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803A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803A
KR20120036803A KR1020117026625A KR20117026625A KR20120036803A KR 20120036803 A KR20120036803 A KR 20120036803A KR 1020117026625 A KR1020117026625 A KR 1020117026625A KR 20117026625 A KR20117026625 A KR 20117026625A KR 20120036803 A KR20120036803 A KR 2012003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opening
string
upper side
st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878B1 (ko
Inventor
에쓰오 기시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레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레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레부
Publication of KR2012003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05Linings, paddings or insertions; Inner boots
    • A43B5/0409Linings, paddings or insertions; Inner boots with means for attaching inner boots or parts thereof to shells of ski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6Rear lacing, i.e. with a lace placed on the back of the foot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ront l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긴체조작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 신발끈(6)의 일단을 갑측 개구부(3A)에 좌우 사행 상태로 통과시켜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을 구성하는 동시에, 신발끈(6)의 타단을 상방측 개구부(3B)에 좌우 사행 상태로 통과시켜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을 구성하고, 이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 사이에 있는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를 인동부(11)로 하여, 이 인동부(11)를 인동상태로 유지하는 긴체 유지 수단(12)을 구비한 신발.

Description

신발{SHOE}
본 발명은, 긴체 조작(tighten)을 용이하게 행하여 양호한 피트감을 얻을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의 긴체 구조로서는, 갑피(甲被)의 발등부분으로부터 신을 신는 입구에까지 신발끈을 통과시켜 매나가는 구조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스노보드용 부츠와 같이, 발목 부분보다 높은 상방 커버부를 가진 형상의 신발에도, 이러한 신발끈에 의한 긴체 구조는 많이 채택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신발끈에 의한 긴체구조는, 발끝쪽부터 차례로 매나가는데, 스노보드용 부츠와 같이 상방 커버부가 정강이 부분까지 이르는 신발에서는, 발끝부터 정강이 부분까지 매나가는 데에 강한 힘이 필요한 동시에 번거롭고 시간도 걸리며, 또한 정강이 부분을 맬 무렵에는 발끝쪽이 느슨해져 버리거나 하여, 타이트하게 긴체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츠의 발등 부분과 정강이 부분에 각각 독립된 신발끈에 의한 긴체 구조를 마련하여, 발등 부분과 정강이 부분의 긴체 상태를 느슨해지지 않도록 별도로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신발끈에 끈고정수단(lace restraining means)을 마련하여, 이 끈고정수단에 의해 간단하게 신발끈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스노보드용 부츠(특허문헌 1)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출원인은, 번거로운 긴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2008-194223호(특허문헌 2)와, 일본 공개특허공보2009-89902호(특허문헌 3)를 개발하여, 특허 출원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15773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2008-194223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2009-89902호
출원인은, 상기 특허문헌 2, 3을 개발한 후에도, 이들보다 더 긴체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피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는 없을까 시행착오를 거듭하여 연구에 매진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발목 부분보다 높은 상방 커버부(1)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상방 커버부(1)로부터 발등부(2)에 걸쳐 개구하는 전방 개구부(3)를 구비하고, 이 전방 개구부(3)의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에 각각 독립된 긴체수단(4)을 마련한 신발에 있어서, 1개의 끈재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복수개의 끈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신발끈(6)의 일단측을 상기 갑측 개구부(3A)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갑측 개구부(3A)의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신발끈(6)의 타단측을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상방측 개구부(3B)의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하고, 이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과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 사이에 있는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를 인동부(11)(pull part)로 하여, 이 인동부(11)를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과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인동부(11)를 인동상태로 유지하여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긴체상태로 유지하는 유지?해제 가능한 긴체 유지 수단(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발목 부분보다 높은 상방 커버부(1)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상방 커버부(1)로부터 발등부(2)에 걸쳐 개구하는 전방 개구부(3)를 구비하고, 이 전방 개구부(3)의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에 각각 독립된 긴체수단(4)을 마련한 신발 본체(A)와, 이 신발 본체(A)내에 내장하는 것으로서, 발목 부분보다 높은 상방 피복부(13)를 구비하는 동시에, 적어도 이 상방 피복부(13)에 앞측 개구부(14)를 구비한 이너체(B)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이너체(B)의 상기 앞측 개구부(14)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이너용 끈통과부(15)를 마련하여, 한쪽의 이너용 끈통과부(15)에, 1개의 끈재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복수개의 끈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신발끈(6)의 일단측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이 신발끈(6)의 일단측을 상기 신발 본체(A)의 상기 갑측 개구부(3A)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갑측 개구부(3A)의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하고, 다른쪽의 상기 이너용 끈통과부(15)에 상기 신발끈(6)의 타단측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이 신발끈(6)의 타단측을 상기 신발 본체(A)의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상방측 개구부(3B)의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하고, 이 한쪽의 이너용 끈통과부(15)와 다른쪽의 이너용 끈통과부(15) 사이에 있는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를 인동부(11)로하여, 이 인동부(11)를 인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너체(B)의 앞측 개구부(14)를 긴체하는 동시에, 상기 신발 본체(A)의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과,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인동부(11)를 인동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이너체(B)의 앞측 개구부(14)를 긴체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신발 본체(A)의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긴체상태로 유지하는 유지?해제 가능한 긴체 유지 수단(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긴체수단(4)은,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 (3B)의 좌우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끈고정부(5)를 마련하고, 이 각 끈고정부(5)에 상기 신발끈(6)의 일단과 타단을 고정하여, 이 각 끈고정부(5)에 고정한 신발끈 (6)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제1 끈지지부(7)를,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1 끈지지부(7)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끈고정부(5)와 각 제1 끈지지부(7)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끈지지부(8)를,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8)에 지지한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 및 상방측 개구부(3B)를 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끈고정부(5)와 상기 제1 끈지지부(7)는,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와 다른쪽 가장자리에 대략 수평 대향 상태로서 마련하고, 이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의, 상기 각 끈고정부(5)보다 상방 위치 혹은 하방 위치에 상기 제2 끈지지부(8)를 마련하여, 각 제1 끈지지부(7)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측이, 상기 각 끈고정부(5)와 각 제1 끈지지부(7)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제2 끈지지부(8)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끈지지부(7)와 상기 제2 끈지지부(8)는, 풀리(16)를 채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끈지지부(7)와 상기 제2 끈지지부(8)는, 풀리(16)를 채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끈지지부(7)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상기 제2 끈지지부(8)를,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8)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제1 끈지지부(7)와 각 제2 끈지지부(8)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끈지지부(9)를,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3 끈지지부(9)에 지지한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 및 상방측 개구부(3B)를 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끈지지부(7)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상기 제2 끈지지부(8)를,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8)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제1 끈지지부(7)와 각 제2 끈지지부(8)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끈지지부(9)를,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3 끈지지부(9)에 지지한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 및 상방측 개구부(3B)를 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끈지지부(7)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상기 제2 끈지지부(8)를,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8)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제1 끈지지부(7)와 각 제2 끈지지부(8)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끈지지부(9)를,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3 끈지지부(9)에 지지한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 및 상방측 개구부(3B)를 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끈지지부(7)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상기 제2 끈지지부(8)를,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8)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제1 끈지지부(7)와 각 제2 끈지지부(8)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끈지지부(9)를,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3 끈지지부(9)에 지지한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 및 상방측 개구부(3B)를 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개구부(3)에 턴 부재(17)를 배치하고, 상기 신발끈(6)의 중간부를 이 턴 부재(17)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통과시켜, 이 이면측으로 통과시킨 신발끈(6)의 중간부를 상방으로 삽통 안내하는 신발끈 안내부(18)를, 상기 턴 부재(17)의 상방부에 마련하고, 이 신발끈 안내부(18)를 통하여 상방으로 안내된 신발끈(6)의 중간부에 상기 긴체 유지 수단(12)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긴체 유지 수단(12)은, 상기 신발끈(6)을 삽통하는 삽통부를 구비한 끈고정 본체(19)에, 이 삽통부에 삽통된 신발끈(6)에 압접하는 압접?해제 가능한 압접체(20)를 마련한 끈고정구(21)를 채택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인동부를 인동하는 한가지 동작만으로 발등부(갑측 개구부)의 긴체수단과 상방 커버부(상방측 개구부)의 긴체수단을 동시에 긴체하여 다리에 피트시킬 수 있고, 갑측 개구부만을 긴체하거나 상방측 개구부만을 긴체하거나 하는 조정 조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이 인동부의 인동조작은, 양손은 물론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뛰어나며, 이 용이한 긴체조작에 의해서 얻어지는 양호한 피트감을 긴체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할 수 있는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획기적인 신발이 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 작용?효과에 더하여, 인동부를 인동하는 한가지 동작만으로, 신발 본체의 갑측 개구부의 긴체수단과 상방측 개구부의 긴체수단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과 함께, 이너체의 앞측 개구부도 동시에 긴체할 수 있는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획기적인 신발이 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각 긴체수단에 있어서 신발끈이 지지되는 개소가 적기 때문에 신발끈에의 마찰 저항이 비교적 작고, 게다가 각 신발끈이 도중에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신발끈 자체에 의한 마찰 저항도 없기 때문에, 인동부의 인동조작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행하여 긴체조작을 완료할 수 있는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신발이 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신발끈을 크로스시키지 않고 지지하는 긴체수단을 간이하게 설계 실현할 수 있는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신발이 된다.
또한, 청구항 5,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신발끈의 인동저항이 한층 경감되게 되므로, 인동부의 인동조작(긴체수단의 긴체조작)이 한층 간이하고 신속하게 행하여지는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신발이 된다.
또한, 청구항 7?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신발끈을 제1 끈지지부와 제2 끈지지부와 제3 끈지지부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보다 넓은 범위가 신발끈에 의해서 긴체되어 한층 양호한 피트감을 얻을 수 있는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신발이 된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신발끈의 중간부를 턴 부재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통과시켜, 이 이면측에 통과시킨 신발끈의 중간부를 신발끈 안내부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한 것에 의해, 신발끈의 중간부가 각 긴체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신발끈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인동부의 인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턴 부재의 상방에서 인동부의 인동조작과 긴체 유지 수단의 긴체 유지?유지 해제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교적 편한 자세로 이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등, 한층 조작성이 뛰어나며?실용성이 뛰어난 신발이 된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조작성이 뛰어난 긴체 유지 수단을 간이하게 설계 실현할 수 있는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신발이 된다.
[도 1] 실시예 1의 신발끈을 긴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실시예 1의 신발끈을 느슨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 실시예 1의 신발끈을 긴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 실시예 1의 풀리(제1 끈지지부, 제2 끈지지부, 제3 끈지지부, 제4 끈지지부)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설명도이다.
[도 5] 실시예 1의 신발끈 안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설명도이다.
[도 6] 실시예 1의 신발끈을 느슨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발명을 어떻게 실시할지)를,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경우는, 본 발명품에 발을 삽입하여 신발끈(6) 중간부의 인동부(11)를 인동시키면, 이 신발끈(6)의 일단측을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구성한 전방 개구부(3)의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과, 신발끈(6)의 타단측을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구성한 전방 개구부(3)의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의 쌍방이 동시에 긴체되게 된다.
또한, 이 인동부(11)를, 신발끈(6)의 일단측만을 인동하도록 조작하면,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만을 긴체할 수 있고, 인동부(11)의 신발끈(6)의 타단측만을 인동하도록 조작하면,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만을 긴체할 수 있다.
따라서, 인동부(11)를 인동하는 한가지 동작만으로 발등부(2)(갑측 개구부 (3A))와 상방 커버부(1)(상방측 개구부(3B))을 동시에 긴체하여 본 발명품을 간단하게 발에 피트시킬 수 있고, 갑측 개구부(3A)만을 긴체하거나 상방측 개구부(3B)만을 긴체하거나 하는 미조정도, 인동부(11)의 인동의 방법을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며, 게다가, 이 인동부(11)의 인동조작은, 양손은 물론 한 손으로도 조작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뛰어나며, 긴체조작이 극히 용이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긴체조작 종료후에 긴체 유지 수단(12)에 의해 인동부(11)를 인동상태로 유지하면,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이 긴체상태로 유지되어 발에의 양호한 피트감을 얻을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경우는, 신발 본체(A)에 내장된 이너체(B)에 발을 삽입하여 신발끈(6) 중간부의 인동부(11)를 인동하면, 이 신발끈(6)의 일단측을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구성한 신발 본체(A)의 전방 개구부(3)의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과, 신발끈(6)의 타단측을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구성한 전방 개구부(3)의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의 쌍방이 동시에 긴체되는 동시에, 이때, 이너체(B)의 앞측 개구부(14)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 마련한 한쪽의 이너용 끈통과부(15)에 신발끈(6)의 일단측이 통과되고 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이너용 끈통과부(15)에 신발끈(6)의 타단측이 통과되고 있기 때문에, 이너체(B)의 앞측 개구부(14)도 동시에 긴체되게 된다.
또한, 이 인동부(11)를, 신발끈(6)의 일단측만을 인동하도록 조작하면,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만을 긴체할 수 있고, 인동부(11)의 신발끈(6)의 타단측만을 인동하도록 조작하면,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만을 긴체할 수 있다.
따라서, 인동부(11)를 인동하는 한가지 동작만으로 신발 본체(A)의 발등부 (2)(갑측 개구부(3A))와 상방 커버부(1)(상방측 개구부(3B))와, 이너체(B)의 적어도 상방 피복부(13)(앞측 개구부(14))을 동시에 긴체하여 본 발명품을 발에 피트시킬 수 있고, 갑측 개구부(3A)만을 긴체하거나 상방측 개구부(3B)만을 긴체하거나 하는 미조정도, 인동부(11)의 인동의 방법을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게다가, 이 인동부(11)의 인동조작은, 양손은 물론 한 손으로도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뛰어나며, 긴체조작을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긴체조작 종료후에 긴체 유지 수단(12)에 의해 인동부(11)를 인동상태로 유지하면, 신발 본체(A)의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과 이너체(B)의 앞측 개구부(14)가 긴체상태로 유지되어 발에의 양호한 피트감을 얻는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각 긴체수단(4)은,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끈고정부(5)를 마련하고, 이 각 끈고정부(5)에 상기 신발끈(6)의 일단과 타단을 고정하고, 이 각 끈고정부(5)에 고정한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제1 끈지지부(7)를, 갑측 개구부 (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1 끈지지부(7)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끈고정부(5)와 각 제1 끈지지부(7)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끈지지부(8)를, 상기 갑측 개구부(3A)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며, 이 각 제2 끈지지부(8)에 지지한 신발끈(6)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 및 상방측 개구부(3B)를 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 신발끈(6)의 일단측과 타단측이, 갑측 개구부(3A) 및 상방측 개구부(3B)의 소정 범위에 좌우 사행상태에 있고, 이 신발끈(6)이 있는 갑측 개구부(3A) 및 상방측 개구부(3B)의 소정 범위를 양호하게 긴체할 수 있다.
또한, 제1 끈지지부(7)와 제2 끈지지부(8)에 지지된 신발끈(6)은, 지지되는 개소가 적기 때문에 이 제1 끈지지부(7)와 제2 끈지지부(8)로부터 받는 마찰 저항이 비교적 작고, 게다가, 각 긴체수단(4)은, 모두 신발끈(6)의 중간부측이,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한 제1 끈지지부(7)에 지지되어 U턴한 후,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한 제2 끈지지부(8)에, 끈고정부(5)와 제1 끈지지부(7)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끈(6) 자체에 의한 마찰 저항도 없다.
따라서, 이 신발끈(6)의 중간부(인동부(11))의 인동조작에는 큰 저항을 일으키지 않고, 간단하고 신속하게 인동조작을 행하여 긴체조작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인동부(11)의 인동조작이 극히 용이하게 행하여지므로, 발등부(2)와 상방 커버부(1)를 신속하게 긴체하여 긴체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신발이 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대하여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스노보드용의 신발(부츠)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스노보드용 부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우터 부츠 A인 신발 본체(A)와, 이 신발 본체(A)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내장하는 이너 부츠 B인 이너체(B)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신발 본체(A)는, 발목보다 높이가 있어 정강이 부분 도중까지를 덮는 상방 커버부(1)를 구비하고, 이 상방 커버부(1)의 신을 신는 입구부의 앞쪽으로부터 발등부(2)에 걸쳐 개구하는 전방 개구부(3)를 구비하며, 이 전방 개구부(3)에 턴 부재(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너체(B)는, 발목보다 높이가 있어 정강이 부분 도중까지를 덮는 상방 피복부(13)를 구비하고, 이 상방 피복부(13)의 신을 신는 입구부의 앞쪽으로부터 발목부에 걸쳐 개구하는 앞측 개구부(14)를 구비하고, 이 앞측 개구부(14)에 턴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발 본체(A)의 전방 개구부(3)의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에 각각 독립된 긴체수단(4)을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다란 1개의 끈재로 이루어진 신발끈(6)의 일단을 상기 갑측 개구부(3A)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갑측 개구부(3A)의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신발끈(6)의 타단을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상방측 개구부(3B)의 상기 긴체수단(4)을 구성하고 있다.
먼저,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에 대하여 설명한다.
갑측 개구부(3A)의 발부리쪽의 좌우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도면에서는 좌측 가장자리)에 끈고정부(5)를 마련하여 이 끈고정부(5)에 신발끈(6)의 일단을 고정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갑측 개구부(3A)의 발부리쪽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신발끈(6)을 삽통가능한 환상부를 갑측 개구부(3A)의 안쪽(다른쪽 가장자리의 방향)을 향하여 돌설하고, 이 환상부를 상기 끈고정부(5)로 하여, 이 끈고정부(5)에 신발끈(6)의 일단을 묶어 고정함으로써 고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갑측 개구부(3A)의 발부리쪽의 다른쪽 가장자리(도면에서는 우측 가장자리)에, 상기 끈고정부(5)에 일단을 고정한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측)을 지지하여 갑측 개구부(3A)의 한쪽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U턴시키는 제1 끈지지부(7)를 마련하고, 이 제1 끈지지부(7)로 U턴시킨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측)을 지지하여 갑측 개구부(3A)의 다른쪽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U턴시키는 제2 끈지지부(8)를 갑측 개구부(3A)의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며, 이 제2 끈지지부(8)로 U턴시킨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측)을 지지하여 갑측 개구부(3A)의 한쪽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U턴시키는 제3 끈지지부(9)를 갑측 개구부(3A)의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제3 끈지지부(9)로 U턴시킨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측)을 지지하여 갑측 개구부(3A)의 다른쪽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U턴시키는 제4 끈지지부(10)를 갑측 개구부(3A)의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 끈지지부(7), 제2 끈지지부(8), 제3 끈지지부(9), 제4 끈지지부(10)는, 모두 풀리(16)를 채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각 풀리(16)의 신발 본체(A)에의 부착 구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풀리(16)를 축지지하는 프레임 모양의 베어링(23)을, 이중의 갑피 사이에 끼워 넣어 지착한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제1 끈지지부(7)로서의 풀리(16)는, 끈고정부(5)와 대략 수평 대향 상태로 하여 마련하고, 제2 끈지지부(8)로서의 풀리(16)는, 제1 끈지지부(7)보다 약간 발목부쪽에 위치하도록 마련하며, 제3 끈지지부(9)로서의 풀리(16)는, 제2 끈지지부(8)보다 약간 발목부쪽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제4 끈지지부(10)로서의 풀리 (16)는, 제3 끈지지부(9)보다 약간 발목부쪽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끈고정부(5)에 일단을 고정한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측)을, 제1 끈지지부(7), 제2 끈지지부(8), 제3 끈지지부(9)의 순번으로 또한 각 풀리(16)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반둘레 정도 걸어돌리며 지지함으로써, 각 끈지지부(7, 8,9)로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측)을 갑측 개구부(3A)의 대향하는 측가장자리 방향으로 U턴시키는 동시에, 상기 끈고정부(5)와 상기 제1 끈지지부(7)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와, 제1 끈지지부(7)와 제2 끈지지부(8)의 사이에 있는 신발끈 (6)의 도중부와, 제2 끈지지부(8)와 제3 끈지지부(9)의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가 서로 크로스하지 않도록 하여 좌우 사행 상태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3 끈지지부(9)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측)을 제4 끈지지부(10)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돌리며 지지하여, 이 제4 끈지지부(10)에 지지한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를 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풀리(16)로 구성된 각 끈지지부 (7,8,9,10)에 모두 그 아래쪽으로부터 신발끈(6)을 걸어돌리며 지지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끈지지부(7,8,9,10)의 배치 구성이나 설치 개수 등에 따라서는 위쪽으로부터 걸어돌리며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끈지지부(7), 제2 끈지지부(8), 제3 끈지지부 (9), 제4 끈지지부(10)는, 모두 신발 본체(A)의 갑피에 의해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은폐 상태로서 고장이 잘 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과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끈고정부(5), 제1 끈지지부(7), 제2 끈지지부(8), 제3 끈지지부(9), 제4 끈지지부(10)가,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의 그들과 상하 반전 상태 또한 좌우 반전 상태가 되도록 하여 마련하고 있다.
즉, 이 상방측 개구부(3B)에서는, 갑측 개구부(3A)에 대하여 좌우의 한쪽 가장자리와 다른쪽 가장자리의 방향이 역전하고 있으며, 또한, 제1 끈지지부(7), 제2 끈지지부(8), 제3 끈지지부(9), 제4 끈지지부(10)는, 상방측 개구부(3B)의 상방측으로부터 차례로 마련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방측 개구부(3B)의 상방측(신을 신는 입구부측)의 한쪽 가장자리(도면 우측 가장자리)에 끈고정부(5)를 마련하고, 이 끈고정부(5)와 대략 수평 대향 상태로 하여 상방측 개구부(3B)의 다른쪽 가장자리(도면 좌측연)에 제1 끈지지부(7)를 마련하며, 이 제1 끈지지부(7)보다 약간 발목부 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방측 개구부(3B)의 한쪽 가장자리에 제2 끈지지부(8)를 마련하고, 이 제2 끈지지부(8)보다 약간 발목부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방측 개구부(3B)의 다른쪽 가장자리에 제3 끈지지부(9)를 마련하며, 이 제3 끈지지부(9)보다 약간 발목부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방측 개구부(3B)의 한쪽 가장자리에 제4 끈지지부(10)를 마련하여, 끈고정부(5)에 상기 신발끈(6)의 타단을 고정하는 동시에, 이 신발끈(6)의 일단측(중간부측)을 각 끈지지부(7,8,9,10)에 대하여 차례로 위쪽으로부터 걸어돌리며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의 제4 끈지지부(10)와,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의 제4 끈지지부(10)가, 신발 본체(A)의 발목 위치에서 대략 수평 대향 상태가 되도록 마련하고, 이에 따라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은 갑측 개구부(3A)의 대략 전범위를,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 (4)은 상방측 개구부(3B)의 대략 전범위를 각각 긴체하여 발에 양호하게 피트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각 긴체수단(4)은, 모두 불과 4개소의 끈지지부(7,8,9,10)에 신발끈(6)을 지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지지 개소가 적으므로 이 각 끈지지부(7,8,9,10)로부터 받는 마찰 저항이 비교적 작고, 신발끈(6)이 도중에 크로스하는 구성도 아니기 때문에, 신발끈(6) 자체에 의한 마찰 저항도 없으며, 게다가, 각 끈지지부(7,8,9,10)가 풀리(16)이기 때문에, 가벼운 힘으로 극히 용이하게 인동하여 긴체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턴 부재(17)의 발목부의 좌우부에, 이 턴 부재(17)를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24)을 형성하여, 이 한쪽(도면 왼쪽)의 관통구멍 (24)을 통하여 상기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의 신발끈(6)의 타단측(중간부측)을 턴 부재(17)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통과시키고, 다른쪽(도면 오른쪽)의 관통구멍(24)을 통하여 상기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의 신발끈(6)의 일단측(중간부측)을 턴 부재(17)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통과시켜, 한 개의 신발끈(6)의, 각 긴체수단(4)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턴 부재(17)의 이면측에 배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이너체(B)의 상기 앞측 개구부(14)의 좌우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신발끈(6)을 삽통가능한 이너용 끈통과부(15)를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측 개구부(14)의 한쪽 가장자리와 다른쪽 가장자리의 대향 위치에 각각 신발끈(6)을 상하 방향으로 삽통가능한 환상부를 마련하여, 이 각 환상부를 이너용 끈통과부(15)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 부재(17)의 이면측을 통과한 신발끈(6)의 중간부의 양측 부분을 크로스시킨 다음, 이 양측 부분을 좌우의 상기 이너용 끈통과부(15)에 각각 그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삽통시키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신발끈(6) 중간부의,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측(신발끈(6)의 타단측)은, 한편(도면 왼쪽)의 이너용 끈통과부(15)에,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측(신발끈(6)의 일단측)은, 다른쪽(도면 왼쪽)의 이너용 끈통과부(15)에 각각 삽통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턴 부재(17)의 이면측에 통과한 신발끈(6)의 중간부를 집속 상태로 하여 턴 부재(17)의 표면측의 상방으로 삽통안내하는 신발끈 안내부(18)를, 턴 부재(17)의 상방부에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발끈 안내부(18)는, 턴 부재(17)의 위쪽 중앙부에, 좌우 근접 병설 상태로 하여 이 턴 부재(17)를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삽통구멍(25)과, 이 삽통구멍(25)과 연통 상태로 하여 턴 부재(17)의 표면부의 위쪽 중앙부에 부설하는, 2개의 파이프 부재가 병설 상태로 연대한 구조의 2련 파이프부 (26)(double pipe)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각 이너용 끈통과부(15)에 삽통한 신발끈(6)의 중간부를, 이 신발끈 안내부(18)의 삽통구멍(25)로부터 2련 파이프부(26)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턴 부재(17)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다시 통과시켜 이 2련 파이프부(26)의 상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신발끈 안내부(18)를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 상태로 배치된 신발끈(6)의 중간부에 그립 부재(27)를 피복 고정하고, 이 그립 부재(27)를 그립 조작 가능한 상기 인동부(11)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인동부(11)를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 (4)과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이 동시에 긴체되는 동시에, 상기 이너체 (B)의 앞측 개구부(14)도,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 규제되어 동시에 긴체되도록 구성하며, 또한, 이 인동부(11)를, 신발끈(6)의 일단측만을 인동하도록 조작하면, 갑측 개구부(3A)의 긴체수단(4)만을 긴체할 수 있고, 인동부 (11)의 신발끈(6)의 타단측만을 인동하도록 조작하면,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만을 긴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신발끈 안내부(18)보다 상방에 배치된 각 신발끈 (6)의 중간부의 도중부에, 상기 인동부(11)를 인동상태로 유지하여 갑측 개구부 (3A)와 상방측 개구부(3B)와 이너체(B)의 앞측 개구부(14)를 긴체상태로 유지하는 유지?해제 가능한 긴체 유지 수단(12)을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긴체 유지 수단(12)은, 공지의 끈고정구(21)를 채용하고 있다.
이 끈고정구(21)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신발끈(6)을 삽통하는 삽통부를 구비한 끈고정 본체(19)에, 이 삽통구멍에 삽통된 신발끈(6)에 압접하는 압접체 (20)를 마련한 구성이다. 또한, 이 압접체(20)는, 끈고정 본체(19)에 대해서 슬라이드이동 자유로이 마련하고, 이 압접체(20)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압접체(20)에 의한 신발끈(6)의 압접끈 고정 상태와 압접 해제 상태가 전환되는 간단하고 쉬운 조작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이 끈고정구(21)에 의한 각 긴체수단(4) 및 이너체(B)의 앞측 개구부 (14)의 긴체 유지 구조는, 상기 인동부(11)를 인동하여 긴체조작을 완료한 후, 압접 해제 상태로 한 끈고정 본체(19)를 신발끈(6)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신발끈 안내부(18)의 2련 파이프부(26)의 상단부에 접촉시킨 다음 압접끈고정 상태로 전환하면, 인동한 신발끈(6)이 돌아오는 동작이 저지되어, 긴체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이 긴체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는, 끈고정구(21)를 압접 해제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 긴체수단(4)의 제3 끈지지부(9)와 제4 끈지지부(10)의 사이에 있는 신발끈(6)의 도중부 사이에 느슨함용 밴드 (28)(loosening pipe)를 환상으로 걸어돌리며 장착하고, 이 느슨함용 밴드(28)를 신발 본체(A) 전방으로 인동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각 긴체수단(4) 및 이너체 (B)의 앞측 개구부(14)를 느슨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도 6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다란 1개의 신발끈(6)으로 갑측 개구부(3A)와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을 구성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 신발끈(6)은, 복수개의 끈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예를 들면, 갑측 개구부 (3A)의 긴체수단(4)과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에 각각 다른 끈재(신발끈 (6))를 통과시켜, 이 각 긴체수단(4)의 끈재의 인동측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이 연결부를 신발끈(6)의 중간부로서 상기 인동부(11)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긴체 유지 수단(12)(끈고정구(21))과 신발끈 안내부(18)(2련 파이프부(26))가 일체화한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2에 대하여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이너체(B)의 긴체구조를 생략한 경우이다.
구체적으로는, 신발끈(6)의 중간부를 턴 부재(17)의 이면측에 통과시키지 않고, 턴 부재(17)의 표면측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신발끈 안내부(18)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2련파이프부(26A)를 턴 부재(17)의 표면부의 위쪽 중앙부에 부설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턴 부재(17)의 표면측에 배치한 신발끈(6)의 중간부를, 상방측 개구부(3B)의 긴체수단(4)의 신발끈(6)과 턴 부재(17)의 표면부의 사이에 통과시켜 이 2련 파이프부(26A)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삽통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긴체 유지 수단(12)(끈고정구(21))과 신발끈 안내부(18)(2련파이프부(26A))가 일체화한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 1, 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 요건의 구체적 구성은 적절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발목 부분보다 높은 상방 커버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상방 커버부로부터 발등부에 걸쳐 개구하는 전방 개구부를 구비하고, 이 전방 개구부의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에 각각 독립된 긴체수단을 마련한 신발에 있어서, 한 개의 끈재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복수개의 끈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신발끈의 일단측을 상기 갑측 개구부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갑측 개구부의 상기 긴체수단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신발끈의 타단측을 상기 상방측 개구부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상방측 개구부의 상기 긴체수단을 구성하고, 이 갑측 개구부의 긴체수단과 상방측 개구부의 긴체수단 사이에 있는 상기 신발끈의 중간부를 인동부로 하여, 이 인동부를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의 긴체수단과 상방측 개구부의 긴체수단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인동부를 인동상태로 유지하여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긴체상태로 유지하는 유지?해제 가능한 긴체 유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발목 부분보다 높은 상방 커버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상방 커버부로부터 발등부에 걸쳐 개구하는 전방 개구부를 구비하고, 이 전방 개구부의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에 각각 독립한 긴체수단을 마련한 신발 본체와, 이 신발 본체내에 내장하는 것으로서, 발목 부분보다 높은 상방 피복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적어도 이 상방 피복부에 앞측 개구부를 구비한 이너체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이너체의 상기 앞측 개구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이너용 끈안내부를 마련하고, 한쪽의 이너용끈안내부에, 한 개의 끈재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복수개의 끈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신발끈의 일단측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이 신발끈의 일단측을 상기 신발 본체의 상기 갑측 개구부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갑측 개구부의 상기 긴체수단을 구성하고, 다른쪽의 상기 이너용 끈안내부에 상기 신발끈의 타단측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이 신발끈의 타단측을 상기 신발 본체의 상기 상방측 개구부에 좌우 사행상태로 통과시켜 상방측 개구부의 상기 긴체수단을 구성하고, 이 한쪽의 이너용 끈안내부와 다른쪽의 이너용 끈안내부 사이에 있는 상기 신발끈의 중간부를 인동부로 하여, 이 인동부를 인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너체의 앞측 개구부를 긴체하는 동시에, 상기 신발 본체의 갑측 개구부의 긴체수단과 상방측 개구부의 긴체수단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인동부를 인동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이너체의 앞측 개구부를 긴체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신발 본체의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긴체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해제 가능한 긴체 유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 1, 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긴체수단은, 상기 갑측 개구부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끈고정부를 마련하여 이 각 끈고정부에 상기 신발끈의 일단과 타단을 고정하고, 이 각 끈고정부에 고정한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제1 끈지지부를,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1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끈고정부와 각 제1 끈지지부 사이에 있는 신발끈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끈지지부를, 상기 갑측 개구부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2 끈지지부에 지지한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 및 상방측 개구부를 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끈고정부와 상기 제1 끈지지부는, 상기 갑측 개구부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와 다른쪽 가장자리에 대략 수평 대향 상태로 하여 마련하고, 이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의, 상기 각 끈고정부보다 상방 위치 혹은 하방 위치에 상기 제2 끈지지부를 마련하여, 각 제1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의 중간부측이, 상기 각 끈고정부와 각 제1 끈지지부 사이에 있는 신발끈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제2 끈지지부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끈지지부와 상기 제2 끈지지부는, 풀리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끈지지부와 상기 제2 끈지지부는, 풀리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상기 제2 끈지지부를, 상기 갑측 개구부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제1 끈지지부와 각 제2 끈지지부 사이에 있는 신발끈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끈지지부를,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3 끈지지부에 지지한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 및 상방측 개구부를 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긴체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상기 제2 끈지지부를, 상기 갑측 개구부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제1 끈지지부와 각 제2 끈지지부 사이에 있는 신발끈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끈지지부를,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3 끈지지부에 지지한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 및 상방측 개구부를 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긴체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상기 제2 끈지지부를, 상기 갑측 개구부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제1 끈지지부와 각 제2 끈지지부 사이에 있는 신발끈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끈지지부를,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3 끈지지부에 지지한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 및 상방측 개구부를 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긴체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상기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지지하여 U턴시키는 상기 제2 끈지지부를, 상기 갑측 개구부와 상기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하고, 이 각 제2 끈지지부에 지지하여 U턴시킨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상기 각 제1 끈지지부와 각 제2 끈지지부의 사이에 있는 신발끈의 도중부와 크로스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3 끈지지부를, 갑측 개구부와 상방측 개구부의 좌우 어느 다른쪽 가장자리에 마련하여, 이 각 제3 끈지지부에 지지한 신발끈의 중간부측을 인동하는 것에 의해 갑측 개구부 및 상방측 개구부를 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긴체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1. 제 1, 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개구부에 턴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신발끈의 중간부를 이 턴 부재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통과시켜, 이 이면측에 통과시킨 신발끈의 중간부를 상방으로 삽통 안내하는 신발끈 안내부를, 상기 턴 부재의 상방부에 마련하여 이 신발끈 안내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안내된 신발끈의 중간부에 상기 긴체 유지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제 1, 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체 유지 수단은, 상기 신발끈을 삽통하는 삽통부를 구비한 끈고정 본체에, 이 삽통부에 삽통된 신발끈에 압접하는 압접?해제 가능한 압접체를 마련한 끈고정구를 채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17026625A 2009-06-17 2010-06-08 신발 KR101438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4567 2009-06-17
JP2009144567A JP4616920B2 (ja) 2009-06-17 2009-06-17
PCT/JP2010/059658 WO2010147021A1 (ja) 2009-06-17 2010-06-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571A Division KR101495485B1 (ko) 2009-06-17 2010-06-08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803A true KR20120036803A (ko) 2012-04-18
KR101438878B1 KR101438878B1 (ko) 2014-09-05

Family

ID=433563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625A KR101438878B1 (ko) 2009-06-17 2010-06-08 신발
KR1020147010571A KR101495485B1 (ko) 2009-06-17 2010-06-08 신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571A KR101495485B1 (ko) 2009-06-17 2010-06-08 신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82926B2 (ko)
EP (2) EP2399474B1 (ko)
JP (1) JP4616920B2 (ko)
KR (2) KR101438878B1 (ko)
WO (1) WO2010147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8415B (en) 2003-11-19 2008-04-09 Vodafone Plc Networks
JP4616920B2 (ja) 2009-06-17 2011-01-19 株式会社クレブ
KR200465516Y1 (ko) 2011-04-12 2013-02-28 강충묵 장목형 신발
JP5931532B2 (ja) * 2012-03-26 2016-06-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
US9474330B2 (en) * 2013-06-10 2016-10-25 Nike, Inc. Article with adjustable rearward covering portion
ITPD20130182A1 (it) * 2013-06-28 2014-12-29 Sportiva S P A Scarpone da sci alpino o da scialpinismo
US20160044987A1 (en) * 2014-08-13 2016-02-18 The Burton Corporation Lace guide for footwear
US9930931B2 (en) * 2015-05-11 2018-04-03 Sean P. Leary Lacing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the ends of cords and laces
KR102624363B1 (ko) * 2015-10-27 2024-01-11 플래 코. 신발류 폐쇄 시스템
US10244822B2 (en) * 2016-03-15 2019-04-02 Nike, Inc. Lace routing pattern of a lac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026472B2 (en)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KR20230066129A (ko) 2018-09-06 2023-05-1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피드백 메커니즘을 갖는 동적 끈 조절 시스템
US20200138145A1 (en) * 2018-11-06 2020-05-07 Nike, Inc. Zonal dynamic lacing system
IT202000030926A1 (it) * 2020-12-15 2022-06-15 Geox Spa Sistema di chiusura di una calzatura o articolo o accessorio di abbigliamento
US11974637B2 (en) 2021-03-01 2024-05-07 Ariat International, Inc. Boots with fit adjustmen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07A (en) * 1893-11-28 Henry vachon
US923860A (en) * 1908-12-28 1909-06-08 Marzell Kroell Laced shoe.
DE1190359B (de) * 1960-04-05 1965-04-01 Franz Fesl Sportschuh, insbesondere Skischuh
US3703775A (en) * 1970-09-15 1972-11-28 Joseph Gatti Football boots
CH556649A (de) * 1972-10-09 1974-12-13 Maurer Wilhelm Verschluss fuer wintersportschuhe.
US4630383A (en) * 1980-09-25 1986-12-23 Kangaroos U.S.A., Inc. Shoe with gusset pocket
IT213808Z2 (it) * 1988-06-22 1990-03-01 Olivieri Icaro & C Allacciatura per scarponi da sci in particolare per scarponi del tipo cosidetto a calzata posteriore.
CH678000A5 (ko) * 1988-11-24 1991-07-31 Lange Int Sa
DE59002580D1 (de) * 1989-06-03 1993-10-07 Dassler Puma Sportschuh Mit einer schliessvorrichtung versehener schuh mit nachgiebigem schaftmaterial.
US5269078A (en) * 1989-07-31 1993-12-14 Robert G. Carter Apparatus for supplying supporting force
JPH03115773A (ja) 1989-09-29 1991-05-16 Hino Motors Ltd 噴射ポンプのカムプロフイル
DE9209702U1 (de) * 1992-07-22 1993-11-25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insbesondere Sport-, Freizeit- oder Rehabilitationsschuh
FR2706743B1 (ko) 1993-06-21 1995-08-25 Salomon Sa
ATE187308T1 (de) * 1994-02-28 1999-12-15 Adam H Oreck Schuh mit schläuchen für schnürsenkel
US7096559B2 (en) * 1998-03-26 2006-08-29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and method
US6240657B1 (en) * 1999-06-18 2001-06-05 In-Stride, Inc. Footwear with replaceable eyelet extenders
FR2802783B1 (fr) 1999-12-28 2002-05-31 Salomon Sa Dispositif de serrage de puissance d'une chaussure
FR2802782B1 (fr) * 1999-12-28 2002-08-16 Salomon Sa Chaussure a tige haute avec dispositif de serrage a lacet
FR2810514B1 (fr) * 2000-06-27 2002-10-11 Salomon Sa Dispositif de serrage a lacet comportant une poche de rangement d'un bloqueur
US6474000B2 (en) * 2000-12-21 2002-11-05 Salomon S.A. Sports boot having an integrated quick tightening system
JP2004041666A (ja) * 2002-05-14 2004-02-12 Yasuhiro Nakabayashi 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
US6775928B2 (en) * 2002-06-07 2004-08-17 K-2 Corporation Lacing system for skates
FR2844683B1 (fr) * 2002-09-19 2005-04-29 Salomon Sa Chaussure destinee a la pratique d'un sport
US7386947B2 (en) * 2003-02-11 2008-06-17 K-2 Corporation Snowboard boot with liner harness
US6877256B2 (en) 2003-02-11 2005-04-12 K-2 Corporation Boot and liner with tightening mechanism
FR2853818A1 (fr) * 2003-04-18 2004-10-22 Salomon Sa Chaussure
US6889407B2 (en) 2003-06-10 2005-05-10 K-2 Corporation Single finger pull cord lock release
FR2855946B1 (fr) * 2003-06-12 2006-02-10 Salomon Sa Chaussure
FR2857234B1 (fr) * 2003-07-10 2005-10-21 Salomon Sa Bloqueur de lacet
US7281341B2 (en) 2003-12-10 2007-10-16 The Burton Corporation Lace system for footwear
US20050204585A1 (en) * 2004-03-16 2005-09-22 Malvin Loveridge Expandable tongue for articulated boots
FR2872389A1 (fr) * 2004-07-02 2006-01-06 Salomon Sa Article chaussant et systeme de lacage pour un tel article
WO2006074067A1 (en) * 2005-01-05 2006-07-13 Red Wing Shoe Company, Inc. Footwear tensioning system
FR2881626B1 (fr) * 2005-02-04 2007-04-13 Salomon Sa Chaussure destinee a la pratique d'un sport
FR2881930B1 (fr) * 2005-02-11 2007-04-13 Salomon Sa Dispositif de lacage pour chaussure de sport
FR2891118B1 (fr) * 2005-09-28 2007-12-21 Salomon Sa Chaussure qui ameliore le serrage de la tige
JP2007215845A (ja) * 2006-02-17 2007-08-30 Ryusyo Industrial Co Ltd ブーツの締め付け構造
DE102006034955A1 (de) * 2006-07-28 2008-01-31 Head Germany Gmbh Snowboardstiefel
DE202007018332U1 (de) 2007-01-17 2008-04-24 Deeluxe Sportartikel Handels Gmbh Stiefel, insbesondere Ski- oder Snowboardstiefel
US20080168685A1 (en) * 2007-01-17 2008-07-17 Dc Shoes, Inc. Single lace boot with multiple compression zones
JP4317229B2 (ja) 2007-02-13 2009-08-19 株式会社クレブ
JP2009089902A (ja) 2007-10-09 2009-04-30 Kurebu:Kk
JP4616920B2 (ja) 2009-06-17 2011-01-19 株式会社クレブ
JP4741711B2 (ja) 2010-09-13 2011-08-10 株式会社クレ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9474A1 (en) 2011-12-28
JP4616920B2 (ja) 2011-01-19
US8782926B2 (en) 2014-07-22
EP3005895A1 (en) 2016-04-13
JP2011000234A (ja) 2011-01-06
EP2399474B1 (en) 2018-10-17
EP2399474A4 (en) 2015-03-04
KR20140056398A (ko) 2014-05-09
US20120017469A1 (en) 2012-01-26
KR101438878B1 (ko) 2014-09-05
WO2010147021A1 (ja) 2010-12-23
US8806778B2 (en) 2014-08-19
US20130318820A1 (en) 2013-12-05
KR101495485B1 (ko) 2015-02-23
EP3005895B1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6803A (ko) 신발
JP5491198B2 (ja) ブーツ、特にスキー又は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
RU2479236C2 (ru) Ботинок с улучшенным стягиванием голенища
US7963049B2 (en) Snowboard boot
KR102074014B1 (ko) 신발
JP6088067B2 (ja) 履物保持システム
RU2432889C2 (ru) Ботинок
JP5913637B2 (ja) 靴、特に運動靴
CN108697200A (zh) 具有张紧系统的鞋类制品
JP2003518397A (ja) 履物用の強力な緊縛装置
JP2016500300A (ja) 履物用の引き締めシステム
JPH1080305A (ja) スポーツ靴用の可変断面を有する紐およびこの種の紐を備えたスポーツ靴
KR101344975B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1003138B1 (ko) 신발 끈 결속장치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JP3135943U (ja) 甲脛独立固縛式シューズ
KR101017251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200246554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GB2563610A (en) A shoelace retainer
KR950002564Y1 (ko) 2개의 조임결속끈을 갖는 신발
KR100829365B1 (ko) 신발끈 고정구
WO2012174269A1 (en) Boot with lace tensioning system
CN117297230A (zh) 一种自动/半自动调节松紧的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