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784A -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 Google Patents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784A
KR20120036784A KR1020110113859A KR20110113859A KR20120036784A KR 20120036784 A KR20120036784 A KR 20120036784A KR 1020110113859 A KR1020110113859 A KR 1020110113859A KR 20110113859 A KR20110113859 A KR 20110113859A KR 20120036784 A KR20120036784 A KR 2012003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fumigation
main body
hole
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길
Original Assignee
박현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길 filed Critical 박현길
Priority to KR102011011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6784A/ko
Publication of KR2012003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61B2018/06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one of the reactants being oxygen
    • A61B2018/064Moxabur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높이의 합성수지재 타원형 통체로 된 온구기(1)의 본체(2)와, 하부가 개방된 상기 본체(2)의 상부에 평면적으로 구비된 불판(3)과, 상기 불판의 원주위에 돌출된 불똥과 재의 낙하 방지용 환상의 돌조(4)와, 상기 불판의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원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쑥봉을 꽂아 연소하는 복수 개의 훈증 구멍(5)과, 본체(2)의 하단부(2b)가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만곡된 만곡부 (R)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체의 환부에 온구기(1)의 본체(2)가 용이하게 밀착되며 훈증 구멍(5)에 쑥봉 구간을 꽂고 점화하여 쑥의 연소열과 훈증과 쑥 속의 효소가 훈증 구멍(5)을 환부의 피부에 침투되어 혈액 순환이 촉진되고 신경계통이 활성화되며, 환부의 통증과 염증이 완화 및 소멸 된다.
또 사용이 간편하고 불똥이나 재, 쑥액의 낙하가 방지되어 유용하게 사용하 수 있다.

Description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AN OVAL-SHAPED MOXA CAUTERIZER}
본 발명은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온구기 본체가 인체에 양호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타원형 통 체로 된 간단한 단일 구조체이면서, 쑥봉의 연 소기능과, 불똥 낙하 방지 기능과, 쑥 용액의 누출 방지 기능이 구비되어, 쑥봉의 연소열과 훈증 및 쑥 속의 효소(酵素)의 인체 세포 침투에 의해 효과적으로 간편하게 쑥 뜸질을 할 수 있는 쑥뜸용 온구기(溫灸器)에 관한 것이다.
온구기에 의한 쑥뜸은 한방(韓方)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온구기(溫灸器)가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쑥뜸 온구기의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76557호(2000. 12. 15. 공고) 무연뜸기는 온구기의 본체 내부에 원통형의 격벽에 의한 배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 공간의 상부에 쑥 연기가 배출되는 호스를 고정하여 연소기로부터 하강하는 쑥 연기가 다시 상승하여 회류(回流)하면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연결 호스가 연결되는 케이스 내부에는 쑥 연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다단계 필터와 온구기의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 수단으로서 회전 속도 조절 수단과 진공 탱크를 구비하는 진공 펌프로 형성되어 쑥뜸 연기를 외부로 제거시키면서 배출되는 연기를 필터에 의해 정화하게 된 것이다.
②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1292호(2003. 01. 29 공고) 쑥뜸용 온구기는 뜸용 쑥을 고정하는 쑥 고정용 핀이 형성된 온구기 본체의 내부에 뜸용 쑥을 담은 망상의 연소통을 내장하고 온구기 본체의 상부에는 반사경이 내장된 덮개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연소통에서 연소되는 쑥의 연기는 본체의 바닥에 형성된 타공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쑥의 연소열은 본체 하부와 덮개의 반사판에 의해 환부에 집중되어 뜸질하게 된 것이다.
③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70809호(2005. 03. 09. 공고) 삼발이 온구기는 필터와 조절대가 구비된 다공판이 차례로 축설되고 격벽의 내측 저면에 통기공이 형성된 소켓의 외저면에 자석이 매설된 3개의 흡착판이 형상되고 튜브에 충전제가 담겨져 수납고에 내삽된 이중벽 쑥 하우스의 반구형의 다공구에 쑥봉이 연소시 안전캡의 배기구로 매연이 배출되고 상기 쑥진은 필터에 여과되게 구성된 것으로 3개의 상기 고무 흡착관이 개별적으로 흡착 작용을 하여 비만하고 급경사진 복부와 배꼽과 굴절된 관절과 돌출된 뼈 부분의 신체에 적응하여 삼발이형의 온구기를 피부에 흡착 고정시키어 쑥뜸의 시술 과정에서 세라믹 다공구의 내측 대류 공간부에서 대류 작용으로 쑥의 연소열을 순환시키어 간접 열을 피부에 조사하여 화상을 예방하고 쑥뜸을 하게 된 것이다.
④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9942호(2003. 01. 06. 공고) 박바가지를 사용하는 쑥뜸장치는 주면에 여러 개의 구멍이 천공된 박바가지의 내부에 2줄의 고정 철사를 나란히 가설하고 쑥이 담긴 온구기의 플랜지를 박바가지에 고정된 상기 철사 상에 걸어 설치하고 박바가지를 엎어 환부에 대고 온구기의 쑥이 연소되는 열과 연기를 환부에 조사하며 연기는 박바가지에 천공된 구멍으로 배츨하게 된 것이다.
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2849호( 2005. 04. 25. 공고) 황토쑥탄용 온구기는 원통형의 하단 내측에 화상 방지 및 원활한 연소를 위한 제1타공망이 결합되고 하단부에 화상 방지를 위한 단차가 있는 U자 형상의 제1보호 고무대와 결합되는 상부용기와, 원통형의 상부 내측에 제2타공방이 고정결합되고 원통 둘레로 제2보호 고무대가 결합되며 원통 하단부에 연소를 원활하게 하는 반원통형 홀이 복수개 천공된 하부용기와, 시술시 적당한 온열을 유지하며, 연소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반원통형 홀이 복수개 천공된 보조용기와 마사지 효과를 위한 통으로 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 불을 붙인 황토 쑥탄을 하부용기의 제2타공망에 넣고 상부용기를 덮고 환부에 대면 황토 쑥탄의 연소열이 하부용기의 하단부의 원판의 홀을 통하여 환부에 쑥뜸을 하게 된 것이다.
⑥ 등록실용실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2850호(2005. 04. 25 공고) 온구기는 하부용기에 상부동판과 수개의 쑥뜸용기와 상기 쑥뜸용기를 재치하는 홀이 형성된 하부동판과 타공망을 결합하고 하부용기의 상부에는 주연부에 배연공이 형성된 상부 덮개를 합하여 된 것으로 쑥뜸 용기에 담긴 쑥의 연소열이 하부용기의 타공망을 통하여 환부에 조사되고 타공망에 의해 불똥이 받쳐지며 연기는 상부 덮개의 배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 것이다.
⑦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1-0008282호(2011.08.24 공개) 황토 용기 온구기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받침대가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되고 일정 높이 굽이 형성된 외부 황토용기와, 상기 외부황토 용기의 상부공간에 설치되는 내부 황토용기와. 외부 황토용기의 상단부에 덮개된 뚜껑으로 결합된 것으로 외부 황토용기의 내부에 철망을 깔고 불을 붙인 쑥봉이나 쑥탕을 넣고 내부 황토용기와 뚜껑을 덮으면 쑥탄의 연소열과 원적외선이 외부 항토용기의 저면에 형성되 관통공으로 배출되어 환부에 뜸질을 하고 연소가스는 내부 황토용기에 형성된 통공과 뚜껑에 형성된 통공으로 배출하게 된 것이다.
종래의 쑥뜸 온구기는 쑥봉이나 쑥탄을 연소시키는 연소기구와, 연소열의 순환기구와, 연소시에 발생되는 매연의 배출기구 및 매연의 여과기구와, 쑥 액의 누출 방지기구와, 불똥의 낙하 방지기구와, 취급시의 화상(火傷) 방지기구와, 쑥의 연소 재를 받아내는 재받이 기구와, 신체에 대한 온구기의 밀착기구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여러 가지 기구들이 결합되어 온구기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온구기가 매우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온구기의 생산 비용이 고가(高價)로 높게 될 뿐 아니라 온구기의 구조가 복잡한 만큼 취급 및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환자에게 신속하게 시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온구기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다년간 의료 현장에서 많은 연구와 시험을 거듭한 결과, 온구기 본체가 인체에 양호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타원형 통체로 된 간단한 단일 구조체이면서, 쑥봉의 연소 기능과, 불똥 낙하 방지 기능과, 쑥용액의 누출 방지 기능이 구비되어, 쑥봉의 연소열과 훈증 및 쑥 속의 효소(酵素)의 인체 세포 침투에 의해 효과적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쑥 뜸질을 할 수 있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溫灸器)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하기 간편하며, 인체의 골격 형태에 양호하게 밀착되고 온구기의 뜸질 작용이 양호하여 통증과 염증을 용이하게 소멸할 수 있는 타원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원형 통체로 된 온구기 본체의 상면 원주위에 불똥과 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환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본체 상면에 구멍의 내경이 2단으로 점차 좁게 된 복수 개(7개)의 훈증 구멍이 중앙부의 훈증 구멍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의 원주 배열로 천공되며, 본체의 하단부는 개방되고 본체 하단부의 앞쪽과 뒤쪽에는 인체 골격의 형태에 상응하게 만곡된 만곡부가 구비된 단일체의 구조체로 구성된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의 몸통의 형태에 맞도록 된 온구기 본체의 하단부를 환부에 밀착하고 온구기 본체의 상면에 배열된 훈증 구멍에 쑥봉 구간을 꽂고 쑥봉에 불을 붙여 훈증 구멍 아래로 쑥의 연소열과 동시에 쑥 속의 효소가 몸의 세포 속으로 침투되어 통증과 염증을 소멸하여 치유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온구기는 인체의 골격 부분에 양호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진 합성수지(bakleite)제 타원형 통체로 된 온구기 본체의 상부에 불판이 평면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본체의 하부 측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상부의 불판의 원주위에는 불똥과 재를 낙하 방지하는 환상의 돌조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불판에는 복수 개의 훈증 구멍이 불판의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원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훈증 구멍은 쑥봉을 꽂아 연소하는 내경이 가장 크게 된 쑥봉의 연소 구멍과, 상기 연소 구멍의 중앙부에 단을 두고 천공된 내경이 보다 작은 중간 구멍과, 상기 중간 구멍의 중앙부에 단을 두고 천공된 내경이 가장 작은 훈증의 조사(照射) 구멍이 훈증 구멍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온구기 본체 하단부는 복부, 옆구리(담), 척추(단), 무릎(슬), 인대 등 쑥 훈증할 환부의 형태에 상응하게 만곡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온구기의 본체의 좌우 하부 측면에는 매직 밴드가 각각 부착되어 있어, 상기 매직 밴드와 매직 밴드에 접합되는 체결 밴드에 의해 신체의 각 골격 부분에 온구기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온구기는 예를 들어, 복부에 쑥뜸 할 경우에는 온구기 본체의 하단부가 만곡부가 없이 횡직선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먼저, 온구기의 본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쑥 뜸할 복부에 밀착하고 허리띠처럼 몸통에 두른 체결 밴드의 양단부를 본체에 구비된 매직 밴드에 접합시키어 쑥뜸 할 복부에 온구기를 수직으로 고정시킨다.
복부에 고정된 온구기 본체의 상부 측 불판에 구비된 복수의 훈증 구멍의 연소 구멍에 각각 쑥봉 구간을 꽂고 쑥에 불을 붙이어 쑥뜸을 한다.
쑥봉이 연소됨에 따라 쑥의 연소열과 훈증기 및 쑥 속에 존재하는 효소가 훈증 구멍의 중간 구멍과 최하단의 조사 구멍을 통하여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피부를 조사하는 동시에 효소가 피부의 세포를 통하여 환부 내부로 침투된다.
따라서, 쑥의 연소열과 훈증기에 의해 혈액 순환이 촉진되고 신경계통이 활성화되며, 특히 효소에 의해 효과적으로 환부의 통증과 염증이 완화 및 소멸된다.
또한 쑥의 연소시에 건류(乾溜)되는 쑥 액의 일부는 연소열에 의해 증발되기도 하고 미량(微量)인 쑥 액의 일부는 훈증 구멍의 연소 구멍으로부터 내경이 보다 좁게 된 중단 구멍의 단(段)을 흐르는 중에 응고되어 그 이상 흐르지 않는다.
또 불판의 원주위에는 불똥과 재의 낙하 방지용 돌조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쑥봉의 연소시 불똥이나 재가 본체 외부로 낙하 되지않고 불판에 단정하게 쌓인다.
또 쑥봉이 모두 연소된 후에는 온구기의 불판을 소제한 다음 사용하기 때문에 훈증 구멍의 중단 구멍에 응고된 쑥 액은 청결하게 모두 제거된다.
일조로 구비된 복수 개의 온구기 중 쑥뜸 할 신체 환부의 형태에 상응하게 본체 하단부가 만곡된 온구기를 선택하여 몸체에 양호하게 밀착하여 유용하게 쑥 훈증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원형 통체로 된 온구기는 복수 개의 훈증 구멍과 불똥과 재의 낙하 방지 돌조가 단일체의 본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극히 간단하고 조립 부품이 없어, 합성수지 사출금형에 의해 단일체인 온구기를 저렴하게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온구기가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타원형 본체의 하단부는 골격형태에 상응하게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하단부를 환부에 밀착하고 온구기 본체의 상면에 배열된 훈증 구멍에 쑥봉 구간을 꽂고 쑥봉에 불을 붙여 훈증 구멍 아래로 쑥의 연소열과 동시에 쑥 속의 효소가 몸의 세포속으로 침투되어 양호하게 통증과 염증을 소멸하여 치유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좌우 하측 면에는 체결 밴드를 부착할 매직 밴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 밴드와 매직 밴드에 의해 신체의 쑥뜸 할 부위에 온구기를 수직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어 편리하게 쑥 훈증을 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온구기의 사시도
도 2는 동 평면도
도 3은 동 저면도
도 4는 동 단면도
도 5는 온구기의 하단부가 신체 부위에 상응한 형태로 된 측면 예시도
도 5a는 다리의 측면에 적용되는 온구기 하단부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5b는 배에 적용되는 온구기 하단부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5c는 인대에 적용되는 온구기 하단부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5d는 무릎에 적용되는 온구기 하단부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5e는 척추, 단에 적용되는 온구기 하단부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1 내지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온구기(1)는 인체의 골격 부분에 양호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진 배크라이트(bakelite)와 같은 내열성 합성수지재의 타원형 통체로 된 본체(2)의 상부 측에 불판(3)이 평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의 하부 측은 막힘이 없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상부 측의 불판(3)의 원주위에는 불똥과 재의 낙하 방지용 환상의 돌조(4)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불판(3)에는 7개의 훈증 구멍(5)이 불판의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원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훈증 구멍(5)은 쑥봉(C)을 꽂아 연소하는 내경이 가장 크게 된 쑥봉의 연소 구멍(5a)과, 상기 연소 구멍(5a)의 중앙부에 단(5b)을 두고 천공된 내경이 보다 작은 중간 구멍(5c)과, 상기 중간 구멍(5c)의 중앙부에 단(5d)을 두고 천공된 내경이 가장 작은 하단 구멍(5e)이 훈증 구멍(5)의 최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신체는 골격 부위는 다양한 형태의 굴곡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으로 된 상기 온구기(1)의 본체(2)의 앞면과 뒷면의 하단부(2b)에 신체의 골격 부위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만곡부(R)가 구비되어 있다.
도 5a에 표시된 바와 다리의 측면에 적용되는 온구기 본체(2)의 앞쪽과 뒤쪽의 하단부(2b)에 다리의 측면, 옆구리의 형태에 상응하게 완만한 곡선으로 요입된 만곡부(R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복부에 적용되는 온구기의 본체(2)의 하단부(2b)는 전체적으로 수평 단부(Rb)로 형성되어 있다.
도 5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인대에 적용되는 온구기 본체(2)의 앞쪽과 뒤쪽의 하단부(2b)는 인대의 형태에 상응하게 위쪽으로 깊게 요입된 만곡부(Rc)로 형성되어 있다.
도 5d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무릎에 적용되는 온구기 본체(2)의 앞쪽과 뒤쪽의 하단부(2b)는 무릎의 형태에 상응하게 위쪽으로 요입된 반타원형의 만곡부(Rd)가 형성되어 있다.
도 5e에 표시된 바와 같이 척추나 배꼽 부위에 적용되는 온구기 본체(2)의 앞쪽과 뒤쪽의 하단부(2b)는 척추나 배꼽 부위 형태에 상응하게 하부 측으로 약간 돌출된 돌출부(Re)가 형성되어 있다.
기타 온구기 본체의 하단부의 형태는 적용되는 신체 골격 부위의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온구기(1)의 본체(2)의 좌우 하부 측면에는 매직 밴드(6)가 각각 부착되어 있어, 몸통을 매는 체결 밴드(7)와 매직 밴드(6)의 체결에 의해 신체의 각 골격 부분에 온구기(1)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타원형 통체로 된 상기 본체(2)는 장축의 외경이 70mm, 단축의 외경이 62mm, 상기 불판(3)의 두께는 9mm, 본체(2)의 원주위에 구비된 불똥과 재의 낙하 방지용 돌조(4)의 높이는 8mm, 본체의 전체 상하의 높이는 60mm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훈증 구멍(5)을 구성하고 있는 쑥봉의 연소 구멍(5a)의 내경은 6.8mm, 길이는 3mm 이고 중간 구멍(5c)의 내경은 3mm, 깊이는 3 mm이며, 하단 구멍(5e)의 내경은 1mm, 깊이는 3mm로서 훈증 구멍의 총 깊이는 불판(3)의 두께 9mm와 상응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 본체 및 훈증 구멍의 규격은 상기한 숫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온구기는 예를 들어, 복부에 쑥 훈증할 경우에는 도 5b에 표시된, 온구기(1)의 본체(2)의 하단부(2b)가 수평 단부(Rb)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먼저, 온구기의 본체(2)의 개방된 하단부(2b)를 쑥 뜸할 복부에 밀착하고 허리띠처럼 몸통에 두른 체결 밴드(7)의 양단부를 본체(2)에 구비된 매직 밴드(6)에 접합시키어 쑥 뜸할 복부에 온구기(1)를 수직으로 고정시킨다.
복부에 고정된 온구기 본체(2)의 상부 측 불판(3)에 구비된 복수의 훈증 구멍(5)의 연소 구멍(5a)에 각각 쑥봉 구간(C)을 꽂고 쑥에 불을 붙이어 훈증을 한다.
쑥봉이 연소됨에 따라 쑥의 연소열과 훈증기 및 쑥 속에 존재하는 효소가 훈증 구멍(5)의 중간 구멍(5c)과 하단 구멍(5e)을 통하여 본체(2)의 내부 공간(A)으로 확산되면서 복부의 피부를 조사(照射)하는 동시, 효소(酵素)가 피부의 세포를 통하여 환부 내부로 침투된다.
따라서, 쑥의 연소열과 훈증기에 의해 혈액 순환이 촉진되고 신경계통이 활성화되며, 특히 효소에 의해 환부의 통증과 염증이 완화 및 소멸된다.
또한 쑥의 연소시에 건류(乾溜)되는 쑥 액의 일부는 연소열에 의해 증발되기도 하고 미량(微量)인 쑥 액의 일부는 훈증 구멍(5)의 연소 구멍(5a)의 중앙부에 단(5b)과 내경이 보다 좁게 된 중간 구멍(5c)의 단(5d)을 흐르는 중에 응고되어 그 이상 흐르지 않는다.
또 불판의 원주위에는 불똥과 재의 낙하 방지용 돌조(4)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쑥봉의 연소시 불똥이나 재가 본체(2)의 외부로 낙하 되지않고 불판(3)에 단정하게 쌓인다.
또 쑥봉이 모두 연소된 후에는 온구기(1)의 불판(3)을 소제한 다음 사용한다. 이때 훈증 구멍의 중간 구멍에 응고된 쑥 액은 청결하게 모두 제거된다.
일조로 구비된 복수 개의 온구기의 본체 하단부 중 쑥 뜸할 신체 환부의 형태에 상응하게 본체 하단부가 만곡된 온구기를 선택하여 몸체에 양호하게 밀착하여 유용하게 쑥 훈증을 할 수 있다.
1 : 온구기 2 : 본체 3 : 불판 4 : 돌조 5 : 훈증 구멍
6 : 매직 밴드 7 : 체결 밴드

Claims (8)

  1.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에 있어서,
    일정한 높이의 합성수지재 타원형 통체로 된 온구기(1)의 본체(2)와,
    하부가 개방된 상기 본체(2)의 상부에 평면적으로 구비된 불판(3)과,
    상기 불판의 원주위에 돌출된 불똥과 재의 낙하 방지용 환상의 돌조(4)와,
    상기 불판의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원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쑥봉을 꽂아 연소하는 복수 개의 훈증 구멍(5)과,
    본체(2)의 하단부(2b)가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만곡된 만곡부(R)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2)의 불판(3)에 구비된 훈증 구멍(5)은 쑥봉(C)을 꽂아 연소하는 내경이 가장 크게 된 쑥봉의 연소 구멍(5a)과, 상기 연소 구멍(5a)의 중앙부에 단(5b)을 두고 천공된 내경이 보다 작은 중간 구멍(5c)과, 상기 중간 구멍(5c)의 중앙부에 단(5d)을 두고 천공된 내경이 가장 작은 하단 구멍(5e)이 훈증 구멍(5)의 최하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온구기(1)의 본체(2)의 하주면의 좌우 양측에 매직 밴드(6)가 부착되어 몸을 매는 체결 밴드(7)와 매직 밴드(6)에 의해 온구기 본체(2)를 훈증할 환부에 고정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다리에 적용되는 온구기 본체(2)의 앞쪽과 뒤쪽의 하단부(2b)는 다리의 형태에 상응하게 위쪽으로 깊게 요입된 만곡부(R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복부에 적용되는 온구기의 본체(2)의 하단부(2b)는 전체적으로 수평 단부(R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인대에 적용되는 온구기 본체(2)의 앞쪽과 뒤쪽의 하단부(2b)는 인대의 형태에 상응하게 위쪽으로 깊게 요입된 만곡부(Rc)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무릎에 적용되는 온구기 본체(2)의 앞쪽과 뒤쪽의 하단부(2b)는 무릎의 형태에 상응하게 위쪽으로 요입된 반타원형의 만곡부(R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척추나 배꼽 부위에 적용되는 온구기 본체(2)의 앞쪽과 뒤쪽의 하단부(2b)는 척추나 배꼽 부위 형태에 상응하게 하부 측으로 약간 돌출된 돌출부(R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KR1020110113859A 2011-11-03 2011-11-03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KR20120036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859A KR20120036784A (ko) 2011-11-03 2011-11-03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859A KR20120036784A (ko) 2011-11-03 2011-11-03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419U Division KR200473094Y1 (ko) 2013-10-14 2013-10-14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훈증 온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84A true KR20120036784A (ko) 2012-04-18

Family

ID=4613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859A KR20120036784A (ko) 2011-11-03 2011-11-03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67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7391A (zh) * 2018-11-08 2019-01-08 马浩翔 一种曲面拔罐理疗器
CN110680734A (zh) * 2019-11-18 2020-01-14 湖南馨创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艾灸温度可调节的美肤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7391A (zh) * 2018-11-08 2019-01-08 马浩翔 一种曲面拔罐理疗器
CN110680734A (zh) * 2019-11-18 2020-01-14 湖南馨创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艾灸温度可调节的美肤仪
CN110680734B (zh) * 2019-11-18 2024-04-12 湖南馨创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艾灸温度可调节的美肤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5826T3 (es) Procedimiento de generación dirigida de calor y dispositivo para ello.
CN102908247B (zh) 一种温灸器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CN203263802U (zh) 无烟艾灸器
JPH07265375A (ja) 温きゅう器
CN202892392U (zh) 一种温灸器
KR20120036784A (ko)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CN112618350A (zh) 一种经络热灸器及其使用方法
CN206324996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扶阳艾灸器
KR20130006992U (ko)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훈증 온구기
CN104434502A (zh) 微正压下排烟式温针灸器
KR100336423B1 (ko) 쑥뜸찜기 조합체
KR200455420Y1 (ko) 훈증기
CN209301705U (zh) 一种无烟艾灸仪器
CN214910446U (zh) 一种新型艾灸罐
CN107582382B (zh) 一种香薰灸疗罐
TWM601099U (zh) 一種艾灸裝置以及艾灸系統
CN205659128U (zh) 多功能艾灸器
JP3149543U (ja) 温灸療法器
KR0139069Y1 (ko) 사용이 간편한 쑥뜸기
CN211132151U (zh) 一种温针灸专用装置
CN215426079U (zh) 便携式无烟坐足灸
CN214388205U (zh) 一种石墨烯灸头及石墨烯热灸仪
CN220917743U (zh) 一种控温穴位灸具
CN212575247U (zh) 一种便于清洗的艾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