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080A -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080A
KR20120038080A KR1020100099620A KR20100099620A KR20120038080A KR 20120038080 A KR20120038080 A KR 20120038080A KR 1020100099620 A KR1020100099620 A KR 1020100099620A KR 20100099620 A KR20100099620 A KR 20100099620A KR 20120038080 A KR20120038080 A KR 2012003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using
pressing
base member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10009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8080A/ko
Publication of KR2012003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1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acting from above on containers or wrappers open at their top
    • B65B31/042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acting from above on containers or wrappers open at their top the nozzles being arranged for insertion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container or wra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즐을 이용하여 지퍼부가 형성된 지퍼백의 내부를 진공시킨 후 자동으로 밀봉시킬 수 있는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고,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하우징에 걸려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또는 피스톤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노즐을 누르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상기 피스톤부재가 하강하면 상기 노즐은 상기 가압부에 의해 눌려 정지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 Air suction apparatus having nozzle }
본 발명은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즐을 이용하여 지퍼부가 형성된 지퍼백의 내부를 진공시킨 후 자동으로 밀봉시킬 수 있는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일, 야채, 육류, 반찬 등의 식품을 보관함에 있어서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공기 중의 산소로 인해 식품이 빨리 부패하거나 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닐봉투 내에 식품을 넣고,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보관하도록 하는 장치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의 한 예로서,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힌지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진공포장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케이스를 닫아 진공포장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
진공포장기는 그 진공포장 방식에 따라 크게 챔버식과 노즐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챔버식 진포장기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92-7000998호등을 통해 공개되어 있는데, 챔버(500)에 진공포장지(400)의 개봉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진공펌프등을 이용해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다.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진공포장이 완료되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히팅부(300)에 의해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열융착되어 봉합됨으로써 포장이 완료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9700호 등을 통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노즐식 진공포장기는 흡입노즐이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통해 삽입되어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65095호 등을 통해 공개된 것인데, 진공 완료후에는 노즐을 후퇴시킨 후, 히팅부를 통해 개봉부를 열봉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그 작동을 전자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23호를 통해 상세히 개시되고 있는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모두 진공펌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비용이 비싸고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노즐식 진공포장기는 진공 완료후 노즐(52)을 후퇴시킴에 있어서, 기어 장치(70) 등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지고 제조 원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수동형으로 이루어져 야외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도 있고 비용도 저렴하며,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노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고,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하우징에 걸려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또는 피스톤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노즐을 누르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상기 피스톤부재가 하강하면 상기 노즐은 상기 가압부에 의해 눌려 정지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또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폐곡선 형상의 메인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의 전단은, 전진시 상기 메인가스켓과 같거나 더 전방으로 위치하고, 후퇴시 상기 메인가스켓의 안쪽에 배치되어 내부가 상기 메인가스켓의 안쪽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장착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노즐에 삽입배치되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부에는 이동공과 걸림공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흡입공이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게 형성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공에 삽입되고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돌기와;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공 및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의 전진시, 상기 관체는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동공에서 걸림공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걸려 상기 노즐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노즐의 전진시 상기 누름돌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가스켓의 내부가 밀폐되었을 때 상기 가압부와 누름돌기는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가압부를 눌렸을 때 상기 가압부는 하강하여 상기 누름돌기를 눌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공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즐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수동형으로 이루어져 야외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도 있고 장치의 생산 및 판매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피스톤부재를 하강하면 자동으로 노즐이 후퇴하도록 함으로써, 노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
도 2는 종래의 노즐식 진공포장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장치에서 하우징을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장치에서 노즐을 전진시킨 후 지퍼백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지퍼백 내부의 진공완료 후 가압부가 눌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노즐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장치에서 하우징을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40)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는, 베이스부재(10)와, 하우징(20)과, 피스톤부재(30)와, 노즐(40)과, 메인가스켓(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수납부(11)와 커버부(12)로 분리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부(1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40)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12)는 상기 수납부(11)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있다.
상기 커버부(12)의 상부에는 상기 노즐(40)이 삽입 배치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3)에는 상부에 이동공(14)과 걸림공(16)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공(14)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걸림공(16) 및 이동공(14)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40)의 전단은 상기 슬라이드부(13)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내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12)에는 상기 수납부(11)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베이스부재(10)는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0)과 베이스부재(10)는 상기 노즐(4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 즉 후방에서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은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는 가압부(2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23)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23)의 하부에 가압판을 장착하였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부재(30)의 하강시 상기 가압부(23)는 상기 피스톤부재(30)에 의해 하방향으로 눌려 돌출되고, 상기 피스톤부재(3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압부(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진한 상기 노즐(40)을 눌러 후퇴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제2연통공(27)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와 하부를 상호 연통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연통공(27)은 상기 제1연통공(17)과 상기 하우징(20) 및 베이스부재(10)의 사이공간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통공(27)에는 체크밸브(2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28)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연통공(27)을 개방되고, 그 역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려고 할 때에는 상기 제2연통공(27)을 폐쇄한다.
상기 피스톤부재(3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부재(3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외주면이 고무링이 장착되는 밀판(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피스톤부재(30)는 종래의 일반적인 피스톤부재(30)와 같이 하강시 상기 밀판(32)의 하부에 있는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승시에는 상기 밀판(32)의 상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1)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실링장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일반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열봉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노즐(40)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형성된 슬라이드부(13)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40)은 내부에 흡입공(42)이 형성되어, 내부가 상기 수납부(11), 제1연통공(17) 및 제2연통공(27)을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와 연통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노즐(40)은, 관체(41)와, 탄성부(43)와, 걸림돌기(44)와, 누름돌기(45)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41)는 상기 슬라이드부(13)에 배치되고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흡입공(42)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내부를 상호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 탄성부(43)는 상기 관체(4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부(43)는 일단이 상기 관체(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힘이 가할 질 때 상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탄성변형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44) 및 누름돌기(45)는 각각 상기 탄성부(43)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돌기(45)는 상기 이동공(14)이 삽입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44)는 상기 노즐(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공(14) 및 걸림공(16)에 선택적으로 삽입배치된다.
상기 걸림돌기(44)는 상기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돌기(45)는 상기 걸림돌기(44)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노즐(40)이 후방에 있을 때 상기 누름돌기(45) 및 걸림돌기(44)는 상기 이동공(14)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4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누름돌기(45)는 상기 이동공(14) 안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44)는 상기 이동공(14)에서 이탈되어 상기 걸림공(16)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노즐(40)은 전진 즉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걸림돌기(44)가 상기 걸림공(16)을 이루는 커버부(12)에 걸려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40)의 전방에는 상기 노즐(40)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46)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슬라이드부(13)의 내부에서 상기 관체(41)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40)의 전진시 상기 관체(41)는 상기 스프링(46)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44)는 상기 이동공(14)에서 걸림공(16)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에 걸려 상기 노즐(40)이 상기 스프링(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때, 상기 이동공(14)의 길이는 상기 노즐(40)의 이동거리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돌기(45)가 상기 이동공(14)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가스켓(50)은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또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가스켓(50)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장착된 하부메인가스켓(51)과 상기 하우징(20)의 하면에 장착된 상부메인가스켓(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노즐(40)의 전단은, 전진시 상기 메인가스켓(50)과 같거나 더 전방으로 위치하고, 후퇴시 상기 메인가스켓(50)의 안쪽에 배치되어 내부가 상기 메인가스켓(50)의 안쪽에서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와 연통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40)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노즐(40)은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23)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30)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장치에서 노즐(40)을 전진시킨 후 지퍼백(60)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8은 지퍼백(60) 내부의 진공완료 후 가압부(23)가 눌려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노즐(40)이 스프링(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을 회전시켜 상기 노즐(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돌기(45)를 잡고 상기 노즐(40)을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44)는 상기 이동공(1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탄성부(43)는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40)을 전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44)는 상기 걸림공(16)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때 탄성 변형되었던 상기 탄성부(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44)는 상기 걸림공(16)에 삽입되어 후단이 상기 걸림공(16)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10)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노즐(4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되고, 상기 걸림돌기(44)가 상기 걸림공(16)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10)에 걸림으로써, 상기 노즐(40)에 상기 스프링(46)의 탄성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노즐(40)은 후퇴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노즐(40)에 상기 지퍼백(60)의 개구부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지퍼백(60)은 지퍼부(61) 중 상기 노즐(40)이 삽입되기 위한 부분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을 상호 접하여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퍼백(60)의 지퍼부(61)는 상기 하부메인가스켓(51)의 상부에 놓이게 한다.
상기 노즐(40)은 전진시 상기 메인가스켓(50)과 같은 위치에 있거나 더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노즐(40)의 전단은 상기 지퍼부(61)를 가로질러 상기 지퍼백(60)의 내부까지 삽입된다.
그 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을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20)의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와 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메인가스켓(52)과 하부메인가스켓(51) 사이에는 상기 지퍼백(60)의 지퍼부(61)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20)을 잡고 누르게 되면, 상기 상부메인가스켓(52)과 하부메인가스켓(51)을 상호 접하면서 그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지퍼백(60)의 내부는 상기 노즐(40)에 형성된 흡입공(42)을 통해 상기 수납부(11)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23)는 전진된 상기 노즐(40)의 누름돌기(4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23)와 상기 누름돌기(45)는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부재(30)를 잡고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체크밸브(28)는 상기 제2연통공(27)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지퍼백(60) 내부의 공기는 상기 피스톤부재(30)가 상승함에 따른 공기압력차에 의해 상기 노즐(40)에 형성된 흡입공(42)을 통해 상기 수납부(11)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지퍼백(60)의 내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되며, 공기만 상기 제1연통공(17) 및 제2연통공(27)을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 후 상기 피스톤부재(30)를 하강시키면 상기 체크밸브(28)는 상기 제2연통공(27)을 폐쇄하고, 상기 밀판(32)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밀판(32)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밀판(32)의 상부로 이동한 후, 상기 피스톤부재(30)가 다시 상승하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상기 피스톤부재(30)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지퍼백(6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지퍼백(60)은 점점 진공상태가 된다.
상기 지퍼백(60) 내부가 진공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상기 피스톤부재(30)를 하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부재(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던 상기 가압부(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재(30)에 의해 하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상기 누름돌기(45)를 누르게 된다.
상기 누름돌기(45)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45)가 형성된 상기 탄성부(43)도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걸림돌기(44)는 상기 걸림공(16)에서 이탈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노즐(40)은 정지상태가 해제되면서 후퇴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4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공(1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노즐(40)이 후퇴함에 따라 상기 노즐(40)의 전단은 상기 지퍼백(60)의 내부에서 상기 지퍼부(61)를 가로질러 외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노즐(40)이 빠져나간 상기 지퍼부(61)는 상기 상부메인가스켓(52)과 하부메인가스켓(51)의 가압력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퍼백(60)의 지퍼부(61)는 체결되어 상기 지퍼백(60) 내부는 진공상태로 밀폐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46)의 탄성복원력은 상기 가압부(23)와 누름돌기(45)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23)가 상기 누름돌기(45)를 누르고 있어도 상기 노즐(40)은 상기 스프링(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부재(3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도 상기 지퍼백(60)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상기 하우징(2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상기 지퍼백(60)을 진공흡입장치에서 꺼내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이물질은 상기 커버부(12)를 상기 수납부(11)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하면 된다.
본 발명인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베이스부재, 11 : 수납부, 12 : 커버부, 13 : 슬라이드부, 14 : 이동공, 16 : 걸림공, 17 : 제1연통공, 20 : 하우징, 23 : 가압부, 27 : 제2연통공, 28 : 체크밸브, 30 : 피스톤부재, 31 : 손잡이부, 32 : 밀판, 40 : 노즐, 41 : 관체, 42 : 흡입공, 43 : 탄성부, 44 : 걸림돌기, 45 : 누름돌기, 46 : 스프링, 50 : 메인가스켓, 51 : 하부메인가스켓, 52 : 상부메인가스켓, 60 : 지퍼백, 61 : 지퍼부,

Claims (5)

  1.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고,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하우징에 걸려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또는 피스톤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노즐을 누르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상기 피스톤부재가 하강하면 상기 노즐은 상기 가압부에 의해 눌려 정지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또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폐곡선 형상의 메인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의 전단은, 전진시 상기 메인가스켓과 같거나 더 전방으로 위치하고, 후퇴시 상기 메인가스켓의 안쪽에 배치되어 내부가 상기 메인가스켓의 안쪽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노즐에 삽입배치되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부에는 이동공과 걸림공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흡입공이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게 형성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공에 삽입되고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돌기와;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공 및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의 전진시, 상기 관체는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동공에서 걸림공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걸려 상기 노즐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노즐의 전진시 상기 누름돌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가스켓의 내부가 밀폐되었을 때 상기 가압부와 누름돌기는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가압부를 눌렸을 때 상기 가압부는 하강하여 상기 누름돌기를 눌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공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즐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KR1020100099620A 2010-10-13 2010-10-13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KR20120038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20A KR20120038080A (ko) 2010-10-13 2010-10-13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20A KR20120038080A (ko) 2010-10-13 2010-10-13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080A true KR20120038080A (ko) 2012-04-23

Family

ID=4613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620A KR20120038080A (ko) 2010-10-13 2010-10-13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8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99A1 (ko) * 2015-10-26 2017-05-04 주식회사 롤팩 진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99A1 (ko) * 2015-10-26 2017-05-04 주식회사 롤팩 진공장치
US10766649B2 (en) 2015-10-26 2020-09-08 Rollpack. Co., Ltd. Vacuum device for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8853C (zh) 用于真空密封食物容器的装置
US7721771B2 (en) Automatic suction structure of a vacuum container
CN109677673B (zh) 一种具有上盖限位机构的自动锁盖真空封口机
KR20120120884A (ko)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169008B1 (ko) 스포이드의 펌프
KR101322780B1 (ko) 용기 열봉합 장치
CN212981108U (zh) 一种真空储物罐
KR101160969B1 (ko) 진공포장기
KR20120038080A (ko) 노즐이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CN111977091A (zh) 一种真空封口机
CN209939076U (zh) 一种全自动真空封口机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KR20120038710A (ko) 노즐이 구비된 진공보조장치
CN206624214U (zh) 负压储存容器
CN214058027U (zh) 一种改进触发开关的自动锁盖的抽真空封口机
KR100732152B1 (ko) 이중 누름장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20130038888A (ko) 노즐이 구비된 식품용기 진공포장장치
KR101206460B1 (ko) 식품 용기용 진공 해제장치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KR100986692B1 (ko) 공기흡입펌프
KR200465229Y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펌프 작동장치
CN215476158U (zh) 一种食品自动包装机
CN109770746A (zh) 一种食品加工机
CN212221056U (zh) 一种真空储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