 나타내는 진단 이미지와 진단 이미지와 함께 제공되는 2차 설문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보이스 진단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진단 이미지는 실제 일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상기 주지표 항목과 같이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및 비판적 성찰과 관련된 일터에서의 상황을 표현하는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설문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에 나타나는 상황이 어떤 상황인지 또는/및 상기 이미지의 상황에 대해 피진단자가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지 설문하는 설문문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는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에 따른 개발정보와, 일터학습민첩성 대처능력에 따른 개발 키워드, 일터학습민첩성 유형과 개발 키워드에 대응하여 피진단자에게 자기개발 방향, 컨설팅 자료 등을 포함하는 개발 포인트 정보 등이 저장되며, 상기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피진단자의 유형 및 개발 키워드에 대응하는 개발정보를 제공한다.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는 일터학습민첩성의 모든 유형에 대한 개발정보가 저장되며, 개발정보는 이전의 피진단자들의 진단내용과, 이전 피진단자들의 분류된 유형의 백분위 자료, 주지표 및 보조지표의 수준 및 등급에 따른 백분위 자료, 일터학습민첩성 각 유형에 따른 자기개발 프로그램과 참여할 수 있는 개발활동자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유형 및 진단내용을 요약한 개발키워드 정보 및 컨설팅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는 각각의 주지표 항목에 대한 백분위(수준)와, 각각의 보조지표 항목에 대한 백분위(등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피진단자가 진단된 유형결과에 따른 백분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는 피진단자의 특정된 유형 및 개발 키워드에 따라 피진단자가 일터학습민첩성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활용 가능한 자기개발 프로그램과 참여 가능한 개발활동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피진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이 균형(E-)(도 7 에서의 균형Ⅲ 유형)으로 분류될 경우, 경우 피진단자의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및 비판적 성찰에 대한 점수가 낮게 진단되었기 때문에 분석부(130)는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각 주지표 항목에 해당하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생각의 힘/속도 제고 프로그램, 마음근력 프로그램, 전략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실행력 제고 프로그램 등과 같은 역량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이 유연(F+, F0, F-)으로 분류될 경우, 분석부(130)는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새롭고 도전적인 상황에 대한 센싱 강화 프로그램 참가, 개방성 및 다양성 강화 프로그램 참가, 전략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참가, 생각의 속도 프로그램 참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그램 참가 등과 같은 역량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이 신속(S+, S0, S-)으로 분류될 경우, 분석부(130)는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실행력 제고 프로그램 참가, 생각의 힘 제고 프로그램 참가, 도전 마인드 제고 프로그램 참가 등과 같은 역량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는 각각의 상기 주지표 또는/및 상기 보조지표의 백분위에 따른 세부 진단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시스템에 의한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은 기초 진단 단계(S100), 심층 진단 단계(S200), 유형화 단계(S300), 및 개발정보 제공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초 진단 단계(S100)는 피진단자의 주지표/보조지표 항목 즉,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비판적 성찰, 창의성, 회복탄력성 및 자존감에 대한 역량을 진단하기 위해 주지표 데이터베이스(410) 및 보조지표 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1차 설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피진단자로부터 1차 설문 데이터에 대한 1차 응답 데이터를 받아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의 수준을 진단한다.
다음으로, 심층 진단 단계(S200)는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개발포인트를 진단하기 위해 포토보이스 진단 데이터베이스(430)로부터 실제 일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상황을 나타내는 진단 이미지와 2차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고, 피진단자로부터 2차 설문 데이터에 대한 2차 응답 데이터를 받아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개발포인트를 진단한다.
다음으로, 유형화 단계(S300)는 상기 기초 진단 단계(S100)에서 얻어진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수준을 프로파일화하여 진단코드를 도출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분류하고, 심층 진단 단계(S200)에서 얻어진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이용하여 피진단자의 개발 키워드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개발정보 제공 단계(S400)는 유형화 단계(S300)에서 분류된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 및 피진단자의 개발 키워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개발포인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 후 피진단자에게 개발정보를 제공한다.
도 3을 참고하여, 기초 진단 단계(S100)는 관리 서버(100)가 주지표 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주지표 설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피진단자에게 전송한다(S1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피진단자는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및 비판적 성찰 주지표 항목에 대해 4개씩의 설문문항 즉, 총 16개의 설문문항 데이터에 대한 설문을 수행할 수 있으나, 주지표 항목의 개수와 설문문항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른 주지표 설문 데이터는 설문문항의 척도양식을 5 scale(5점) Likert 척도로, 반응양식은 자기평정, 타인평정, 및 자기평정과 타인평정의 혼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설문 방식은 온라인 상에서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방식과 오프라인 상에서 OMR 카드에 응답을 표기한 후 OMR 카드 리더기를 통해 응답 데이터를 제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의 [표 1]은 일터학습민첩성 주지표 중 하나인 개방적 감지(Open Sensing)를 설문하는 문항의 일 예이다.
Q) 평상 시 관심분야에 대해 늘 새로운 것을 학습한다.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100)가 보조지표 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일터학습민첩성 수준 진단의 보조지표인 '창의성', '회복탄력성', 및 '자존감'에 대한 보조지표 설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피진단자에게 전송한다(S120).
다음으로, 피진단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수신한 주지표 설문 데이터 및 보조지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인 1차 응답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입력한다. 작성된 1차 응답 데이터는 관리 서버(100)의 진단부(120)로 전송된다.(S130).
다음으로, 진단부(120)는 피진단자가 입력한 주지표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지표 각각의 항목에 대해 점수를 매기고 점수의 백분위에 따라 1수준 내지 3수준 중 하나의 수준을 부여한다(S140). 아래의 [표 2]는 주지표의 각 수준에 해당하는 백분위 범위이다.
주지표 1수준 2수준 3수준
개방적 감지 0-35 36-64 65 이상
전략적 탐색 0-35 36-64 65 이상
실험적 적용 0-35 36-64 65 이상
비판적 성찰 0-35 36-64 65 이상
다음으로, 상기 진단부(120)는 피진단자가 입력한 보조지표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조지표를 각각의 항목에 대해 점수를 매기고 점수의 백분위 33%씩 3등급으로 분류하여 A(상), B(중), C(하) 중 하나의 등급을 부여한다(S150). 아래의 [표 3]은 보조지표의 각 등급에 해당하는 백분위 범위이다.
보조지표 C등급 B등급 A등급
창의성 0-35 36-64 65 이상
회복탄력성 0-35 36-64 65 이상
자존감 0-35 36-64 65 이상
다음으로, 진단부(120)는 산출된 각각의 주지표 항목의 점수를 조합하여 피진단자의 프로파일을 도출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수준 진단을 마친다(S160).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은 4개의 주지표 항목을 3수준으로 분류한 것을 조합한 것으로 (3×3×3×3) 총 81 종류 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피진단자가 유형 설문 문항에 대해서 개방적 감지에 대해 백분위 22에 해당하여 1수준, 전략적 탐색에 대해 백분위 78에 해당하여 3수준, 실험적 적용에 대해 백분위 43에 해당하여 2수준, 비판적 성찰에 대해 백분위 87에 해당하여 3수준의 수준이 산출되었다면, 진단부(120)는 1323의 프로파일을 도출하게 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심층 진단 단계(S200)는 먼저, 관리 서버(100)가 상기 포토보이스 진단 데이터베이스(430)로부터 지식근로자가 일터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상황을 표현하는 진단 이미지 및 2차 역량 진단 설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모듈(110)을 통해 네트워크(200)에 연결된 피진단자의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에 전송한다(S210).
여기서, 진단 이미지가 표현하는 임의의 상황은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및 비판적 성찰과 관련된 상황을 표현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상기 진단 이미지를 통해 피진단자는 이미지에 나타나는 상황/주제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는 '포토보이스' 질적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2차 설문 데이터는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상황에 대해 피진단자가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묻는 이미지 설문문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설문문항은 첫째, 현재 사진에서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 어떻고 무엇을 보았는지(See), 둘째,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은 무엇인지(Happening), 셋째, 본인이 이미지와 같은 상황에 처한다면 어떤 관계에 있는지(Our), 넷째, 왜 이런 상황이 존재하는지(Why), 다섯째, 이미지의 상황에 대해 본인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Do) 에 대한 설문문항일 수 있다.
다음으로, 피진단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2차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에 답변하여 2차 응답 데이터를 입력한다(S220).
피진단자로부터 2차 응답 데이터가 입력되면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은 2차 응답 데이터를 네트워크(200)에 연결된 관리 서버(100)의 진단부(120)로 전송하고(S230), 진단부(120)는 피진단자의 2차 응답 데이터를 진단 및 처리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대처능력을 진단한다(S240).
도 5를 참고하여, 유형화 단계는 먼저, 분석부(130)가 진단부(120)에서 1차 응답 데이터로 진단된 피진단자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특정할 수 있는 진단코드를 도출한다(S310).
피진단자의 진단코드는 기초 진단 단계에서 도출된 주지표 수준의 조합인 프로파일과 '창의성', '회복탄력성' 및 '자존감'의 항목에 대한 평균점수를 함축하고 있는 보조지표 등급의 조합을 통해 도출되는 것이며, 일실시예에 따른 피진단자의 진단코드의 예시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코드번호

창의성

회복탄력성

자존감
유형
신속(S) 유연(F) 균형(E)
S+ S0 S- F+ F0 F- E+ E0 E-
02 C B C F-
79 A B A E0
본 발명에서의 일터학습민첩성의 유형은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속성을 나타내는 신속(S) 유형과,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속성을 나타내는 유연(F)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신속(S) 유형과 유연(F) 유형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경우에 해당되는 균형(E) 유형으로 특정될 수 있다(S320).
이때, 상기 신속(S) 유형에 대한 분류 기준은 상기 주지표의 항목 중 '개방적 감지' 항목과 '전략적 탐색' 항목의 수준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유연(F) 유형에 대한 분류 기준은 상기 주지표의 항목 중 '실험적 적용' 항목과 '비판적 성찰' 항목의 수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분류된 유형을 각 유형의 강함에 따라 (+, 0, -) 수준으로 추가로 더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진단자의 개방적 감지 항목에 대한 수준이 1수준, 전략적 탐색 항목에 대한 수준이 1수준, 실험적 적용 항목에 대한 수준이 3수준, 및 비판적 성찰 항목에 대한 수준이 3수준으로 결정되었을 경우, 유연(F) 유형과 관련된 실험적 적용 항목과 비판적 성찰 항목에 대한 수준이 높게 결정되었기 때문에 강한 유연(F)의 유형인 유연(F+)으로 결정될 수 있다(S330).
따라서, 일터학습민첩성의 유형은 신속(S+, S0, S-), 유연(F+, F0, F-), 및 균형(E+, E0, E-)로 9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피진단자에게 상기 일터학습민첩성의 각 유형에 대한 용어 정보와 유형에 따른 특징 정보를 제공하고 피진단자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이 무엇인지 자가진단 할 수 있도록 문진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형에 대한 용어 정보 및 유형에 따른 특징 정보는 신속(Ⅰ,Ⅱ,Ⅲ), 유연(Ⅰ,Ⅱ,Ⅲ), 균형(Ⅰ,Ⅱ,Ⅲ) 으로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예시로 균형Ⅰ 유형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내며 담당하는 모든 업무를 능숙하게 성취, 빠르게 배우고 융통성이 뛰어남, 임기응변에 뛰어나도 빠듯한 마감기한과 자원 내에서도 업무를 완료함' 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피진단자의 자가진단 문진표를 활용하여 후술하는 개발정보 제공 단계(S400)에서 피진단자의 분석된 일터학습민첩성 유형과 대조하여 피진단자가 자가진단한 결과와 실제 진단결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 대조표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의 [표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진단자가 자가진단한 스스로의 유형과 실제 진단결과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진단 대조표의 예시이다.
유형 신속Ⅰ
(S+)
신속Ⅱ
(S0)
신속Ⅲ
(S-)
유연Ⅰ
(F+)
유연Ⅱ
(F0)
유연Ⅲ
(F-)
균형Ⅰ
(E+)
균형Ⅱ
(E0)
균형Ⅲ
(E-)
자가진단 V
진단결과 V
다음으로, 분석부(130)는 상기 2차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단부(120)에서 진단된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대처능력을 이용하여 피진단자의 개발 키워드를 도출한다(S340).
일실시예에 따른 개발 키워드는 피진단자가 포토보이스 이미지 진단을 실시하면서 응답한 이미지 상황에 대한 행동 패턴들을 조합하여 특정 행동들의 응답이나 특정 행동들의 조합 시 발생할 수 있는 결과에 대한 분석자료일 수 있으며, 피진단자가 선택한 특정 행동의 조합을 분석한 피진단자가 가지고 있는 장점 및 단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개발정보 제공 단계(S400)는 분석부(130)로부터 전송받은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 및 세부유형과, 피진단자의 개발 포인트를 이용하여 피진단자에게 해당되는 개발정보 및 개발 키워드 정보를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추출한 후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피진단자에게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피진단자에게 제공되는 개발정보는 상기 분석부(130)에서 분류된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다른 피진단자들과 비교하여 백분위 지표로 제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진단자에게 제공되는 개발정보는 기초 진단 단계에서 산출된 각각의 주지표에 대한 각각의 특성지표를 시각화하여 제공하고 약한 지표에 대해서는 역량개발에 도움이 되는 개발 키워드를 통해 피진단자에게 일터학습민첩성 역량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진단자에게 제공되는 개발정보는 피진단자가 실제 어떠한 상황에서 약한 모습을 보이는지 판단하여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자기개발 프로그램의 목록을 제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동시에, 피진단자에게 다른 피진단자는 동일한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하였는지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여 피진단자 본인이 현재 어떠한 수준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역량을 진단하고 평가 및 해석하여 제공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및 시스템은 피진단자의 실제 일터에서의 민첩성 즉, 주지표 및 보조지표에 대한 양적 진단과 포토보이스를 통한 질적 진단을 실시하여 실제 일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진단자의 유형을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피진단자가 일터학습민첩성 역량의 발전을 위해 참여할 수 있는 역량개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피진단자가 일터학습민첩성 역량의 향상을 위한 개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개발역량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아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개량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관리서버 200 : 네트워크
300 : 클라이언트 시스템 4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역량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리 서버를 구비한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역량 진단을 위한 1차 설문 데이터를 상기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피진단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1차 설문 데이터에 대해 응답한 1차 응답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초 진단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1차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속성을 특정할 수 있도록 피진단자의 유형을 분류하는 유형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 이미지, 및 2차 설문 데이터를 상기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피진단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2차 설문 데이터에 대해 응답한 2차 응답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개발 키워드를 도출하는 심층 진단 단계; 및
    상기 유형화 단계에서 분류된 피진단자의 유형과 상기 심층 진단 단계에서 도출된 피진단자의 개발 키워드에 대응하는 개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피진단자에게 제공하는 개발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차 설문 데이터는 복수의 주지표 항목과 복수의 보조지표 항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형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주지표 항목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조합을 통해 피진단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각각의 보조지표 항목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조합을 통해 상기 유형의 강함과 약함의 정도인 세부유형을 결정하되, 상기 유형은 신속(S), 유연(F), 균형(E)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고,
    상기 진단 이미지는 상기 일터학습민첩성과 관련되는 임의의 상황을 나타내는 이미지이고, 상기 2차 설문 데이터는 상기 진단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황에 대한 피진단자의 대처능력을 설문하는 설문문항이고,
    상기 개발정보 제공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피진단자의 유형, 및 세부유형에 해당하는 개발정보를 추출하되, 추출된 개발정보로부터 상기 개발 키워드에 대응하는 개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피진단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지표 항목은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및 비판적 성찰과 관련된 설문문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표 항목은 창의성, 회복탄력성, 및 자존감과 관련된 설문문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이미지는 개방적 감지, 전략적 탐색, 실험적 적용, 및 비판적 성찰과 관련된 임의의 상황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적 감지는 내부 및 외부의 환경 변화를 예의주시하여 새롭고 도전적인 일터상황이 요구하는 지식, 스킬, 태도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역량을 설문하는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략적 탐색은 감지된 정보를 분석 및 종합하여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최적의 결과를 내기 위한 후보 해결안을 탐색하는 역량을 설문하는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적 적용은 탐색된 후보 해결안을 주어진 자원과 상황 속에서 가시적 성과를 얻을 때까지 유연하게 적용하는 역량을 설문하는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판적 성찰은 적용 방식과 결과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피드백을 통해 타 분야 및 미래응용에 연결할 교훈을 포착하는 역량을 설문하는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방법.
  8. 삭제
  9. 삭제
  10.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역량 수준, 및 대처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피진단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피진단자로부터 상기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받아 분석, 및 분석결과에 의한 개발정보를 피진단자에게 제공하는 관리 서버;
    상기 설문 데이터와 상기 개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설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입력, 및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응답 데이터를 진단하는 진단부와, 상기 진단부의 진단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 및 개발 키워드를 도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피진단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인 주지표 항목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지표 데이터베이스와, 보조지표 항목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지표 데이터베이스와, 피진단자의 대처능력 진단을 위한 진단 이미지, 및 상기 진단 이미지와 관련된 설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토보이스 진단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피진단자의 유형, 및 상기 개발 키워드에 따른 개발정보를 저장하는 개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주지표 항목에 대한 피진단자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진단자의 유형을 신속(S), 유연(F), 균형(E)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보조지표 항목에 대한 피진단자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유형의 강함과 약함의 정도인 세부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11332A 2019-09-09 2019-09-09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 KR102297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32A KR102297047B1 (ko) 2019-09-09 2019-09-09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32A KR102297047B1 (ko) 2019-09-09 2019-09-09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81A KR20210029981A (ko) 2021-03-17
KR102297047B1 true KR102297047B1 (ko) 2021-09-02

Family

ID=7524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332A KR102297047B1 (ko) 2019-09-09 2019-09-09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0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627A (ja) * 2003-03-27 2004-10-21 Osaka Gas Co Ltd スキル評価方法
KR101144998B1 (ko) * 2010-04-23 2012-05-11 주식회사 청담러닝 역량 검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역량 검사 방법
KR101235292B1 (ko) * 2010-10-13 2013-02-20 (주)이투오피에스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511B1 (ko) 2016-07-20 2018-03-22 임정수 진로적성 및 학습역량을 기초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627A (ja) * 2003-03-27 2004-10-21 Osaka Gas Co Ltd スキル評価方法
KR101144998B1 (ko) * 2010-04-23 2012-05-11 주식회사 청담러닝 역량 검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역량 검사 방법
KR101235292B1 (ko) * 2010-10-13 2013-02-20 (주)이투오피에스 인적 자원 역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81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nk The FAQs on data transformation
Reynolds et al. Measurement and statistical issues in child assessment research
Tourangeau et al. A framework for making decisions about question evaluation methods
Christoforaki et al. A system for scalable and reliable technical-skill testing in online labor markets
Bäck et al. Police student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es: a comparative study of Catalonia and Sweden
Vineberg Prediction of job performance: Review of military studies
Sorour et al. Building an interpretable model of predicting student performance using comment data mining
Wurzel Gonçalves et al. Competencies for code review
Johnston et al. Identifying student potential for ICT entrepreneurship using Myers-Briggs personality type indicators
JP6416425B1 (ja) 問題分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63971B1 (ko) 직업기능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직업기능 검사 방법
Allen et al.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criterion measurement methods
Spilka Becoming a profession
Nasar et al. A user acceptance model for e-HRM system implemented in IT and Non-IT business organizations
Motahhari-Nejad Professional competencies in engineering: examining valid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a scale
KR102297047B1 (ko) 지식근로자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방법 및 시스템
Constantin et al. How Do Algorithmic Fairness Metrics Align with Human Judgement? A Mixed-Initiative System for Contextualized Fairness Assessment
Albers Communication as reducing uncertainty
Erosa et al. Managers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explor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connection
Lai et al. Classification accuracy of multidimensional tests: Quantifying the impact of noninvariance
Adnan et al. Does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PWS) Yield Employee Well-Being During COVID-19 With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Frank et al. Four layers approach for developing a tool for assessing systems thinking
Karwehl et al. Future competencies in human-machine interact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anticipation of strategically relevant competencies in the field of automotive human-machine interaction
Vaishampayan et al. Procedural justice and fairness in automated resume parsers for tech hiring: Insights from candidate perspectives
KR102138573B1 (ko) 연관 조건을 이용한 어노테이터를 선별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