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843A -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 및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 및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843A
KR20120036843A KR1020117029745A KR20117029745A KR20120036843A KR 20120036843 A KR20120036843 A KR 20120036843A KR 1020117029745 A KR1020117029745 A KR 1020117029745A KR 20117029745 A KR20117029745 A KR 20117029745A KR 20120036843 A KR20120036843 A KR 20120036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transmission
base station
frequency band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535B1 (ko
Inventor
준고 고또
야스히로 하마구찌
가즈나리 요꼬마꾸라
오사무 나까무라
히로끼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39Frequency-contiguous, i.e. with no allocation of frequencies for one user or terminal between the frequencies allocated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송신 전력 여력을 나타내는 PH를 고려하여, 액세스 방식, 송신 전력, 사용하는 안테나, 안테나 수를 제어한다.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며, 기지국은,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린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 및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 PROGRAM, AND MOBILE STATION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재송 처리 방법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 및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제3.9 세대의 휴대 전화의 무선 통신 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의 송신 패킷의 오류 검출을 행하여, 오류가 있는 패킷을 다시 송신하는 재송 제어법인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가 채용되고 있다. 이 재송 제어는, 송신 패킷에 부가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회 용장 검사)를 사용하여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여, 수신한 패킷을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는 경우에 재송 요구 신호인 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송신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송신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된 경우에 송달 확인 신호인 ACK(ACKnowledgement)를 송신한다(비특허문헌 1 참조).
재송 제어에는, 비적응형 ARQ(Non-adaptive ARQ)와 적응형 ARQ(Adaptive ARQ)가 있다. 비적응형 ARQ는, 재송 시에 첫회 송신과 마찬가지의 전송 방법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지만, 적응형 ARQ는 재송 데이터가 첫회 송신 데이터와 달리, 변조 방식, 부호화율, 펑처 패턴, 사용하는 주파수의 대역 폭, 송신 전력 등의 파라미터를 바꾸어 재송한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재송 시에 송신 다이버시티법인 STTD(Space Time Transmit Diversity)나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와 같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14824호 공보 국제 공개 제WO2005/004376호 팸플릿
그러나, 상향 회선으로 Clustered DFT-S-OFDM(다이내믹 스펙트럼 제어(DSC: Dynamic Spectrum Control), DFT-S-OFDM with SDC(Spectrum Division Control)로도 호칭된다)과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C-FDMA로도 칭해진다)과 같은 피크 전력이 상이한 액세스 방식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전력 여력을 나타내는 PH(Power Headroom)를 고려한 적응형 ARQ에 의한 재송 제어가 검토되고 있지 않았다. 그로 인해, 피크 전력이 높은 액세스 방식을 사용한 경우의 재송에 있어서, 셀 에지 유저 등의 PH에 여유가 없는 유저는 송신 전력을 더 올릴 수 없어, 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송신 전력 여력을 나타내는 PH를 고려하여, 액세스 방식, 송신 전력, 사용하는 안테나, 안테나 수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 및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했다. 즉,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피크 전력이 상이한 복수의 액세스 방식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액세스 방식을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며, 기지국은, 이동국이 사용한 액세스 방식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액세스 방식보다 피크 전력이 낮은 액세스 방식을 선택함과 함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이동국에 대하여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이동국이 사용한 액세스 방식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액세스 방식보다 피크 전력이 낮은 액세스 방식을 선택함과 함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이동국에 대하여 내림으로써, 이동국은, 송신 전력 부족을 피하여, 충분한 송신 전력으로 재송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셀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며, 기지국은,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림으로써,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함으로써, 이동국의 송신 전력 부족을 피하여, 충분한 송신 전력으로 재송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셀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함으로써, 기지국이 재송 시에 송신 전력의 제어 정보를 이동국에 통지하지 않고, 송신 전력 부족을 피하여, 충분한 송신 전력으로 재송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셀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기지국은,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고, 이동국이 갖는 복수의 안테나 중 전송로(channel)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이동국에 대하여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기지국은,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고, 이동국이 갖는 복수의 안테나 중 전송로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이동국에 대하여 내림으로써,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하여, 안테나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6)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은, 재송 시에 사용하는 안테나의 전송로 이득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의 상승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재송 시에 사용하는 안테나의 전송로 이득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의 상승폭을 결정함으로써, 이동국이 사용하는 안테나의 전송로 이득에 따라 유연하게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7)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기지국은, 이동국이 갖는 복수의 안테나 중 재송 시에 사용하는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고,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고, 결정된 개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기지국은, 이동국이 갖는 복수의 안테나 중 재송 시에 사용하는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고,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고, 결정된 개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림으로써,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하여, 송신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8)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첫전송 시의 총 전력보다 올리고, 결정된 개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재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첫전송 시의 총 전력보다 올리고, 결정된 개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재송을 행함으로써,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기지국은,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이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림으로써,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이동국은,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이며,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기지국에 대하여 재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기지국에 대하여 재송을 행함으로써, 송신 전력 부족을 피하여, 충분한 송신 전력으로 재송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셀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1) 본 발명의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은,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이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는 처리와,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처리의 일련의 처리를, 컴퓨터에 판독 가능 및 실행 가능하게 커맨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는 처리와,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처리의 일련의 처리를, 컴퓨터에 판독 가능 및 실행 가능하게 커맨드화한 것에 의해,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12) 본 발명의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은,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이며,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기지국에 대하여 재송을 행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판독 가능 및 실행 가능하게 커맨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기지국에 대하여 재송을 행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판독 가능 및 실행 가능하게 커맨드화한 것에 의해,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셀 에지에 있는 유저의 경우에도 재송 시에 송신 전력이 부족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송신할 수 없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셀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재송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동국이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할 때의 송신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동국이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데이터 송신할 때의 송신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송 요구 시에 송신하는 제어 정보의 결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재송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재송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LTE 시스템의 표준화가 거의 종료하고, 최근에는 LTE 시스템을 더 발전시킨 제4 세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인 LTE-A(LTE-Advanced, IMT-A 등으로도 칭한다)의 표준화가 개시되었다.
LTE-A의 업링크(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에서는 LTE보다 높은 피크 데이터 레이트나, 주파수 이용 효율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로 인해, 새로운 액세스 방식을 도입하는 것에 의한 스루풋의 개선이나 복수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피크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이 검토되고 있다.
LTE-A 시스템의 업링크의 액세스 방식으로서, LTE 시스템과의 후방 호환성을 중시하여, DFT-S-OFDM을 서포트하여, 스루풋을 더 개선할 수 있는 Clustered DFT-S-OFDM이 제안되어 있다. Clustered DFT-S-OFDM은, 사용 가능한 대역으로부터 전송로 이득이 높은 주파수를 선택하여, 스펙트럼을 이산적으로 배치하는 점에서, 피크 전력이 DFT-S-OFDM보다 높아지기는 하지만, 높은 주파수 선택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셀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세스 방식이다.
또한, LTE 시스템의 업링크에서는 복수의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았지만, LTE-A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다중 전송이나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함으로써 주파수 이용 효율의 개선이나 커버리지의 개선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송신 장치인 이동국이 피크 전력이 상이한 싱글 캐리어 전송을 사용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피크 전력이 상이한 싱글 캐리어 전송과 멀티 캐리어 전송을 사용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질적으로 동일한 송신 전력 여력에 기초하는 재송 방법이면,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동국은, 버퍼부(100), 부호부(101), 변조부(102), DFT부(103), 송신 데이터 배치부(104), IDFT부(105), 참조 신호 생성부(106), 참조 신호 삽입부(107), CP 삽입부(108), 무선부(109), PA부(110), 송신 안테나(111), 송신 전력 여력 산출부(112), 제어 정보 송신부(113), 제어 정보 수신 처리부(114), 수신 안테나(115), 재송 제어부(116)를 구비한다.
이동국에서는, 수신 장치인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대역 할당에 따라 데이터 송신 후,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송달 확인 신호를 수신 안테나(115)로 수신한다. 이 송달 확인 신호는,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는지를 표현하는데, 기지국이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는 경우에는 ACK,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는 경우에는 NACK로 된다. 재송 시에 첫회의 데이터 송신과 상이한 송신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대역의 할당 방법이나 송신 전력 등의 제어 정보의 수신도 행한다. 수신 안테나(115)로 수신된 신호는, 제어 정보 수신 처리부(114)에 입력된다.
제어 정보 수신 처리부(114)에서는, 수신 신호로부터 송달 확인 신호와 대역 할당 정보를 얻는다. 얻어진 송달 확인 신호는, 재송 제어부(116)에 입력되고, 한편, 제어 정보의 대역 할당 정보는 송신 데이터 배치부(104), 송신 전력의 정보는 PA(Power Amplifier)부(110)에 입력된다.
재송 제어부(116)는, 입력된 송달 확인 신호가 ACK인 경우에는, 버퍼부(100)에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부호부(101)에 입력하고, 입력된 송달 확인 신호가 NACK인 경우에는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기지국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던 송신 데이터를 부호부(101)에 입력한다.
부호부(101)에 입력된 송신 데이터는, 오류 정정 부호가 실시된 부호 비트로 변환되고, 변조부(102)에 있어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사상 위상 편이 변조),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 직교 진폭 변조) 등의 변조 심볼로 변조된다. 변조 심볼은, DFT부(103)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되고, 송신 데이터 배치부(104)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주파수의 할당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신호를 배치한다. IDFT(Inverse DFT; 역이산 푸리에 변환)부(105)에 있어서,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참조 신호 생성부(106)로 생성된 신호는, 참조 신호 삽입부(107)에 의해 삽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간 영역의 신호에 대하여 참조 신호를 삽입했지만, IDFT부(105)에 의해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전에 주파수 다중화해도 좋다. 시간 신호는, CP(Cyclic Prefix; 사이클릭 프리픽스) 삽입부(108)에 의해 CP가 부가되고, 무선부(109)에 의해 무선 주파수에 업 컨버트되고, PA부(110)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송신 전력으로 증폭된 후에 송신 안테나(111)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송신 전력 여력 산출부(112)에 의해 산출된 송신 전력 여력의 PH는, 정기적으로 제어 정보 송신부(113)를 통하여 기지국에 송신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송 시에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로부터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적용하는 부호화의 방법이나 부호화율, 구속 길이, 펑처 패턴 등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부호화를 행하지 않고 부호화를 행한 데이터를 기억해 두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변조부에서 적용하는 변조 방식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에는, DFT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기억해 두어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지국은, 수신 안테나(201), 무선부(202), CP 제거부(203), 참조 신호 분리부(204), DFT부(205), 송신 데이터 추출부(206), 전송로 보상부(207), IDFT부(208), 복조부(209), 복호부(210), 순회 용장 검사부(211), 전송로 추정부(213), 대역 할당 결정부(214), 제어 정보 생성부(215), 제어 정보 송신부(216), 버퍼부(217), 송달 확인 신호 송신부(218), 송신 안테나(219), 제어 정보 보존부(220)를 구비한다.
수신 안테나(201)에서는,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는, 무선부(202)에 의해 수신 안테나(201)로 수신한 신호를 기저 대역 주파수에 다운 컨버트하고, CP 제거부(203)에 의해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제거를 행하고, 참조 신호 분리부(204)에 의해 참조 신호를 분리한다. 분리된 참조 신호는, 전송로 추정부(213)에 입력되어, 참조 신호에 의해 전송로의 주파수 응답을 추정한다. 추정된 전송로 정보는, 전송로 보상부(207)와 대역 할당 결정부(214)에 입력된다.
한편, 참조 신호가 분리된 신호는, DFT부(205)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되고, 송신 데이터 추출부(206)에 의해 버퍼부(217)에 기억되어 있는 대역의 할당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는 주파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전송로 보상부(207)에 있어서, 전송로 추정부(213)에 의해 추정된 주파수 응답을 사용하여, 최소 평균 제곱 오차(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가중치를 승산하는 등의 무선 전송로의 왜곡을 보상하는 처리를 실시하고, IDFT부(208)에서는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얻어진 시간 영역의 신호는, 복조부(209)에 의해 변조 심볼로부터 수신 부호 비트로 분해되고, 복호부(210)에 의해 오류 정정 복호가 실시된다. 복호된 데이터는, 순회 용장 검사부(211)에 의해 송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CRC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었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수신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제어 정보로서 PH를 수신한 경우는 재송 제어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어 정보 보존부(220)에 의해 기억된다.
순회 용장 검사부(211)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정확하다고 판정된 경우는, 송달 확인 신호 송신부(218)를 통하여, ACK를 송신한다. 수신 데이터로부터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송달 확인 신호 송신부(218)를 통하여, NACK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 정보 보존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PH의 정보를 대역 할당 결정부(214)에 입력한다.
대역 할당 결정부(214)는, 입력된 전송로 정보와 PH 등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대역의 할당을 결정하여, 버퍼부(217)와 제어 정보 생성부(215)에 입력한다. 대역의 할당은, 송신 전력 여력을 나타내는 PH에 기초하여 연속적인 할당인지, 이산적인 할당인지가 결정되며,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연속적인 대역의 할당을 행한다. 또한, 전송로 추정부(213)에 의해 추정된 전송로 정보를 기초로 할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215)에 의해 제어 정보가 생성되고, 제어 정보 송신부(216)를 통하여, 송신 안테나(219)로부터 송신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국이 데이터 전송을 Clustered DFT-S-OFDM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있어서 CRC에 의해 수신 데이터의 복호 결과로부터 오류를 검출했을 때의 재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에 DFT-S-OFDM으로 전송 방식의 전환과, 전환에 의해 백 오프에 여유가 생긴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리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국의 송신 안테나(111)를 1개로 하고 있지만, 이동국이 복수의 송신 안테나(111)를 갖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111)가 1개이면,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재송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동국(301)은, 정기적으로 PH를 제어 정보로서 기지국(303)에 통지한다(스텝 S1). 한편, 기지국(303)은, 통지된 PH와 동일 셀 내의 이동국(301)에의 간섭도 고려하여, 이동국(301)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여, 이동국(301)에 통지한다(스텝 S2).
도 4는, 이동국(301)이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할 때의 송신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이동국(301)이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경우는, 기지국(303)으로부터 이동국(301)에 이산적인 대역의 할당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3). 이동국(301)은,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4).
도 5는, 이동국(301)이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데이터 송신할 때의 송신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기지국(303)에서 수신 신호를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가 CRC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는, 재송 요구인 NACK를 송신한다(스텝 S5). 또한, 이동국(301)으로부터 정기적으로 통지되는 PH보다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에는, 피크 전력이 낮은 송신 방법이 되는 연속적인 대역의 할당을 결정한다. 연속적으로 대역의 할당을 행함으로써, 필요한 백 오프량이 적어져, 송신 전력 여력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있어서, 스텝 S5에서는, 대역의 할당 정보와 송신 전력을 제어 정보로서 이동국(301)에 통지한다. 이동국(301)은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재송을 행하고(스텝 S6), 기지국(303)이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으면, ACK를 반환한다(스텝 S7).
도 6은, 기지국(303)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송 요구 시에 송신하는 제어 정보의 결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기지국(303)은, 이산적인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 S101).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하고, CRC에 의해 오류의 검출을 행함으로써 복호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었는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102). 복호에 성공한 경우에는, ACK를 송달 확인 신호로서, 이동국(301)에 통지한다(스텝 S106).
복호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동국(301)으로부터 통지되어 있는 PH를 기초로 송신 전력 여력의 유무를 확인한다(스텝 S103). 송신 전력 여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산적인 대역의 할당의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05). 이산적인 대역의 할당은, 첫회의 데이터 송신과 동일해도 좋고, 변경해도 좋다. 또한, 송신 전력 여력이 있기 때문에, 송신 전력을 올리도록 이동국(301)에 제어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에는 연속적인 대역의 할당과 송신 전력의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04). 생성된 제어 정보와 송달 확인 신호인 NACK를 이동국(301)에 통지한다(스텝 S107).
본 실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이동국(301)의 송신 안테나가 1개이며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을 송신 시에 기지국(303)에서 오류가 검출된 경우는, 기지국(303)에서 송신 전력 여력을 고려하여 재송의 송신 방식을 변경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에 연속적인 대역의 할당으로 변경하고, 송신 전력 여력이 있는 경우에 이산적인 대역의 할당으로 했지만, 송신 전력 여력이 있는 경우에 멀티 캐리어로 하고,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에 싱글 캐리어로 재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재송 시에 연속적인 대역의 할당으로의 변경과 송신 전력의 제어 정보를 이동국(301)에 통지한다고 했지만, 재송 시의 송신 전력은 송신 전력 여력의 증가분보다 적은 값이면, 미리 결정된 값을 사용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국(301)이 데이터 전송을 Clustered DFT-S-OFDM에서 행한 경우에 있어서, 재송 시에 송신 전력 여력을 고려하여, 할당하는 대역의 변경과 백 오프에 여유가 생긴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전송 이득이 높은 송신 안테나(605)로 전환하는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첫전송의 송신 안테나(605)의 개수를 1개로 하고 있지만, 복수의 송신 안테나(605)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동국(301)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송신 안테나(605)에 관해서, 버퍼부(600), 송신 신호 생성부(601), 안테나 결정부(602), 무선부(603), PA부(604), 송신 전력 여력 산출부(606), 제어 정보 송신부(607), 제어 정보 수신부(608), 수신 안테나(609), 재송 제어부(610)를 구비한다. 송신 안테나(605) 이외의 송신 안테나(605', 605")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 무선부(603', 603"), PA부(604', 604")를 갖고 있다.
이동국(301)은, 수신 안테나(609)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한 제어 정보로부터, 제어 정보 수신부(608)에 의해, ACK 혹은 NACK의 송달 확인 신호와, 대역 할당 정보와 재송 안테나 정보, 재송 시의 송신 전력 등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얻는다.
제어 정보 수신부(608)는, 송달 확인 신호를 재송 제어부(610)에 입력하고, 대역 할당 정보를 송신 신호 생성부(601)에 입력하고, 재송 안테나 정보를 안테나 결정부(602)에 입력하고, 재송 시의 송신 전력을 PA부(604)에 입력한다. 재송 제어부(610)는, 송달 확인 신호가 ACK인 경우에는 버퍼부(600)에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 신호 생성부(601)에 입력하고, 송달 확인 신호가 NACK인 경우에는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기지국(303)에서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었던 송신 데이터를 재송하기 위하여 송신 신호 생성부(601)에 입력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601)는, 도 1의 부호부(101)부터 CP 삽입부(108)까지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입력된 송신 데이터에 실시하여, 안테나 결정부(602)에 입력한다. 안테나 결정부(602)는, 제어 정보 수신부(608)로부터 입력된 재송 안테나 정보가 나타내는 재송용의 송신 안테나(605)를 선택하여, 송신 신호 생성부(601)로부터 입력된 송신 신호를 재송용의 송신 안테나(605)의 무선부(603)에 입력한다.
또한, 재송에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605)의 PA부(604)는, 기지국(303)으로부터 통지된 송신 전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증폭을 행하여, 재송에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605)로부터 재송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303) 구성은, 도 2와 마찬가지이며, 전송로 추정부(213)에서 복수의 안테나의 전송로에 기초하여, 재송 안테나 정보와 전송로 정보를 대역 할당 결정부에 입력한다. 대역 할당 결정부(214)는, 전송로 정보를 기초로 할당하는 대역을 결정하여, 대역의 할당 정보와 재송 안테나 정보를 제어 정보 생성부(215)에 입력한다. 대역의 할당 정보와 재송 안테나 정보는, 제어 정보 생성부(215)에 의해 제어 정보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어 정보 송신부(216)를 통하여, 송신 안테나(219)로부터 송신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재송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동국(301)은, 정기적으로 PH를 제어 정보로서 기지국(303)에 통지한다(스텝 S201). 한편, 기지국(303)은, 통지된 PH와 동일 셀 내의 이동국(301)으로의 간섭도 고려하여, 이동국(301)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여, 이동국(301)에 통지한다(스텝 S202). 이동국(301)이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경우는, 기지국(303)으로부터 이동국(301)으로 이산적인 대역의 할당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203). 이동국(301)은,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204). 이동국(301)이 이산적인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여, 기지국(303)에서 수신 데이터의 복호 결과에 대하여, 순회 용장 검사에 의해 오류 검출을 한다. 오류가 검출되고, 정기적으로 이동국(301)으로부터 통지되고 있는 PH로부터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대역을 할당하여, 전송로 이득이 높은 송신 안테나(605)를 지정하여, 재송 요구를 행한다(스텝 S205). 재송 시의 송신 전력은, 송신 전력 여력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재송에 사용하는 안테나의 전송로 이득인 수신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power Ratio: 신호 대 간섭 잡음 전력비)을 고려하여 올린다. 이동국(301)은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재송을 행하고(스텝 S206), 기지국(303)이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으면, ACK를 반환한다(스텝 S207).
본 실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이동국(301)이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 시에 기지국(303)에서 오류가 검출된 경우는, 기지국(303)에서 송신 전력 여력을 고려하여 재송의 송신 방식과 송신 안테나(605)를 변경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하여, 안테나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국(301)이 데이터 송신을 Clustered DFT-S-OFDM에서 행한 경우에 있어서, 재송 시에 송신 전력 여력을 고려하여, 할당하는 대역의 변경과 백 오프에 여유가 생긴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에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905)의 수를 전환하는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송 시의 이동국(301)의 송신 안테나(905)를 2개로 하고 있지만, 재송에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905)가 3개 이상이어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첫전송의 송신 안테나(905)를 1개로 하고 있지만, 복수의 송신 안테나(905)를 사용하고 있어도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동국(301)은, 버퍼부(900), 송신 방법 결정부(901), 제1 송신 신호 생성부(902), 무선부(903), PA부(904), 송신 안테나(905), 제2 송신 신호 생성부(906), 무선부(907), PA부(908), 송신 안테나(909), 송신 전력 여력 산출부(910), 제어 정보 송신부(911), 제어 정보 수신부(912), 수신 안테나(913), 재송 제어부(914)를 구비한다.
이동국(301)은, 1개의 송신 안테나(905)를 사용하고, 이산적인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 후에 수신 안테나(913)로 제어 정보인 송달 확인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한 신호는, 제어 정보 수신부(912)로부터, ACK 혹은 NACK의 송달 확인 신호와 대역 할당 정보나 송신 안테나 개수 등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얻는다.
제어 정보 수신부(912)는, 송달 확인 신호를 재송 제어부(914)에 입력하고, 재송 안테나 개수의 정보를 송신 방법 결정부(901)에 입력하고, 대역 할당 정보를 제1 송신 신호 생성부(902)와 제2 송신 신호 생성부(906)에 입력하고, 각 송신 안테나(905, 909)의 송신 전력을 PA부(904)와 PA부(908)에 입력한다. 송달 확인 신호가 ACK인 경우에는 버퍼부(900)에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 방법 결정부(901)에 입력하고, 송달 확인 신호가 NACK인 경우에는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기지국(303)에서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었던 송신 데이터를 재송하기 위하여 송신 방법 결정부(901)에 입력한다.
송신 방법 결정부(901)는, 재송 데이터와 재송 안테나 개수가 입력되고, 안테나 개수가 2개 이상이면, CDD(Cyclic Delay Diversity)나 SFBC(Space Frequency Block Code) 등의 미리 정해져 있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다. 제1 송신 신호 생성부(902)는, 송신 방법 결정부(901)로부터 입력된 송신 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와 재송 데이터가 입력되어, 도 1의 부호부(101)부터 CP 삽입부(108)까지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한다. 송신 신호는, 무선부(903)에 의해 업 컨버트되고, PA부(904)에 의해 제어 정보 수신부(912)로부터 통지된 송신 전력의 정보를 기초로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905)로부터 송신된다.
송신 안테나(909)에 관해서도 송신 안테나(905)와 마찬가지로 송신 방법 결정부(901)로부터 입력된 송신 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와 재송 데이터를 기초로 재송 처리를 행한다.
기지국(303)의 구성은, 도 2와 마찬가지이며, 수신한 데이터의 복호 결과를 순회 용장 검사부(211)에서 CRC에 의해 오류의 검출을 행함으로써 복호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었는지의 판정을 행한다. 순회 용장 검사부(211)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정확하다고 판정된 경우는, 송달 확인 신호 송신부(218)를 통하여, ACK를 송신한다. 수신 데이터로부터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송달 확인 신호 송신부(218)를 통하여 NACK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 정보 보존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PH 등의 정보를 대역 할당 결정부(214)에 입력한다.
대역 할당 결정부(214)는, 전송로 추정부(213)로부터 입력된 전송로 정보와 PH 등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재송 시에 사용하는 대역의 할당과 송신 안테나(905)의 개수와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215)와 제어 정보 송신부(216)를 통하여, 재송 시에 사용하는 대역의 할당과 송신 안테나(905)의 개수와 송신 전력은 제어 정보로서 송신된다. 여기서, 재송 시에 연속적으로 대역을 사용하는 송신 방법을 사용하면 피크 전력이 내려가기 때문에, 필요한 백 오프량이 적어진다.
재송에서 사용하는 안테나 개수가 NANT인 경우, 1개당의 송신 전력은 PTX-Log(NANT)로 하지 않고, PTX-Log(NANT)+α로 해도 좋다. 단, PTX는 첫전송 시의 송신 전력으로 하고 α는 이산적으로 대역을 사용 시와 연속적으로 대역을 사용 시의 백 오프량의 차를 표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다이버시티법을 CDD로서, 설명을 행했지만, SFBC 등의 송신 다이버시티법도 적용 가능하다. SFBC를 사용하는 경우는, 전송로 보상부(207)에 의해 가중치를 승산 후에 SFBC 복호가 필요하게 된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재송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동국(301)은, 정기적으로 PH를 제어 정보로서 기지국(303)에 통지한다(스텝 S301). 한편, 기지국(303)은, 통지된 PH와 동일 셀 내의 이동국(301)으로의 간섭도 고려하여, 이동국(301)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여, 이동국(301)에 통지한다(스텝 S302). 이동국(301)이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경우는, 기지국(303)으로부터 이동국(301)으로 이산적인 대역의 할당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303). 이동국(301)은,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304). 이동국(301)이 이산적인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고, 기지국(303)에서 수신 데이터의 복호 결과에 대하여, 순회 용장 검사에 의해 오류 검출을 한다. 오류가 검출되고, 정기적으로 이동국(301)으로부터 통지되고 있는 PH로부터 송신 전력이 없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대역을 할당하여, 송신 다이버시티에 사용하는 재송 안테나의 개수를 지정하여, 재송 요구를 행한다(스텝 S305). 재송에 사용하는 송신 전력은, 연속적으로 할당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백 오프량이 적어지는 점에서, 재송에서 사용하는 전체 송신 안테나(905)의 송신 전력을 첫전송 시의 송신 전력보다 올린다. 이동국(301)은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재송을 행하고(스텝 S306), 기지국(303)이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으면, ACK를 반환한다(스텝 S307).
본 실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이동국(301)이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 시에 기지국(303)에서 오류가 검출된 경우는, 기지국(303)에서 송신 전력 여력을 고려하여 재송의 송신 방식과 송신 안테나(905)의 개수를 변경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이 부족한 것에 의한 재송의 증가를 억제하여, 송신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셀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100: 버퍼부
101: 부호부
102: 변조부
103: DFT부
104: 송신 데이터 배치부
105: IDFT부
106: 참조 신호 생성부
107: 참조 신호 삽입부
108: CP 삽입부
109: 무선부
110: PA부
111: 송신 안테나
112: 송신 전력 여력 산출부
113: 제어 정보 송신부
114: 제어 정보 수신 처리부
115: 수신 안테나
116: 재송 제어부
201: 수신 안테나
202: 무선부
203: CP 제거부
204: 참조 신호 분리부
205: DFT부
206: 송신 데이터 추출부
207: 전송로 보상부
208: IDFT부
209: 복조부
210: 복호부
211: 순회 용장 검사부
213: 전송로 추정부
214: 대역 할당 결정부
215: 제어 정보 생성부
216: 제어 정보 송신부
217: 버퍼부
218: 송달 확인 신호 송신부
219: 송신 안테나
220: 제어 정보 보존부
301: 이동국
303: 기지국
600: 버퍼부
601: 송신 신호 생성부
602: 안테나 결정부
603: 무선부
604: PA부
605: 송신 안테나
606: 송신 전력 여력 산출부
607: 제어 정보 송신부
608: 제어 정보 수신부
609: 수신 안테나
610: 재송 제어부
900: 버퍼부
901: 송신 방법 결정부
902: 제1 송신 신호 생성부
903: 무선부
904: PA부
905: 송신 안테나
906: 제2 송신 신호 생성부
907: 무선부
908: PA부
909: 송신 안테나
910: 송신 전력 여력 산출부
911: 제어 정보 송신부
912: 제어 정보 수신부
913: 수신 안테나
914: 재송 제어부

Claims (12)

  1.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피크 전력이 상이한 복수의 액세스 방식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액세스 방식을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사용한 액세스 방식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상기 액세스 방식보다 피크 전력이 낮은 액세스 방식을 선택함과 함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상기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여, 상기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고, 상기 이동국이 갖는 복수의 안테나 중 전송로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재송 시에 사용하는 안테나의 상기 전송로 이득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의 상승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갖는 복수의 안테나 중 재송 시에 사용하는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고, 상기 결정된 개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첫전송 시의 총 전력보다 올리고, 상기 결정된 개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재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상기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여, 상기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으로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재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1.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상기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으로 재송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송신 신호를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했을 때의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 여력을 판정하는 처리와,
    상기 판정 결과, 송신 전력 여력이 없는 경우는,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송신 전력을 올려 재송을 행하는 지시를 내리는 처리의 일련의 처리를, 컴퓨터에 판독 가능 및 실행 가능하게 커맨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 프로그램.
  12. 기지국 및 이동국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수로 분할된 이산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송신 신호를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한 송신 전력 여력에 상당하는 만큼의 송신 전력을 올려,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재송을 행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판독 가능 및 실행 가능하게 커맨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제어 프로그램.
KR1020117029745A 2009-06-12 2010-04-23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제어 방법,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1518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1141 2009-06-12
JP2009141141 2009-06-12
PCT/JP2010/057260 WO2010143477A1 (ja) 2009-06-12 2010-04-23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基地局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局の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843A true KR20120036843A (ko) 2012-04-18
KR101518535B1 KR101518535B1 (ko) 2015-05-07

Family

ID=4330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745A KR101518535B1 (ko) 2009-06-12 2010-04-23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제어 방법,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654730B2 (ko)
EP (1) EP2442617B1 (ko)
JP (1) JP5123434B2 (ko)
KR (1) KR101518535B1 (ko)
CN (1) CN102461285B (ko)
WO (1) WO2010143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803B1 (ko) * 2010-04-29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및 기지국과,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
JP5483472B2 (ja) * 2011-08-01 2014-05-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回線割当装置および回線割当方法
WO2013101342A1 (en) * 2011-12-29 2013-07-04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Non-contiguous spectral-band modulator and method for non-contiguous spectral-band modulation
US20140307646A1 (en) * 2013-04-16 2014-10-1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antenna management for uplink operation under carrier aggregation in lte
WO2015045659A1 (ja) * 2013-09-30 2015-04-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80008462A (ko) * 2015-05-14 2018-01-24 케이블텔레비젼래버러토리즈,인코포레이티드 리슨 비포 토크 시스템에서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
US11051252B2 (en) * 2018-12-07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spectral emission conditions for high transmission output power during degraded antenna peak gain
EP3939192B1 (en) * 2019-03-15 2024-04-24 INTEL Corporation Early releasing uplink retransmission memory based upon prediction of uplink retransmission indicator
CN110311877B (zh) * 2019-07-05 2022-03-01 北京神经元网络技术有限公司 多子频带信号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950A (en) * 1997-04-08 1999-06-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rate scheduling
US5923650A (en) * 1997-04-08 1999-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rate scheduling
JP3722969B2 (ja) 1998-01-08 2005-11-30 株式会社東芝 再送制御方法及び再送制御装置
WO2003021855A1 (fr) * 2001-08-28 2003-03-13 Sony Corporation Appareil d'emission, procede de commande d'emission, appareil de reception et procede de commande de reception
US6563783B1 (en) 2001-11-19 2003-05-13 Geneticware Co., Ltd. Lower inertial compact disc drive
JP2004112597A (ja) * 2002-09-20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及びパケット品質推定方法
US20040190485A1 (en) * 2003-03-24 2004-09-30 Khan Farooq Ullah Method of scheduling gran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51109A1 (en) 2003-06-30 2012-05-09 Fujitsu Limi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transmission system
WO2006082627A1 (ja) 2005-02-01 2006-08-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送信制御方法、移動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527067B2 (ja) 2005-03-31 2010-08-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4583319B2 (ja) * 2006-02-08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基地局
US8391196B2 (en) 2006-10-26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ower amplifier backoff using headroom information
JP5323852B2 (ja) * 2007-11-09 2013-10-23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熱干渉(IoT)負荷制御によるアップリンクパワー制御
US8284732B2 (en) * 2009-02-03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block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11238B2 (en) * 2009-04-30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xing large payloads of control information from user equip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2617B1 (en) 2019-09-25
US8654730B2 (en) 2014-02-18
EP2442617A4 (en) 2015-11-25
CN102461285B (zh) 2015-10-14
KR101518535B1 (ko) 2015-05-07
JPWO2010143477A1 (ja) 2012-11-22
US20140119326A1 (en) 2014-05-01
CN102461285A (zh) 2012-05-16
EP2442617A1 (en) 2012-04-18
JP5123434B2 (ja) 2013-01-23
WO2010143477A1 (ja) 2010-12-16
US20120093114A1 (en)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535B1 (ko)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제어 방법,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JP5131998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EP23756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transmission o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IMO
Choi et al. Kim
US93262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736787B2 (en) Mobil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8811506B2 (en) Base station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852399B1 (ko) 시분할 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102355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transmission o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imo
KR101740731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10113543A (ko)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harq 운용 방법
KR20080072195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공간 다중화 기법을 위한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EP36856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retransmission in multiuser mimo system
KR102280055B1 (ko) 업링크 256qam을 위한 상이한 서브프레임 세트들의 핸들링
WO2011137586A1 (zh) 复用上行控制信息和数据的方法和设备
WO20171518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al-control signaling for the relay scenarios
JP201101497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制御装置
KR20110115472A (ko)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