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472A -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472A
KR20110115472A KR1020100034993A KR20100034993A KR20110115472A KR 20110115472 A KR20110115472 A KR 20110115472A KR 1020100034993 A KR1020100034993 A KR 1020100034993A KR 20100034993 A KR20100034993 A KR 20100034993A KR 20110115472 A KR20110115472 A KR 2011011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words
base station
dci format
codewor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진
조준영
연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5472A/ko
Publication of KR2011011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6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the same, encoded,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LTE-A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단말에 두 개의 부호어들이 할당된 경우, 채널의 랭크가 수시로 변하는 상황에서도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함이다. 특히 통신 채널의 변화에 따라 두 개의 부호어 전송에서 한 개의 부호어 전송으로 변환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PDCCH의 제어신호 또는 PHICH들의 ACK/NACK 정보를 통해 단말이 재전송에 대한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단말의 PDCCH 검출을 위한 복잡도는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기지국에서 제어 신호에 필요한 자원의 양은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HARQ PROCESS FOR CHANNEL ADAPTATION THEREOF}
본 발명은 LTE-A 시스템의 상향링크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신 채널이 수시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새로운 PDCCH의 설계 및 이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시 전송오류를 제어하는 기술로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기법과 ARQ(automatic repeat request) 기법이 있다. 상기 FEC 기법은 수신된 데이터에서 검출한 오류에 대하여 정정을 시도하고 성공하였을 경우 올바른 데이터를 복호하지만, 오류정정에 실패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가 제공되거나 정보가 누락될 수 있다. ARQ 기법은 오류검출 능력이 좋은 FEC 부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된 데이터에서 오류가 검출되었을 시에는 수신단에서 송신단으로 데이터 재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FEC 기법의 경우, 채널 환경이 좋은 경우에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을 갖게 되고, 오류 정정에 실패할 경우 무선통신 시스템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반면 ARQ 기법의 경우에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높은 신뢰도를 보장하고 낮은 리던던시(redundancy)로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지만, 채널 환경이 나빠질 경우 잦은 재전송 요청으로 무선통신 시스템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두 기법을 적절하게 결합한 것이 HARQ(hybrid ARQ) 기법이다.
상기 HARQ 기법은 기본적으로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이하, "HARQ 패킷"이라 함)에 대하여 오류정정을 시도하고, CRC(cyclic redundancy check)와 같은 간단한 오류검출 부호를 사용하여 상기 HARQ 패킷의 재전송 요청 여부를 결정한다. HARQ 기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수신측은 수신한 HARQ 패킷에 대한 오류 존재 여부를 판단한 뒤, 오류 존재 여부에 따라 HARQ 긍정적 인지(positive acknowledgement; 이하 "ACK"라 함) 신호, 또는 HARQ 부정적 인지(negative acknowledgement; 이하 "NACK"라 함) 신호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송신측은 상기 HARQ ACK/NACK 신호(이하, "응답신호"라 함)에 따라 HARQ 패킷의 재전송 혹은 새로운 HARQ 패킷의 전송을 수행한다. 수신측에서는 HARQ 패킷을 수신하였을 때 적절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3GPP EUTRA(혹은 LTE 라고 칭함) 또는 Advanced E-UTRA(혹은 LTE-A 라고 칭함)와 같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응답신호를 몇 개의 부반송파들, 즉 응답채널에 실어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패킷 데이터 전송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이하 "TTI"라 함)에는 여러 사용자를 위한 패킷 데이터들이 동시에 전송되므로, 상기 각 HARQ 패킷에 대한 응답채널들은 상기 TTI에 데이터를 스케줄링 받은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복호 후 약속된 시간에 각각 전송된다.
LTE에서의 상기 응답채널 전송을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응답채널은 상기 각 데이터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각 단말이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채널(physical channel)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아서 상향링크로 전송한다. 한편,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응답채널의 경우에는,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 채널들을 해당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기지국과 각 단말 간에 약속된 자원을 통하여 각 데이터 패킷에 대한 응답채널을 전송한다.
LTE에서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채널이다. 만약 LTE 단말이
Figure pat00001
번째 TTI에서 상향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했다면
Figure pat00002
번째 TTI에서 PHICH를 수신한다. 이 때 별도의 제어신호 없이 PHICH를 수신했고 그 정보가 NACK에 해당한다면, 단말은
Figure pat00003
번째 TTI에서 약속된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해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만약 단말이 재전송을 위해 상기 약속된 전송 파라미터와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해야 한다면, 기지국은 별도의 제어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기지국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며 단말의 상향링크 초기 전송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단말에서 이러한 PDCCH 정보가 필요하다. LTE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에서 SU-MIMO(single 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모드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단일 부호어 전송만이 가능하며, 이러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하기 <표 1>과 같이 다수개의 필드(field)들을 갖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format) 0을 사용한다.
이 때 하기 <표 1>에서 DF(differentiation flag) 필드는 같은 크기를 가지는 하향링크 DCI와의 구분을 위해 필요하고, HF(hopping flag) 필드는 단말의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사용 여부를 나타내며, RBA(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될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NRB UL은 상향링크 전송에서 사용할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나타낸다.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필드는 변조 및 사용할 채널 부호(MC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NDI(new data indicator) 필드는 이번 전송의 초기전송 여부를 나타낸다.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command) 필드는 전송에 필요한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CSI(cyclic shift indicator) 필드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를 나타낸다. CQIR(channel quality information request) 필드는 기지국에서 비주기(aperiodic) CQI의 필요 여부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추후에 도입되는 LTE-A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에서 SU-MIMO 모드가 지원된다. 이로 인해 LTE-A 시스템에서 최대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DCI 포맷 0만으로는 두 개의 부호어들 모두에 대한 스케줄링이 힘들어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LTE-A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부호어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새로운 DCI 포맷을 설계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DCI 포맷을 DCI 포맷 0B라 칭하고, 이는 하기 <표 2>와 같이 다수개의 필드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필드는 단말의 SU-MIMO 동작을 위해 필요한 프리코더(precoder)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Figure pat00005
LTE-A 시스템에서 단말은 M 개, 예컨대 두 개 또는 네 개의 송신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SU-MIMO 모드로 동작할 때, 단말은 1 내지 M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개수의 계층(layer)을 사용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층의 개수가 한 개인 경우, 단말은 한 개의 부호어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고, 두 개 이상의 경우, 단말은 두 개의 부호어들을 사용해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의 MIMO 채널을 측정하여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할 계층의 개수를 결정하고, PDCCH의 제어신호를 통해 이 값을 단말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사용할 계층의 개수는 MIMO 채널 행렬의 랭크(rank)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 LTE-A 시스템에서 단말이 SU-MIMO 모드로 상향링크를 통해 두 개의 부호어들을 전송했지만, 기지국이 두 개의 부호어 모두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를 고려하자. 또한 기지국이 채널 추정을 통해 단말의 다음 전송을 한 개의 계층만을 사용하도록 결정한 상황을 가정해 보자. 여기서 기지국은 실패한 두 개의 부호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단말로 재전송을 스케줄링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기지국에서 DCI 포맷 0B를 사용하여 스케줄링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지국에서 하나의 재전송만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DCI 포맷 0B를 사용하는 것은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한 방법으로 새로운 DCI 포맷을 설계하게 되면, 단말에서 PDCCH의 검출 복잡도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LTE-A 시스템에서 SU-MIMO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에 두 개의 부호어들이 할당된 경우, 채널의 랭크가 수시로 변하는 상황에서도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통신 채널의 변화에 따라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에서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로 변환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단말이 PDCCH의 제어신호 또는 PHICH들의 응답신호를 통해 재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단말의 PDCCH 검출을 위한 복잡도는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기지국에서 제어신호에 필요한 자원의 양은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DCI 포맷 0와 같은 크기의 새로운 DCI 포맷을 설계하고 이를 위한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을 정의하여 채널 랭크가 수시로 변하는 상황에서도 단말의 재전송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단말의 PDCCH 검출 복잡도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기지국에서 작은 크기의 제어 비트들만으로도 단말의 재전송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HARQ 운용 방법은, 단말에서 채널 랭크에 따라 송신되는 두 개의 부호어들을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호에 실패 시, 상기 실패한 부호어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와 상기 실패한 부호어를 대응시키기 위한 부호어 지시자를 갖는 DCI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HARQ 운용 방법은, 채널 랭크에 따라 기지국으로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응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DCI 포맷에 따른 제어신호 수신 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호어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어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DCI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수신기는, 단말에서 채널 랭크에 따라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두 개의 부호어들을 복호하기 위한 복호기와, 상기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여 상기 채널 랭크의 변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채널 추정기와, 상기 부호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호에 실패 시, 상기 실패한 부호어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와 상기 실패한 부호어를 대응시키기 위한 부호어 지시자를 갖는 DCI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기는, 채널 랭크에 따라 기지국으로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응하는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HARQ 제어기와, 상기 기지국에서 DCI 포맷에 따른 제어신호 수신 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호어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신호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HARQ 제어기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부호어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DCI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TE-A 시스템 상향링크에서 다중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에 초기 전송으로 두 개의 부호어들이 할당되어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를 수행하였지만, 기지국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호에 실패하고 채널 랭크의 변화에 따라 다음 전송에서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이 단말의 PDCCH 검출을 위한 검출 복잡도는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작은 크기의 제어 비트들만으로도 단말의 재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을 통해 HARQ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단말의 PDCCH 검출 복잡도와 제어신호 전송에 필요한 자원의 양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에서 송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에서 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OFDM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LTE 혹은 LTE-A 표준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LTE-A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이 PUSCH 채널의 전송을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예컨대 CW #0과 CW #1을 사용하는 경우에 HARQ 프로세스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에서 송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은 제어신호 검출기(PDCCH & PHICH detector; 110), HARQ 제어기(MIMO HARQ controller; 100), CW 매핑기(CW to Layer Mapper; 101), 프리코더(Layer to Antenna Mapper; Precoder; 102), DFT 수행기(Discrete Fourier Transform performer; 103) 및 IDFT 수행기(Inverse DFT performer; 104)를 포함한다.
제어신호 검출기(110)는 기지국(도 2의 20)의 PDCCH를 수신하거나 PHICH를 수신하여 각각의 정보를 검출한다. HARQ 제어기(100)는 PDCCH & PHICH 검출기(110)에서 검출된 정보에 따라 초기전송 또는 재전송을 위한 부호어들을, 예컨대 CW #0과 CW #1에 할당하여 변조한다. CW 매핑기(101)는 부호어들을 레이어 매핑(layer mapping)시킨다. 프리코더(102)는 부호어들을 다중 송신 안테나를 위해 프리코딩한다. DFT 수행기(103)는 부호어들에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고, IDFT 수행기(104)는 부호어들에 역변환을 수행하여 다중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다.
즉 본 실시예의 단말(10)에 있어서, 제어신호 검출기(110)는 기지국(20)에서 DCI 포맷에 따른 제어신호 수신 시, 제어신호의 DCI 포맷에 부호어들 중 재전송을 위한 어느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부호어 지시자(CW indicator)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신호 검출기(110)는 DCI 포맷에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 성공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자, 즉 AN 지시자(ACK/NACK indicator)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신호 검출기(110)는 PHICH에서 부호어 별 NACK 신호 또는 ACK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10)에 있어서, HARQ 제어기(100)는 채널 랭크에 따라 기지국(20)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호어에 대응하는 전송, 예컨대 초기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한다. 이 때 HARQ 제어기(100)는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응하는 전송을 수행한 다음 수신되는 제어신호의 DCI 포맷에 따라 부호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수행한다. 즉 제어신호 검출기(110)에서 DCI 포맷에 CW 지시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HARQ 제어기(100)는 부호어들 중 CW 지시자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에 대응하여 ACK 신호 수신 시, HARQ 제어기(100)는 기지국(20)으로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HARQ 제어기(100)는 DCI 포맷 내 AN 지시자에 따라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는 HARQ 제어기(100)는 PHICH의 ACK/NACK 신호에 대응하여 부호어 별로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에서 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0)은 DFT 수행기(200), 채널 추정기(Channel estimator; 210), MIMO 검출기(MIMO detection performer; 201), FDE 수행기(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performer; 202), IDFT 수행기(203), CW 역매핑기(Layer to CW Demapper; 204), 복호기들(Decoder #0, Decoder #1; 205, 215) 및 제어신호 생성기(PHICH & PDCCH generator; 206)을 포함한다.
DFT 수행기(200)는 다중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DFT를 수행한다. 채널 추정기(210)는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여 단말(10)이 사용할 MCS 및 PMI 등을 결정한다. 이 때 채널 추정기(210)는 단말(10)을 위한 채널 랭크의 변화 여부를 결정한다. MIMO 검출기(201)를 통과 시킨 후에 FDE 수행기(202)는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등화시킨다. IDFT 수행기(203)는 신호에 역변환을 수행한다. CW 역매핑기(204)는 신호에 레이어 역매핑을 수행한다. 이 때 CW 역매핑기(204)는 신호에서 부호어들, 예컨대 CW #0과 CW #1을 결정한다. 복호기들(205, 215)은 데이터를 복호한 후 CRC를 통해 복호된 데이터의 오류 존재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복호기들(205, 215)은 부호어들의 복호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복호기들(205, 215)은 부호어들 각각의 복호 성공 여부에 따라 기지국(20)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 즉 ACK/NACK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기(206)는 부호어들의 복호 성공 여부에 따라 PHICH를 생성하거나, 단말(10)로 필요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PDCCH를 생성한다.
즉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20)에 있어서, 부호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호에 실패 시, 제어신호 생성기(206)는 실패한 부호어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채널 추정기(210)에서 채널 랭크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어신호 생성기(206)는 실패한 부호어를 식별하기 위한 CW 지시자를 갖는 DCI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단말(10)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신호 생성기(206)는 DCI 포맷 0와 동일한 비트수로 DCI 포맷을 생성한다. 즉 제어신호 생성기(206)는 CW 지시자를 통해 스케줄링 정보와 실패한 부호어를 대응시킨다. 이 때 제어신호 생성기(206)는 DCI 포맷에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 성공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AN 지시자를 더 포함시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신호 생성기(206)는 제어 신호와 함께, 부호어들 각각의 복호 성공 여부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포함하는 PHICH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복호에 실패한 경우만을 고려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기지국(20)이 300단계에서 단말(10)의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과 CW #1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이 때 기지국(20)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의 스케줄링은 CW #0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재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CW #1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재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국(20)은 31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과 CW #1을 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한다. 이 때 CW #0과 CW #1 모두의 복호에 실패하면, 기지국(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즉 기지국(20)은 320단계에서 채널의 랭크를 추정하여, 단말(10)의 다음 전송을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 또는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 이 때 단말(10)에서 한 개의 부호어 전송이 가능한 랭크-1이 추정되면, 기지국(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지국(20)은 33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재전송을 위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재전송을 할 부호어를 결정하는 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기지국(20)은 설정된 바에 따라 일관적으로 CW #0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20)은 설정된 바에 따라 일관적으로 CW #1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20)은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응하여 초기 전송에서 사용한 MCS들을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CW #0이나 CW #1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W #0과 비교하여 CW #1에 대응하는 MCS가 작으면, 기지국(20)은 CW #0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CW #0과 비교하여 CW #1에 대응하는 MCS가 크면, 기지국(20)은 CW #1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CW #1과 비교하여 CW #0에 대응하는 MCS가 작으면, 기지국(20)은 CW #0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CW #1과 비교하여 CW #0에 대응하는 MCS가 크면, 기지국(20)은 CW #1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20)은 34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DCI 포맷 0C는 DCI 포맷 0와 같은 크기를 가져야 한다. 이는 단말(10)에서 PDCCH 검출 복잡도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DCI 포맷 0C는 단말(10)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재전송을 수행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는 필드를 포함해야 한다. 또한 DCI 포맷 OC는 단말(10)에서 CW #0과 CW #1 중에서 어떤 부호어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필드를 포함해야 한다. 게다가, DCI 포맷 0C는 단말(10)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에 대한 재전송 스케줄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필드도 필요하다. 더욱이 DCI 포맷 0C는 재전송에 대한 TPC 명령, CQIR 등의 필드, 다음 전송을 위한 PMI 필드들을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한다. 상기 요소들을 고려했을 때 가능한 DCI 포맷 0C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이 때 상기 <표 3>에 제시한 DCI 포맷 0C는 상기 <표 1>에 나타난 DCI 포맷 0와 같은 크기이다. 여기서 DCI 포맷 0의 HF 필드에 해당하는 비트가 DCI 포맷 0C의 CW 지시자 필드를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DCI 포맷 0의 MCS 필드가 DCI 포맷 0C의 PMI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DCI 포맷 0의 CSI 필드 중 한 비트가 DCI 포맷 0C의 AN 지시자 필드를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에 AN 지시자는 두 개의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와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를 구분해 주는 비트값으로, 0이면 CW #0과 CW #1 중에서 어느 하나 하나만 복호에 실패한 경우로 설정되고, 1이면 두 개의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로 설정된다. 또한 CW 지시자는 CW #0과 CW #1 중에서 어떤 부호어에 대한 재전송 스케줄링인지를 알려주는 비트값으로, 0이면 CW #0의 재전송을 나타내고, 1이면 CW #1의 재전송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HF 필드는 CW 지시자 필드를 위해 사용되었고, CSI 필드 중 한 비트는 AN 지시자 필드를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에, SU-MIMO 모드에서 주파수 도약은 지원하지 않는다는 가정이 필요하고, DCI 포맷 0C를 수신한 단말(10)은 CS를 이전 전송과 동일하게 설정한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또한 DCI 포맷 0의 MCS 필드가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에, 단말(10)은 재전송 시 LTE 단말처럼 미리 약속된 MCS를 사용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DCI 포맷 0에는 <표 1>에서 나타난 필드들 외에도 하향링크에 대한 DCI 포맷과 비트 수를 맞추기 위한 패딩(padding) 비트가 존재하는데, 이 비트를 DCI 포맷 0C에 대한 CW 지시자 필드 또는 AN 지시자 필드를 위해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각각의 경우에는 SU-MIMO 모드에 대한 상기 주파수 도약 또는 CSI에 대한 제약 조건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DCI 포맷 0C에 대한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MCS 필드 대신에 RBA 필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DCI 포맷 0C를 수신 받은 단말(10)은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을 이전 전송과 동일하게 설정한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계속해서, 34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한 후, 기지국(20)은 35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초기 전송과 비교하여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에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MCS 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서 MCS가 미리 약속된 MCS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RBA 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서 RB가 미리 약속된 RB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만약 350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변경되어야 한다면, 기지국(20)은 360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해 DCI 포맷 0B에 해당하는 PDCCH를 생성하여, 단말(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는 350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변경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20)은 361단계에서 DCI 포맷 0C에 해당하는 PDCCH를 생성하여, 단말(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361단계에서 DCI 포맷 0C에 해당하는 PDCCH를 사용하여 단말(10)의 재전송을 스케줄링하려면, 기지국(20)은 NDI 필드를 토글(toggle)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기지국(20)은 상기 CW 지시자를 부호어들 중 330단계에서 결정된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설정하고, AN 지시자는 두 개의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한 상황을 지시하도록 1로 설정한다. 또한 기지국(20)은 PMI를 340단계에서 얻은 프리코더를 지시하도록 설정하여 나머지 재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DCI 포맷 0C를 PDCCH를 통해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20)은 370단계에서 단말(02)로부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20)은 380단계에서 복호에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380단계에서 복호에 성공했다고 판단되면, 기지국(20)은 390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는 380단계에서 복호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20)은 391단계에서 PHICH를 통해 응답신호를 단말(10)로 전송하거나, PDCCH를 통해 제어신호를 단말(10)로 전송하여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한다. 즉 기지국(20)은 370단계, 380단계 또는 391단계 중 적어도 일부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380단계에서 복호에 성공했다고 판단되면, 기지국(20)은 390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기지국(20)이 400단계에서 단말(10)의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과 CW #1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이 때 기지국(20)에서 두 개의 부호어의 스케줄링은 CW #0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재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CW #1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재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국(20)은 41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과 CW #1을 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한다. 이 때 CW #0과 CW #1 중 어느 하나의 복호에 실패하면, 기지국(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즉 기지국(20)은 420단계에서 채널의 랭크를 추정하여, 단말(10)의 다음 전송을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 또는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 이 때 단말(10)에서 한 개의 부호어 전송이 가능한 랭크-1이 추정되면, 기지국(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지국(20)은 43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복호에 실패한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기지국(20)은 상기 <표 3>과 같이 구성되는 DCI 포맷 0C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기지국(20)은 440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초기 전송과 비교하여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에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만약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MCS 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서 MCS가 미리 약속된 MCS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만약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RBA 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서 RB가 미리 약속된 RB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다음으로, 만약 440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변경되어야 한다면, 기지국(20)은 450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해 DCI 포맷 0B에 해당하는 PDCCH를 생성하여, 단말(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는 440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변경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20)은 451단계에서 DCI 포맷 0C에 해당하는 PDCCH를 생성하여, 단말(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451단계에서 DCI 포맷 0C에 해당하는 PDCCH를 사용하여 단말(10)의 재전송을 스케줄링하려면, 기지국(20)은 NDI 필드를 토글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기지국(20)은 상기 CW 지시자를 부호어들 중 복호에 실패한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설정하고, AN 지시자는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만 복호에 실패한 상황을 지시하도록 0으로 설정한다. 또한 기지국(20)은 PMI를 430단계에서 얻은 프리코더를 지시하도록 설정하여 나머지 재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DCI 포맷 0C를 PDCCH를 통해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단말(10)이 50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로 기지국(20)으로부터 스케줄링된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과 CW #1을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후 단말(10)은 510단계에서 DCI 포맷 0C와 같은 크기의 제어신호를 PDCCH를 통해 검출하고, NDI 필드가 토글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10)은 520단계에서 DCI 포맷 0C 내의 CW 지시자로부터 재전송할 부호어를 확인한다. 또한 단말(10)은 530단계에서 DCI 포맷 0C 내의 PMI 정보를 통해 이번 전송에 사용할 프리코더를 설정한다. 게다가, 단말(10)은 540단계에서 CS, MCS, 또는 RB를 미리 약속된 방법대로 설정한 후 DCI 포맷 0C의 정보에 따라 나머지 스케줄링 정보를 설정한 후 520단계에서 확인한 부호어에 대응하여 재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540단계의 CS, MCS 또는 RB의 설정은 DCI 포맷 0C의 설계에서 CW 지시자 필드, AN 지시자 필드 또는 PMI필드가 DCI 포맷 0의 어떤 필드에 대응하도록 설정했는가에 달려 있다. 예를 들면, DCI 포맷 0C의 CW 지시자 필드 또는 AN 지시자 필드가 DCI 포맷 0의 CSI 필드에 대응한다면, 단말(10)은 CS를 이전 전송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전송한다. 또한 DCI 포맷 0C의 PMI 필드가 DCI 포맷 0의 MCS 필드에 대응한다면, 단말(10)은 재전송을 위해 사용할 MCS를 LTE 단말 재전송의 경우와 같이 미리 결정된 MCS로 설정하여 전송한다. 또는 만약 DCI 포맷 0C의 PMI 필드가 DCI 포맷 0의 RBA 필드에 대응한다면, 단말(10)은 재전송을 위한 RB를 이전 전송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재전송을 수행한다. 그리고 DCI 포맷 0C의 CW 지시자 필드나 AN 지시자 필드가 DCI 포맷 0의 FH 필드에 대응한다면, 단말(10)은 SU-MIMO 모드에서 주파수 도약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단말(10)은 550단계에서 AN 지시자가 0인지 또는 1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550단계에서 AN 지시자가 0이라면, 단말(10)은 이전에 전송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가 복호에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0)은 560단계에서 이번에 재전송한 한 개의 부호어에 대한 ACK을 받을 때까지 HARQ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반면에 550단계에서 AN 지시자가 1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10)은 이전 전송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0)은 561단계에서 우선 재전송한 부호어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끝마친 후 나머지 부호어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진행 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DCI 포맷 0C 내에 AN 지시자 필드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PHICH의 정보를 이용해 두 개의 부호어가 모두 복호에 실패한 경우와 한 개의 부호어만 복호에 실패한 경우를 구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기지국(20)이 600단계에서 단말(10)의 두 개 부호어들 전송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과 CW #1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이 때 기지국(20)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의 스케줄링은 CW #0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재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CW #1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재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국(20)은 610단계에서 단말(10)로부터 두 개의 부호어들을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한다. 이 때 두 개의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하면, 기지국(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즉 기지국(20)은 62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한 응답신호를 포함하도록 PHICH를 생성한다. 이 때 전송할 수 있는 PHICH의 개수가 두 개라면, 기지국(20)은 (NACK, NACK) 정보를 포함하도록 PHICH를 생성하고, PHICH의 개수가 한 개라면, 기지국(20)은 NACK 정보를 포함하도록 PHICH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20)은 630단계에서 채널의 랭크를 추정하여, 단말(10)의 다음 전송을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 또는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 이 때 단말(10)에서 한 개의 부호어 전송이 가능한 랭크-1이 추정되면, 기지국(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이어서, 기지국(20)은 64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재전송을 위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재전송을 할 부호어를 결정하는 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기지국(20)은 설정된 바에 따라 일관적으로 CW #0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20)은 설정된 바에 따라 일관적으로 CW #1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20)은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응하여 초기 전송에서 사용한 MCS들을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CW #0이나 CW #1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W #0와 비교하여 CW #1에 대응하는 MCS가 작으면, 기지국(20)은 CW #0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CW #0와 비교하여 CW #1에 대응하는 MCS가 크면, 기지국(20)은 CW #1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CW #1과 비교하여 CW #0에 대응하는 MCS가 작으면, 기지국(20)은 CW #0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CW #1과 비교하여 CW #0에 대응하는 MCS가 크면, 기지국(20)은 CW #1을 결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기지국(20)은 65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기지국(20)은 상기 <표 3>과 같이 구성되는 DCI 포맷 0C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기지국(20)은 66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초기 전송과 비교하여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에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MCS 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서 MCS가 미리 약속된 MCS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RBA 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서 RB가 미리 약속된 RB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만약 660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변경되어야 한다면, 기지국(20)은 670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해 DCI 포맷 0B에 해당하는 PDCCH를 생성하여, 단말(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는 660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변경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20)은 671단계에서 DCI 포맷 0C에 해당하는 PDCCH를 생성한다. 여기서 671단계에서 DCI 포맷 0C에 해당하는 PDCCH를 사용하여 단말(10)의 재전송을 스케줄링하려면, 기지국(20)은 NDI 필드를 토글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기지국(20)은 상기 CW 지시자를 부호어들 중 640단계에서 결정된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기지국(20)은 PMI를 650단계에서 얻은 프리코더를 지시하도록 설정하여 나머지 재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DCI 포맷 0C를 생성한다. 이 후 기지국(20)은 680단계에서 PDCCH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PHICH를 통해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AN 지시자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표 3>에 제시한 DCI 포맷 0C에서 AN 지시자 필드는 필요가 없다. 여기서 DCI 포맷 0C에 CSI 필드를 DCI 포맷 0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이 경우에 HF 필드는 CW 지시자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SU-MIMO 모드에서 주파수 도약은 지원하지 않는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반면에 패딩 비트를 DCI 포맷 0C에 대한 CW 지시자로 사용하면, 이 경우에는 SU-MIMO 모드에 대한 상기 주파수 도약의 제약 조건이 필요 없게 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20)은 690단계에서 단말(10)로부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20)은 691단계에서 복호에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691단계에서 복호에 성공했다고 판단되면, 기지국(20)은 692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는 691단계에서 복호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20)은 693단계에서 PHICH를 통해 응답신호를 단말(10)로 전송하거나, PDCCH를 통해 제어신호를 단말(10)로 전송하여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한다. 즉 기지국(20)은 690단계, 691단계 또는 693단계 중 적어도 일부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691단계에서 복호에 성공했다고 판단되면, 기지국(20)은 692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기지국(20)이 700단계에서 단말(10)의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과 CW #1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이 때 기지국(20)에서 두 개의 부호어의 스케줄링은 CW #0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재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CW #1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재전송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국(20)은 71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와 CW #1을 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한다. 이 때 CW #0과 CW #1 중 어느 하나의 복호에 실패하면, 기지국(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즉 기지국(20)은 72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의 복호 성공 여부에 따른 응답신호, 즉 (ACK, NACK) 정보 또는 (NACK, ACK) 정보를 포함하도록 PHICH를 생성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PHICH가 한 개의 ACK/NACK 정보만 포함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지국(20)은 730단계에서 채널의 랭크를 추정하여, 단말(10)의 다음 전송을 위해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 또는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 이 때 단말(10)에서 한 개의 부호어 전송이 가능한 랭크-1이 추정되면, 기지국(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지국(20)은 74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복호에 실패한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기지국(20)은 상기 <표 3>과 같이 구성되는 DCI 포맷 0C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기지국(20)은 750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초기 전송과 비교하여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에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만약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MCS 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서 MCS가 미리 약속된 MCS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만약 DCI 포맷 0C의 PMI 필드를 위해 DCI 포맷 0의 RBA 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서 RB가 미리 약속된 RB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다음으로, 만약 750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변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면, 기지국(20)은 760단계에서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전송을 위해 DCI 포맷 0B에 해당하는 PDCCH를 생성하여, 단말(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는 750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변경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20)은 761단계에서 DCI 포맷 0C에 해당하는 PDCCH를 생성한다. 이 때 761단계에서 DCI 포맷 0C에 해당하는 PDCCH를 사용하여 단말(10)의 재전송을 스케줄링하려면, 기지국(20)은 NDI 필드를 토글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기지국(20)은 상기 CW 지시자를 부호어들 중 복호에 실패한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기지국(20)은 PMI를 740단계에서 얻은 프리코더를 지시하도록 설정하여 나머지 재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DCI 포맷 0C를 생성한다. 이 후 기지국(20)은 770단계에서 PDCCH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PHICH를 통해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AN 지시자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표 3>에 제시한 DCI 포맷 0C에서 AN 지시자 필드는 필요가 없다. 여기서 DCI 포맷 0C에 CSI 필드를 DCI 포맷 0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이 경우에 HF 필드는 CW 지시자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SU-MIMO 모드에서 주파수 도약은 지원하지 않는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반면에 패딩 비트를 DCI 포맷 0C에 대한 CW 지시자로 사용하면, 이 경우에는 SU-MIMO 모드에 대한 상기 주파수 도약의 제약 조건이 필요 없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단말(10)이 800단계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로 기지국(20)으로부터 스케줄링된 두 개의 부호어들, 즉 CW #0과 CW #1을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후 단말(10)은 810단계에서 DCI 포맷 0C와 같은 크기의 제어신호를 PDCCH를 통해 검출하고, NDI 필드가 토글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10)은 820단계에서 DCI 포맷 0C 내의 CW 지시자로부터 재전송할 부호어를 확인한다. 또한 단말(10)은 830단계에서 DCI 포맷 0C 내의 PMI 정보를 통해 이번 전송에 사용할 프리코더를 설정한다. 게다가, 단말(10)은 840단계에서 CS, MCS, 또는 RB를 미리 약속된 방법대로 설정한 후 DCI 포맷 0C의 정보에 따라 나머지 스케줄링 정보를 설정 한 후 820단계에서 확인한 부호어에 대응하여 재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840단계의 CS, MCS 또는 RB의 설정은 DCI 포맷 0C의 설계에서 CW 지시자 필드 또는 PMI필드가 DCI 포맷 0의 어떤 필드에 대응하도록 설정했는가에 달려 있다. 예를 들면, DCI 포맷 0C의 CW 지시자 필드가 DCI 포맷 0의 CSI 필드에 대응한다면, 단말(10)은 CS를 이전 전송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DCI 포맷 0C의 CW 지시자 필드가 DCI 포맷 0의 HF 필드에 대응한다면, 단말(10)은 SU-MIMO 모드에서 주파수 도약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만약 DCI 포맷 0C의 CW 지시자를 위해 패딩 비트를 사용한다면, CW 지시자의 사용에 대한 특별한 제약사항은 없게 된다. 또한 DCI 포맷 0C의 PMI 필드가 DCI 포맷 0의 MCS 필드에 대응한다면, 단말(10)은 재전송을 위해 사용할 MCS를 LTE 단말 재전송의 경우와 같이 미리 결정된 MCS로 설정하여 전송한다. 또는 만약 DCI 포맷 0C의 PMI 필드가 DCI 포맷 0의 RBA 필드에 대응한다면, 단말(10)은 재전송을 위한 RB를 이전 전송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재전송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말(10)은 850단계에서 PHICH를 통해 응답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단말(10)은 860단계에서 PHICH 내의 응답신호가 (NACK, NACK) 정보 또는 NACK 정보인지 확인한다. 즉 기지국(20)이 두 개의 PHICH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10)은 860단계에서 응답신호가 (NACK, NACK)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또는 기지국(20)이 한 개의 PHICH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10)은 860단계에서 응답신호가 NACK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만약 860단계에서 응답신호가 (NACK, NACK) 정보 또는 NACK 정보임을 확인했다면, 단말(10)은 이전 전송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0)은 870단계에서 우선 재전송한 부호어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끝마친 후 나머지 부호어에 대한 HARQ 프로세스를 진행 하도록 한다. 반면에 860단계에서 응답신호가 (ACK, NACK) 정보 또는 (NACK, ACK) 정보임을 확인했다면, 단말(10)은 871단계에서 이번에 재전송한 한 개의 부호어에 대한 ACK을 받을 때까지 HARQ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DCI 포맷 0와 같은 크기의 새로운 DCI 포맷을 설계하고 이를 위한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을 정의하여 채널 랭크가 수시로 변하는 상황에서도 단말의 재전송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단말의 PDCCH 검출 복잡도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기지국에서 작은 크기의 제어 비트들만으로도 단말의 재전송과 초기전송을 동시에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TE-A 시스템 상향링크에서 다중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에 초기 전송으로 두 개의 부호어들이 할당되어 두 개의 부호어들 전송 모드를 수행하였지만 기지국에서 두 개의 부호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호에 실패하고 채널 랭크의 변화에 따라 다음 전송에서 한 개의 부호어 전송 모드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이 단말의 PDCCH 검출을 위한 검출 복잡도는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작은 크기의 제어 비트들만으로도 단말의 재전송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해 HARQ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단말의 PDCCH 검출 복잡도와 제어 신호 전송에 필요한 자원의 양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HARQ 운용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서 채널 랭크에 따라 송신되는 두 개의 부호어들을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호에 실패 시, 상기 실패한 부호어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와 상기 실패한 부호어를 대응시키기 위한 부호어 지시자를 갖는 DCI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DCI 포맷 0와 동일한 비트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정 과정은,
    상기 채널 랭크가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도록 변화 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과정은,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 시, 상기 실패한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부호어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변화된 채널 랭크에 따라 상기 결정된 부호어를 재전송하면, 상기 재전송된 부호어를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된 부호어의 복호에 성공 시, 상기 실패한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의 재전송을 위한 다른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스케줄링 정보와 상기 다른 부호어를 대응시키기 위한 다른 부호어 지시자를 갖는 DCI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 성공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과정은,
    상기 제어신호와 별도로 상기 부호어들 각각의 복호 성공 여부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PHICH를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HARQ 운용 방법에 있어서,
    채널 랭크에 따라 기지국으로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응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DCI 포맷에 따른 제어신호 수신 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호어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어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DCI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DCI 포맷 0와 동일한 비트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된 부호어에 대응하여 ACK 신호 수신 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상기 기지국에서 복호 성공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 수행 과정은,
    상기 지시자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 수행 과정은,
    상기 제어신호와 별도로 PHICH를 통해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NACK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수신기에 있어서,
    단말에서 채널 랭크에 따라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두 개의 부호어들을 복호하기 위한 복호기와,
    상기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여 상기 채널 랭크의 변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채널 추정기와,
    상기 부호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호에 실패 시, 상기 실패한 부호어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와 상기 실패한 부호어를 대응시키기 위한 부호어 지시자를 갖는 DCI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DCI 포맷 0와 동일한 비트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는, 상기 채널 랭크가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도록 변화 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는,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 시, 상기 실패한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어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기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변화된 채널 랭크에 따라 상기 결정된 부호어를 재전송하면, 상기 재전송된 부호어를 더 복호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는,
    상기 재전송된 부호어의 복호에 성공 시, 상기 실패한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의 재전송을 위한 다른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다른 스케줄링 정보와 상기 다른 부호어를 대응시키기 위한 다른 부호어 지시자를 갖는 DCI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 성공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는,
    상기 제어신호와 별도로 상기 부호어들 각각의 복호 성공 여부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PHICH를 통해 상기 단말로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기에 있어서,
    채널 랭크에 따라 기지국으로 두 개의 부호어들에 대응하는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HARQ 제어기와,
    상기 기지국에서 DCI 포맷에 따른 제어신호 수신 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호어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신호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제어기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부호어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DCI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부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DCI 포맷 0와 동일한 비트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제어기는,
    상기 재전송된 부호어에 대응하여 ACK 신호 수신 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상기 기지국으로 복호 성공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HARQ 제어기는,
    상기 지시자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복호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제어기는,
    상기 제어신호와 별도로 PHICH를 통해 상기 부호어들 모두의 NACK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부호어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KR1020100034993A 2010-04-15 2010-04-15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 KR20110115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93A KR20110115472A (ko) 2010-04-15 2010-04-15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93A KR20110115472A (ko) 2010-04-15 2010-04-15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472A true KR20110115472A (ko) 2011-10-21

Family

ID=4503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993A KR20110115472A (ko) 2010-04-15 2010-04-15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4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148B1 (ko)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harq 운용 방법
JP6403139B2 (ja) Lteシステムでphichによる逆方向mimo再送信のため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9743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25645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back data receiving status
US9043666B2 (en) Method for efficient control signaling of two codeword to one codeword transmission
JP5073770B2 (ja)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078250B2 (en) Method and apparatus implementing channel quality control
JP5685307B2 (ja) アップリンク多重アンテナ伝送を支援するための効率的な制御情報伝送方法及び装置
US20110300854A1 (en) Method of control indication in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WO2012046883A1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on backward compatible pucch formats with carrier aggregation
WO2011157098A1 (zh) 一种在物理上行控制信道上传输信息的方法及装置
US87373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antenna system
CN104917557A (zh) 多入多出发送模式中复用来自用户设备的控制和数据信息
US20140219379A1 (en) Precoding Selection for Retransmission in Uplink MIMO Hybrid ARQ
US201300447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uplink data receiving state information in user equipment
JP2019514271A (ja) アップリンク256qamのための異なるサブフレームセットの取扱い
WO2011137586A1 (zh) 复用上行控制信息和数据的方法和设备
KR20110115472A (ko)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적응에 따른 harq 운용 방법
EP267509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and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